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439Y1 -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 Google Patents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439Y1
KR960000439Y1 KR2019930015424U KR930015424U KR960000439Y1 KR 960000439 Y1 KR960000439 Y1 KR 960000439Y1 KR 2019930015424 U KR2019930015424 U KR 2019930015424U KR 930015424 U KR930015424 U KR 930015424U KR 960000439 Y1 KR960000439 Y1 KR 960000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ap
spring
connector
connect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4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6796U (ko
Inventor
손시관
Original Assignee
손시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시관 filed Critical 손시관
Priority to KR20199300154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439Y1/ko
Publication of KR950006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제 1 도는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종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관체 1a : 환턱
1b,1c : 나사산 2 : 공간부
3 : 연결관 3a : 경사면
4 : 호스 5 : 캡
5a : 걸림턱 5b : 만곡면
5c : 하단 걸림부 6 : 원형스프링
7 : 욕실 8 : 샤워기 헤드
본 고안은 각종 호스에 끼워 사용하는 각종 노즐 또는 중간연결구와 같은 호스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샤워기 헤드나 각종 분사용 헤드를 호스와 연결시키는 호수 연결구안에 스프링이 내장되어 호스와의 결합력을 단단히 하여 견고하면서도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각종 호스와 분사헤드 등을 결합하는 중간 매개물로서 사용된 연결구가 다수 제안되었으나, 이것은 대부분 호스를 삽입하고 별도의 캡으로만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호스와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장기간 사용시 분리될 염려가 많았고, 호스 안으로 흐르는 물이 결합부위에서 새어나오는 폐단이 있었다.
한편, 연결구를 내, 외벽의 2중구조로 하여 외벽에 슬릿트를 형성시키고, 이 2중구조의 외벽에 캡을 씌워 조임으로써 상기 슬릿트부위가 호스의 외면에 밀착, 지지되도록 한 연결구가 있었으나, 이는 그 제작이 어렵고 장시간 반복사용시 상기 슬릿트부재의 피로현상으로 인해 완전한 수밀상태를 유지해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관체안에 호스를 끼우고 스프링이 내장된 캡을 결착하여 조임으로써 스프링이 호스와 상호 긴밀하게 되어 호스와 연결구의 결합력이 증대되고 누수가 방지되도록 한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측에 돌출형성된 환턱(1a)을 기준으로 상하부 외면에 나사산(1b)(1c)이 형성되고 몸체하부에 연결관(3)이 일체로 연장형성된 관체(1)와; 이 관체(1)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관체(1)와 호스(4)를 연결시키는 매개역할을 하도록 된 캡(5)으로 구성되되 상기 관체(1)의 하부에는 연결되는 호스(4)의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의 하부 외면에는 연결되는 호스(4)의 선단이 확관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면(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5)의 내측에 형성된 하단 걸림부(5c)와 걸림턱(5a) 사이에는 호스(4)와 상기 연결관(3)의 연결시 상기 경사면(3a)과 접한 호스(4)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결합력을 증가시키도록 된 원형 스프링(6)이 안착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관체(1)의 안쪽 내부에 소정 간격의 공간부(2)를 두고 연결관(3)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연결관(3) 외주면의 중간위치에는 경사면(3a)이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2)를 통해 호스(4)가 끼워지며, 상기 관체(1)의 외주면 중앙에는 환턱(1a)이 형성되는 한편, 환턱(1a)의 상하부에 나사산(1b)(1c)이 형성되고, 이 나사산(1c)에 캡(5)이 나사 결합되며, 이 캡(5)의 내면 하부에 다수개의 걸림턱(5a)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 형성된 만곡면(5b)에 접면되면서 상기 걸림턱(5a)과 하단 걸림부(5c)사이에 원형 스프링(6)이 끼워져 상기 호스(4)와 긴밀하게 결착되도록 된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호스(4)를 통해 물을 공급하여 공지의 샤워기 헤드나 각종 분사구에 의해 물을 분사하여 사용하도록 한 것으로, 예컨대 첨부도면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실(7)안의 샤워기 헤드(8)에 호스(4)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먼저 관체(1)의 외주면 중앙에 돌출, 형성된 환턱(1a)을 중심으로 그 상부의 나사산(1b)에 샤워기 헤드(8)를 결합하고, 물을 공급해 주는 호스(4)를 관체(1)의 하부에 끼우는데, 관체(1)의 하부 안쪽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공간부(2)가 형성되어 있어 이 공간부(2)를 통해 호스(4)를 끼우면 관체(1)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3)과 끼워진다.
이 상태에서 관체(1)의 하부에 끼워진 캡(5)을 돌려 조이면 관체(1)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c)을 따라 캡(5)이 점진적으로 상향 이동한다.
이때, 캡(5)의 내면 하부에는 원형스프링(6)이 끼워져 있어 상기 캡(5)을 조이면서 상승시키면 원형스프링(6)도 호스(4)의 길이를 따라 동시에 상향 이동하면서 호스(4)와 결합되는데, 연결관(3)의 외주면 소정 위치에는 경사면(3a)이 형성되어 있어 이에 호스(4)의 단부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호스(4)의 아래쪽으로부터 상향 이동되는 원형스프링(6)은 캡(5)의 하단 걸림부(5c)와 윗쪽의 걸림턱(5a)에 의해 지지되면서 연결관(3)의 경사면(3a)에 끼워져 경사진 호스(4) 단부의 외면에 도달하여 점점 팽창력을 받음과 동시에 반대의 압출력이 생겨 호스(4)와의 긴밀도가 상승되어 결합력이 더욱 배가되는 것이다.
이러므로써 샤워기 헤드(8)와 호스(4)를 연결해주는 매개로서 호스 연결구가 호스(4)와의 결착력이 우수해져 쉽게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호스(4)를 통해 물이 공급되더라도 누수가 전혀 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캡(5)의 내부 하면이 만곡면(5b)이 형성되어 원형스프링(6)과 접면되어 호스(4)와의 결합시 안정되면서 더욱 긴밀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관체에 일반 샤워기 헤드나 분사헤드를 체결하고 관체의 하부에 호스를 끼울 때 캡이 관체와 결합되면서 캡 안의 스프링에 의해 호스와의 긴밀도가 상승되어 결합상태와 우수하여 누수가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외주면에 상하부 나사산(1b)(1c)이 형성되고 하부에 호스의 선단이 끼워지도록 된 연결관(3)이 일체로 구비된 관체(1)와; 이 관체의 하부 나사산(1c)에 나사결합되면서 호스(4)를 상기 연결관(3)에 연결시키도록 된 캡(5)으로 구성된 호스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관체(1)의 하부에는 연결되는 호스(4)의 선단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3)의 하부 외주면은 연결되는 호스(4)의 선단이 확관되면서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면(3a)이 형성되며, 상기 캡(5)의 하단 걸림부(5c)와 걸림턱(5a) 사이에는 상기 연결관(3)의 경사면(3a)에 확관삽입된 호스(4) 외주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호스(4)의 걸림턱 역할을 하도록 된 원형스프링(6)이 안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KR2019930015424U 1993-08-11 1993-08-11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KR960000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424U KR960000439Y1 (ko) 1993-08-11 1993-08-11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424U KR960000439Y1 (ko) 1993-08-11 1993-08-11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96U KR950006796U (ko) 1995-03-21
KR960000439Y1 true KR960000439Y1 (ko) 1996-01-10

Family

ID=19361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424U KR960000439Y1 (ko) 1993-08-11 1993-08-11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4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796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0425B1 (en) Connector structure of wall hanging type shower head
KR20000070031A (ko) 가요성 샤워기 아암 어셈블리
US4275908A (en) Fluid coupling assembly
KR960000439Y1 (ko)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 연결구
EP0609225B1 (en) Paint roller cover cleaning apparatus
US20030173777A1 (en) Clamp used in branching a soft hose
CN213943578U (zh) 可伸缩式清洗喷头
KR200288757Y1 (ko) 꼬임 방지 기능을 갖는 샤워기용 호스
KR102207007B1 (ko) 오버헤드 샤워장치
KR200344939Y1 (ko) 수도꼭지와 급수호스의 연결용 홀더 구조
US20070069518A1 (en) Connector to limit leakage during cleaning of RV sewer lines
KR930006018Y1 (ko) 수도관 연결구의 협착장치
KR200167013Y1 (ko) 세탁기 급수호스의 체결장치
CN214789651U (zh) 多功能龙头软管快速接头
KR960006394Y1 (ko) 에어 호스용 연결구
KR960007323Y1 (ko) 물 뿌리개
JP2630807B2 (ja) 洗車用ブラシ
KR950007828Y1 (ko) 분무기용 분무노즐대
KR0140630Y1 (ko) 가요성 호스용 클램프 부재
KR200183128Y1 (ko) 파이프 커플링
KR970004029Y1 (ko) 낚시받침대
KR970005842Y1 (ko) 유체 저장탱크의 주입구 캡
KR200176958Y1 (ko) 급수호오스 고정구조
KR200182941Y1 (ko) 수도꼭지 어셈블리의 유동호스 결합구조
KR19990010213U (ko) 급수호스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