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370Y1 -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 Google Patents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70Y1
KR960000370Y1 KR2019930002500U KR930002500U KR960000370Y1 KR 960000370 Y1 KR960000370 Y1 KR 960000370Y1 KR 2019930002500 U KR2019930002500 U KR 2019930002500U KR 930002500 U KR930002500 U KR 930002500U KR 960000370 Y1 KR960000370 Y1 KR 960000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pline
roller
shaft ho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2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947U (ko
Inventor
김종길
Original Assignee
김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길 filed Critical 김종길
Priority to KR20199300025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0370Y1/ko
Publication of KR9400199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9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제 1 도는 본 고안의 축조립체로 조립된 착즙기 스크류 로울러의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분해도
제 3 도는 조립완성된 본 고안의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 부분단면도
제 5 도는 종래 기술에 따라 조립되는 과정과 이에 따른 결점을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쇄로울러부 14 : 축공
18 : 축 30 : 스플라인
36 : 재료수용홈
본 고안은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류로 구성되는 스크류 로울러에서 그 축조립체의 조립시 스크류 로울러의 외면에 축조립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채 또는 과실의 즙을 얻는 착즙기에 사용된 스크류 로울러는 소위 쌍기어형식인 경우에 한쌍의 스크류 로울러로 구성되며, 이 스크류 로울러는 피치가 긴 헬리컬기어 형태의 즙재료 분쇄로울러부와, 통상적인 스크류형태인 압착로울러부로 구성된다. 또한 이들 즙재료 분쇄로울러 부분과 압착로울러부가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스틸로 구성되어 공통의 축에 조립되거나, 분쇄로울러부는 스테인레스스틸로 구성되고 압착로울러부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아세탈수지로 구성되어 공통의 축에 조립기도 한다. 또한 분쇄로울러부와 압착로울러부를 모두 아세탈수지로 구성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분쇄로울러부와 압착로울러부를 아세탈수지로 구성하여 공통의 축에 결합시에는 축에 스플라인이 구성되어 각 로울러부의 축공에 강제 삽입되어 고정된다.
종래 분쇄로울러부와, 압착로울러부가 아세탈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이들이 공통의 축에 결합되는 경우 각 로울러부의 축공에 삽입되는 축은 그 일부의 주면에 스플라인이 형성되어, 이 스플라인이 축공의 내면에서 각 로울러부를 파고들어가 결합되므로서 축과 로울러부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제 5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분쇄로울러부(l)의 축공(2)에 스플라인(3)을 갖는 축(4)을 조립시에, 스플라인(3)이 결합되는 분쇄로울러부(l)의 축공(2)에서 스플라인(3)에 의하여 스플라인(3)의 전진방향의 앞부분에서 밀려 들어가는 축공(2)의 내면부가 스플라인(3)의 전방측 축부분에 의해 외측부분으로 가압되므로서 제 5 도에서 점선으로 과장되게 보인 부분에서 팽출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팽출부(5)는 로울러부(1)의 외경에 영향을 주므로 정밀하게 가공되어 결합된 스크류 로울러는 그 결합상태가 정밀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플라인에 의하여 깍기는 로울러축공의 내면부분이 스플라인의 전방에 형성된 재료수용홈내에 수집되므로서 로울러의 외면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착즙기용 로울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세탈수지로 헬리컬 치형으로 성형되는 분쇄로울러부(10)와, 스크류형상의 압착로울러부(12)의 축공(14)(16)에 일측으로 스플라인(30)을 갖는 축(18)을 끼워서 결합된 스크류 로울러(20)를 구성한 것에 있어서,상기 스플라인(30)의 전방측에 재료수용홈(36)를 형성하여 스플라인(30)에 의하여 축공(14)의 내면에서 깍기는 절삭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도 내지 제 3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스크류 로울러(20)는 헬리컬 치형으로 성형되는 분쇄로울러부(10)와, 스크류형상의 압착로울러부(12)로 구분된다.
상기 분쇄로울러부(10)는 후단부근의 축공(14)에 환상턱(22)을 형성하여 축공(14)을 관통형성하고, 압착로울러부(12)은 분쇄로울러부분(10)의 후단으로 삽입되는 삽입관부(24)를 일체로 구성한다.
한펀, 축공(16)은 단부폐쇄형의 형태로 형성하며, 축(18)은 분쇄로울러부(10)의 축공(14)에 삽입되는 제1축부(26)와 압착로울러부(12)의 축공(16)에 삽입되는 제2축부(28)로 구성하고, 제1축부(26)의 양단에 제1스플라인(30)과 이 제1스플라인(30)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제2스플라인(32)을 형성하며 제2축부(28)에는 하나의 제3스플라인(34)을 형성하되, 제1스플라인(30)과 제3스플라인(34)의 전방에 재료수용홈(36)(38)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먼저, 분쇄로울러부분(10)의 축공(14)에 축(18)을 끼워 조립할 때, 제1축부(26)의 제2스플라인(32)은 축공(14)의 후단부근에 형성된 환상턱(22)을 파고 들어가고, 제1스플라인(32)은 축공(14)의 선단에서 축공(14)의 내면을 파고 들어갈 것이다. 이때에 깍기는 환상턱(22)부분과 축공(14)의 내면부분의 절삭물은 각각 제1축부(26)와 제2축부(28)사이의 공간과 재료수용홈(36)에 수집되어 이들 부분에서 분쇄로울러부(10)의 외면이 내면부분의 절삭물에 의하여 팽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제2축부(28)가 압착로울러부(12)의 축공(16)에 삽입시에도 제3스플라인(34)에 의하여 깍기는 절삭물이 재료수용홈(38)에 수집되어 압착로울러부(12)의 삽입관부(24)와 그 결합외면의 분쇄로울러부(10)이 팽출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축에 결합되는 로울러부가 축의 결합에 사용되는 스플라인에 의하여 깍기는 로울러부의 절삭물이 스플라인전방의 수집실에 수집되므로 로울러부이 절삭물에 의하여 팽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

  1. (2회 정정) 아세탈수지로 헬리컬 치형으로 성형되는 분쇄로울러부(10)와, 스크류형상의 압착로울러부(12)의 축공(14)(16)에 일측으로 스플라인(30)을 갖는 축(18)을 끼워서 결합된 스크류 로울러(20)를 구성한것에 있어서,
    상기 축(18)에는 스플라인(30)의 전방측에 재료수용홈(36)를 형성하여 스플라인(30)에 의하여 축공(14)의내면에서 깍기는 절삭물이 수집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KR2019930002500U 1993-02-23 1993-02-23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KR960000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500U KR960000370Y1 (ko) 1993-02-23 1993-02-23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2500U KR960000370Y1 (ko) 1993-02-23 1993-02-23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947U KR940019947U (ko) 1994-09-15
KR960000370Y1 true KR960000370Y1 (ko) 1996-01-08

Family

ID=1935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2500U KR960000370Y1 (ko) 1993-02-23 1993-02-23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0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28Y1 (ko) * 2009-12-30 2013-10-28 김성문 음식재료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628Y1 (ko) * 2009-12-30 2013-10-28 김성문 음식재료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947U (ko)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732223C2 (ko)
US5344252A (en) Key for coupling driving and driven members together
JP3765833B2 (ja) 軸固定構造
EP1801917A2 (de) Koaxialer Steckverbinder
CA1150571A (fr) Procede de dudgeonnage, outil (en forme de dudgeon) susceptible d'etre utilis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et assemblage obtenu a l'aide de ce procede
US5176044A (en) Drive unit for a wiper system of motor vehicles
EP0023412A1 (en) Spacer for double glazed windows incorporating interlock means, and corner construction therefor
DE4207839A1 (de) Nabenbefestigung
CA2360088C (fr) Dispositif de raccordement rapide d'un tube a un element rigide
US4097076A (en) Fitting piece for rigid or flexible tubes
US20050254890A1 (en) Shaft-hub connection
KR960000370Y1 (ko) 착즙기용 착즙 로울러
EP3964295A1 (de) Fleischwolf
EP0810140A3 (en) A power transmission shaft in a steering unit and assembly method thereof
US2681239A (en) Pressure lock key
US3743334A (en) Interlocking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2007004931B4 (de) Gleichlaufgelenk
JPH0785822B2 (ja) トリポッド型継手内側部材の製作方法
DE19742142A1 (de) Einrichtung zur mechanischen Festlegung einer Muffe auf einer Antriebswelle in abnehmbarer Weise
KR100273662B1 (ko) 기어
FR2471247A1 (fr) Outil de brochage a denture helicoidale
CH616211A5 (ko)
KR960001903Y1 (ko) 착즙기용 헬리컬기어
KR940002155Y1 (ko) 녹즙 제조기
DE2935215A1 (de) Drehmomentuebertragende verbindung zwischen einer welle und einem kunststoffte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