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947B1 -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947B1
KR950013947B1 KR1019980000508A KR880000508A KR950013947B1 KR 950013947 B1 KR950013947 B1 KR 950013947B1 KR 1019980000508 A KR1019980000508 A KR 1019980000508A KR 880000508 A KR880000508 A KR 880000508A KR 950013947 B1 KR950013947 B1 KR 950013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far
temperature
heat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672A (ko
Inventor
가쓰요시 이노우찌
Original Assignee
가쓰요시 이노우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쓰요시 이노우찌 filed Critical 가쓰요시 이노우찌
Publication of KR880009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12Radiant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2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 F24H1/26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 F24H1/28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mantle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the water mantle forming an integral body including one or more furnace or fire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3/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3C3/002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chamber having an elongated tubular form, e.g. for a radiant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fluid fuel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계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파단상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제 1 실시예의 일부파단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계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파단정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계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을 실시하게 위한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파단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열실 2 : 기계실
3 : 송유관 4 : 압력분무식 오일버너
5 : 연소실 6 : 외통
7 : 수실(水室) 8 : 하류측벽
9 : 연소가스출구 10 : 원적외선방사관으로되는 방열기
11 : 송풍기 12 : 굴뚝
13, 13 : 반사판 14 : 급수관
15 : 급탕관 16 : 연관(煙管)
17 : 배개구 18 : 보일러댐퍼
19 : 분기연료가스통로 20 : 원적외선방사댐퍼
21 : 컨트롤모우터 22 : 벽장송풍기
23 : 공기가열실 24 : 온풍기용 송풍기
25 : 굴뚝 26 : 온풍부는 관
27 : 온풍부는 입
본 발명은 연료의 연소열을 적외선으로 변환하여 인체 또는 각종 물체를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적외선이란 파장 0.1mm 이하의, 바람직하기로서는 1-3㎛의 원적외선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근래 적외선중 파장이 긴 원적외선이라 불리는 영역의 빛이 물이나 유기물, 인체등에 흡수되기 쉬운 빛이라는 것이 알려지기 시작하였다.
본 발명은 연료의 연소열을 보다 열효율이 좋게 원적외선으로 변환하고 그리고 동시에 온수나 온풍등을 발생시켜 효율좋게 인체, 물체를 가열하는 방법 및 장치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다.
종래의 연소열을 일원으로 하는 원적외선 방사장치에는 관형상의 연소실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그 관형상 연소실 하류의 연소가스를 방사관 내부에 도입, 유통시켜 그 관형상 연소실 바깥면 및 방사관 바깥면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장치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방식의 장치의 문제점은 일반적인 연소방법으로서는 연소불꽃의 온도는 1500-2000℃ 이상의 고온에 도달함으로서 특히 수냉 또는 강제적인 공냉을 행하지 않으면 연소관의 표면온도는 800-1500℃ 정도에까지 과승하고 적열(赤熱)하여 소손하거나 소손까지는 안된다해도 온도가 높기 때문에 파장이 짧은 근적외선을 주체로 방사하는 것으로 되어 원적외선 방사장치로는 부적격이라는 점에 있다. 이 문제의 해결방법으로서 근래 연소관의 바깥면에 세라믹스를 밀착시켜 세라믹스의 단열효과에 의해 그 세라믹스의 바깥표면의 온도를 저하시켜, 세라믹스의 바깥표면으로부터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세라믹스는 깨지기 쉽고 철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하여 박리되기 쉽고 더욱 안쪽의 철이 소손한다는 결점이 있기 때문에 아직 널리 보급되지 않고 있다.
이외에 연소관의 바깥표면 온도를 내리는 방법으로서 연소관의 내측에 다시 내통(內筒)을 설치하여, 그 내통의 내측을 연소실로 하고 그리고 내통과 외통(外筒)의 사이에 냉각용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흐르게하여 내통의 바깥면과 외통의 내면을 냉각함과 동시에 적어도 연소가 완전히 종료하는 거리 이상의 길이가 있는 내통의 출구에 있어서, 내통 내부에서 유출하는 고온의 연소가스와 합류시켜 연소가스의 온도를 저하시켜 연소외통을 보다 낮은 적당한 온도로 하는 방법이 있고, 이 방식은 공개실용신안공보 소화 58-18111호 기재의 장치등에 의하여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소공기외에 냉각공기를 사용하여 연소관 노즐표면온도를 저하시키는 상기의 방법에 있어서는 냉각공기가 높은 온도로 가열되어 배기되므로 배기의 열손실이 증대하고 열효율이 저하한다는 결점이 있다.
다른 한편 연소열을 원적외선으로 변환하는 장치에 사용되는 연료로서는 도시가스, LPG 등의 기체연료 또는 등유 등의 액체연료가 사용되는데 ON, OFF 제어의 오일버어너는 15000kcal/h 이하(저위발열량기준, 이하 발열량은 모두 저위로 기재한다) 연소량을 자동적으로 증감하는 고저제어의 버어너는 30000kcal/h 이하의 연소부하로 운전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이정도 이하의 소형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열원은 모두 기체연료이고, 이와같은 장치로 등유 등의 액체연료를 사용하는 것은 아직 실용화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현재 가장 널리 신용되고 가장 신뢰성이 높은 액체연료의 연소장치인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의 연소량의 하한치가 이정도이고, 이것보다 적은 연소량의 버어너는 연료유를 분출시키는 노즐의 구멍지름이 너무 작아서 정도(精度)가 좋은 구멍의 가공이 곤란하고 가령 노즐이 제작 가능하게 된다하더라도 구멍지름이 너무 작아서 단시간에 노즐이 막히거나 노즐구멍이 변형하거나하여 사용불능으로 되기 때문이다.
현재 이와같은 소량의 등유를 연소시키는 버어너로서는 기화식 버어너가 석유온풍히이터용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기화식 버어너에는 장시간 사용하면 기화기 부분이 카아본등으로 막히고 사용불능으로 되는 결점이 있다.
가정용의 난방기는 겨울기간만 그리고 하루에 평균하면 5-8시간정도 밖에 사용하지 않지만, 원적외선 방사장치는 상기와 같은 기화식 버어너를 장치하여 사우나와 같이 하루 24시간, 년간 350일 이상이나 운전되는 산업용으로, 공업용등에 사용하였을때에는 반년에서 1년 정도로 사용불능으로 되는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한 기화식 버어너도 등유때기 소형 원적외선방사장치용 연소장치로서는 부적당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는 저온의 공기를 도입혼합하여 연소관의 표면온도를 저하시키는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 열효율이 낮다는 결점을 개선하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15000kcal/h 이하의 소형 적외선방사 장치에 있어서도 연료를 가스이외의 등유등의 액체연료로 하는 것이 가능한 원적외선방사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여러가지 검토, 연구한 결과 구멍지름의 작은노즐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가장 신뢰성이 높은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를 사용하게 하므로서, 소형일지라도 필요에 따라 등유 등의 액체연료로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종래의 냉기 혼합식의 원적외선 방사장치와 같은 냉각공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연소관의 표면온도를 필요한만큼 저하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에 입각하여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배기량이 적고 열효율이 높다는 잇점까지 겸하여 갖춘 원적외선 방사방법 및 장치를 개발,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열매(熱媒)로 냉각되는 연소실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가스의 온도를 800℃ 이상, 400℃ 이상까지 저하시켜 방열기에 도입하고 적외선을 방사시킴과 동시에 열매가 흡수한 열의 유효이용을 도모하므로서 달성된다.
상기한 열매로서는 물 또는 공기가 호적하게 이용되고 기타 열매유 등 냉매를 포함하는 각종의 열매가 이용가능하다.
그리하여 상기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장치의 하나는 공기, 물 등의 열매를 연소열에 의하여 간접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방열기를 설치하고 상기한 가열장치내의 연소가스가 400℃ 이상 800℃ 이하의 온도에서 흐르는 연소가스통로에 분기연소가스 통로를 설치하고 그 분기연소가스통로와 상기 방열기와를 접속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장치의 또 하나의 것은 3) 통 형상의 연소실의 바깥측에 외통을 설치하고 그 외통과 통형상의 연소실 사이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유통시켜 공기가열장치를 형성하고, 그 통형상 연소실 하류배관내에 관상의 방열기를 설치함과 동시에 공기가열장치에 온풍을 부는 입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관한 방법 및 장치에 의할때는 가장 열효율이 좋은 이론공기량에 가까운 연소공기량으로 연료를 완전 연소시켜, 그 연소열을 물이나 공기 또는 다른 열매체에 필요량 만큼 흡수시켜 연소가스의 온도를 원적외선방사에 적합한 온도까지 저하시켜 그 적온의 연소가스를 관형상 혹은 프레이트상 등의 원적외선 방사체 내부에 유통시켜서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그 장치에 의하여 가열된 열매체의 열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서 총합적으로 종래의 연소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장치보다 열효율이 높은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시말하면 공기비는 낮지만 배기가스의 온도가 높으므로 열효율이 낮은 보일러나 온풍기를 제작하여 그 고온도의 배기가스를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열원으로하면 방사체의 온도를 적당한 온도로함과 동시에, 배기가스의 냉각에 의하여 손실되는 열을 유효하게 이용함으로서 종합적으로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와같이하여 열효율이 좋은 연소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장치에는 일석삼조라고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를 사용한 종래 장치에서는, ON, OFF 제어로 약 15000kcal/h, 고저제어에서는 30000kcal/h 정도가 연소량의 하한값이였지만 본 발명 장치에서는 30000kcal/h의 고저제어의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를 사용하여 발생열중 20000kcal/h는 보일러 또는 온풍기로서 사용하고 나머지를 원적외선 방사장치로서 이용함으로서 연소량 10000kcal/h, 고저제어의 기름때기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얻어진다.
뎌욱 여러가지 연구하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예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연소량이 5000kcal/h가량에 상당하는 고저제어의 기름때기 원적외선 방사장치 또는 그 이하의 2000-3000kcal/h와 같은 소형의 장치도 제작가능하게 되고 종래의 1/10 이하의 열부하의 소형기름때기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부차적으로 생기는 온수, 증기, 고온의 열매체, 온풍등을 원적외선과 유기적으로 결합시키면 보다 우수한 난방장치나 건조 장치 혹은 사우나설비등이 얻어진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관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 및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파단상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표시한, 제 1 실시예의 일부파단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파단 정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관한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하는 일부파단 정면도이다. 더욱 각 도면중 동일의 참고번호는 동일 또는 동등의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를 표시하고 있다.
우선 제 1 도 및 제 2 도에 표시한 제 1 실시예로부터 설명하면 양도면중 (1)은 가열실, (2)는 기계실, (3)은 송유관, (4)는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 (5)는 연소실, (6)은 외통, (7)은 수실, (8)은 연소실(5)의 하류측벽, (9)는 연소가스출구, (10)은 원적외선방사관으로부터 이루어진 방열기, (11)은 송풍기, (12)는 굴뚝, (13)(13)은 반사판, (14)는 급수관, (15)는 급탕관을 각각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사우나실 또는 건조실 등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가열하는 가열실(1)에 인접하여 기계실(2)이 설치되고, 그 기계실(2)로부터 송유관(3)을 지나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4)에 등유가 급유되고, 가열실(1)내에 돌출한 연소실(5)의 내부에서 연소를 개시한다. 통형상의 연소실(5)의 외주에는 외통(6)이 부착되고 연소실(5)의 바깥벽과 외통(6)의 내벽과의 사이에는 물을 넣어 수실(7)로 하고, 온수보일러가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고온의 연소가스는 연소실(5)를 둘러쌓는 수실(7)에 열을 주어 온도를 저하시키면서 단열된 연소실(5)의 하류측벽(8) 가까이의 연소가스 출구(9)로부터 관형상의 원적외선방사관(10)내에 유입한다.
이때의 연소가스의 온도가 대략 800℃ 이하로 400℃ 정도로 되도록 연소량, 연소실의 전열면적, 열매유량등을 정한다.
상한온도를 800℃로하는 이유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이정도로하면 가열실(1)의 온도를 100℃로 가정하였을 경우 방사관(10)의 최고 온도는 (800℃+100℃)/2=450℃보다 약간 높은 온도 즉 500℃ 이하 정도로 된다.
500℃ 정도이면 강판은 적열하지 않고 방사관(10)으로부터 가장 강하게 방사되는 적외선의 파장도 3.7㎛ 정도의 원적외선 영역에 가까운것으로 되고, (일반적으로 4㎛ 이상의 긴파장의 적외선이 원적외선이라 불린다) 그리고 방사관(10)이 열을 방사함으로 하류측에서는 온도가 저하하고 전체로서는 원적외선 영역의 빛을 주체로 방사하는 것으로 된다.
하한온도를 400℃ 이상으로 하는 이유는 최종적인 배기가스의 온도를 최저 200℃ 정도로 하지 않으면 안되고 이것이 너무 낮으면 원적외선의 발생량이 적어지기때문이다.
방사관(10)내에 유입한 연소가스는, 방사관(10)의 표면에서 주로 원적외선으로 되는 빛을 방사하면서 화살표로 표시하는 데로 방사관내를 상하로 유동하면서 서서히 온도를 저하시켜 가열실(1)측으로부터 기계실(2)측에 유도되고 송풍기(11)에 흡입되어 굴뚝(12)으로부터 배기된다.
방사관(10)에서 방사된 빛은 방사판(13)(13)에 부딪쳐 반사하고, 가열실내로 향하여 진행하고 피가열물에 부딪치고 열로 변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한다.
물은 급수관(14)으로부터 수실(7)에 공급되고 가열된 온수는 급탕관(15)으로부터 외부에 보내지고, 온수로서 소비되며 혹은 온수난방등의 열원으로서 이용된다.
가열실(1)의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약간 높으면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4)의 연소량을 1/2정도로 저하시킨다.
연소유량을 감소시키려면 기름분무노즐의 상류측의 유압을 저하시켜 기름의 분출량을 저하시키는 방법과 기름분무노즐을 2개 설치하여 저연소시에는 그중의 1개의 기름분무노즐로 기름을 공급하는 통로를 전자밸브등을 사용하여 닫고, 고 연소시에는 기름분무노즐 2개로부터 기름을 분출시켜 저연소시에는 기름분무노즐 1개만으로 연소시켜 연소유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있다.
비례제어에는 유압을 증감하여 연소량을 증감하는 방법이 적당하고 고저 제어의 경우에는 복수의 기름분무노즐을 사용하는 방법이 보다 간편하고 제조값이 안정된 가격으로 된다.
기름분무노즐을 2개 설치하여 고저제어를 행하는 가장 소형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장치의 연소량은 전술한 바와같이 가장 기름 분무량이 적은 기름분무노즐은 약 15000kcal/h(저위발열량 기준, 이때의 유압은 약7kg/cm2)이므로 그 최소 기름 분무노즐을 2개 사용하는 것으로 되고 연소량은 고연소시 30000kcal/h, 저연소시 15000kcal/h로 된다.
이 본 발명 제 1 실시예중 가장 소형인 것으로서는 연소가스출구(9)의 부분에서의 연소가스의 온도를 800℃ 정도로 하기 위해서는 공기비가 1.2일때(과잉공기율 20%) 연소량의 60% 정도를 물에 전달하면 좋고 공기비가 1.6일때는 대략 50% 정도의 열을 물에 열전달시키면 좋다. 즉 공기비 1.2의 경우에는 고연소시 열출력 18000kcal/h(30000×0.6)의 온수보일러와 열입력 12000kcal/h의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겸용장치로되고 저연소시에는 각각 이의 1/2정도의 열량이 된다.
연소가스출구(9)의 온도를 400℃ 정도로하며는 공기비 1.2로 약 80%, 공기비 1.6으로 75% 정도의 열을 물에 전달하면 좋다. 이 경우의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열입력은 고연소시 6000kcal/h(공기비1.2)정도, 또는 7500kcal/h(공기비 1.6)정도로 된다.
따라서 종래의 고저제어를 행하는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를 장비한 원적외선방사장치의 1/5정도의 연소량에 상당하는 소형기름때기 원적외선방사장치가 제작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 설명한 제 1 실시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이다.
다음에 제 3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서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의 또 하나의 실시예의 일부파단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기계실(2)의 송유관(3)보다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4)에 연료기름이 급유되고 연소실(5) 내부에서 연소를 개시한다.
연소실(5)의 외주에는 외통(6)이 설치되고 양자의 중간부분은 수실(7)로, 연소실(5)의 하류에는 수실(7)에 복수의 연관(16)(16)이 설치되고, 연소실(5) 내부에서 물에 열을 전달하여 온도가 저하한 연소가스는 화살표에 표시하는 대로 그 연관(16)내를 통과하면서 더욱 수실(7)에 열을 전달하여 온도를 저하시켜 배기구(17)로부터 배기이용 원적외선방사관(19-2)를 지나 기계실(2)측에 유도되고, 보일러댐퍼(18)을 지나 송풍기(11)에 흡인되어 옥외로 배출된다. 물은 급수관(14)으로부터 수실(7)에 공급되고 수실(7)내에서 뜨거워진 온수는 급탕관(15)으로부터 외부의 필요한 곳에 급탕된다.
이상 구조의 장치내의 배기이용 원적외선방사관(10-2)을 보온하여 배기용의 연도(煙道)로하면 보통 잘 알려져 있는 가로형의 연관식 온수보일러로 된다.
본 연관식 온수보일러 형상장치의 연소실(5)의 하류부에 분기연소가스통로(19)를 설치하고, 그 분기연소가스통로(19)는 방사관(10-1)에 연이어 통하고 그 방사관(10-1)은 수평방향에 지그재그로 4개 설치되고 그후 가열실(1)을 나와 기계실(2)내에 들어가고, 원적외선방사댐퍼(20)를 지나 송풍기(11)의 흡인측에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모우터(21)에 의하여 양댐퍼는 자동적으로 개폐되지만 본 제 3도의 상태, 즉 보일러댐퍼(18)는 약간 닫힌 가감(약간 열린상태)으로, 원적외선방사댐퍼(20)는 거의 전개의 상태는 가열실(1)의 온도가 낮은 경우이고, 따라서 원적외선을 보다 대량으로 방사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태이다.
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4)는 ON, OFF 제어로 연소량의 증감은 행하지 않는다.
연소실(5)내에서 수실(7)에 열을 전달하여 온도가 400-800℃ 정도로 저하한 연소가스의 대부분은 제 3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댐퍼의 개도(開度)의 큰 원적외선방사댐퍼(20)의 방향으로 분기연소가스통로(19) 및 방사관(10-1)를 지나 화살표 방향으로 흐른다. 나머지의 약간량의 연소가스는 연관(16)(16)을 지나 더욱 온도를 저하시켜 배기구(17)로부터 배기이용 원적외선방사관(10-2)에 유출하고(배기구(17)에서의 연소가스 온도는 250-350℃ 정도가 바람직하다) 가열실(1)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더욱 온도를 저하시켜 보일러댐퍼(18)를 지나 화살표에 표시하는 대로 송풍기(11)로부터 옥외로 배출된다.
가열실(1)의 온도가 상승하고 적온 이상이되면 가열실(1)내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조절계등의 지령에 따라 컨트롤모우터(21)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여 동작하고 제 3 도와는 역으로 보일러댐퍼(18)가 크게 열리고 원적외선방사댐퍼(20)는 약간 열린상태로 된다. 따라서 분기연소가스통로(19)에 유입하는 연소가스량이 대폭 감소하고, 방사관(10-1)으로부터 방사된느 원적외선의 양의 감소하고, 흐르는 연소가스의 양의 증가하므로 배기이용 원적외선방사관(10-2)으로부터 방사되는 선량(線量)도 증가하지만 총합적으로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감소하고 가열실(1)내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한다.
원적외선의 방사량이 감소한 열량정도수에 전달되는 열량이 증가하고 급탕관(15)으로부터의 급탕온도가 상승한다.
이해를 쉽게하기 위한 구체적인 숫자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연소량을 15000kcal/h(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의 최저 연소량) 공기비는 1.2로 하고 연소실(5)의 하류부(연관(16)의 입구부근)의 온도를 800℃, 가열실(1)의 온도가 낮을때(고위 원적외선방사량시)에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연소량의 60% 즉 약 9000kcal/h을 연소실(5)내에서 물에 열을주고 나머지중 80% 즉 4800kcal/h 정도를 분기연소가스통로(19)로부터 방사관(10-1)에 흐른다고 가정하면, 배기이용 원적외선방사관(10-2)으로부터 100kcal/h 정도의 방사효과가 기대되므로 원적외선 방사장치로서는 열입력 4900kcal/h 정도, 온수보일로서는 열출력 9200kcal/h 정도로 된다.
가열실(1)의 온도가 상승하고 컨트롤모우터(21)가 동작하였을 때(저위 원적외선방사량시), 보일러댐퍼(18)는 열리고 원적외선방사댐퍼(20)는 닫힌상태(약간을 열려있음)로 된다.
이때 연소실(5)의 하류부에서는 연소량은 변하지않으므로 연소량의 60%, 9000kcal/h가 열흡수되고 온도가 800℃, 열량 6000kcal/h을 갖는 연소가스의 30%, 1800kcal/h가 분기 연소가스통로(19)로부터 방사관(10-1)으로 향하고 나머지의 4200kcal/h가 연관(16)의 내부를 지나면서 더욱 수실(7)로 대략 2600kcal/h의 열을 주고 연소가스의 온도는 330℃ 정도, 열량 1600kcal/h로 되어 배기이용 방사관(10-2)에 유입하여 가열실(1)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더욱 온도를 저하시켜 열린상태에 있는 보일러댐퍼(18)를 통과하는 점에서는 연소가스의 온도는 200℃ 정도, 열량 1000kcal/h로 되어 송풍기에 흡입되어 옥외로 배출된다.
한편, 방사관(10-1)에 유입한 연소가스는 가열실(1)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온도를 내리고 원적외선방사댐퍼(20), 송풍기를 지나 마찬가지로 옥외로 배출된다.
이상 기술한 저위 원적외선방사량시(가열실 1의 온도가 설정값보다 높을때)의 본 발명 제 2 실시예장치는 온수보일로서는 열출력 9000+2600=11000kcal/h, 원적외선방사장치로서는 원적외선방사관(10-1)으로 1800kcal/h, 배기이욘 원적외선방사관(10-2)으로 대략 700kcal/h 정도, 합계 열입력 2500kcal/h(고위 원적외선방사량시의 51%)로 된다.
이때의 원적외선방사관(10-1)으로부터 배기되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배기이용 원적외선방사관(10-2)과 마찬가지로 200℃ 이였다고 하면 총합배기열손실은 약 1400kcal/h로되고 충합열효율은 (방열손실은 거의 없으므로), (15000-1400)/15000=90.7%로 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 제 2 실시예는 온수보일러에 분기연소가스 통로를 설치한 실시예이지만, 온수 보일러 대신에 증기보일러를 사용하면 증기와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본 발명의 가열 및 적외선 발생장치로 되고 마찬가지로 열매유로 가열하는 보일러를 사용하면 고온의 열매유와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온수보일러 대신에 증기를 간접 가열하는 온풍기를 사용하면 온풍과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는 가열 및 적외선발생장치로 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표시하고 본 제 3 실시예는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기재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더욱 다른 실시예의 일부파단 정면도를 표시하고 있다.
벽장송풍기(22)를 갖춘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통칭 건 타이프 오일버어너)가 연소실(5)의 상류단에 설치되고 연소실(5)내에서 연소가 일어난다.
연소실(5)의 바깥측에는 외통(6)이 설치되고 그 외통(6)과 연소실(5) 사이의 공기가열실(23)의 내부에 온풍기용 송풍기(24)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공기가 보내어지고 그 공기는 연소실(5)를 공냉하면서 가열된다.
연소가스는 공기가열실(23)에 열을 전달하여서 서서히 온도를 저하시켜 연소실 하류부의 연소가스출구(9)로부터 원적외선방사관(10)내에 유입하여 그 원적외선방사관(10)으로부터 원적외선을 방사하면서 검은 화살표로 표시하는 대로 원적외선방사관(10)의 내부를 지그재그로 지나 굴뚝(25)으로부터 옥외로 배기된다.
한편 온풍기용 송풍기(24)로부터 강제적으로 공기가열실(23)에 보내진 공기는 서서히 가열되고, 온풍으로 되어 흰색 화살표에 표시하는대로 온풍 불어내는 관(26)내에 유입하고 스릿(slit)상의 온풍불어내는 입(27)으로부터 실내의 바닥면 가까이로 향하여 불어낸다.
이해를 쉽게하기 위해서 구체적인 숫자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연소량을 고위 연소시 30000kcal/h, 저위 연소시 15000kcal/h(고저 제어를 행하는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의 최저 연소량), 공기비는 1.2로 하고 연소실(5)의 하류부의 연소가스의 온도를 고위연소시 800℃로 가정하면 고위 연소시에는 제 1 실시에에서 설명한대로 연소량의 60%에 상당하는 18000kcal/h를 공기가열실(23)의 공기에 열을주고, 나머지 40%, 열량으로 12000kcal/h가 연소가스출구(9)로부터 방사관(10)내에 유입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굴뚝(25)으로부터 옥외로 배출되다.
열출력 18000kcal/h의 온풍기(간접가열방식의)는 온풍의 불어내는 온도를 150℃라하면 온풍기용 송풍기(24)로부터 송풍하는 공기량은 대략 7㎥/min으로 된다.
본 제 3 실시예장치를 난방장치로서 사용하였다하면 원적외선방사 방향에서 서있는 인체에 대하여 발아래부터는 150℃, 7㎥/min의 온풍이 보내어지고 인체상부에는 열입력 12000kcal/h(열출력은 약 9000kcal/h정도)의 원적외선이 방사되는 것으로 되고 쾌적하고 이상적인 난방장치로 된다.
필요에따라 연소량을 15000kcal/h로 감소시켜 저위 연소로 하면 온풍의 온도도 80℃ 정도로 내려가고의 원적외선의 방사량도 반감한다.
본 발명은 효과를 대별하면 다음 세가지점으로 요약된다.
(1) 종래의 연소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장치와 같이 연소관의 표면 온도를 내리기 위하여 여분통기를 연소실내에 넣을 필요가 없으므로 배기가스량이 큰폭으로 감소하고 열효율이 크게 상승하기 때문에 에너지절약이 된다는 것.
(2) 종래의 기름때기의 압력분무식 오일버어너를 사용하는 원적외선 방사장치에서는 ON, OFF 제어에서도 열입력 1500kcal/h, 고저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30000kcal/h 보다도 연소량이 적은 원적외선 방사장치는 제작이 곤란하고 제작되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여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열입력 480kcal/h로 고저제어를 행하는 기름때기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얻어지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필요하면 얼마든지 소형의 장치도 제작가능하게 되고, 기체연료 혹은 전력을 열원으로 하지 않을 수가 없었던 소형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등유등의 액체연료로도 운전가능하게 되고 연료비 절약뿐아니라 여러가지 잇점이 얻어진다는 것.
(3)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부착적으로 발생하는 온수, 온풍 혹은 보다 높은 온도의 열매체등을 효율좋게 결합함으로서 상승적 효과가 기대되는 것.
이하 이들 효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1)에 기재의 열효율의 상승에 대하여 기술한다.
종래의 연소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장치는 일부에 강관의 외면에 세라믹스 등을 밀착시켜 그 강관의 내부에서 연료를 연소하고 세라믹스의 단열 효과를 이용하여 세라믹스의 외면의 온도를 저하시켜 그 온도가 보다 낮은 세라믹스의 외표면보다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형상의 것이 약간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은 공개실용 신안공보 58-18111호 기재의 장치와 같이 연소관의 내부에 내통을 설치하고 그 내통과 바깥측의 연소관과의 사이에 냉각용의 공기를 흐르게하여 연소 종료후에 그 냉각을 공기와 연소가스를 혼합시켜 더욱 방사관의 내부를 유동시켜 방사관의 외면으로부터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외부에 배기시키는 형식의 것이다.
난방용 혹은 특원소 57-130653호, 동 57-130656호 등에서 알려진 사우나용의 원적외선 방사장치는 어느 것이든 그와같은 형식의 것으로서 실용에 제공되고 있는 장치의 경우 연소용 공기와 냉각용 공기의 합계가 이론연소 공기량의 3-4배 정도로서 연소관의 표면온도를 높은곳에서도 500℃ 이하로 되도록 하여 실용에 제공되고 있다. 이 정도의 냉각공기를 사용하면 연소가스의 온도는 아무리 높을지라도 800℃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으므로 연소관의 표면온도도 지나치게 상승하지 않는다.
공기비가 3.5로 배기온도가 200℃ 일때의 배기열손실은 연소량 10000kcal/h(저위 발열량)당 약 2500kcal/h이지만, 본 발명 장치의 경우에는 공기비 1.2정도로 충분히 완전 연소하고 방사관의 표면온도도 각 실시예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쉽게 500℃ 이하로 할 수가 있다.
근래의 등유때기의 온수보일러등에서는 공기비가 1.2 정도 또는 이 이하의 공기비로 연소를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본 발명 장치에 있어서도 쉽게 공기비 1.2정도로 연소 가능하다.
공기비가 1.2이고 배기온도가 200℃ 일때의 배기열손실은 연소량 10000kcal/h당 900kcal/h 정도이다. 장치로부터의 방열손실은 거의 무시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열효율은 (10000-2500)÷10000=0.75 즉 75%이고, 본 발명 장치에서는 (10000-900)÷10000=0.91 즉 91%이고, 따라서 75÷91=0.82로 되므로 본 발명 장치는 종래의 장치보다 대략 18%의 에너지절약효과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와 같은 도시가스등의 기체연료를 연료로 하여도 연료비를 약 18%나 절감하는 것으로 되어 더욱 후술의 등유를 연로로 하면 소형 원적외선 방사장치에 있어서 연료비는 절반이하로 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 장치에는 에너지절약효과가 있다.
전기, 제1, 제 2 실시예장치를 온수보일러이외의 증기보일러 또는 열매체보일러로서 이용하였을 경우의 에너지절약효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근래 열매체를 200℃ 정도로 가열하여 이용하고 있는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석유를 원료로하여 200℃ 정도에서 이용가능한 열매체는 널리 일반에게 이용되고 있다.
증기보일러에 있어서도 증기압 16㎏/㎠일때의 동안의 물의 온도는 약 200℃이지만 200℃의 약체와 열교환하는 보일러의 배기가스의 온도는 당연 200℃ 이상으로 되고 필요이상으로 전열면적을 많이하면 불경제이고 배기온도는 300-350℃ 정도가 경제적이고 일반적이다.
한편 원적외선 방사장치에 있어서는, 난방용이면 피가열물은 상온이고, 사우나용일지라도 사우나실의 평균온도는 70-80℃이고, 가스를 연료로 하는 사우나용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배기온도는 180-200℃ 정도이고 등류를 연료로하여도 200℃ 정도로 하는 것은 가능하므로 전기한 제1, 제 2 실시예장치에서 열매체 또는 고온의 온수를 가열하는 경우에도 배기가스의 온도를 200℃ 정도로 하는 것은 가능하다.
따라서 고온의 증기보일러 또는 고온의 열매체보일러에 본 발명 장치를 부설하였다고 생각하면 본 발명에 의하여 300-350℃였든 배기가스온도를 200℃ 정도까지 끌어내린 효과를 얻는것으로 되고 이로서 보일러의 열효율을 5-7% 상승시켜 전기한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열효율의 개선효과가 어울려서 다대한 에너지절약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2)에 기재의 효과, 즉 소형 원적외선 방사장치에 유압분무식 기름버어너를 부착가능한 것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기술한 바와같이 ON, OFF 제어에서도 15000kcal/h 이하의 기름때기의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제작은 곤란하고 아직 실용화되어 있지 않다.
한편 소형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수요는 많이 볼수있고 이를테면 주로 10-20kw의 전력을 열원으로 하는 인쇄물의 태워 부착시키는 인쇄기가 있고 이와같은 장치의 열원을 연료의 연소열로 변경한다고 하면 약10000-20000kcal/h로 되고 당연히 고저제어 혹은 비례제어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가 개시한 특원소 57-130653호 공보기재의 발명에 의하여 비로서 실용화된 가스때기의 사우나용 원적외선 방사장치는 그후 급속히 보급하고 전력을 열원으로 하는 것을 능가할 정도의 힘찬모양이 보인다. 영업사우나나 공중목욕탕등의 대형의 사우나실용의 그 가스때기 적외선방사사우나 히이터는 6000-27000kcal/h로 연소량을 50%와 100%로 자동적으로 증감하는 고저제어를 행하고 있으므로 30000kcal/h가 최소의 유압분무식 기름버어너는 너무 크기 때문에 부착할 수가 없었다.
본 발명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최소 6000kcal/h,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4900kcal/h이고 상기 대형사우나실용 가스때기 적외선사우나 히이터를 모두 기름때기로 변경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제 2 실시예 장치에서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온수는 영업사우나나 공중목용탕등 대형의 사우나실을 설치하는 곳에서는 이용하는 장소도 여러곳이고 필요한 탕량은 본 발명장치로부터 발생하는 탕량에 비해 충분히 다량이고 발생하는 온수를 100%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상은 대형의 사우나장치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더욱 보다 소형의 사우나설비에도 등유때기의 본 발명 장치가 널리 사용될 가능성이 있다.
한번에 2-5명 정도가 입욕할 수 있는 사우나용에는 열입력 3000-5000kcal/h 정도이고 이정도의 규모의 사우나실을 설치하는 업자로서는 여관, 민박, 민박풍의 소호텔, 미용원, 테니스, 골프, 에어로빅등의 소프츠 관련시설등 많이있고 급속히 보급하고 있으며 1-2인용 정도이면 약간 고급인 가정용 사우나시설로서도 이용되어가고 있다.
본 발명 장치에 의하면 이와같은 적은 연소량의 장치의 열원을 등유등의 액체연료로 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800℃ 정도로 온도가 저하하였을때 연소가스의 80%, 4800kcal/h를 분기연소가스유로(19)로부터 방사관(10-1)에 흐르게한다고 가정하였지만, 제 3 도의 보일러댐퍼(18)를 약간 열고 원적외선방사댐퍼(20)를 약간 닫으면 방사관(10-1)을 흐르는 연소가스의 양을 자유로히 감소되게되고 그 결과 원적외선의 방사량은 감소하고 이 감소한 열량정도가 온수에 대하여 보다 많이 주어지는 것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필요 있으면 보다 적은 열량의 등유때기 원적외선 방사장치가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온수는 사우나장치에는 반드시 입욕설치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100%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장치의 발명자는 과거에 가스때기의 원적외선 방사사우나 히이터를 발명하였지만 종래의 전력에 의한 사우나 히이터에 비교하여 연료비가 반감하므로 급속히 보급되어가지만 본 발명은 열효율을 더욱 상승시켜 필요한 에너지양을 18% 정도 절감하고 더욱 칼로리당 가격이 가스의 1/2가까운 등유를 열원으로 하면 더욱 반감하고 이미 널리 설치되어 있는 전력을 열원으로 하는 사우나장치를 본 발명의 등유때기 원적외선 방사장치로 바꾸면 연료비가 1/4정도로 되고 다대한 연료비 절약효과를 발휘하고 급속히 보급할 가능성이 크다.
다음에 상기(3)에 기재의 효과 즉 본 발명 장치에 의하여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온수, 증기, 온풍, 고온의 열매체의 이용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사우나장치에서 발생하는 온수는 사우나장치에 관련하는 욕실에서 이용할 수 있는데 이와같은 이용방법과는 별도로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열원과 결합하여 피가열물을 가열하여 상승적 효과를 발휘하는 이용방법의 몇가지를 고찰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a) 체육관, 옥내 푸울 등 대공간의 난방방법으로서 근래 원적외선 방사 난방방식 및 바닥난방방식의 두 방식이 주목되어간다. 큰 공간을 난방하는 경우 공간 전체의 공기를 가열하는 데는 방대한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가령 공기를 가열하여도 고온으로 된 공기는 비중이 가벼우므로 높이 상승하고 중요한 사람이 있는 바닥면은 온도가 올라가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고 이점 공기에는 흡수되기 어렵고 인체에는 흡수되기 쉬운 에너지를 직접 인체에 방사하는 에너지 방사난방 방식은 최적이다. 더욱 체육관에 있어서도 푸울에 있어서도 주위의 벽에 가까운 부분만을 가열하면 좋다. 왜냐하면 체육관의 중앙는 통상, 운동을 하는 사람이 있으므로 난방의 필요는 없고 주위의 견학자 혹은 관객만을 난방하면 좋고 푸울의 중앙은 바야흐로 푸울이고 수중의 인체를 난방할 필요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 장치의 원적외선방사관을 벽면 혹은 사람이 집중하는 부분의 상부에 매달아서 직접 인체로 향하여 원적외선을 방사케하여 동시에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온수를 벽면가까이의 바닥면하부, 혹은 사람이 집중하는 부분의 바닥면 하부에 유통시켜 바닥난방장치로 하면 이상적인 큰공간의 난방장치로 된다.
(b) 목적은 전혀 다르지만 거의 마찬가지로 온실용의 가열장치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온실의 상부에 본 발명 장치를 매달고, 상부로부터 식물에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온수를 식물의 뿌리 가까이의 닌방에 제공하면 이상적인 온실의 가열장치로 된다.
(c)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고온의 열매체를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중설부의 열원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열매체의 온도를 200℃ 정도로 상승시켜 본 발명의 제1, 제 2 실시예장치로부터 점프로 가압하여 원적외선의 방사를 필요로 하는 장소에 보내고 철제 또는 구리제등의 관형상의 방열기내부에 흐르게하고 그 방열기외면에서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인체, 물체를 가열하고 온도가 저하한 열매체를 다시 본 발명 장치로 되돌리고 재가열하여 방열기에 되돌려보내고 본 발명 장치에서 연소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부차적으로 발생하는 고온의 열매체로부터의 원적외선을 발생시켜 방사하고 본 발명 장치에서 얻어지는 열을 모두 원적외선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방법이 생각케된다. 열매체의 온도를 200℃ 정도로 상승시키면 방열기의 표면온도를 150℃ 정도로 할 수가 있고 그 150℃ 정도되는 물체로부터 가장 강하게 방사되는 빛의 파장은 약 6.8μm로 역시 물이나 유기물에 흡수되기 쉬운 원적외선이고 난방이나 건조용의 열원으로서 이상적이다.
본 발명 장치의 방사관은 너무 멀리까지 연장시키면 연소가스의 온도가 지나치게 저하하므로 장치를 설치한 부근밖에 가열할 수 없지만, 열매체이면 배관을 보온하여 펌프로 압송하고 필요한 곳에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가 있다.
본 방식은 전술한 큰공간의 난방장치에 사용하면 사람이 집중적으로 모이는 장소에 본 발명 장치를 설치하여 직접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더욱 통로 등 사람이 지나는 장소, 혹은 소수의 사람이 항상 기거하는 작은 공간의 장소등에 열매체를 보내고 필요한 장소에서 원적외선을 발생시키면 적은 에너지로 대공간의 난방을 할 수 있다. 이외에 식품의 건조장치나 도장, 인쇄의 태워부치는 장치등 응용범위는 넓다. 이상 기술한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장치로 증기를 발생시켜 이 증기를 열매체 대신으로서 사용하면 거의 마찬가지의 가열 장치로 된다.
(d) 본 발명 장치에서 부차적으로 온풍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기한 제 3 실시예에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 한대로서 발밑에서는 온풍으로 인체를 둘러쌓도록 더웁게 하고 인체상부에서는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난방할 수가 있다. 그 제 3 실시예장치는 한냉지나 푸울등 완전히 냉각된 몸을 급속히 따뜻하게 할 필요가 있는 장소의 난방장치로서 최적이고 본 장치를 인쇄나 도장의 태워 부착시키는 건조장치용 등으로서 이용하면 원적외선으로 가열하고 증발한 용제나 수증기를 온풍으로 불어날려서 증발면의 습도를 저하시키면서 온풍에 의해서 가열하면 온풍만 혹은 원적외선만의 장치에 비하여 보다 빨리 보다 확실하게 건조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주된 효과이지만 이외에도 여러가지 효과 또는 이용 방법이 있다. 이를테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있어서 어느 것이든지 보온의 필요는 거의 없고 방열손실도 적다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보일러나 온풍발생장치에서는 장치로부터의 방열은 열손실로되므로 당연 보온의 필요가 있고 보온을 시공하여도 약간의 방열손실이 있다(연소열의 1% 정도의 경우가 많음).
이에대하여 본 발명장치는 장치의 대부분을 가열실(1)의 내부에 설치하므로 장치로부터의 방열은 가열실(1)을 가열하는 열로서 유효하게 이용된다. 이를테면 본 발명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 4 도에 있어서 공기가열실(23) 내부의 공기를 200℃ 정도의 고온으로 가열하는 경우 혹은 제1,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열매체를 200℃ 정도로 가열하는 경우에는 외통(6)은 150℃ 이상의 고온으로 되고 다량으로 방열 하지만 그 방열은 틀림없이 원적외선이고 가열실(1) 내부의 인체, 물체를 가열하는 유효한 에너지로 된다.
제1, 제 2 실시예에서 온수를 가열하는 경우 외통(6)의 온도가 가열실(1)의 온도보다 낮은 경우도 있지만 이경우에도 가열실(1)의 열이 수실(7)내의 물에 전달되고 온수로되어 이용되므로 열손실로는 되지 않는다.
본 발명 장치 개발의 목적은 연소열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장치의 열효율을 상승시켜 연료유를 열원으로 하는 소형의 원적외선 방사장치를 개발하여 필요에 따라 전력, 가스, 기름의 어느것도 열원으로 할 수 있고 사용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열원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부차적으로 온수, 온풍, 고온의 열매체 등을 종래의 장치이상의 열효율을 발생시켜 한대의 장치로 원적외선과 다른 열원을 동시에 발생시켜 양열원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보다 효율좋게 인체, 물체를 가열하려는 것이고 이 목적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의하여 달성된 것이다.
더욱 본 발명의 구성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내에 있어서 상기의 설명에서 당업자가 쉽게 생각이 미칠 수 있는 모든 변경 실시예를 포섭하는 것이다.

Claims (3)

  1. 공기, 물 등의 열매의 냉각되는 연소실(5)내에서 연료를 연소시켜 연소가스의 온도를 800℃ 이하, 400℃ 이상까지 저하시켜 방열기(10)에 도입하고 적외선을 방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및 적외선 발생방법.
  2. 공기, 물 등의 열매를 연소열에 의하여 간접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방열기(10)를 설치하고 상기 가열장치내의 연소가스가 400℃ 이상 800℃ 이하의 온도에서 흐르는 연소가스통로에 분기연소가스통로(19)를 설치하고 그 분기연소가스통로(19)와 상기 방열기(10)와 접속하여 이루어진 가열 및 적외선발생장치.
  3. 통형상의 연소실(5)의 바깥측에 외통(6)을 설치하고 그 외통(6)와 통형상의 연소실(5) 사이에 공기를 강제적으로 유통시켜 공기가열 장치를 형성하고 그 통형상 연소실 하류배관내에 관상태의 방열기(10)를 설치함과 동시에 공기가열장치에 온풍불어내는 입(27)을 설치하여 이루어진 가열 및 적외선발생장치.
KR1019980000508A 1987-02-06 1988-01-23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 및 장치 KR9500139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645 1987-02-06
JP62-24645 1987-02-06
JP62024645A JPS63194112A (ja) 1987-02-06 1987-02-06 加熱及び赤外線発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672A KR880009672A (ko) 1988-10-04
KR950013947B1 true KR950013947B1 (ko) 1995-11-18

Family

ID=1214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508A KR950013947B1 (ko) 1987-02-06 1988-01-23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51649A (ko)
JP (1) JPS63194112A (ko)
KR (1) KR950013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3917A (en) * 1990-05-15 1992-01-28 Cat Eye Co., Ltd. Single port inshot target burner
WO2001010275A1 (en) * 1999-08-04 2001-02-15 The Frymaster Corporation High speed variable size toaster
US6971871B2 (en) * 2004-02-06 2005-12-06 Solaronics, Inc. Variable low intensity infrared heater
JP2009117492A (ja) * 2007-11-02 2009-05-28 Suzuya Denki Service:Kk テラヘルツ波の発生方法及び発生装置
TWI686137B (zh) * 2017-12-27 2020-03-01 國家中山科學研究院 窯烤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4095A (en) * 1935-06-08 1936-12-15 Wilson Lee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US3260460A (en) * 1965-06-01 1966-07-12 Marland Foundation Radiant and hot air heating system
US3469929A (en) * 1967-12-20 1969-09-30 Junkers & Co Pulse jet burner
JPS531317Y2 (ko) * 1972-04-04 1978-01-14
CA989241A (en) * 1972-05-04 1976-05-18 Raymond E. Hartung Vent structure for clothes dryer
US3796212A (en) * 1973-01-22 1974-03-12 Dorn Co V High temperature infra-red generator
JPS50120017A (ko) * 1974-03-08 1975-09-19
JPS5184429A (ja) * 1975-01-22 1976-07-23 Sumitomo Metal Ind Baananiokeruchitsusosankabutsuhatsuseiyokuseisochi
US4314542A (en) * 1978-08-21 1982-02-09 Slyman Manufacturing Corporation Infra-red domestic furnace
JPS57130656A (en) * 1981-01-31 1982-08-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Attachment structure of ceilling material
JPS57130653A (en) * 1981-02-04 1982-08-13 Nat Jutaku Kenzai Wall apparatus
US4504146A (en) * 1981-07-06 1985-03-12 Honeywell Inc. Ring laser gyro system
JPS5818111A (ja) * 1981-07-27 1983-02-02 Hitachi Ltd 超音波による板厚測定方法及び同装置
JPS59175845U (ja) * 1983-05-06 1984-11-24 大阪瓦斯株式会社 高速バ−ナ
JPS60213716A (ja) * 1984-04-09 1985-10-26 Tetsuo Hayakawa 長波長赤外線の放射による加熱装置
JPS6143066U (ja) * 1984-08-23 1986-03-20 三菱電機株式会社 感熱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51649A (en) 1990-08-28
JPS63194112A (ja) 1988-08-11
JPH0463966B2 (ko) 1992-10-13
KR880009672A (ko) 198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14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rning a combustible gas, and a heat exchanger for use in this apparatus
US2946510A (en) High temperature conduit radiant overhead heating
KR950013947B1 (ko) 가열 및 적외선발생방법 및 장치
US4023558A (en) Water heater
CN102537960B (zh) 商用大功率高效环保无焰红外线灶芯
JP2010127575A (ja) 熱発生装置、温風ボイラー装置、温水ボイラー装置および蒸気ボイラー装置
GB2160967A (en) Gas-fired space heating unit
US4805590A (en) Gas space heating unit
KR20030048658A (ko) 오븐용 스팀장치
CN202328496U (zh) 自动加湿分体式燃气水暖汀
CN216011290U (zh) 一种不易产生水垢且节能的便携式热水暖风机
CN215259945U (zh) 一种供烟气灶台放置或与灶台一体的烟气余热综合利用装置
CN102384522A (zh) 自动加湿分体式燃气水暖汀
RU2803560C1 (ru) Солнечная котельная
KR200183576Y1 (ko) 사우나용 방열 장치
CN202118998U (zh) 自动加湿安全高效燃气水暖汀
KR100630793B1 (ko) 브라운가스 발열장치를 이용한 관류형 증기보일러
CN2167282Y (zh) 一种高效采暖炉
KR200245578Y1 (ko) 브라운가스 난방장치
CN2136410Y (zh) 家用微型热水采暖器
KR200195500Y1 (ko) 벽난로
KR820000557Y1 (ko) 난로겸용 온수 보일러
KR20020037191A (ko) 브라운가스 난방장치
KR970004465Y1 (ko) 사우나용 방열기
KR200180333Y1 (ko) 산업용 열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