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30747A -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 Google Patents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30747A
KR950030747A KR1019940008636A KR19940008636A KR950030747A KR 950030747 A KR950030747 A KR 950030747A KR 1019940008636 A KR1019940008636 A KR 1019940008636A KR 19940008636 A KR19940008636 A KR 19940008636A KR 950030747 A KR950030747 A KR 950030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ischarge
temperature plasma
low
dischar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8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0733B1 (ko
Inventor
문재덕
Original Assignee
문재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덕 filed Critical 문재덕
Priority to KR1019940008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733B1/ko
Publication of KR95003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7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2406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 H05H1/2418Generating plasma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i.e. with a dielectric interpos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electrodes being embedded in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6Generating plasma using applied electromagnetic fields, e.g. high frequency or microwave ener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10Treatment of gases
    • H05H2245/15Ambient air; Ozon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방전형상의 전기적, 물리적, 화학적 작용으로 오존을 발생시키거나, 유해환경오염가스를 처리 및 제거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발달에 따라 각종 유해환경오염가스의 방출량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종래에는 이들 유해환경오염가스를 주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처리수의 재처리과정이 필요하고, 2차 유해물질이 생성되므로 경제성과 효율성이 매우 낮았으며 공간 방전, 고주파 연면방전, 고주파 표면방전등에 의한 저온 플라즈마 발생장치가 일부 사용되었으나, 이 또한 효율성과 신뢰성이 낮아서 실용성이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 기위하여 유전체의 표면과 방전전극 부근의 공간에서 부터 전극간의 방전공간에 이르기까지 강력한 코로나 방전이 동시에 발생되게 한 것으로서, 기준 전극 상에 비유 전율이 높은 유전체를 설치하고 일정거리(w) 이격된 유전체의 상부에 금속전극을 형성하되, 폭이 좁고 길이가 긴 방전용 세편(細片)전극을 적정간격으로 설치하므로서 유체상의 표면뿐만 아니라 세편전극의 표면 및 연면에서도 저온 플라즈마가 발생되도록 하여 가스입구(27)로부터 유입되는 유해가스를 처리하도록 하므로서 저온 플라즈마의 방전효율과 방전밀도를 대폭 증가시키고 또한 장치의 소비전력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4도는 본 발명 저온 플라즈마 방전장치(가)의 단면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 저온 플라즈마 방전장치(가)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방전장치(가)의 특성도표로서 (ㄱ) 이격거리(w)변화에 따른 최재 발생오존농도 특성도표, (ㄴ) 이격거리 (w) 변화에 따른 단위 전력당의 발생 오존농도 특성도표.

Claims (7)

  1. 가스입구(27)와 가스출구(28)가 형성된 케이스(29) 내에 기판전극(31)을 설치하고, 기판전극(31)의 상부표면에 유전체(32)를 고착설치하고, 유전체(32)의 상부에 전극폭(ℓ)이 좁고 길이가 긴 세편전극(33)을 적정거리(w)로 이격되게 절연체(34)로 고정하고, 전극의 외부단자(35)(36)에 교류고주파 전압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세편전극(33)으로 부터 일정거리(Sa) 이격된 상부에 금속 유도 전극(42)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편전극(33)의 전극폭(ℓ)을 전극 간격(s)이나 이격거리(w)보다 크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입구(27)에 탈수된 건조공기나 순수산소만을 인입하여 오존발생장치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의 단자로 교류 고주파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회로는 반도체 스위칭소자(SCR, triac, KGBY), 트리거장치(T), LC발진기(Cp)(Lp), 고전압 변압기(T2)(T3)로 된 고주파 고전압부(71)(7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LC발진기의 펄스형성코일(Lp)은 고전압 변압기(T2)의 일차코일을 이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극의 단자로 교류 고주파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원회로는 교류전원부(76)와 직류전원부(78)와, 회전방전간(SG), 펄스형성코일(LPA)(LPB), 펄스형성콘덴서(CPA)(CPD), 고전압 변압기(T4)로 된 고주파와 고전압부(7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되는 것임.
KR1019940008636A 1994-04-21 1994-04-21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KR013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636A KR0130733B1 (ko) 1994-04-21 1994-04-21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8636A KR0130733B1 (ko) 1994-04-21 1994-04-21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747A true KR950030747A (ko) 1995-11-24
KR0130733B1 KR0130733B1 (ko) 1998-04-14

Family

ID=1938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8636A KR0130733B1 (ko) 1994-04-21 1994-04-21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7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902B1 (ko) * 2001-02-12 2005-01-05 (주)에스이 플라즈마 대기압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장치
KR100488361B1 (ko) * 2002-04-10 2005-05-11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대기압 저온 평판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0488359B1 (ko) * 2002-06-14 2005-05-11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대기압 저온 평판형 벌크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0496809B1 (ko) * 1997-08-26 2005-09-06 인천광역시 플라즈마방전에의한배가스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809B1 (ko) * 1997-08-26 2005-09-06 인천광역시 플라즈마방전에의한배가스처리장치
KR100464902B1 (ko) * 2001-02-12 2005-01-05 (주)에스이 플라즈마 대기압에서 저온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장치
KR100488361B1 (ko) * 2002-04-10 2005-05-11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대기압 저온 평판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0488359B1 (ko) * 2002-06-14 2005-05-11 주식회사 플라즈마트 대기압 저온 평판형 벌크 플라즈마 발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0733B1 (ko) 1998-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3832A (en) Exhaust treatment system and method
AU581554B2 (en) Method of removing so2, nox and particles from gas mixtures using streamer corona
US5601633A (en) High voltage electrical method for removing ecologically noxious substances from gases
US6224653B1 (en) Electrostatic method and mean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gases
Masuda Pulse corona induced plasma chemical process: a horizon of new plasma chemical technologies
Takaki et al. Removal of nitric oxide in flue gases by multi-point to plan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AU68271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zone generation and treatment of water
US52681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ozone
TW200304343A (en) Plasma processing device and plasma processing method
Shimizu et al. Pulsed-plasma treatment of polluted gas using wet-/low-temperature corona reactors
Moon et al. Discharge and ozone 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a ferroelectric-ball/mica-sheet barrier
Babayev et al. Method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ozone electrosynthesis process with periodic voltage pulses
Yehia et al.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ona discharge in a wire-duct reactor
CN107233786A (zh) 一种螺旋沿面型结构的低温等离子体发生器
KR950030747A (ko) 저온 플라즈마 발생용 방전장치
CA2461223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ozone and/or o1 using a high energy plasma discharge
Moon et al. SO/sub 2/and CO gas removal and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a nonthermal plasma reactor in a crossed DC magnetic field
Moon et al. Discharge and NOx removal characteristics of nonthermal plasma reactor with a heated corona wire
KR100191681B1 (ko)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Gasparik et al. Effect of CO2 and water vapors on NOx removal efficiency under conditions of DC corona discharge in cylindrical discharge reactor
Dong et al. The influence of interface phenomenon on removal of NO and SO 2 in corona discharge reactor with water film
Jani et al. An experimental comparison between electrode shapes for NOx treatment using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KR100392814B1 (ko) 고효율 고농도 오존발생장치
KR100278591B1 (ko) 비열 플라즈마 발생 장치
RU21194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зо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