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681B1 -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681B1
KR100191681B1 KR1019960010566A KR19960010566A KR100191681B1 KR 100191681 B1 KR100191681 B1 KR 100191681B1 KR 1019960010566 A KR1019960010566 A KR 1019960010566A KR 19960010566 A KR19960010566 A KR 19960010566A KR 100191681 B1 KR100191681 B1 KR 100191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discharge
voltage
gap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125A (ko
Inventor
아유무 이지마
Original Assignee
이달우
한국코트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달우, 한국코트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달우
Publication of KR960037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 B01D53/323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electrical effect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group B01D61/00 by electrostatic effects or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7Generating plasma using corona dischar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1/00Generating plasma; Handling plasma
    • H05H1/24Generating plasma
    • H05H1/48Generating plasma using an ar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10Treatment of gases
    • H05H2245/15Ambient air; Ozoni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직류고전압 발생장치 및 고정 불꽃방전 갭의 전기절연내구량을 적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그것들을 대폭으로 소형 경량화 할 수 있고, 또한 탈취효율이 높은 싼가격의 탈취장치 및 방법의 제공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류입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장치, 상기 전압제어 장치로부터의 교류전압을 승압하는 고전압 변압기, 상기 고전압 변압기로 부터의 교류고전압을 직류고전압을 직류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정류기, 상기 고전압 정류기의 출력단자와 부하단자 간에 직렬로 삽입된 불꽃방전 갭을 구비하고, 상기 불꽃방전 갭에서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아크방전에 의해 형성되는 톱니형파 고전압을 상기 부하단자에 접속되는 탈취장치의 방전극에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탈취 지는 악취를 저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꽃방전 갭의 간격을 2mm 이상 15mm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 파형에 의한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양극간의 전압파형을 도시한 도.
제3도는 본 발명 탈취장치의 양전극간의 다른 전압파형을 도시한 도.
제4도는 탈취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5도는 탈취장치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6도는 종래의 탈취장치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7도는 종래의 탈취장치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8도는 종래의 탈취장치의 전극간의 전압파형을 도시한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용교류전원 2 : 전업제어장치
3 : 고전압 변압기 4 : 고전압 정류기
5 : 고전압 콘덴서 6 : 고정식 불꽃 방전 갭
7 : 탈취장치 8 : 방전전극
9 : 대향전극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스트리머 코로나에 의해 발생하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탈취 내지는 악취를 저감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최근, 악취에 의한 공해가 증가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악취를 제거 내지는 저감하는 방법으로서 종래 널리 행해지고 있는 탈취방법은, 촉매를 연소 또는 가열하여 가스와 접촉시키는 방법, 촉매 물질속을 통과시키는 방법, 고전압 펄스에 의해 발생한 플라즈마 속을 통과시키는 방법, 혹은 이들 방법을 조합한 탈취방법등이 있다.
우선 제4도에 의해 일반의 촉매에 의한 탈취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취기를 혼입한 유취가스는 도관(21)내에 도입되고, 촉매가 들어 있는 탈취용 장치(22)를 통하여 그 촉매의 작용에 의해 탈취되고, 탈취된 가스는 도관(23)으로부터 배출된다. 그 탈취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탈취용장치(22) 내의 촉매를 연소 또는 가열시키기 위한 연소 또는 가열장치(24)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에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그 플라즈마의 작용에 의해 탈취하는 일반의 방법을 제5 도에 의해 설명하면, 취기가 혼입된 유취가스는 도관(21)내로 도입되고, 탈취용장치(22)내에서는 고전압 펄스에 의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발생하는 플라즈마 공간이 형성된다. 그 플라즈마 공간을 통과할 때에 탈취되고, 도관(23)을 통하여 배출된다. 탈취용 장치(22)내에는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25)로부터 150~250kV라는 높은 피크를 가진 고전압 펄스가 공급된다.
이점에 관하여 제6도를 이용하여 조금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용교류전원(1)으로 부터의 상용교류전압은 전압제어장치(2)에 의해 제어되고, 그 제어된 교류전압은 고전압 변압기(3)에서 소정의 교류고전압으로 승압된다. 그 교류 고전압은 고전압 정류기(4)에 의해 전파 정류되어, 고전압 콘덴서(5)에 의해 평활화 된후, 회전형 방전갭(6')에 인가된다. 이 회전형방전 갭(6')은 1쌍의 고정방전단자(6'a, 6'b), 및 회전방전단자(6'c, 6'd)를 갖는다. 회전방전단자(6'c, 6'd)가 도시의 화살표 방햐의 회전에 따라, 회전방전단자(6'c, 6'd)가 고정방전단자(6'a, 6'b)에 대해 가까운 거리로 올 때마다 불꽃 방전이 발생하며, 탈취장치(7)의 방전전극(8)과 원통형의 대향전극(9) 사이에, 방전전극(8)을 정극, 대향전극(9)을 부로 하는 150~250kV의 고전압 펄스를 인가한다.
이와 같은 150~250kV의 고전압 펄스에 의해, 강력한 스트리머코로나가 방전전극(8)으로부터 원통형의 대향전극(9)으로 향해 발생한다. 스트리머 부분은 정과 부의 이온이 혼재하는 플라즈마 영역으로 되어 있고, 이 플라즈마 영역을 유취가스가 통과할 때, 플라즈마 화학반응으로 취기가 소취 내지는 저감된다. 따라서, 소취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플라즈마 농도를 높이면 좋아지고, 그러기 위해서는 고전압 펄스의 발생빈도를 놓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회전형방전 갭(6')의 회전방전단자(6'c, 6'd)의 회전수를 실용상 1500rpm 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고전압 펄스의 발생 빈도를 높이는 데는 회전방전단자의 극수를 증가시키면 좋으나, 각 불꽃 방전에 의해 갭간에 발생한 이온이 어느 레벨까지 감소할때까지, 결국 갭 사이의 전기절연이 회복할 때까지의 회복시간 보다도 짧은 시간 간격으로 불꽃 방전을 발생시킬수가 없다. 하지만 이런 방식의 경우에는 회전방전단자(6'c, 6'd)의 회전에 의해 생기는 바람으로 갭간의 이온의 일부분이 날려지므로, 실용상의 고전압 펄스의 발생빈도는 최대로 약 300회/초이다.
또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압 펄스를 얻는 별도의 방법으로는 제7 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 불꽃 방전 갭 방식이 있다. 이 고정 불꽃 방전 갭 방식에서는, 고정 불꽃 방전 갭(6)의 간격은 고정이고, 통상 수 10㎜ 이상이다. 이 통상수 10㎜ 이상 떨어져 있는 갭 간에 150 ~ 250kV의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고, 단속적으로 불꽃 방전이 발생하는 것이지만, 회전형방전 갭식과는 달라 불꽃 방전의 끊김이 나쁘기 때문에, 저항기(10)를 부하단자 T1, T2사이에 걸쳐서 접속함으로써 고전압 펄스를 급속히 저하 시키고 있다.
회전형방전 갭식 및 고정 불꽃 방전 갭식에서 얻어지는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 사이의 고전압 펄스 파형의 예를 제8 도에 도시한다. 그 고전압 펄스 파형에서는 파미장(피크 치에 ½로 저하 되기까지의 시간) Th의 대부분은 10 ~ 수 100㎲라는 매우 짧은 펄스이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이상의 어떤 방식도 하기와 같은 결점이 있다. 먼저 촉매를 사용하는 탈취방법은 촉매의 소모에 따른 교환 또는 보충에 수고스럽고, 또한 촉매의 보급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그다지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다음으로, 불꽃 방전 갭에 의한 탈취방법은 회전 갭식, 고정갭식에도 불구하고, 150 ~ 250kV를 출력하는 고전압직류 전원장치가 필요하여, 가격이 높아짐은 물론, 장치자체가 대형화하고, 안전확보를 포함한 전기절연에 큰 비용이 든다. 또한, 고전압 펄스를 이용하고 있는 비율로는 펄스 발생빈도를 그다지 높게 할 수 없으므로, 플라즈마 영역을 항상 균일의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가 없고, 따라서 탈취효율이 반드시 높지는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기타 특히 회전 갭식의 경우에는 회전형 방전 갭을 고속회전 시켜 가면서, 150 ~ 250kV의 고전압절연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대형으로 될 뿐만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된다는 결점이 있다.
또한, 고정 갭식의 경우에는 저항기에서 전력의 대부분이 소비되므로 전류용량이 필요한 저항기가 필요하고, 전력효율이 낮아진다는 결점이 있다.
이와같이 저항기를 접속하여도 대전류의 불꽃 방전이 일단발생하면 갭간의 대기의 전기절연이 회복되는 회복시간이 길어지므로, 실용상으로는 최대로 불꽃 발생빈도를 약 150회/초, 혹은 그 이하로 할 수 밖에 없고, 고전압 펄스와 고전압 펄스간의 시간간격이 길어서, 탈취장치 내를 항상 높은 레벨의 플라즈마 상태로 유지시킬수 없다는 결점이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1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탈취장치의 전극간에 방전전극을 정극, 대향전극을 부극으로 하는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극간의 전압이 상기 톱니형 파형의 고전압의 피크치의 약 1/10 이하로 저하하기 전에 다음의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파형에 의한 탈취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2의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류입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장치, 상기 전압제어장치로 부터의 교류전압을 승압하는 고전압 변압기, 상기 고전압 변압기로 부터의 교류고전압을 직류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정류기, 상기 고전압 정류기의 출력단자와 부하단자와의 사이에 직렬로 삽입된 불꽃 방전 갭을 구비하고, 상기 불꽃 방전 갭에서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형성되는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을 상기 부하단자에 접속되는 탈취장치의 방전전극에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탈취 내지는 악취를 저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꽃 방전 갭의 갭 간격을 2㎜ 이상 15㎜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3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류입력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장치, 상기 전압제어장치로 부터의 교류전압을 승압하는 고전압 변압기, 상기 고전압 변압기로 부터의 교류고전압을 직류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정류기, 상기 고전압 정류기의 출력단자와 부하단자 간에 직렬로 삽입된 불꽃 방전 갭을 구비하고, 상기 불꽃 방전 갭에서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형성되는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을 상기 부하 단자에 접속되는 탈취장취의 방전극에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탈취 내지는 악취를 저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꽃방전 갭의 갭 간격을 2㎜ 이상 15㎜ 이하로 함으로써 정극의 베이스 전압을 가진 톱니형파 고전압을 200회/초 이상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4의 본 발명은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고전압 정류기의 직류출력측에 상기 고전압 정류기를, 상기 불꽃방전 갭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역극성의 고 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인덕턴스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제2 의 발명 또는 제3 의 발명에 기재된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제1도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도에 있어서, 제6도와 제7 도에 도시한 기호와 동일한 기호는 대응하는 부재를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특징은 갭간격이 18㎜미만, 바람직하기로는 2 내지 15㎜ 이하의 고정식 불꽃방전 갭을 사용하는 것에 있고, 이와같은 고정식 불꽃방전 갭을 사용함으로써 탈취장치의 전극간에 발생빈도가 높은 톱니형파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가 있고, 종래에 비해 대폭으로 낮은 고전압으로 밀도가 짙은 플라즈마를 발생할 수가 있으며, 장치를 값 싸고 소형으로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탈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있다.
전압제어장치(2)는 역병렬로 접속된 사이리스터와 같은 스위칭 소자 및 이들의 도통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등으로 이루어지고, 고전압 변압기(3)의 1차 권선에 소망의 교류전압을 부여한다. 고전압 변압기(3)는 종래의 고전압 변압기가 발생하는 150 ~250kV의 고전압에 비해 대폭으로 낮은 수 10kV 정도의 고전압을 2차측에 발생하는 것도 좋다. 따라서, 고전압 정류기(4) 및 평활용의 고전압 콘덴서(5)도 수 10kV 정도의 고전압을 고려한 내압을 갖는 것도 좋다.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은 1쌍의 불꽃방전단자(6a, 6b)를 갖고, 불꽃방전단자(6a, 6b)의 간격이 12㎜ 미만, 바람직하기는 2 내지 15㎜ 범위 것이 사용된다. 불꽃방전단자(6a, 6b)의 간격이 2㎜ 미만이면 톱니형파의 계단부분이 작아져서 전압이 저하 됨에 따라 코로나 방전이 약해져, 다시 강력한 코로나 방전으로 회복시킬 수가 없기 때문에 실용적이지 못하고, 또한 그 간격이 15㎜를 초과하는 특히 18㎜를 초과하면 불꽃방전의 발생빈도가 낮아져 종래 장치와 같은 문제를 갖게된다.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은 불꽃방전단자(6a, 6b)간의 전압이 수 kV 정도로 되면 불꽃방전을 개시하고, 회로의 인덕턴스 L과 커패시턴스 C와의 LC진동에 의해, 고전압 변압기(3)의 2차 권선간에 생기는 전압보다도 휠씬 높은 전압, 예를 들면 80kV 정도의 전압이 고전압 콘덴서(5)를 통하여 정의 고전압 출력단자 P에 인가 시킨다. 고정식 불꽃 방전 갭은 회전식 불꽃 방전 갭에 비해 매우 싸고 소형이며, 또한 갭 간격이 12㎜ 미만이기 때문에 종래의 탈취에 사용되어온 고정식 불꽃 방전 갭에 비해서도 싸고 소형이다.
고전압 출력단자 P, N간에 접속되는 탈취장치(7)는 정극의 출력단자 P에 접속되는 방전전극(8)과 부극의 출력단자 N에 접속되는 내벽이 바람직하기로는 원통형인 대향전극(9)으로 이루어 진다. 이 대향전극(9)은 탈취되는 가스등을 통과시키는 도관의 역할을 하며, 방전전극(8)은 원통형의 전극(9)의 중심을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이 불꽃방전을 발생하면 수 10kV 이상의 고전압이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방전전극(8)으로부터 대향전극(9)으로 향하여 강력한 스트리머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이 스트리머 코로나 방전에 의해 원통형의 대향전극(9)의 내부에는 플라즈마가 생성되어 채워진다. 플라즈마가 채워진 원통형의 대향전극(9)의 내부에 유취 가스를 통과시키면 플라즈마의 화학반응에 따라 취기가 분해되어 탈취 또는 취기가 희박해 진다.
제2도는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의 전압파형을 도시한다. 파형의 각 피크치에 상당하는 점에서 강력한 스트리머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고, 그 코로나 방전의 발생에 의해 전압이 어느 값까지 저하하는 시점에서 재차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이 불꽃방전을 발생한다. 이것을 되풀이 한다. 따라서,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의 공간의 플라즈마 밀도의 변동이 종래에 비해서 작고, 평균하여 높은 레벨로 유지된다.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의 불꽃방전 발생빈도가 200회/초, 특히 300회/초를 넘으면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의 전압이 충분히 저하되지 않는 사이에 다음의 불꽃방전이 발생하므로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의 공간의 플라즈마 밀도를 항상 높은 레벨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탈취효과가 상승한다.
제2도에 있어서, 횡축의 T는 상용주파수의 ½ 사이클의 기간을 나타내고, 교류전원이 50㎐의 경우에는 10㎳에 상당하다.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의 갭이 2 ~ 10㎜ 이하와 종래에 비하여 좁아서, 불꽃방전에 의한 발열도 작고, 또한 갭간의 방전전압이 낮기 때문에 갭의 회복시간이 짧고, 톱니형파의 되풀이하는 빈도를 600회/초 정도까지 증가시킬 수가 있다. 더욱이,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의 갭에 기체를 불어 넣음에 따라 갭의 회복시간을 짧게 하는 결과, 톱니형파의 되풀이 하는 빈도를 700회/초 정도 이상으로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이와같이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의 회복시간이 짧아지면,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 사이에는 그 전압이 톱니형파전압의 피크치의 1/4 ~ 1/10 보다도 저하하기 전에 다음의 톱니형파전압이 발생하므로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에는 항시 일정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음으로써, 이것이 원통형의 대향전극(9)내부의 플라즈마의 밀도를 일정치 이상으로 유지하는데 유용하다. 결국, 고정식 불꽃 방전 갭(6)의 불꽃 방전이 200회/초, 바람직하기로는 300회/초의 빈도로 발생하면,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 사이에는 그 전압이 톱니형파전압의 피크치의 1/4 ~ 1/10 보다도 저하하기 전에 다음의 강력한 스트리머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므로, 원통형의 대향전극(9) 내부의 플라즈마의 밀도를 높은 레벨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고정식 불꽃 방전 갭(6)의 갭이 2 ~ 15㎜ 이하로 종래와 비료해서 좁기 때문에 갭의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은 수 kV 내지는 10 수 kV로 낮고,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을 접지측의 부극측에 설치해도 똑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고정식 불꽃 방전 갭(6)을 접지측에 설치한 결과, 종래의 고정식 불꽃방전 갭에 비해 전기절연을 대폭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휠씬 소형화와 경량화 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비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고전압 콘덴서(5)는 생략할 수가 있고, 이 경우에는 고전압 정류기(4)의 직류 출력 전압파형은 단상 전파정류파형으로 되고,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이 단상 전파정류파형전압이 수 kV를 넘으면 불꽃 방전을 일으키기 때문에 고정식 불꽃 방전 갭(6)을 통하여 탈취장치(7)의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 사이에 인가시키는 전압도 단상 전파정류파형으로 된다. 따라서, 탈취장치(7)의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의 전압파형은 그들 간에서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상 전파정류파형과 톱니형파전압을 조합한 파형이 된다. 제3도에 있어서도 횡축의 T는 상용주파수의 ½ 사이클의 기간을 나타내고, 교류전원이 50㎐의 경우에는 10ms에 상당한다.
더욱이, 제1도에 있어서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전압 정류기(4)의 보호용의 속이빈 리액터와 같은 인덕턴스 소자(11)를 구비하면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식 불꽃방전 갭(6)이 불꽃방전을 일으킬 때, 회로의 LC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고, 정의 커다란 진동전압이 탈취장치(7)의 방전전극(8)과 대향전극(9)간에 인가된 후의 다음의 반 사이클로 부의 커다란 진동전압이 고전압 정류기(4)에 인가되고, 고전압 정류기(4)를 과전압으로 파괴하는 일이 있다. 이 부의 커다란 진동 전압을 인덕턴스 소자(11)에 가함에 따라 고전압 정류기(4)에 인가되는 역전압의 크기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대향전극을 원통형으로 설명하였으나 6각형등의 다각형 또는 평판형의 전극이라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서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탈취장치내에 플라즈마를 발생하기 위한 고전압 전원의 전압을 종래의 전압에 비해 ½ ~ ¼ 낮게하였으므로 직류고전압 발생장치 및 고정 불꽃방전 갭의 전기절연 내구량을 낮출수 있고, 따라서 그것을 대폭으로 소형, 경량화 할 수 있으며, 상당히 싼 탈취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종래에 비해 주파수가 높은 톱니형파 고전압을 탈취장치의 방전전극과 대향전극간의 공간을 높은 플라즈마 밀도로 유지할수 있고, 따라서 탈취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Claims (4)

  1. 탈취장치의 전극간에 방전전극을 정극, 대향전극을 부극으로 하는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전극간의 전압이 상기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의 피크치의 약 1/10 이하로 저하하기 전에 다음의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파형에 의한 탈취방법.
  2. 교류입력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압제어장치, 상기 전압제어장치로 부터의 교류전압을 승압하는 고전압 변압기, 상기 고전압 변압기로부터의 교류고전압을 직류고전압으로 변환하는 고전압 정류기, 상기고전압 정류기의 출력단자와 부하단자 간에 직렬로 삽입된 불꽃방전 갭을 구비하고, 상기 불꽃방전 갭에서 단속적으로 발생하는 아크 방전에 의해 형성되는 톱니형파형의 고전압을 상기 부하단자에 접속되는 탈취장치의 방전전극에 인가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탈취 내지는 악취를 저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불꽃 방전 갭의 갭 간격을 2㎜ 이상 15㎜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꽃방전 갭의 갭 간격을 2㎜ 이상 15㎜ 이하로 함으로써 정극의 베이스 전압을 가진 톱니형파 고전압을 200회/초 이상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과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 정류기의 직류출력측에 상기 고전압 정류기를, 상기 불꽃방전 갭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역극성의 고전압으로부터 보호하는 인덕턴스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장치.
KR1019960010566A 1995-04-05 1996-04-03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KR100191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04856 1995-04-05
JP7104856A JPH08275999A (ja) 1995-04-05 1995-04-05 鋸歯状波コロナ放電による脱臭方法及び脱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125A KR960037125A (ko) 1996-11-19
KR100191681B1 true KR100191681B1 (ko) 1999-06-15

Family

ID=1439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566A KR100191681B1 (ko) 1995-04-05 1996-04-03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75999A (ko)
KR (1) KR10019168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60B1 (ko) * 2012-09-12 2013-01-21 김종훈 플라즈마 탈취장치
WO2016105045A1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KR20160076452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CN107107074A (zh) * 2014-12-22 2017-08-29 三星电子株式会社 静电灰尘收集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18B1 (ko) * 2009-12-24 2013-03-08 주식회사 그린기술산업 고효율 전기침투 탈수장치
KR101205328B1 (ko) * 2012-06-05 2012-11-28 주식회사 화인 정전압을 이용한 전기 침투 탈수기의 전원 차단 장치
RU2733755C1 (ru) * 2020-07-13 2020-10-06 Александр Залманович Понизовский Электрофиз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газов от экологически вредных примесей,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и стерилизации с помощью комбинации частотно-импульсного и высоковольтного постоянного напряжения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60B1 (ko) * 2012-09-12 2013-01-21 김종훈 플라즈마 탈취장치
WO2016105045A1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KR20160076452A (ko) * 2014-12-22 201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CN107107074A (zh) * 2014-12-22 2017-08-29 三星电子株式会社 静电灰尘收集器
CN107107074B (zh) * 2014-12-22 2020-02-07 三星电子株式会社 静电除尘器
KR102478243B1 (ko) * 2014-12-22 2022-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125A (ko) 1996-11-19
JPH08275999A (ja)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2967A (en) High voltage electrical apparatus for removing ecologically noxious substances from gases
US4052177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arrangements
US5130003A (en) method of powering corona discharge in ozone generators
KR100191681B1 (ko) 톱니형파 코로나 방전에 의한 탈취방법 및 탈취장치
CA2183840A1 (en) Electric Discharge Method and Apparatus
KR19980018760A (ko) 다중 전극 코로나 방전 오염물 제거 장치(Multi-Electrode Corona Discharge Pollutant Destruction Apparatus)
JPH11333244A (ja) 放電ガス処理装置
JPH09241007A (ja) オゾン発生方法及び装置
KR100227128B1 (ko) 스트리머 코로나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 전리기체 발생장치
WO1999048341A1 (en) Low-voltage ballast-free energy-efficient fluorescent landscape lighting system and method
Elserougi et al. AC-powered multi-module high-voltage pusle-generator with sinusoidal input current for water treatment via underwater pulsed arc discharge
JP4061373B2 (ja) オゾン発生装置
RU214425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енерации коротких импульсов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RU2514074C2 (ru) Способ биполярной ионизации воздуха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хема для биполярной ионизации воздуха
EP0609466A4 (en) MULTI-ELECTRODE DISCHARGE DEVICE WITH POLYPHASE ALTERNATING CURRENT, APPARATUS FOR MELTING WASTE POWDER AND USING THE SAME, OZONE GENERATOR, AND LIGHT SOURCE APPARATUS.
CN212367238U (zh) 一种纳秒高压脉冲电源、臭氧发生器和静电除尘器
KR101156603B1 (ko) 방전관을 위한 펄스 전원용 공급장치
JPH0529087A (ja) 放電灯点灯装置
KR0139672B1 (ko) 가스제거 및 집진 장치의 전원 공급 회로
JP2005158573A (ja) プラズマ生成装置
JP3134342B2 (ja) オゾン生成装置
RU18846U1 (ru) Озонатор
RU2115520C1 (ru) Электросварочный аппарат
TWI452939B (zh) Mercury lamp unit
JPS54114373A (en) Continous spark ign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