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676B1 -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676B1
KR950012676B1 KR1019930024938A KR930024938A KR950012676B1 KR 950012676 B1 KR950012676 B1 KR 950012676B1 KR 1019930024938 A KR1019930024938 A KR 1019930024938A KR 930024938 A KR930024938 A KR 930024938A KR 950012676 B1 KR950012676 B1 KR 95001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team
water
chamber
stea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416A (ko
Inventor
곽호환
Original Assignee
동서기계공업주식회사
곽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기계공업주식회사, 곽호환 filed Critical 동서기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4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676B1/ko
Publication of KR950014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700/00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e.g. bleaching, dyeing, mercerising, impregnating, washing; Fulling of fabrics
    • D06B2700/36Devices or methods for dyeing, washing or bleac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연속확포식 수세기의 구조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제 3 도는 분사관과 원단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 20 : 증기타워
22 : 고온수분사관 24 : 증기실
26 : 증기분사관 28 : 냉각수분사관
30 : 냉각수탱크 36 : 이송속도조절기구
R, r : 롤러 T : 직물원단
본 발명은 직물원단의 수세공정의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증기팽윤장치(Steamer)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는 직물원단의 염색, 날염이나 표백정련등의 가공공정의 일부를 이루는 수세공정의 전단계에서 직물을 증기처리하여 팽윤시킨 후 급속 냉각시킴으로써 원단과 불순물간의 온도수축율의 차이에 따라 원단과 불순물의 분리를 촉진시켜서 수세효과를 한층 높이면서 아울러 수세장치의 설치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증기팽윤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직물원단의 수세공정에 사용되는 수세장치는, 예를들면,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속확포식 수세기가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수세기는 원단이 단지 세척수를 통과하는 것에 불과하여 대체로 수세효과가 낮으며, 원하는 수세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단위베드를 여러단으로 중첩해서 배열해야 하므로 장치의 설치에 큰 스패이스가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들은 원단이 수많은 이송롤러를 통과하기 때문에 원단이 이들 롤러로부터 반복적으로 장력을 받아서 제직상태의 균일성이 손상되고 최종가공후에는 원단의 구김이나 수축신장 또는 염색불량등의 원인이 되어 결과적으로 원단의 품질을 저하시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종래의 수세방식은 세척수의 사용량이 과다하여 비경제적이며 세척수의 처리나 환경오염방지에 어려움을 준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수세기 또는 수세방법이 지닌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수세효과를 높이면서도 장치의 크기를 줄여서 설치스페이스를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처리된 직물원단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수세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에 있어서, 가이드롤러를 통해 이송된 직물원단에 고온수를 분사시키고, 이어서 상기 직물원단을 증기실 내로 도입하여 고온의 수증기를 직접 분리시키면서 증기실의 수증기 분위기 속을 통과시키고, 증기실을 빠져나온 직물원단에 저온수를 분사시켜서 급속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롤러 또는 직물가이드로 이루어진 직물이송기구와, 직물원단이 통과되는 증기실을 구비한 직립한 증기타워와, 상기 증기타워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수탱크와, 상기 증기실의 입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직물원단에 고온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고온수분사부와, 상기 증기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직물원단에 직접 수증기를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증기분사부와, 상기 증기실의 출구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실을 빠져나온 직물원단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냉각수분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증기팽윤방법을 실시하는데 적합한 증기팽윤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면중 번호 10은 통상적인 직물가이드이고, r은 통상적인 직물이송용 롤러이다. 가이드(10)와 롤러(r)를 통해 이송된 직물원단은 직립한 증기타워(20)의 하부 입구로 도입된다. 증기타워(20)는 격막(21)에 의해 구획되어 원단이 도입되어 상승되는 전반부와 원단이 하강되어 배출되는 후반부로 구성된다. 증기타워(20) 하부의 입구와, 증기타워(20)의 상부의 격막(21)의 위쪽, 및 증기타워(20)의 출구에 소정개소에는 직물이송용 가이드 롤러(R1,R2,R3)가 구비된다. 출구측 가이드롤러(R3)는 증기타워(20)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수탱크(30)에 저류된 냉각수의 수면(W)하에 위치된다.
한편, 증기타워(20)는 전반부의 입구벽(31)과 후반부의 출구벽(32)에 의해 구회되는 증기실(24)을 구성하고 있다. 증기실(24)의 입구벽(31)의 외부 전방에는 직물원단(T)을 사이에 두고 대향배치된 한쌍의 고온수분사관(22)으로 이루어지는 고온수분사부가 구비된다. 상기 고온수분사판(22)은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사이로 통과하는 직물원단(T)을 향하여 개방된 다수의 분사노즐(23)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증기실(24)의 전반부에는 통과되는 원단의 양측에 배치된 증기분사관(26)이 구비된다. 번호 33는 증기실(24) 내부를 모니터할 수 있도록 된 투시창이다. 증기실(24)의 출구벽(32)의 외부 아래쪽에는 저온의 냉각수를 원단에 분사하도록 대향배치된 냉각수분사관(28)이 배치된다. 상기 증기분사관(26)과 냉각수분사관(28)에는 역시 원단을 향해 개방된 도시안된 복수의 분사노즐이 구비된다. 번호 36은 원단의 장력에 따라 원단의 이송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된 이송속도 조절기구로서 원단의 장력변화에 따라 회동롤러(R4)가 상하이동하면 도시안된 구동모터의 전력제어유닛에 의해 이송롤러의 회전속도를 피드백제어하게 된다. 번호 38은 이송속도조절기구(36)의 진동방지용 유압실린더이다. 분사된 고온수나 냉각수, 또는 분사된 수증기의 응축수는 냉각수탱크(30)로 흘러 저류되고 도시안된 재순환기구에 의해 다시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증기타워(20)는 적절한 단열재등으로 보온처리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염색이나 날염, 표백정련의 전후단계, 기타 특수한 섬유가공공정을 거치면서, 염료, 호료(paste), 기름때 기타 처리약제등의 불순물이 함유된 원단이 그대로 수세공정에 들어가기 전에 본 발명에서와 같이 대략 50℃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고온의 물을 일차 분사시키고 이어서 증기실로 도입하여 고온의 수증기에 직접 쪼이므로써 증기처리하면 원단과 이에 부착된 불순물이 함께 충분히 팽윤되게 된다.이와같이 팽윤된 불순물을 포함한 원단이 증기실 밖으로 나온 후에 저온의 냉각수를 분사시켜서 급속히 냉각시킨다. 일반적으로 냉각수에 담그는 것보다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것이 냉각속도가 더 빠르다. 여기서 냉각수의 온도는 처리되는 원단의 종류나 가공목적등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20℃ 내지 30℃의 저온수가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팽윤 및 이에 이어지는 급랭단계를 거치면서 원단과 이에 부착된 호료, 염료등의 불순물의 상대적인 온도수축율의 차이에 의하여 원단과 불순물의 부착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불순물이 원단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와같이 원단과 호료등의 불순물의 냉각시의 수축율의 차이에 의해 원단으로부터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전처리한 후에 본래의 수세공정으로 도입시킨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원단을 증기로 충분히 팽윤시킨후 급속냉각시켜서 수세처리하는 것은 종래와 같이 단순히 원단을 세척수에 담그어서 통과시키는 것에 비해 수세효과가 현저히 개선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큰 스페이스의 수세공정라인이 필요없게 되고 처리속도도 고속으로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와 같이 증기실을 수직으로 직립배열함으로써 장치의 설치면적을 더욱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수세를 위한 물의사용량도 줄일 수 있으며, 처리해야 할 공장폐수의 양도 감소된다는 점에서 경제적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청구범위에 의해서 특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당해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에 의해 부분적인 변형이나 수정이 되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을 그대로 내포하면서 롤러등의 원단이송기구나 증기실의 배열방식, 증기분사구나 물분사구의 설치위치나 갯수등이 다소 변경되더라도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 포함되게 될 것이다.

Claims (2)

  1.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에 있어서, 직물원단에 고온수를 분사시키고, 이어서 상기 직물원단을 증기실 내로 도입하여 고온의 수증기를 직접 분사시키면서 증기실의 수증기 분위기 속을 통과시키고, 증기실을 빠져나온 직물원단에 저온수를 분사시켜서 급속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2.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장치에 있어서, 복수개의 롤러 또는 직물가이드로 이루어진 직물이송기구와, 직물원단이 통과되는 증기실을 구비한 직립한 증기타워와, 상기 증기타워의 하부에 설치된 냉각수탱크와, 상기 증기실의 입구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직물원단에 고온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고온수분사부와, 상기 증기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직물원단에 직접 수증기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증기분사부와, 상기 증기실의 출구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실을 빠져나온 직물원단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을 구비한 냉각수분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 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장치.
KR1019930024938A 1993-11-23 1993-11-23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KR95001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938A KR950012676B1 (ko) 1993-11-23 1993-11-23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938A KR950012676B1 (ko) 1993-11-23 1993-11-23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16A KR950014416A (ko) 1995-06-16
KR950012676B1 true KR950012676B1 (ko) 1995-10-20

Family

ID=1936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938A KR950012676B1 (ko) 1993-11-23 1993-11-23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6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416A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1102A (en) Spray dyeing pile fabrics
KR101580673B1 (ko) 스판원단 주름방지 장치
US4004879A (en) Process for wet treatment of travelling webs
US3906596A (en) Combined sieve drum and tentering apparatus
US3918111A (en) Yarn heat treating process
CN114197221A (zh) 一种成衣染色工艺
KR950012676B1 (ko) 직물수세 전처리용 증기팽윤방법 및 장치
US4182140A (en) Cloth cleaning method with steaming and liquid flow and an apparatus therefor
US4888840A (en) Method for mercerizing textile fabric web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4104753A (en) Processes and apparatus for the batch wet treatment of textile material
KR100340010B1 (ko)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US4614096A (en) System for the continuous and open-width washing of a fabric
US4571962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liquid treatment of a cloth
JPH042858A (ja) 布帛の洗浄装置
JPH0321213B2 (ko)
US4711102A (en) Wet heat treating apparatus of a cloth for performing dyeing and washing in combination
KR940004383B1 (ko) 섬유원단의 정련 및 수축방법과 그 장치
KR200192563Y1 (ko)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GB2069554A (en) Treatment of Textile Products
US436424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et-heat treating a knitted fabric
KR950012675B1 (ko) 직물원단의 분사식 수세방법 및 장치
US4742589A (en) Method for continuous liquid treatment of a cloth
JP2710247B2 (ja) ロープ状繊維製品の気流式処理装置
JPS602765A (ja) 布帛への処理液含浸槽
JPS612330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