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895B1 -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895B1
KR950012895B1 KR1019920025913A KR920025913A KR950012895B1 KR 950012895 B1 KR950012895 B1 KR 950012895B1 KR 1019920025913 A KR1019920025913 A KR 1019920025913A KR 920025913 A KR920025913 A KR 920025913A KR 950012895 B1 KR950012895 B1 KR 950012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piston
hydraulic
pinion
inn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807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기아기공
김성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기아기공, 김성웅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기아기공
Priority to KR1019920025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895B1/ko
Publication of KR940013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0Feeding material to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제 1 도는 종래 트랜스퍼장치에 의한 소재 내폭 조정을 설명한 도면.
제 2 도는 종래 트랜스퍼장치에 사용되는 다른 규격의 어태치 형상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를 구성하는 래크 및 피니언 구성도.
제 4 도는 제 3 도와 연결된 소재 내폭 조정장치의 유압장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피드바 2,2' : 어태치
3,4,7 : 래크 5 : 피니언
6 : 피니언기구 8 : 피스톤
8a : 핀공 9 : 유압실린더
10 : 유압기구 11 : 메인프레임
12 : 콘트롤바 13,13' : 핀
14 : 엔코더 15 : 래크
A : 유압장치
본 발명은 다공정 생산용 프레스 작업에 투입 사용되는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공정 생산용 프레스 작업의 경우에 있어서는 다양한 철판(소재)의 가공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철판의 폭에 따라 이를 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장치의 조정이 필요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종래에는 소재의 폭이 크게 달라질 때마다 동일형상의 사용하는 작업에도 불구하고 바(BAR)상에 위치하는 어태치(ATTACH)를 크기가 다른 것으로 수동 교환하여 소재를 들 수 있는 규격으로 맞춰주므로써 소재이송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는 공작물의 크기에 따른 같은 형상으로서의 크기가 다른 여러 종류의 어태치를 구비해야 하는 비경제적인 면과 이를 수동 교환해야하는 번거로움 및 작업능률의 저하요인이 되어왔으며, 또한 프레스내에서 어태치를 교환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문제점도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트랜스퍼장치에 투입되는 소재의 크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동일 어태치(ATTACH)사용시 이를 교환하지 않고 사용이 가능토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평행되게 병설된 피드바(1)(1')상에 소재 클램프용 어태치(2)(2')를 설치하여 철판등과 같은 가공할 소재를 프레스장치에 공급해주는 트랜스퍼장치에 관계되며,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한 트랜스퍼장치를 구성하는 피드바(1)(1')를 내외방향으로 동시 이동시켜 양 피드바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래크 및 피니언기구와 이 래크 및 피니언기구들을 동작시켜 주는 유압장치(A)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 기구들은 ; 피드바(1)(1')의 저면에 설치되어 두 피드바(1)(1')를 내외방향으로 동시 이동시켜주는 래크(3)(4)와 피니언(5)과, 상기 래크(4)에 치합되는 피니언기구(6)와 상기 피니언기구(6)에 연결되는 래크(7)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래크 및 피니언기구들을 동작시켜 주는 유압장치(A)는 ; 상기 래크(7)와 연결되고 핀공(8a)이 천공된 피스톤(8)과 상기 피스톤(8)이 설치되는 유압실린더(9)와 상기 피스톤(8)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기구(10)와 상기 유압실린더(9)와 유압기구(10)를 결합 고정시켜주는 메인 프레임(11) 및 콘트롤바(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압기구(10)에는 2개의 핀(13)(13')이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8)에 천설된 다수개의 핀공(8a)으로 선택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피스톤(8)의 신축거리를 조정하게 된다. 또한, 유압장치(A)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1)에는 엔코더(14)가 장착되어 있어 상기 피스톤(8)과 연결 설치되는 래크(15)의 동작에 따라 어태치(2)(2')의 이동거리가 자동 측정되며 본 엔코딩장치에 의해 유압장치(A)의 구동이 자동제어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 16,16'는 어태치 고정핸들, 17,17'는 고정대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 3 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소재 내폭 조정장치를 구성하는 유압장치(A)의 콘트롤바(12)에 연결되는 크랭크기구(도시생략) 및 유압장치(도시생략)에 의하여 일정 스트록으로 안쪽 바깥쪽으로 움직이면서 소재를 클램프하여 이송시키는 동작은 공지의 트랜스퍼장치와 같다.
그런데 본 장치에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 걸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랜스퍼장치가 갖는 일정거리의 기본 스트록 이외에 피드바(1)(1')를 내외방향으로 크게 움직이게 하는 내폭 조정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송할 철판소재의 크기가 크게 줄어 트랜스퍼장치의 기본 스트록을 가지고도 소재를 클램프할 수 없을 경우, 유압장치(A)를 구성하는 유압실린더(8)에 유압을 가하게 되면 피스톤(8)이 제 4 도의 도면에서 좌측으로 신장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8)에 연결되어 있는 래크(7)도 함께 좌로 아동하게 되고, 이와 피니언기구(6)로 연결되어 있는 래크(4) 또한 좌로 이동하게 되므로 우측의 피드바(1') 및 어태치(2')가 좌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동시에 래크(4)가 좌로 이동하면서 그위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5)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반대편에 치합되어 있는 래크(3)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좌측의 피드바(1) 및 어태치(2)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결국 두 어태치(2)(2')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므로 폭이 좁은 소재를 용이하게 클램프하여 이동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소재를 클램프하는 언클램프하기 위한 기본 스트록크는 변동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기 유압장치(A)의 콘트롤바(12)와 연결 설치되는 크랭크 기구등에 의해 상기 유압장치(A) 및 피스톤(8)에 연결되어 있는 래크(7)의 일체적인 움직임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압장치(A)의 동작에 따라 두 어태치(2)(2')가 내외방향으로 이동할 거리의 측정제어가 엔코더(14)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이는 엔코더(14)에 설치되는 래크(15)의 이동에 의한 이빨수의 측정으로 정확하게 감지되어 원하는 거리만큼만 유압장치(A)가 동작을 하게 되면 바로 유압기구(10)가 작동하여 피스톤(8)을 록크하게 된다. 즉, 피스톤(8)은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임.
한편, 두 어태치(2)(2')의 좁혀진 간격을 넓히고자 할때에는 유압실린더(9)와 삽장되어 있는 피스톤(8)을 후퇴시키면 되는데, 먼저 피스톤(8)을 록크하고 있는 유압기구(10)의 핀(13)(13')을 제거시켜 피스톤(8)의 후퇴 이동이 가능도록 하고 적정거리 이동되면 다시 유압기구(10)를 동작시켜 핀(13)(13')으로써 피스톤(8)을 로크하면 일정폭의 소재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서상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어태치(2)(2')를 클램프 언클램핑할 수 있는 기본 스트록은 그대로 유지시키되 피드바(1)(1')를 내외측 방향으로 별도로 움직이도록 하는 장치인 래크 및 피니언기구와 유압장치로 구성되는 내폭 조정장치를 추가하여 소재의 크기에 구애받음이 없이 어태치를 교환하지 않고 세팅된 어태치(동일형상의 어태치 사용시)로 여러 크기의 소재를 운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어태치 무게를 제작하지 않게 되므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양 어태치간의 내폭 거리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써 안전사고 예방효과를 갖는 신규의 방법인 것이다.

Claims (3)

  1. 평행되게 병설된 피드바(1)(1')상에 소재 클램프용 어태치(2)(2')를 설치하여 이송하는 트랜스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바(1)(1')의 저면에 설치되어 두 피드바(1)(1')를 내외방향으로 동시 이동시켜 주는 래크(3)(4)와 피니언(5), 상기 래크(4)에 치합되는 피니언기구(6), 상기 피니언기구(6)에 연결되는 래크(7), 상기 래크(7)와 연결되고 핀공(8a)이 천공된 피스톤(8)과 상기 피스톤(8)이 설치되는 유압실린더(9)와 상기 피스톤(8)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압기구(10)와 상기 유압실린더(9)와 유압기구(10)를 결합 고정시켜주는 메인 프레임(11) 및 콘트롤바(12)로 구성되는 유압장치(A)를 구비시켜서 소재의 크기변화에 따른 양어태치(2)(2')의 간격조정이 가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11)에 설치되어 피스톤(8)의 작동을 제어하는 유압기구(10)를 구성하되, 2개의 핀(13)(13')을 구비시켜 상기 피스톤(8)에 천설된 다수개의 핀공(8a)에 삽입되도록 하여 피스톤(8)의 신축거리를 조정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유압장치(A)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11)에 엔코더(14)를 장착하여 상기 피스톤(8)과 연결 설치된 래크(15)의 동작에 따라 어태치(2)(2')의 이동거리가 측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KR1019920025913A 1992-12-28 1992-12-28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KR950012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913A KR950012895B1 (ko) 1992-12-28 1992-12-28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913A KR950012895B1 (ko) 1992-12-28 1992-12-28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807A KR940013807A (ko) 1994-07-16
KR950012895B1 true KR950012895B1 (ko) 1995-10-23

Family

ID=19347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913A KR950012895B1 (ko) 1992-12-28 1992-12-28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89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807A (ko) 1994-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8620A (en) Tool fastening means for a press
US2467740A (en) Step-by-step feeding device
CA1056296A (en) Punch press with c-shaped frame
DE2813136C3 (de) Bogentrageinrichtung, die axial und in Umfangsrichtung verstellbar auf einer Überführtrommel angeordnet ist
KR950012895B1 (ko) 트랜스퍼장치의 소재 내폭 조정장치
KR100288084B1 (ko) 프레스재단기 및 재단용 칼형틀
ITRE20000111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e bloccaggio dell'utensile nelle pressepiegatrici di lamiera
DE3705235C2 (ko)
DE69729564T2 (de) Einrichtung zur automatischen ausführung von aufgaben in der leiterplatten-herstellung
EP0368297B1 (en) Upper metal mold clamp device in a tire vulcanizing machine
JPS60135257A (ja) 枚葉紙印刷機において用いられる枚葉紙案内装置
US5333671A (en) Thickness adjustable mold for continuous casting
EP0188705B1 (de) Funkenerosionsmaschine mit feststehendem Maschinentisch und absenkbarem Arbeitsbehälter für das Dielektrikum
GB2130516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gripper feed systems
DE19941925B4 (de) Verstellplatte für eine Presse
ITVE980006A1 (it) Alimentatore perfezionato di nastro di lamiera
CN210001103U (zh) 导向微调机构
SU747737A1 (ru) "Пресс
EP0183117A1 (de) Positioniervorrichtung für Werkstücke auf einem Tragelement
DE4331459A1 (de) Aufspannvorrichtung für eine Blasformmaschine
US6588815B1 (en) Transfer press embodying a piston-cylinder assembly to effect gripping activity
CN211054664U (zh) 一种模切烫金机的新型推规机构
CN209850126U (zh) 减速机齿轮激光打标机的挡料机构
DE60121503T3 (de) Farbvorrichtung für eine Rotationsdruckmaschine
EP1257417B1 (en) Printing bridge for silk-screen print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