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882B1 - 석재부착 고정구 - Google Patents

석재부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882B1
KR950013882B1 KR1019910014237A KR910014237A KR950013882B1 KR 950013882 B1 KR950013882 B1 KR 950013882B1 KR 1019910014237 A KR1019910014237 A KR 1019910014237A KR 910014237 A KR910014237 A KR 910014237A KR 950013882 B1 KR950013882 B1 KR 950013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onnecting member
support
fixture
conne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597A (ko
Inventor
김광욱
Original Assignee
김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욱 filed Critical 김광욱
Priority to KR1019910014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3882B1/ko
Publication of KR930004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8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21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22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 E04F13/23Anchors, support angles or console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석재부착 고정구
제 1 도는 종래 석재부착 고정구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시공된 측면도.
제 4 도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시공된 평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시공 실시예.
제 6 도는 본 발명의 시공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결부재 12 : 안내홈
20 : 석재받침대 21 : 고무핀
30 : 고정부재 38 : 걸림턱
40 : 앵커볼트
본 발명은 건축물 골조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조적되는 석재들을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종래보다 쉽고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석재부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건축물 골조부 외측에 조적되는 석재들을 견고하게 부착 고정시키기 위해 여러 형상의 고정구가 개량되어 사용되어 왔다. 상기 고정구는 집중하중으로 인한 처짐현상에 견딜 수 있는 기계적 성질과 기술적 구성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인데, 집중하중을 받는 외팔보의 처짐현상에 저항하는 단편 2차 모우먼트는 그 소재의 폭에는 단순 비례하고 그 소재의 춤에는 3제곱 비례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수평띠 형상의 고정구는 그 연결부재의 폭은 넓으나 춤이 작기 때문에 단면에 걸리는 단면 2차 모먼트가 비교적 작으므로 그 끝부에 걸리는 집중하중에 대응키 위해서는 두께를 크게해줘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제 1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그 중간부가 비틀려지도록 하여 그 일단부가 수평상태로 유지되어 석재를 받쳐주고, 그 타단부는 수직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그 춤을 크게 한 비틀림형 고정구는 비교적 얇은 두께로서 효율적으로 그 기능을 발휘하므로 구조적으로는 바람직하다 하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틀림형 고정구는 정밀하고 안전한 시공을 하기 위한 어렵고 많은 시공 공정들이 여전히 불편함으로 남아있었으며, 시간소요와 원자재 절감의 면에서 더 개량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얇은 재질로도 집중하중에 의한 처짐현상에 저항할 수 있는 구조적 특성을 가질뿐 아니라, 그 구성이 융통성있게 대처할 수 있도록한 석재 받침대와 연결부재를 조합시켜, 종전보다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고정구 사용을 종래 보다 적은 수만으로도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건축소요 경비와 시간을 줄여 주도록 한 석재부착 고정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적은 시간에 적은 자재로 시공을 할 수 있게하여, 작업효율을 높이고 경제성을 높이기 위해, 종래의 연결부재 및 고정부재의 기술적 구성을 개량하는데 주요 특징이 있다.
즉, 연결부재(10)은 제 2 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판재를 세로방향으로 벤딩하되 중간부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면을 이루고 그 면의 양 측연부에서 서로 완만하게 절골되도록 하여 맞닿게 함으로, 그 일단부는 두겹의 판재가 일체가 되도록 하고, 그 타단부는 상기 판재가 완만하게 벌어지게 하여, 응력이 크게 작용한는 부위는 춤이 크고 석재를 비쳐주는 쪽은 폭이 넓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10)는 그 일단부에 볼트(31)가 그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연결구멍이(11) 뚫려 있고, 그 타단부에는 석재를 받쳐주는 받침대(20)가 설치되도록한 안내홈(12)이 뚫려 있다.
안내홈(12)은 제 2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연걸부재(10) 타단전면 중심부에 일정한 폭의 구멍이 그 측방향으로 양 연부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절곡된 면을 따라 체크형으로 절곡되되 타단부양측이 대칭을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안내홈(12)에 삽입되는 석재 받침대(20)의 그 일단부는 상기 체크형의 절곡된 홈을 따라 좌우로 유통 가능하도록 같은 형상으로 절곡되고, 절곡된 면은 두개의 석재 모서리부(1),(2)를 받쳐줄 수 있을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며, 그 양 끝부분에는 충격을 흡수하고 연결부재(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고무핀(21)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석재 받침대(20)의 타단부는 그 일단부에서 소정의 폭을 연장되고, 석재의 상 하부 면에 파여진 홈과 결합되어 상기 석재들을 고정 지지해주도록, 그 끝에서 일정한 높이 만큼 위쪽으로 절곡어 레일(22)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의 양단은 아래쪽 석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폭을 가지는 레일(23)이 일정 길이만큼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고정부재(30)는 제 2 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평판상태에서 그 양측하부들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그 상부는 폭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을 가지는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33), (34)들이 일체로되는 형태를 가지되, 일측 연결지지부(33)와 타측 연결지지부(34) 사이에는 연결부재(10)의 일단부가 끼워질 정도의 간격이 유지되며,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33), (34)에는 연결구명(35), (36)들이 대칭으로 뚫려있다. 한편, 타측 연결구멍(36)은 펀칭을 하여 구멍을 뚫되, 연결지지부(34)의 밖앗쪽을 약간 돌출시켜 연결구멍(36)부위의 판 두께가 비교적 크게하여, 구멍 내측에 태핑을 하여 암나사를 형성하고 있다. 또, 상기 연결구멍(35), (36)들의 후면 상부에는 제 2 도 및 4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연결지지부(33), (34)들의 일면을 안쪽으로 펀칭하여 걸림턱(38)을 돌출시키므로 연결부재(1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사용방법은 종래의 것과 유사하다. 즉, 석재들의 수평줄눈들 사이에 연결부재(10) 타단에 연결된 석재 받침대(20)가 고정되도록 하고, 건축물 골조부에는 해당 위치마다 앵커볼트(40)의 일단부가 매설되도록 한 후에 ; 상기 연결부재(10)의 일단부가 고정부재(30)의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33), (34)사이에 끼워져 있고, 볼트(31)가 그 양 부재의 연결구멍(35), (36)들을 관통하되 타측 연결지지부(34)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구멍(36)에 체결되고, 고정부재의 고정지지부(37)는 앵커볼트(40)의 타단부에 볼트접합되어 ; 석재들의 집중하중이 건축물의 골조부에 전달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유동성있게 결합된 석재 받침대가 두개의 석재 모서리부를 받쳐줌으로, 종래의 것보다 시공이 간편하고 필요로 하는 석재부착 고정구의 수는 종래것의 절반밖에 들지 않는다. 또, 연결부재의 일단부 및 고정부재의 연결지지부들이 수직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단면 2차 모멘트가 상대적으로 크게되어, 석재로 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전달되는 집중하중으로 인한 처짐에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여준다. 한편, 연결부재와 고정부재를 연결 지지해주는 볼트는 타측 연결구멍에 형성된 나사홈에 결합됨으로 시공 도중에 분실이 많은 너트를 필요로하지 않으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된 체크형의 꺽여진 안내홈은 그 홈의 구성상 석재 받침대를 견고하게 지지해 주며, 석재 받침대에 부착된 고무핀들은 상기 석재 받침대가 안내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동 거리를 제한해주며, 시공중 석재가 본 발명 부재에 놓여질 때 충격을 흡수하여 준다. 따라서, 제 5 도 및 제 6 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20개의 석재를 한줄로 시공할 경우, 종래에는 40개의 석재 결합 고정구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은 21개만으로 됨으로, 건축소요 경비를 대폭으로 절감시켜 준다.

Claims (6)

  1. 석재들의 수평줄눈사이에 배치되는 석재 받침대, 건축물 골조부에 매립되는 앵커볼트로 골조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석재 받침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것이 있어서 ; 상기 석재 받침대는 그 타단부에는 석재들의 수평줄눈을 배치할 레일이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 일단부는 판재가 절곡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는 그 타단부 전극면에 안내홈이 뚫려 있어 상기 석재 받침대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그 일단부는 볼트가 측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연결구멍이 뚫려 있고, 상기 연결구멍에 상기 볼트로 함께 결합되는 고정부재는 평판상태에서 그 양측하부들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그 상부는 폭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모양을 가지는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들이 일체로되며, 일측 및 타측 연결지지부에는 연결구멍들이 대칭으로 뚫려지는 형태를 가짐을 특징으로하는 석재부착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판재를 세로 방향으로 벤딩하되 중간부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면을 이루고 그 면의 양 측연부에서 서로 완만하게 절곡되도록 하여 맞닿게 함으로, 그 일단부는 두겹의 판재가 일체가 되도록 하고, 그 타단부는 상기 판재가 완만하게 벌어지게 하여, 응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위는 춤이 크고 석재를 바쳐주는 쪽은 폭이 넓은 형상을 이룸을 특징으로하는 석재부착 고정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안내홈은 연결부재 타단 전면 중심부에 일정한 폭의 구멍이 그 측방향으로 양 연부까지 평행하게 연장되다가 절곡된 면을 따라 체크형으로 절곡되되 타단부 양측이 대칭을 이루며 연장 형성되어 상기 석재 받침대가 그 홈 안에서 견고하며 유동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하는 석재부착 고정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석재 받침대는 좌우 양측 고무핀을 부착시켜 상기 연결부재로부터 측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고, 시공시에는 그 탄성에 의해 석재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을 특징으로하는 석재부착 고정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연결구멍 후면 상부에 상기 연결지지대의 일면에 펀칭을 하여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부착 고정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멍은 타측 연결구멍이 펀칭을 하여 구멍을 뚫되, 연결지지부의 밖앗폭을 약간 돌출시켜 연결구멍부위의 판 두께가 비교적 크게하여, 구멍 내측에 태핑을 하여 암나사를 형성시켜 별도의 너트를 필요로하지 않게함을 특징으로하는 석재부착 고정구.
KR1019910014237A 1991-08-19 1991-08-19 석재부착 고정구 KR950013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237A KR950013882B1 (ko) 1991-08-19 1991-08-19 석재부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4237A KR950013882B1 (ko) 1991-08-19 1991-08-19 석재부착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97A KR930004597A (ko) 1993-03-22
KR950013882B1 true KR950013882B1 (ko) 1995-11-17

Family

ID=19318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237A KR950013882B1 (ko) 1991-08-19 1991-08-19 석재부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3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9888A (ko) * 1997-07-12 1999-02-05 성재갑 콜로니 자극 인자의 안정한 용액 제형
KR102632506B1 (ko) * 2023-04-07 2024-02-05 (주)삼현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앵커 단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97A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24154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取付構造及び太陽電池装置
JP7433141B2 (ja) 取付け装置および連結金具
KR950013882B1 (ko) 석재부착 고정구
EP0104678A1 (en) Bracket for shelf frameworks
US3479071A (en) Connector unit
EP1140685B1 (en) Elevator assembled with fastening bracket(s)
KR102089004B1 (ko) 유격이 방지되는 조립식 테이블
JP6050022B2 (ja) 建築用取付具
CN104818838A (zh) 一种支架及爬梯及脚手架
KR200235678Y1 (ko) 석재 고정구
JP2002338169A (ja) エレベーターの案内レール装置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950002951Y1 (ko) 천정판 고정쇠
CN219158468U (zh) 用于钢结构柱的安装调垂机构、钢结构柱
CN213177591U (zh) 一种显示屏固定结构
CN211289954U (zh) 灯具安装装置
CN219672985U (zh) 一种具有防松功能的浮动接头安装结构
JP2019094650A (ja) 天井下地構造
JPH0849344A (ja) 梁の補強部材
CN111561154B (zh) 一种混凝土用建筑模板快速固定架
CN207536341U (zh) 托盘用的连接支撑体及托盘
CN210507803U (zh) 一种景观建筑张拉式膜结构
KR200488657Y1 (ko) 프레임 조립체용 볼트형캐스터 설치 브라켓
KR20240022795A (ko) 건축물의 외벽마감조립체
JPH0418148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