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165B1 - 전기 역학적 확성기 - Google Patents

전기 역학적 확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165B1
KR960000165B1 KR1019870010719A KR870010719A KR960000165B1 KR 960000165 B1 KR960000165 B1 KR 960000165B1 KR 1019870010719 A KR1019870010719 A KR 1019870010719A KR 870010719 A KR870010719 A KR 870010719A KR 960000165 B1 KR960000165 B1 KR 960000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dspeaker
diaphragm
periphery
voice coil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716A (ko
Inventor
아델베르트 마리아 니우벤디크 요리스
빌헬무스 데오도루스 박스 요하네스
요세푸스 마르티네스 캄푸에스 요하네스
쿠페르티누스 마리아 데 하스 프란시스쿠스
Original Assignee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8000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H04R7/04Plane diaphragms
    • H04R7/06Plane diaphragm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tions or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26Damping by means acting directly on free portion of diaphragm or c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역학적 확성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의 단면도.
제2a도는 제1도의 확성기의 주파수 응답대 소리 압력 특성의 도면.
제2b도는 제1도의 확성기의 주파수 응답대 전기 입력 임피던스 특성의 도면.
제3a 및 3b도는 중심부 및 주변부가 제각기 동위상 및 서로 대향한 위상으로 이동하는 진동판의 진동 모드의 도면.
제4도는 주변부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제1도의 확성기의 일부의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의 다른 실시예의 진동판의 도면.
제6도는 다른 실시예의 진동판의 도면.
제7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진동판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확성기 2 : 중심부
3 : 주변부 4 : 샤시
5 : 도관 6 : 스페이스
7 : 자기시스템 9 : 음성 코일 소자
20 : 코운
본 발명은 자동차 확성기로서 이용되는 두 파트 진동판을 가진 확성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내에 설치될 시의 플랫 주파수 특성(즉, 소리 압력 레벨 P이 확성기상의 일정한 입력 전압을 가진 주파수 함수로서 주어지는 특성)을 가진 확성기가 바람직하지 않은 비플랫 주파수 응답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1984년 2월 자동차 공학협회에 의해 공개된 오디오 시스템 피-142, 페이지(31)의 명칭이 ″자동차 소리 시스템 설계에 대한 디지탈 시뮤레이터″인 존 카터 공보에서 설명된다.
상기 공보 내의 제1도는 일례의 자동차의 주파수 응답 특성을 제공한다. 거기에 도시된 곡선은 대략 200 및 400㎐ 사이의 주파수에서의 험프를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동차내의 플랫 주파수 응답 특성을 갖기 위하여, 상기 공보는 주파수 이퀄라이저의 사용을 제안하는데, 상기 이퀄라이저는 자동차내의 확성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에 대해 거의 역인 주파수 응답 특성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1985년 3월, 함버그의 제77AES 회의의 예비 간행물 제2185(씨-3)호에, 엘. 클레프로드에 의한 ″매개물 주변의 음향 특성″인 공보는 서로 다른형의 자동차내에서 측정되고, 자동차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측정된 응답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검사 자동차내의 소리가 대략 100 내지 400㎐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대략 10dB 만큼 부스트됨을 저자는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주파수 이퀄라이저가 100 내지 200㎐의 하부 제한 주파수와 400 내지 500㎐의 상부 제한 주파수를 갖는 주파수 범위의 5 내지 10dB의 넓은 복각을 나타내는 주파수 특성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유(넓은) 복각을 나타내는 주파수 특성을 가진 확성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의 목적은 복각이 5 내지 10dB의 소정 깊이를 가져(무반향실내에서 측정된), 소정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지정됨으로써, 분리 이퀄라이저가 자동차의 플랫 주파수 응답 특성의 성취에 요구되지 않는 식으로 확성기의 크기가 정해지는 부가 단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독일 특허 명세서 제3,123,098호에 공개된 바와같은 구성의 확성기에 적용된다. 상기 공지된 변환기는 진동판, 샤시, 샤시에 결합된 자기 시스템 및 진동판에 결합된 음성 코일 소자를 구비하는데, 상기 음성 코일 소자는 자기 시스템에 의해 한정된 공기 갭내에 위치되며, 진동판은 중심부와, 외부 원주를 따라 샤시에 결합된 상기 중심부를 에워싼 주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의 강성(stiffness)은 주변부의 강성보다 크며, 그리고 상기 음성 코일 소자는 중심부에 결합되면, 비율 S2/S1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지는데,
[수학식 1]
X1≤S2/S1
여기서 X1는 특정치이고, S1및 S2는 제각기 중심부 및 주변부의 표면 영역이다. 그러나, 공지된 변환기는 플랫 주파수 특성을 제공한다.
본원의 출원당시에도 공고되지 않은 앞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네델란드왕국 특허원 제8501650호(PHN·11.403)에 있어서, 동일 구성의 확성기가 기술되며, 비율 S2/S1은 아래와 같은데,
[수학식 2]
X1≤S2/S1≤X2
여기서 X1및 X2는 제각기 특정한 제1 및 제2값이며, S1및 S2는 제각기 중심부 및 주변부의 표면 영역이며, 비율 m2/m1은 아래와 같은데,
[수학식 3]
X3≤m2/m1≤X4
여기서 X3및 X4는 제각기 특정한 제3 및 4값이며, m1은 중심부 및 음성 코일 소자의 질량이며, m2는 주변부의 질량이다. 상기 확성기는 또한 플랫 주파수 응답 특성을 제공한다.
넓은 복각에 따른 주파수 응답 특성을 성취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확성기에 있어서, 제1 및 2값은 제각기 0.5 및 6이고, 제3 및 4값은 제각기 0.5 및 8이며, 진동판 및 자기 시스템 또는 샤시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스에 의해 진동판상에 부과된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는 진동판의 컴플라이언스보다 작다. 사실상, 진동판 및 자기 시스템 또는 사시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스에 의해 진동판상에 부과된 컴플라이언스가 진동판 자체의 컴플라이언스보다 작다는 요건은 진동판의 운동이 진동판의 배면에서의 공기 볼륨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원하면, 배면 진동판에서의 공기 볼륨은 확성기의 주파수 응답 특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진동판의 컴플라이언스는 힘[inN]으로 한정되어, 음성 코일 권선틀[inm]의 익스커션(excursion)으로 분류된 익스케션 방향의 음성 코일 권선특상에 영향을 받는다.
상기 요건은 완전히 봉입된 볼륨인 경우에 충분히 큰 진동판 아래에 공기 볼륨을 위치시킴으로써 충족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확성기를 오히려 벌키되게 할 수 있어, 자동차 확성기로 이용될 시에 결점이 될 수 있다.
또한, 변환기의 샤시나 자기 시스템을 통하여 음향 경로를 실현시키도록 적어도 한 개구를 자기 시스템 또는 샤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두 파트의 진동판을 가진 확성기를 이용할시에, 이때 주변부의 기계적 댐핑은 정확히 선택되는데, 확성기의 주파수 응답 대 입력 임피던스 특성이 사실사 *중심부 및 주변부가 동위상 및 서로 대향한 위상으로 진동시키는 두 공진 주파수 f1및 f2에 대응하는 두 최대치만을 나타낸다. 확성기의 주파수 응답대 음성 압축 특성은 공진 주파수 f2의 경과로서 주파수 fd에서 곡선 복각을 나타낸다.
주파수 fd에서 확성기의 음향 출력 신호에의 중심부 및 주변부의 참여부(contribution)는 두 파트가 서로 대향 위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주파수에서의 거의 같은(대향한) 음향 참여부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서로를 소멸시킨다. 그래서, fd는 일반적으로 f2와 일치하지 않는다.
더우기, 댐핑이 선택될 시에, 복각의 5 내지 10dB의 소정의 깊이는 성취될 수 있으며, 또한 주파수 응답특성은 주변부 내의 높은 정도의 모드로서 부가 피크 또는 복각없이 상당히 플랫하다.
주변부의 내부 및 외부와 거의 평행으로 연장한 파형이 제공될 경우의 주변부의 레이디얼 강성이나, 신장된 박막 형태일 경우의 주변부의 기계적 프리텐션은 소정의 주파수 범위내에서 복각이 지정되는 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확성기는 저주파에서의 중심부, 및 주변부가 서로 동위상으로 진동하는 식으로 동작함으로써, 저주파에서의 고음성 방사가 성취된다. 고주파에서는 중심부만이 진동함으로써, 고주파에서의 만족한 방사 특성이 성취될 수 있다. 고주파와 저주파 사이의 특정 중앙 범위내에서, 중심부 및 주변부는 어느 정도 서로 반작용함으로써, 상기 범위내에서 주파수 응답 특성의(바람직한) 복각이 성취된다.
주변부의 소정의 댐핑 정도는 주변부가 댐핑 재질의 층으로 이루어질 경우에 성취될 수 있다. 일례는 주변부를 형성하는 두층 사이에 인가된 2급 볼 베어링 그리스가 있다.
m2/m1방식을 성립시키기 위하여, 주변부의 질량 m2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것은 제각기 고 및 저 밀도를 가진 재질로 볼 베어링 그리스를 혼합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주변부를 더욱 무겁게 할), 구리 분말을 가산시키거나(주변부의 무게를 감소시킬), 적당한 공동 유리 입자 또는 플라스틱 발포체의 미립자를 가산시킬 수 있다. 바라는 바대로, 중심부의 무게는 또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중심부의 무게 감소는 예를들어 음성 코일 또는 돔형에 따른 라인내에 위치된 중심부를 제공함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 곡선면은 비곡선면보다 더 큰 강성을 갖는다. 이것은 돔형부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심부의 무게가 감소된다. 더우기, 돔형 캡에 의해 음성 코일을 시일링함으로써 음성 코일지름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코운을 통해 음성 코일 소자를 중심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아래와 같은 경우에 중심부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 : 즉 중심부가 보조 코운의 외부 원주의 크기를 가진 개구를 갖는 경우와, 상기 보조 코운의 외부 원주가 중심부내의 개구의 원주를 따라 중심부에 결합되는 경우에 감소된다. 이 경우에, 보조 코운은 사실상 중심부에 속한다. 중심부가(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돔형인 실시예에서의 중심부의 표면 영역 S1의 크기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S1이 음성 코일 소자의 축과 직각인 평면내의 중심부의 돌출 표면 영역의 크기를 나타낸다는 사실에 코니칼(conical) 허용도가 주어진다. 주변부가 플랫하지 않을 경우에 S2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며, 서로 다른 도면에서 같은 참조번호는 동일한다.
제1도는 주변부(3)로 둘러싸인 중심부(2)로 이루어진 진동판을 가진 원형 확성기(1)의 축 a상에서 취해진 단면도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확성기는 원형이지만, 선택적으로 서로 다른 형태, 예를들어 직각형 또는 타원형일 수도 있다. 확성기의 외부 원주에 따라 진동판은 변환기의 샤시(4)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중심부(2) 및 자기 시스템(7)은 중앙 코어내의 도관(5)을 통해 봉입체와 통신하는 스페이스(6)로 경계가 된다. 자기 시스템(7) 및 샤시(4)를 가진 진동판은 또한 샤시(4)내에 형성된 도관(12)을 통해 봉입체와 통신하는 스페이스(6')로 경계가 된다.
상기 자기 시스템(7)은 종래와 같이 구성되어, 더 이상의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음성 코일(9)은 자기 시스템(7)에 의해 한정된 공기 갭(8)내에 배치되어, 음성 코일 권선틀(10)을 통해 중심부(2)에 결합된다.
상기 자기 시스템(7)은 종래와 같이 구성되어, 더 이상의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음성 코일(9)은 자기 시스템(7)에 의해 한정된 공기 갭(8)내에 배치되어, 음성 코일 원선틀(10)을 통해 중심부(2)에 결합된다.
중심부(2)는 주변부(3)보다 큰 강성을 갖는다. 중심부는 단단한 플라스틱, 에를들어 폴리메타크릴아미드 발포체로 제조된다. 주변부(3)는 기계적으로 프리텐션되어, 거의 내굽힘성을 갖지 않는다. 주변부(3)는 예를들어, 캡튼(상표명)의 엷은 플라스틱 박막으로 제조되어, 댐핑층(11)으로 피복될 수 있다. 상기 댐핑층은 주변부(3)의 내굽힘성을 거의 갖지 않는다. 중심부(2)의 표면영역(S1)과 주변부(3)의 표면영역(S2)는 아래식으로 성립된다.
[수학식 4]
0.5≤S2/S1≤……………………………………………………………(1)
더우기, 비율 m2/m1은 아래식으로 성립되는데, 여기서 m1은 주변부(2) 및 음성 코일 소자(9,10)의 질량이고, m2는 댐핑층(11)을 포함한 주변부(3)의 질량이다.
[수학식 5]
0.5≤m2/m1≤8…………………………………………………………(2)
클램프된 박막으로 주변부를 구성하는 대신에, 주변부는 그의 내부 및 외부 원주에 평행하게 연장한 파형으로 제공될 경우에 정정된 주변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레이디얼 내굽힘성이 요구되며, 기계적 프리텐션으 없다.
높은 공기 저항 및 공동부의 결합을 방지하도록 적당한 단면으로 구성되는 도관(5 및 12)은 제각기 자기 시스템(7) 및 샤시내에 형성되어, 스페이스(6 및 6')에 의해 진동판상에 부과된 컴플라이언스가 진동판(2,3) 그 자체의 컴플라이언스보다 확실히 작게 된다. 이것은 스페이스(6,6')가 진동판(2,3)을 운동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플랫한 확성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관(5 및 12)은 또한 요구되지 않을 수 있다. 스페이스(6,6')의 컴플라이언스가 진동판의 것보다 클 요거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스페이스(6 및 6')는 상당한 범위까지 증가되어, 더욱 큰 벌키 확성기를 유발시킨다.
제1도에 도시되고, 식(1) 및 (2)을 성립시키는 확성기의 동작은 제2도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다. 제2a도는 주파수의 함수로서 축상의 소리 압력 P를 도시한 것으로, 확성기는 차페 장치내에 내장되어, 일정한 입력 전압으로 구동되며, 제2b도는 주피수 함수로서 확성기의 전기 입력 임피던스를 제공한다. 곡선은 제1도의 확성기의 컴퓨터 모델의 계산으로 이루어지며, 주변부의 댐핑으로 취해진 갓은 이하 명백해지느 바와같이 너무 작게 선택되며, 주변부의 기계적 프리텐션으로 위해진 값은 정확하게 선택된다.
제2b도는 임피던스 곡선 Zi은 진동판(2,3)의 공진에 상당하는 최대치를 나타낸 것이다. 주파수 f1는 중심부(2) 및 주변부(3)가 도우이상으로 진동하는 진동판의 공진에 상당하는 반면에, f2는 중심부(2) 및 주변부(3)가 서로 다른 위상인 상태에 속한다. 상기 공진 주파수 f1및 f2에 대응하는 두 진동 모드는 제3a 및 3b도에 표시된다. 제3a도는 중심부(2) 및 주변부(3)가 서로 동위상으로 이동하는 주파수 f1에서의 진동 모드를 표시한 것이다.
한 방향이나 정방향의 진동판의 최대 익스커션은 진동판의 점선 Upos으로 표시되고, 다른 방향이나 부방향의 진동판의 최대 익스커션은 진동판의 점선 Uneg으로 표시된다. 제3a도에서, 중심부(2) 및 주변부(3)가 명백히 서로 동위상으로 이동한다. 제3b도는 중심부(2) 및 주변부(3)가 서로 대향한 위상으로 이동하는 주파수 f2에서의 진동 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것은 명백하다. 왜냐하면, 중심부(2)가 하나 또는 정방향의 익스커션을 가질 경우에, 주변부(3)는 다른 또는 부방향의 익스커션을 가지기 때문으로 그 역으로도 성립된다. 서로 대향한 위상의 이동은 진동판의 두 파트가 서로에 대해 180°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제2b도의 곡선 Zi의 최대 고주파는 진동판의 고진동모드, 즉 주변부(3)내의 진동모드에 상당한다.
제2a도의 소리 압력 곡선은 진동판의 진동 모드로서의 비정규 형태를 갖는다. 예를들면, 주파수 fd에서의 곡선 P의 복각은 공진 주파수 f2로부터 유발된다. 상기 주파수 fd에서, 변환기의 음향 출력에 대한 중심부 및 주변부의 참여도는 두 파트가 허로 대향한 위상으로 진동하여, 거의 동일하지만(대향한) 음향 참여를 제공한다는 사실로 서로 삭제된다. 그래서, fd에서의 제2a도의 곡선의 복각이 f2에서의 제2b도의 피크와 일치하지 않는다. fd이상의 주파수에서 주변부의 고모드로서의 피크 및 복각은 주변부의 부적당한 댐핑으로 발생한다. 상기 피크 및 복각은 왜곡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주변부(3)의 기계적 댐핑은 제1도에 도시된 변환기의 전기적 입력 임피던스 Zi 대 주파수 응답 특성에서, 두 최대치만 발생하는 식으로 선택되는데, 상기 최대치는 중심부 및 주변부(3)가 제3도에서 설명되는 바와같이 서로 동위상이나 대향 위상으로 이동하는 두 공진 주파수에 대응한다. 그래서, 복각은 5 내지 10dB의 소정의 길이를 갖는다. 약간 높지만 정확한 댐핑을 선택함으로써, 제2b도의 점선 곡선이 이루어진다. 제2a도에서, 이것은 또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평활 곡선에서 발생한다. 제2a도에서, 200㎐ 이상의 주파수 범위내의 복각은 명백히 가시적이다. 초과 댐핑의 경우에, 사실상 효율 손실이 발생하므로, 또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초과 댐핑에 대하여, 진동판의 두 파트가 동위상이나 서로 대향 위상으로 진동하는 상기 두 원리 모드에 대응하는 두 피크는 매우 광대하게 되어, 하나 또는 두 피크를 알 수 없게 된다.
바람직한 댐핑은 댐핑층(11), 예를들어 고무층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나 부가하여, 진동판 후방의 봉입된 볼륨(6 및 6')내의 댐핑 재질, 예를들어 유리 섬유를 배열시킬 수 있다.
제2a도의 복각의 정확한 위치는 진동판 내의 기계적 프리텐션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서 영향을 받는다. 기계적 프리텐션은 복각이 자동차 확성기로 이용될 필요가 있을시에 100 및 500㎐ 사이의 주파수내에 위치될 정도로 조정된다. 이것은 진동판이 기계적 프리텐션되는 것이 아니라 내굽힘성을 나타내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 경우에, 레이디얼 강성의 크기는 복각의 위치를 나타낸다.
전기적 댐핑은 양호하게는 fo에서의 전기적 성질 계수 Qe가 아래와 같이 성립하도록 선택된다.
[수학식 6]
0.5≤Qe≤1.5……………………………………………………………(3)
여기서 Qe는 아래와 같이 유도된다.
[수학식 7]
Figure kpo00001
여기서 Re는 음성 코일(9)의 d.c 저항이고, B은 자기 시스템(7)의 B 곱이며, fo는 제2b도와 같이 반공진 주파수의 값이다. 반공진 주파수 fo는 공진 주파수 f1및 f2사이의 제2b도의 임피던스 곡선의 최소 위치를 나타낸다. 반공진 주파수 fo에서, 진동판의 두 파트는 서로 90°로 이상된다.
식(3)의 요건은 통상적으로 전자 음향 변환기에서 성립된다.
제4도는 주변부의 댐핑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실현되는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주변부(3)는 두 박막(15), 예를들어 두 캡튼 박막층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사이에서, 2급 볼 베어링 그리스형의 댐핑 재질(16)이 보간된다. 주변부(3)의 질량 m2이 식(2)에 성립되지 않을 경우, 볼 베어링 그리스(16)가 더욱 짙게 혼합되거나, 역으로 입자(17)를 더욱 얕게 혼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의 예로서 구리입자 및 공동 유리구 또는 발포체 플라스틱 미립자 등이 있다.
제5 및 6도는 중심부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코운 및 부품(21)의 형태인 중심부(2')를 도시한 것이다. 코운(20)은 외부 원주가 중심부(2')의 외부 원주와 같은 형태인 부품(21)에 음성 코일 소자(9,10)를 접속한다. 음성 코일 권선틀(10)은 더스트 캡(22)에 의해 시일된다. 제5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중심부의 질량이 제1도에 도시될 실시예에서와 비교하여 감소되게 한다. 이것은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적용되는데, 중심부(2' 및 2″)의 표면, 영역(S1)은 제각기 축 a에 수직인 평면내의 중심부의 표면 영역의 돌출부에 대응한다.
제7도는 주변부가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9도는 주변부(3″)의 내부 및 외부 원주에 거의 평행한 주변부의 표면을 통해 연장한 파형으로 형성된 컴플라이언스 유연성 재질의 주변부(3″)를 도시한 것이다. 주변부는 한 피스내에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 파형층(27)으로부터 주변부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층 사이에서 댐핑 재료, 예를들어 상기 볼 베어링 그리스가 샌드위치된다.
주변부가 한 피스내에 형성될 경우(즉, 한층으로 이루어질 경우), (도시되지 않은)주변부상의 파형 사이에 댐핑 재질, 예를들어 폴리우레탄 페이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양호하게도, 파형수는 비교적 크다. 정상적인 치수의 변환기에서는 5 또는 그 이상의 파형이 양호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2a도의 복각의 위치는 주변부(3″)의 레이디얼 내굽힘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것은 복각이 100 및 500㎐ 사이의 주파수 영역내에 위치되도록 내굽힘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각종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제한된 보호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가능하다.

Claims (11)

  1. 진동판, 샤시, 샤시에 결합된 자기 시스템 및 진동판에 결합된 음성 코일 소자를 구비하는데, 상기 음성 코일 소자는 자기 시스템에 의해 한정된 공기 갭내에 위치되며, 진동판은 중심부와, 외부 원주를 따라 샤시에 결합된 상기 중심부를 에워싼 주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심부의 강성은 주변부의 강성보다 크며, 그리고 상기 음성 코일 소자는 중심부에 결합되며, 비율 S2/S1은 아래와 같이 이루어지며,
    X1≤S2/S1≤X2
    여기서 X1및 X2는 제각기 특정한 제1 및 제2값이며, S1및 S2는 제각기 중심부 및 주변부의 표면 영역이며, 비율 m2/m1은 아래와 같으며,
    X3≤m2/m1≤X4
    여기서 X3및 X4는 제각기 특정한 제3 및 4값이며, m1은 중심부 및 음성 코일 소자의 질량이며, m2는 주변부의 질량은 전기 역학적 확성기에 있어서, 제1 및 2값은 제각기 0.5 및 6이고, 제3 및 4값은 제각기 0.5 및 8이며, 진동판 및 자기 시스템 또는 샤시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스에 의해 진동판상에 부과된 컴플라이언스는 진동판의 컴플라이언스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2. 제1항에 있어서, 자기 시스템 및 샤시는 확성기의 자기 시스템 및 샤시를 통해 음향 경로를 실현하도록 적어도 한 개구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3.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주변부는 기계적으로 프리텐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4.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주변부는 주변부의 내부 및 외부 원주와 거의 평행으로 연장한 파형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5.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주변부는 기계적 댐핑은 확성기의 주파수 응답 대 입력 임피던스 특성이 중심부 및 주변부가 동위상 및 서로 대향한 위상으로 진동하는 두 공진 주파수에 대응하는 두 최대치만을 거의 나타내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을 위하여, 주변부는 댐핑 재질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7. 제6항에 있어서, 댐핑 재질은 주변부를 형성하는 두 층 사이에 보간된 2급 볼 베어링 그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8. 제7항에 있어서, 볼 베어링 그리스는 볼 베어링 그리스보다 큰 밀도를 가진 재료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9. 제7항에 있어서, 볼 베어링 그리스는 볼 베어링 그리스보다 작은 밀도를 가진 재료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10.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음성 코일 소자는 보조 코운을 통해 중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11.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음성 코일 소자 또는 그에 따른 라인내에 위치되는 중심부의 일부는 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역학적 확성기.
KR1019870010719A 1986-09-29 1987-09-26 전기 역학적 확성기 KR9600001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602451A NL8602451A (nl) 1986-09-29 1986-09-29 Luidspreker met een tweedelig membraan voor toepassing als autoluidspreker.
NL8602451 1986-09-29
NL86022451 1986-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716A KR880004716A (ko) 1988-06-07
KR960000165B1 true KR960000165B1 (ko) 1996-01-03

Family

ID=19848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0719A KR960000165B1 (ko) 1986-09-29 1987-09-26 전기 역학적 확성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47908A (ko)
EP (1) EP0262729B1 (ko)
JP (1) JPS6388999A (ko)
KR (1) KR960000165B1 (ko)
AT (1) ATE72721T1 (ko)
DE (1) DE3776743D1 (ko)
NL (1) NL86024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62990U (ko) * 1988-04-30 1989-11-14
US4997058A (en) * 1989-10-02 1991-03-05 Bertagni Jose J Sound transducer
JP2560932Y2 (ja) * 1990-05-22 1998-01-26 株式会社 オーディオテクニカ 動電型マイクロホンの振動板
US6694038B1 (en) * 1996-09-03 2004-02-17 New Transducers Limited Acoustic device
US6449376B1 (en) * 1999-09-20 2002-09-10 Boston Acoustics, Inc. Planar-type loudspeaker with at least two diaphragms
US6839444B2 (en) * 2000-11-30 2005-01-04 New Transducers Limited Loudspeakers
GB0102865D0 (en) * 2001-02-06 2001-03-21 Secr Defence Brit Panel form loudspeaker
US8722751B2 (en) * 2003-10-30 2014-05-13 Evonik Rohm Gmbh Thermostable microporous polymethacrylimide foams
US8571227B2 (en) 2005-11-11 2013-10-29 Phitek Systems Limited Noise cancellation earphone
US20070261912A1 (en) * 2006-05-11 2007-11-15 Altec Lansing Technologies, Inc. Integrated audio speaker surround
JP4661694B2 (ja) * 2006-06-05 2011-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吸気増音装置
JP4661695B2 (ja) * 2006-06-05 2011-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吸気音強調装置
NZ584418A (en) * 2007-10-02 2012-12-21 Phitek Systems Ltd Component for noise reducing earphone
US20090307730A1 (en) * 2008-05-29 2009-12-10 Mark Donaldson Media enhancement module
US8085968B2 (en) * 2008-07-17 2011-12-27 Bose Corporation Resonating cone transducer
US20110002474A1 (en) * 2009-01-29 2011-01-06 Graeme Colin Fuller Active Noise Reduction System Control
EP2226902A3 (en) * 2009-03-06 2013-03-13 Phitek Systems Limited In-flight entertainment system connector
US9185492B2 (en) * 2009-04-10 2015-11-10 Immerz,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cousto-haptic speakers
US20110075331A1 (en) * 2009-05-04 2011-03-31 Nigel Greig Media Player Holder
US20110188668A1 (en) * 2009-09-23 2011-08-04 Mark Donaldson Media delivery system
US9818394B2 (en) * 2009-11-30 2017-11-14 Graeme Colin Fuller Realisation of controller transfer function for active noise cancellation
BR112012028245B1 (pt) 2010-05-17 2021-04-20 Phitek Systems, Ltd. unidade de suporte do módulo e unidade de exibição de vídeo
US9487295B2 (en) 2010-11-15 2016-11-08 William James Sim Vehicle media distribution system using optical transmitters
WO2012165976A1 (en) 2011-06-01 2012-12-06 Phitek Systems Limited In-ear device incorporating active noise reduction
KR101392872B1 (ko) * 2012-10-29 2014-05-12 주식회사 이엠텍 음향 변환 장치용 진동 모듈
CN107257534B (zh) * 2017-04-13 2020-11-17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碳纤维球顶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23550A (en) * 1926-04-15 1929-08-06 William H Kitto Sound-producing diaphragm
BE422587A (ko) * 1936-08-01
US2863520A (en) * 1955-03-11 1958-12-09 Gen Dynamics Corp Loudspeaker cone rim treatment
GB927369A (en) * 1960-07-29 1963-05-29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o-acoustic transducers
GB935222A (en) * 1961-04-14 1963-08-28 Goodmans Ind Ltd Improvements in loud speakers, vibration generating motors and other devices of the moving coil type
DE2500397C2 (de) * 1975-01-07 1986-05-28 Schorlemer, Frhr. von, Reinfried, Dipl.-Phys., 3500 Kassel Membran für ein elektroakustisches Wandlersystem und damit ausgerüstetes elektroakustisches Wandlersystem
JPS5251929A (en) * 1975-10-23 1977-04-26 Pioneer Electronic Corp Diaphragm for speakers
JPS57138298A (en) * 1981-02-20 1982-08-26 Citizen Watch Co Ltd Diaphragm for speaker
DE3123098C2 (de) * 1981-06-11 1983-06-01 Martin 4600 Dortmund Stute Membran für elektroakustische Wandlersysteme
NL8501650A (nl) * 1985-06-07 1987-01-02 Philips Nv Elektrodynamische omzetter met een tweedelig membraa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72721T1 (de) 1992-03-15
US4847908A (en) 1989-07-11
JPS6388999A (ja) 1988-04-20
EP0262729B1 (en) 1992-02-19
EP0262729A1 (en) 1988-04-06
KR880004716A (ko) 1988-06-07
NL8602451A (nl) 1988-04-18
DE3776743D1 (de)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165B1 (ko) 전기 역학적 확성기
EP0039740B1 (en) Loud-speaker
US7155021B2 (en) Loudspeaker having an acoustic panel and an electrical driver
US4829581A (en) Electrodynamic transducer comprising a two-part diaphragm
JP3136959B2 (ja) スピーカ
EP0680242A1 (en) Loudspeaker
WO2006030760A1 (ja) スピーカシステム
WO1990015513A1 (en) Multi-driver loudspeaker system
KR20060069450A (ko) 파상막을 갖는 라우드스피커
US3553392A (en) Electrodynamic sound radiator
US4395598A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causing sound waves to be in phase at any point by preventing reflection from the back end of the diaphragm to stress applying means
JPH024559Y2 (ko)
JP2004515178A (ja) ラウドスピーカ
CN111373764B (zh) 扬声器设备
US11595752B2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US20210289287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JP3365123B2 (ja) ダブルコーンスピーカ
JP2007110324A (ja) スピーカシステムおよびスピーカエンクロージャー
JP3303727B2 (ja) スピーカシステム
JPH10304491A (ja) スピーカ
KR20010080381A (ko) 패널 모양의 스피커
Mitchell Loudspeakers
Kumar HEAVY HYPERSONIC DUAL ACOUSTIC SYSTEM
JP3470582B2 (ja) スピーカ
JPS60191599A (ja) テレビ用スピ−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