KR960000829Y1 -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 Google Patents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00829Y1 KR960000829Y1 KR92027164U KR920027164U KR960000829Y1 KR 960000829 Y1 KR960000829 Y1 KR 960000829Y1 KR 92027164 U KR92027164 U KR 92027164U KR 920027164 U KR920027164 U KR 920027164U KR 960000829 Y1 KR960000829 Y1 KR 9600008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ignal
- central control
- control unit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41001274197 Scatophagus arg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54—Circuit arrangements not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of the switching device and for which no provision exists elsewhere
- H01H9/541—Contacts shunted by semiconductor devices
- H01H9/542—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 H01H2009/545—Contacts shunted by static switch means comprising a parallel semiconductor switch being fired optically, e.g. using a photocoup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종래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스카트부 8 :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
9 : 음성트랜스부 12 : 마이콤
본 고안의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콘이나 로칼 키 콘트롤의 기능을 방지하고 메인컴퓨터가 체크할 수 있는 기능인 RSIG-OUT기능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바르게 선택되었는지 메인컴퓨터가 확인할 수 있도록한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는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파우어 온/오프에 따라 스위칭되어 릴레이 구동회로(102)에 전압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압공급 및 차단부(100)와, 상기 전압공급 및 차단부(100)에서 공급된 전압을 레귤레이터로 정전압을 만드는 정전압부(103)와 스위칭부(104)와, 상기 스위칭부(104)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되어 발광다이오드(LED1)를 구동시켜 스탠 바이 상태를 표시하는 대기상태 표시부(101)와, 중앙통제부(105)와, 상기 중앙통제부(105)의 제어에 따라 광신호를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포토커플러(106)와, 상기 포토커플러(106)에서 출력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버퍼부(107)와, 상기 버퍼부(107)의 출력에 따라 기능을 선택하는 마이콤(108)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메인파우어를 온하면 서브스위치(SUB SWITCH)가 순간적으로 붙었다 떨어진다.
이때 상기 서브스위치(SUB SWITCH)에서 12V정도의 펄스파가 발생되고 이 펄스는 전압공급 및 차단부(100)내의 콘덴서(C1)에 충전된 후 방전되어 저항(R1)을 통해 스위칭소자(Q1)를 턴-온시킨다.
상기 스위칭소자(Q1)가 턴-온되면 마이콤의 온/오프포트(μ-COM.ON/OFF Port)에서 출력된 전압은 상기 스위칭소자(Q1)의 애미터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스위칭소자(Q2)의 베이스 전압이 낮아져 스위칭소자(Q2)는 로프된다.
이와 같이 되면 대기전원(12V)이 저항(R5)(R6)을 통한 후 스위칭소자(Q3)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스위칭소자(Q3)는 오프상태가 된다.
여기서 중앙통제부(105)에 연결된 스카트플러그(SP)가 빠져 있을 때에는 5V로 풀업된 저항(R9)에 의해 "하이"전압이 저항(R8)을 통해 스위칭소자(Q4)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기상태 표시부(101)내의 스위칭소자(Q3)의 베이스에 인가되던 전압이 상기 스위칭부(104)내의 스위칭소자(Q4)의 에미터로 흐르게 된다.
이리하여 상기 스위칭소자(Q3)의 베이스 전압이 로우 상태가 되어 스위칭소자(Q3)는 턴온되고 이에 따라 정전압부(103)에서 출력된 전압이 발광다이오드(LED1)로 흐르게 되어 발광되므로 스탠바이 상태임을 외부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기전압(12V)도 모두 상기 스위칭소자(Q4)의 에미터로 흐르게 되어 릴레이 구동회로(102)의 인가 전압도 차단되어 릴레이도 구동이 중지된다.
한편 상기 중앙통제부(105)에 연설된 스카트 플러그(SP)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5V로 풀업된 저항(R9)을 통한 하이 전압이 중앙통제부(105)에 연결된 케이블(Cable)을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소자(Q4)는 베이스 전압이 낮아져 오프되고 메인 파우어가 온된 상태라면 대기전압(12V)이 저항(R5)(R6)으로 분압되어 릴레이 구동회로(102)에 인가되어 릴레이가 구동됨으로써 티브이 세트에는 전원이 공급되어 세트가 온된다.
이때 스위칭소자(Q3)의 베이스 전압은 하이가 되어 스위칭소자(Q3)는 오프되고 이에 따라 발광다이오드(LED1)에도 전압이 흐르지 못해 발광다이오드(LED1)도 오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중앙통제부(105)의 출력단(OUT)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출력시키면 이 출력 신호 즉, 적외선 신호는 5V로 풀업된 저항(R10)에 의해 직류(DC) 레벨에 실려 포토커플러(106) 내부의 다이오드 캐소드에 인가되면 상기 다이오드에 의해 빛으로 복사된 후 포토커플러(106)내에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콜렉터를 통해 출력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출력된 전기적 신호 즉, 전압은 저항(R12)을 통해 버퍼부(107)내의 스위칭소자(Q5)를 통한 후 저항(R13)(R14)으로 분압되어 스위칭소자(Q6)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여기서 스위칭소자(Q5)가 턴-온되는 시점에서 스위칭소자(Q6)는 턴-온되므로 로드(A)에 서는 상기 중앙통제부(105)의 출력단(OUT)에서 출력된 신호가 그대로 나타나게 되며 이와 같은 신호는 저항(R16)을 통해 마이콤(108)의 입력단(IR)에 인가됨으로써 마이콤(108)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는 로칼 키나 리모콘으로 TV를 사용자가 제어하지 못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스카트 플러그가 꼽혀 있는 상태에서 메인 파우어를 온시키면 세트가 온되어 중앙통제 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
또한 메인컴퓨터(중앙통제부)가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제대로 실행됐는지 확인할 수 없으며 아울러 음성 출력도 티브이의 스피커로만 출력되기 때문에 티브이의 음성으로 인해 다른 사람이 방해를 받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병원이나 호텔등에서 사용될 수 있는 중앙통제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으로서, TV의 자체 리모콘이나 로칼 키 콘트롤에 의한 기능선택을 방지하고, 모든 TV의 기능을 중앙통제부에서 오퍼레이터가 제어하기 위한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로 중앙통제부의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기능이 티브이에서 제대로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음성출력도 티브이 스피커뿐만 아니라 이어폰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TV의 모든 기능을 중앙통제화하기 위해 TV리모콘신호의 본 고안의 입출력을 위한 회로부 및 로칼키 회로부를 없애고, 중앙통제부에서 발생되는 리모콘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명령을 실행한다.
둘째, TV세트의 온/오프상태를 중앙통제부에서 인식한다.
(세트 온판별부 및 스탠바이상태 판별부 출력이 스카트 핀을 통해 중앙통제부로 연결되므로)
셋째, 음성출력을 이어폰으로 출력(예, 병원의 경우 환자의 침대로 연결된 이어폰)하기 위한 트랜스를 구비하였다.
상기의 기술적요지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중앙통제부와, 상기 중앙통제부와의 신호송수신을 위한 모뎀부와, 상기 모뎀부와 TV측의 신호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카트플러그와, 상기 스카트플러그와 연결되는 TV측의 스카트부와, 이 스카트부를 통해 중앙통제부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TV측의 상태판별신호를 중앙통제부측으로 송신하는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와, 상기 티브이의 음성출력 신호를 임의의 레벨로 변환시켜 이어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트랜스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는 TV세트의 온여부를 판별하여 스카트플러그 박스로 출력하는 세트온 판별부(8a)와, 스카트부로 입력되는 중앙통제부로부터의 리모콘신호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리모콘신호 입력부(8b)와, 상기의 리모콘신호 입력이 마이콤 입력단으로 입력되었는지를 중앙통제부에서 확인하기 위해 상기의 마이콤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스카트부로 출력하는 리모콘신호 출력부(8c)와, 스탠바이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스탠바이 판별부(8d)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스카트부는 TV측에 구비된 스카트부에 상기의 모뎀과의 연결을 위한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어 중앙 통제부를 통한 제어가 가능한데 이때 스카트부의 스카트플러그와 연결되는 스카트의 각 핀의 역할은 도면 제 2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4)핀 : 음성트랜스와 연결되는 음성출력단
(2)핀 : 공단자
(3),(5)핀 : TV세트의 온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단자로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면 스카트플러그에서 3번은 접지로 연결되어, 세트온(ON) 판별부(8a)에서 세트 온 판별신호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FBT의 출력전압(12V)이 저항(R23)을 통해 포토커플러(8a)에 가해지므로 TV세트의 전원온시는 포토커플러의 출력측에 전압이 발생하므로 5번 핀을 통해 하이신호가 중앙통제부에 전달되게 되어 중앙통제부는 세트 온 상태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7)핀 : 전원 인터페이스단으로 TV측 전원으로 입력받아 스카트플러그 박스를 통해 모뎀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 인터페이스단으로서 20V 인터페이스단이다.
(FBT의 출력전압(25V)이 퓨징저항(F1) 및 제너다이오드(ZD1, 5V전압강하)를 거쳐 7번핀으로 입력됨)
(9)핀 : 7번핀과 마찬가지로 전원인터페이스단으로 FBT12V 인터페이스단임.
(FBT12V단과 연결되어 있음)
(8)핀 : 공단자
(10),(11)핀 : 리모콘신호 입력단으로 중앙통제부에서 TV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리모콘신호로 출력하므로 이 10번 혹은 11번 핀으로부터 입력되는 리모콘신호는 포토커플러(8b)를 통해 전달되는 버퍼부(11)을 거쳐 마이콤의 IR입력단(리모콘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므로 TV는 해당 제어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즉 중앙통제부로부터 제어되어 동작되는 것이다.
여기서 10번 혹은 11번으로 공통으로 연결된 것은 도시하지 않은 스카트플러그의 단자배열 정의가 10 또는 11번중 하나가 리모콘신호 입력으로 정의될 수 있기 때문이다.
(6)핀 : 리모콘신호 출력단으로 상기의 리모콘신호를 TV측으로 보내어 제어하는 중앙통제부는 신호가 제대로 전달되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마이콤의 IR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되는 리모콘신호를 다시 출력 버퍼(10)을 통해 포토커플러(8c)를 통해 6번핀으로 출력하므로 이를 중앙통제부에서 수신하여 리모콘신호가 제대로 TV측으로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12),(20)핀 : 도면 제 2 도에서 12와 20번 핀사이에 연결된 선은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었을 때 나타나며, 이는 스탠바이 5V가 20번 핀을 통해 12번핀으로 연결되므로 리모콘신호 입력을 위한 포토커플러(8b)의 풀업저항(R22)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을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었을 때에만 리모콘신호입력단(신호변환부의 8b)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13)핀 : TV세트의 스탠바이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자로 스탠바이 5V를 풀업저항(R9)을 통해 연결한 포토커플러(8d)를 통해 입력받아 스탠바이 상태를 감지한다.
(14)핀 : 공단자
(15)핀 : 접지단(GND)
(16)핀 : 공단자
(17),(19)핀 :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17핀은 접지단으로 19는 개방(OPEN)상태이다가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면 두 핀이 연결되므로, 1) 상기의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19번 핀은 항상 하이이므로 스위칭소자(Q4)는 온되어 상기 스위칭소자(Q4)의 콜렉터에 연결된 스위칭소자(Q2)의 출력을 항상 로우상태로 되게 하므로 릴레이구동회로(3)를 구동하지 않도록, 즉 스탠바이 상태가 되게 한다.
2) 상기의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19번핀이 접지로 연결되므로 "A"점의 전위가 하이에서 로우로 바뀌게 되고, 따라서 스위칭소자(Q4)는 오프되므로 스위칭소자(Q2)의 온상태에서는 하이가 출력되므로 릴레이구동회로가 동작되어 TV가 온되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이콤의 스카트플러그단자에서 상리 "A"점의 상태를 체크하여 하이에서 로우로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스카트플러그 연결이나 스카트플러그를 이탈시) 변화되면 온/오프 출력단으로 오프, 즉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스위칭소자(Q2)를 온시킴으로서 릴레이가 구동되지 않게(스탠바이상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스카트플러그 연결시나 이탈시 모두 TV의 파워를 모두 스탠바이상태로 가게 함이 목적이다.
즉, 중앙통제부의 제어명령(파워 온, 파워오프, 채널업, 다운등)에 의해서만 제어되게 되는 것이다.
(18),(21)핀 : 공단자
상기에서 설명한 스카트핀이 스카트플러그(모뎀 및 중앙통제부를 연결하는)와 연결되면, 중앙통제부는 상기 스카트플러그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들로 부터 TV측의 상태를 확인하고, TV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보내어 TV측을 제어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는 본 고안 티브이 중앙통제 장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파워온/오프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타팅회로(1)와, 상기 스타팅회로(1)의 스위칭에 따라 스위칭되어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대기상태 표시부(2)와, 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구동회로(3)와, 대기전원을 레귤레이터로 정전압을 만들어 공급하는 정전압부(4)와, 스카트부(5)와, 상기 스카트부(5)의 검색 및 상기 스카트부(5)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티브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2)과, 상기 스카트플러그와 연결되어 중앙통제부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TV측의 상태판별신호를 중앙통제부측으로 출력하는 세트온 판별부(8a), 리모콘신호 입력부(8b), 리모콘신호출력부(8c) 및 스탠바이 판별부(8d)를 포함하는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와, 티브이 세트내의 음성 출력단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임의의 레벨로 변환시켜 이어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트랜스부(9)와, 상기 스카트부(5)에 스카트플러그가 연결 또는 이탈됨에 따라 스위칭되어 스탠바이모드를 제어하는 스위칭부(10)와, 상기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의 리모콘신호 입력부(8b)로 부터 출력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마이콤(12)의 IR입력단에 입력하는 입력신호버퍼(11)와, 상기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의 리모콘신호 출력부(8c)로 상기의 마이콤에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신호출력버퍼(10)로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파워를 온하면 서브스위치(sub-Switch)가 순간적으로 붙었다 떨어지게 되며 이때 12V정도의 펄스파가 발생되어 스타팅회로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스타팅회로(1)는 상기 입력전압을 콘덴서(C1)에 충전하고 이후 방전하여 저항(R1)을 통해 스위칭소자(Q1)를 턴-온시킨다.
상기 스위칭소자(Q1)가 턴-온되면 마이콤의 온/오프 포트도 액티브 로우상태가 된다.
(즉, 이후 마이콤에서 로우출력시 티브이 온되며, 마이콤에서 하이출력시 티브이는 스탠바이 상태로 동작된다.)
스위칭소자(Q1)의 콜랙터의 로우출력이 스위칭소자(Q2)에 임가되면, 스위칭소자(Q2)는 오프상태가 되고, 따라서 스위칭소자(Q2)의 콜렉터에는 스탠바이 12V로 풀업된 저항(R5)을 통해 하이상태가 되어야 하는데(즉, "B" 점이 하이출력일 경우 릴레이구동회로가 동작하므로, 티브이의 전원이 온상태가 됨을 의미함.) 이때, 스탠바이 5V로 풀업된 저항 R12를 통해 하이전압이 저항(R13)을 거쳐 스위칭소자(Q4)에 가해져 스위칭소자(Q4)를 온시킴으로서 "B"됨을 로우전압으로 만들어줌으로 릴레이구동회로를 구동시키지 못하게 되고(즉, 스탠바이상태로 만들어 줌), 저항(R6)을 통해 스위칭소자(Q3)를 온시키므로서 스탠바이상태임을 LED로 표시하게 된다.
상기의 저항(R12,R13) 및 스위칭소자(Q4)는 스위칭부(가)로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는 상기와 같이 동작하고(왜냐하면, 19번핀이 개방(OPEN)된 상태이므로),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19번핀이 접지로 연결되므로 "A"점의 전위는 로우가 되는데, 이를 마이콤(12)의 스카트플러그 체크포트에서 인식하여(하이에서 로우로 전위가 변하였으므로 이를 검출) 마이콤의 온/오프 포트로, 오프신호(하이전압)을 출력하므로 스위칭소자(Q2)가 온되어 스탠바이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마이콤의 스카트플러그 체크포트는 스카트플러그 이탈시에도 이를 검출하여(로우에서 하이로 전위가 변하였으므로) 마이콤의 온/오프포트로 하이를 출력하여 스탠바이상태가 되게 하는데 이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메인하워를 온하면 스카트플러그를 연결하였거나 연결하지 않았거나 관계없이 스탠바이 상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은 스탠바이 상태에서 즉, 스카트플러그가 꽂혀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중앙통제부의 사용자가 제어하고자 하는 기능키를 입력시키게 되면, 이 기능키 입력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중앙통제부 및 모뎀을 통해 스카트플러그로 입력되어 스카트의 10번 또는 11번으로 입력된다.
이에 따라 리모콘신호 입력부(8b)의 포토커플러의 다이오드로 전압이 흐르게 되어 광신호가 발생되고 이 발생된 광신호는 그에 상응하는 전기적 신호 즉, 전압으로 변환되어 리모콘신호 입력버퍼부(11)에 입력된다.
이와 같이 리모콘신호 입력버퍼부(11)에 입력된 전압은 저항(R17)을 통해 스위칭소자(Q7)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반전출력되며, 이 출력이 스위칭소자(Q8)에서 다시 반전출력되므로 저항(R21)을 거쳐 마이콤의 IR입력단(리모콘신호입력단)으로 입력된다.
따라서 마이콤(12)은 중앙통제부에서 출력된 명령에 따라 TV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중앙통제부의 사용자는 상기에서 중앙통제부가 출력한 리모콘신호가 제대로 수신되었는지 확인해야하므로, 상기의 마이콤의 입력단의 리모콘신호를 리모콘신호출력버퍼(10)로 출력한다.
따라서 리모콘신호 출력버퍼(10)에서는 스위칭소자(Q5)를 거쳐 반전출력되고, 스위칭소자(Q6)를 거쳐 다시 반전출력하여 상기 출력리모콘신호를 버퍼링하고, 이 버퍼링된 출력은 리모콘신호 출력부(8c)의 포토다이오드로 출력되어 광신호가 발생되며, 이 광신호는 다시 전기적신호 즉, 전압으로 변환되어 스카트부의 6번핀을 통해 중앙통제부에 전달된다.
이로써 중앙통제부에서는 제어명령이 제대로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세트가 온되었으면 세트내의 풀라이백 트랜스(FBT)에서 출력된 전압(12V)은 저항(R23)을 통해 세트온판별부(8a)내의 포토커플러 다이오드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광신호가 발생되며 이 광신호는 다시 전기적신호 즉, 전압으로 변환되어 스카트부내의 5번핀에 입력된다.
따라서 중앙통제부는 스카트부(5)내의 5번핀을 검색함으로써 티브이 세트가 온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스탠바이상태의 확인은 저항(R9)에 풀업된 스탠바이 전압(5V)이 스탠바이 상태 판별부(8d)내의 포토커플러 다이오드로 흐르게 되고 이에 따라 광신호가 발생되며 이 광신호는 다시 전기적신호 즉, 전압으로 변환되어 스카트부(5)내의 13번핀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중앙통제부는 스카트부(5)내의 13번핀을 검색함으로써 티브이가 대기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티브이 세트내의 풀라이백 트랜스(FBT)에서 발생된 전압(25V)은 용량이 500A/250V인 휴즈(F1)를 통해 제너다이오드(ZD1)로 일정전압(5V)이 되어 스카트부(5)내의 7번핀에 입력됨으로써 메인컴퓨터 즉 중앙통제부에 전원 인터페이스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사운드가 티브이 세트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시청자가 원할때만 청취할 수 있도록 이어폰(Earphone)으로 출력된다.
이는 티브이 세트내의 사우드 출력단(Audio out)에 연결된 음성트랜스(9)에 음성신호가 인가되며 권선비가 4:1인 음성트랜스(9)로 여가시켜 스카트부(5)내의 1번핀과 4번핀에 입력시킨다.
이후 코넥터(Connector)로 연결시켜 각각의 이어폰으로 출력시켜줌으로서 청취를 원하는 청취자만이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모든 TV기능을 중앙통제부에서 중앙통제가 가능하므로 리모콘이나 로칼키 기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음성신호를 티브이 세트내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게 아니라 각각의 이어폰을 통해 출력시키기에 청취를 원하는 청취자만이 청취를 할 수 있게 되어 티브이 음성신호에 의해 타인이 방해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중앙통제부의 오퍼레이터가 선택한 기능이 바르게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세트온이나 대기상태등을 중앙통제부에서 모두 확인할 수 있으므로 중앙통제 장치의 모든 조건을 충족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정정)메인 파워 온/오프에 따라 스위칭되는 스타팅회로(1)와,상기 스타팅회로(1)의 스위칭에 따라 스위칭되어 대기상태를 표시하는 대기상태 표시부(2)와,릴레이를 구동시키는 릴레이 구동회로(3)와,대리전원을 레귤레이터로 정전압을 만들어 공급하는 정전압부(4)와,중앙통제부와의 연결을 위한 스카트플러그가 연결되는 스카트부(5)와,상기 스카트플러그와 연결되어 중앙통제부로 부터의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TV측의 상태판별신호를 중앙통제부측으로 출력하는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와,티브이세트내의 음성출력단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임의 레벨로 변환시켜 이어폰으로 출력하기 위한 음성트랜스부(9)와,상기 스카트부(5)에 스카트플러그가 연결 또는 이탈됨에 따라 스위칭되어 스탠바이모드를 제어하는 스위칭부(가)와,상기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마이콤(12)의 IR입력단에 입력하는 입력신호버퍼(11)와,상기 마이콤(12)으로 입력되는 리모콘신호를 상기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을 통해 중앙통제부로 출력하여 중앙통제부에서 수신확인토록 하기 위한 신호출력버퍼(10)와,상기 스카트부(5) 및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를 통해 중앙통제부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티브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콤(12)으로 구성되어 중앙통제부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전반적인 티브이제어가 행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중앙통제장치.
- (정정)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상태판별 및 신호전달부(8)는 플라이백 트랜스(FBT)의 출력전압(12V)를 검출하여 티브이 세트온상태를 판별하는 세트온 판별부(8a)와,스카트부로 입력되는 중앙통제부로 부터의 리모콘신호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리모콘신호 입력부(8b)와,상기의 리모콘신호 입력이 마이컴입력단으로 입력되었는지를 중앙통제부에서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신호출력버퍼(10)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스카트부로 출력하는 리모콘신호 출력부(8c)와, 스탠바이 5V를 감지하여 스탠바이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하는 스탠바이 판별부(8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중앙통제장치.
- (신설)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스카트부(5)로 티브이세트내의 플라이백 트랜스(FBT)에서 발생한 전압을 퓨징저항(F1) 및 제너다이오드(ZD1)를 통해 출력하여 중앙통제부에 전원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브이의 중앙통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7164U KR960000829Y1 (ko) | 1992-12-29 | 1992-12-29 |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7164U KR960000829Y1 (ko) | 1992-12-29 | 1992-12-29 |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8450U KR940018450U (ko) | 1994-07-30 |
KR960000829Y1 true KR960000829Y1 (ko) | 1996-01-31 |
Family
ID=19348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27164U KR960000829Y1 (ko) | 1992-12-29 | 1992-12-29 |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00829Y1 (ko) |
-
1992
- 1992-12-29 KR KR92027164U patent/KR9600008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8450U (ko) | 1994-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2233B1 (en) | Device controller with low power standby mode | |
US4549179A (en) | Apparatus for remote control of volume and power on electronic equipment possessing an audio output | |
US5495301A (en) | Three wire pillow speaker with full television remote control functions | |
GB2337652A (en) | Infra-red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decreases current used when remaining battery capacity is low | |
KR960000829Y1 (ko) | 티브이의 중앙통제 장치 | |
KR20010113231A (ko) | 복수 가전기기의 통합 제어 장치 및 이를 위한 전력선통신 장치 | |
US5502513A (en) | Three wire television remote control operable with key closures or data pulses | |
JPH05219575A (ja) | リモ−トコントロ−ル装置 | |
JPH06133372A (ja) |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受信装置 | |
KR100219139B1 (ko) | 에이/브이기기 통합제어기능을 갖는 텔레비젼 | |
CN220896743U (zh) | 一种音视频信号输入自动切换器 | |
KR100257535B1 (ko) | 다목적용 티브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장치 | |
CN118506701A (zh) | 显示系统及其节能方法 | |
KR19990030378A (ko) | 노래방용 양방향 화상전송 방법 및 그 장치 | |
KR950009776B1 (ko) | 티브이용 리모콘을 이용한 외부기기 제어방법 및 그 장치 | |
CN1073325C (zh) | 一种电视遥控耳机的方法及装置 | |
JPH07302651A (ja) | コンセント | |
KR960010667Y1 (ko) | 팩시밀리의 원격 전원공급장치 | |
KR100606840B1 (ko) | 착탈 가능 리모트 컨트롤러 | |
KR20100008384A (ko) | 상업용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970072995A (ko) | A/v기기 통합제어장치 | |
KR200212091Y1 (ko) | 텔리 원격 제어 장치 | |
JP3326622B2 (ja) | 遠隔操作の送信器とその送信方法 | |
KR20080064657A (ko) | 텔레비전을 이용한 전원 자동 충전장치 | |
KR20000017419U (ko) | 일반 리모콘을 이용한 스위칭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123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