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171B1 -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171B1
KR950012171B1 KR1019930020179A KR930020179A KR950012171B1 KR 950012171 B1 KR950012171 B1 KR 950012171B1 KR 1019930020179 A KR1019930020179 A KR 1019930020179A KR 930020179 A KR930020179 A KR 930020179A KR 950012171 B1 KR950012171 B1 KR 950012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acuum cleaner
main body
electric blow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786A (ko
Inventor
이진방
이남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0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2171B1/ko
Priority to US08/254,078 priority patent/US5596236A/en
Priority to CN94108888A priority patent/CN1041672C/zh
Priority to JP6124861A priority patent/JPH07163114A/ja
Priority to TW083105203A priority patent/TW254010B/zh
Publication of KR95000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제1도는 종래의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조립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4도의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의 의하여 형성되는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가 본체에 결합될때 배터리를 지지하는 배터리 지지구조 부분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9도는 제8도의 착탈식 배터리의 조립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에서 블록 다이아그램으로 나타낸 충전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가 청소기 본체에 결합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청소기 본체 2 : 분리벽
3 : 집진실 4 : 전동송풍실
5 : 먼지봉투 6 : 전동송풍기
7 : 전동모터 11 : 슬릿
12 : 돌기 돌출구 13 : 배터리 연결단자
21 : 직류/교류 절환스위치 22 : 돌기
23 : 상부 케이스 24 : 상부 고정단자판
25 : 하부 케이스 26 : 하부 고정단자판
27 : 이동단자판 28 : 돌기구
31 : 지지구조 32 : 바퀴
33 : 힌지고정구 34 : 경사면
41 : 착탈식 배터리 42 : 충전회로
43 : 축전지 44 : 손잡이
45 : 고정자 46 : 단자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가정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유선과 무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전원 코드로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코드 길이의 한계 및 전원 콘센트 위치의 한계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소형의 코드리스(cordless) 청소기가 개발, 시판되고 있으나 그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충전식 직류 밧데리(흡입용 직류 또는 유니버설 팬 모터 구동용)의 특성상 단위 셀 당 전지전압은 일반적으로 2.0내지 3.0V로 낮은 전압 밖에는 얻을 수 없으며 밧데리 전압을 높이기 위해서는 밧데리 크기를 크게 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흡입 팬 모터는 일반적으로 직· 교류 겸용인 유니버설 모터를 사용하는 바 직·교류겸용 개념인 유·무선 겸용화를 시킬 수 있는 여지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가정용 교류 전원(100V 내지 220V)과 동일한 수준 또는 그 이하의 밧데리 전원을 얻기 위하여서는 많은 수의 단위 셀을 연결한 밧데리가 필요하며 이는 밧데리 크기 증가를 유발시킬 수밖에 없었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코드를 사용하는 청소기(일반적으로 220V)와 무선으로 사용하는 청소기(일반적으로 12V 이하)는 각각 그 특성에 맞는 정격 전압의 모터를 구성하여 전용화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출원인에 의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10258호로 고전압/저전압 정격 유니버설 모터에 관한 특허출원을 하였으며, 또한 상기 고전압/저전압 정격 유니버설 모터를 사용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를 역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13724호로 특허출원하였으며, 이를 제1도로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절한 기계식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 역시 본 출원인에 동일자로 출원되어 공동계류중인 특허출원 제93-15531호(발명의 명칭 :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에 기술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제2도에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에서 이들을 참고로 인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는 무선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서의 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청소기 본체내에 내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터리는 부피가 크고 무겁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청소기의 본체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무선 사용시의 전원으로서 사용되어지는 배터리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선과 무선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분리벽으로 구획하여 집진실과 전동송풍실로 구분하고, 상기 집진실내에 먼지봉투가 착설되고, 상기 전동송풍실내에 전동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송풍기가 착설되며, 상기 전동송풍기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전동송풍실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집진실에 진공이 발생되어 먼지 등을 흡입하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실의 전동모터가 직류와 교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모터이고, 상기 본체의 후부 외면에 배터리가 착탈될 수 있는 좁고 긴 형태의 슬릿으로 된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구조의 슬릿중 중앙에 형성된 슬릿의 중간에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의 돌기가 돌출되는 돌기 돌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조의 하단부에는 배터리 연결단자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후부 내측면에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가 착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착탈식 배터리를 지지하는 바퀴달린 지지구조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손잡이가 달린 케이스내에 출전회로와 축전지가 구비된 출전식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식 배터리가 상기 본체의 후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길 배터리의 착탈에 의하여 직류와 교류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이햐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의 설명]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의 내부공간을 분리벽(2)으로 구획하여 집진실(3)과 전동송풍실(4)로 구분하고, 상기 집진실(3)내에 먼지봉투(5)가 착설되고, 상기 전동송풍실(4)내에 전동모터(7)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송풍기(6)가 착설되며, 상기 전동송풍기(6)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전동송풍실(4)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집진실(3)에 진공이 발생되어 먼지등을 흡입하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송풍실(4)의 전동모터(7)가 직류와 교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모터(7)이고, 상기 본체(1)의 후부 외면에 배터리(41)가 착탈될 수 있는 좁고 긴 형태의 슬릿(11)으로 된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구조의 슬릿(11)중 중앙에 형성된 슬릿(11)의 중간에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의 돌기(22)가 돌출되는 돌기 돌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조의 하단부에는 배터리 연결단자(1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후부 내측면에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가 착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하단부에는 착탈식 배터리(41)를 지지하는 바퀴(32)달린 지지구조(31)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손잡이(44)가 달린 케이스내에 충전회로(42)와 축전지(43)가 구비된 충전식 배터리(41)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착탈식 배터리(41)가 상기 본체(1)의 후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배터리(41)의 착탈에 의하여 직류와 교류를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유니버설 모터(7)는 본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3-10258호에 기술된 것으로서, 상기 유니버설 모터(7)는 아마츄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 하부 정류자가 결합되고, 그 상, 하부 정류자 각각의 양측에 브러쉬가 결합되며, 상기 아마유어의 슬롯에 삽입 권회되는 아마츄어 권선이 상기 상, 하 정류자에 각각 결선되는 제 1 아마츄어 권선과 제2 아마츄어 권선으로 분리되어 권회되고, 상기 하부 정류자의 일측 브러쉬와 상기 상부 정류자의 타측 브러쉬가 일측 및 타측 고정자 권선에 각각 연결되며, 스위칭부를 통하여 고전압 사용시에 각 권선들이 직렬연결되게 하고, 저전압 사용시에 병렬연결되게 구성하므로써 고전압인 가정용 교류전원과 저전압인 직류 밧데리 전원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 착탈구조는 상기 본체(1)의 후부의 외면에 형성된 구조로서, 본체(1)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두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 이상의 좁고 긴 슬릿(11)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슬릿(11)의 양단에는 배터리 고정용 리브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슬릿(11)내로 배터리(41)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슬릿(11)보다 약간 작은 규격의 "T"자형의 고정자(45)가 삽입되어 배터리(41) 자체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슬릿(11)의 갯수가 2개 미만 즉, 1개일 경우에는 배터리(41)의 중량 및 부피로 인하여 배터리(41)가 청소기 본체(1)의 후부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청소기 이동시 흔들리게 되어 상기 본체(1)내의 전동모터(7)와 직류전원으로서의 배터리(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46)가 완전히 연결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슬릿(11)의 갯수가 3개를 초과 즉, 4개 이상인 경우에는 청소기 본체(1)의 후부의 협소한 면적으로 인하여 슬릿(11)자체의 유효한 크기를 확보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불필요하게 과다한 슬릿(11)의 형성으로 인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결합에도 불편하다.
상기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의 돌기(22)가 돌출되는 구멍은 상기 결합구조의 슬릿(11)중 중앙에 형성된 슬릿(11)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의 돌기(22)가 돌출가능하도록하여 착탈식 배터리(41)가 부착되는 경우에는 배터리(41)의 케이스가 상기 돌기(22)를 내측으로 밀어넣어주므로써 직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착탈식 배터리(41)가 이탈되는 경우에는 상기 돌기(22)를 눌러주던 배터리 케이스가 제거되므로써 돌기(22)가 돌출되어 교류전원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의 돌기(22)가 이동가능한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조의 하단부에는 상기 결합구조를 통하여 결합되는 착탈식 배터리(41)에 형성된 단자(4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13)가 고정되어 있어, 착탈식 배터리(41)가 청소기 본체(1)의 후부에 결합되는 경우 이 단자(46)와 본체(1)의 단자(13)를 통하여 상기 본체(1)내의 전동모터(7)와 착탈식 배터리(41)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주므로써, 배터리(41)를 전동모터(7)의 직류전원으로 사용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는 상기 본체(1)의 후부 내측면에 착설되어 있다.
이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를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하였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된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는 각각 4개의 접점을 갖는 고정단자판(24, 26)이 고정된 상부 케이스(23) 및 하부 케이스(25), 상기 상부 케이스(23)와 하부 케이스의 중간에 일측단부가 고정되고 타측단부가 이동가능하도록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는, 4개의 접점을 갖는 이동단자판(27), 상기 이동단자판(27)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단자판(27)에 고정되는 돌기(22) 및 상기 돌기(22)가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상부 케이스(23)에 형성된 돌기구(28)로 이루어진다.
제4도에 상기 상부 케이스(23)와 하부 케이스 및 그 안에 고정되는 고정단자판(24, 26)을 도시하였다. 이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4개의 접점중 2개의 접점은 교류전원과 연결되고, 나머지 2개의 접점은 전선과 같은 전기적 도체에 의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케이스 역시 4개의 접점중 각각 2개씩의 접점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지며, 이들 서로 연결된 각 접점쌍들이 직류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22)의 상기 상부 및 하부 케이스의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우징에 압출되는 상태에 따른 전기적 연결상태를 제5도에 도시하였다.
제5a도는 상기 돌기(22)가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이동단자판(27)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이동단자판(27)의 접점들이 상기 상부 케이스(23)에 고정된 고정단자판(24)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5b도는 상기 돌기(22)가 외부로부터 압력을 받아 약간 눌려져서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이동단자판(27)의 접점들이 상기 상부 케이스(23)에 고정된 고정단자판(2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단락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5c도는 상기 돌기(22)가 하우징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져서 상기 이동단자판(27)의 접점들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단자판(26)과 전기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에 의하여 형성되는 회로를 제6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상부 케이스(23)에 고정된 고정단자판(24)은 교류전원과 연결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단자판(26)은 직류전원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기(22)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 즉, 착탈식 배터리(41)가 이탈된 상태에서는 바로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동모터(7) 즉, 유니버설모터(7)에 직렬로 교류전원을 인가하여 고전압 상태에서 구동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돌기(22)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 즉, 착탈식 배터리(41)가 본체(1)의 후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결합된 배터리(41)로부터 전동모터(7) 즉, 유니버설 모터(7)에 병렬로 직류전원을 인가하여 저전압 상태에서 구동하도록 한다.
제7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배터리(41)를 지지하는 바퀴(32)달린 지지구조(31)는 상기 본체(1) 후부의 하단부에 별도로 형성되어지며, 이 지지구조(31)는 힌지고정구(33)와 경사면(34) 그리고 바퀴(32)를 갖는 판상의 구조체로서, 상기 힌지고정구(33)가 일측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본체(1)의 후부 하단부에 힌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지고, 그 타측단부에는 경사면(34)이 형성되어 있어 배터리(41)가 상기 결합구조를 통하여 하강될때 배터리(41)의 하부면과 접촉하는 경우 그 경사에 의하여 지지구조(31) 자체가 바닥쪽으로 하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경사면(34)이 형성된 단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지지구조(31)가 바닥에 접촉할 때 바닥과의 마찰을 줄여 청소기 본체(1)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바퀴(32)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7도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힌지고정부에는 비틀림 스프링의 일측이 청소기 본체에 고정되어지고, 그 타측이 지지구조에 고정되어 상기 착탈식 배터리가 청소기 본체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상기 지지구조를 상부로 이동시켜 항상 청소기 후부 외면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식 배터리(41)는 손잡이 (44)가 달린 케이스내에 충전회로(42)와 충전 가능한 축전지(43)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청소기 본체(1)의 후부외면에 형성된 좁고 긴 형태의 슬릿(11)으로 된 결합구조와 결합할 수 있는 "T"자형의 고정자(45)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고정자(45)의 하단부에는 상기 축전지(43)의 출력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자(46)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착탈식 배터리(41)가 청소기 본체(1)의 후부 외면에 형성된 결합구조와 결합하는 경우 청소기 본체(1)내의 전동모터(7)와 배터리(41)의 축전지(43)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손잡이(44)는 상기 착탈식 배터리(41)를 청소기 본체(1)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분리하고자 할때 배터리(41)를 파지하기에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제9도에서 블록 다이아그램으로 표시한 충전회로(42)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지는 충전회로(42)로서,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이를 직류로 변환시켜 축전지(43)에 충전하는 회로이며, 이러한 회전회로(42)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충전회로(42)를 제10도에 별도로 도시하였다. 제10도에 도시한 충전회로(42)를 사용하여 축전지(43)를 충전하는 경우, 충전회로(42)에 의한 밧데리의 충전시 충전시간(T)은
여기에서 Cdls는 충전전의 방전량이고, Io는 평균 초기전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가 단지 상기한 바와 같은 충전회로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적절한 다른 형태의 충전회로를 선택하는 것 또한 가능함은 자명하다.
제11도에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를 청소기 본체의 후부에 부착시킨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착탈식 배터리를 청소기 본체에 착탈시키므로써 부착시에는 배터리내의 축전지를 직류전원으로 사용하고, 또한 이탈시에는 코드릴을 사용하여 교류전원으로 사용하므로써 유선과 무선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에 따른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1)의 후부에 배터리를 착탈할 수 있는 결합구조와 상기 결합구조와 결합되어 본체(1)에 고정되어지는 고정자(45)를 갖는 배터리(41)를 사용하여 단지 배터리(41)를 착탈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유선 청소기와 무선 청소기로 사용가능하게 된다.
즉, 착탈식 배터리(41)를 청소기 본체(1)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에는 직류전원이 없는 종래의 청소기와 동일한 상태가 되어 바로 코드릴에 감겨진 코드를 사용하여 가정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본체(1)내의 전동모터(7) 즉, 유니버설 모터(7)를 고전압 상태로 구동하여 강력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청소를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충전된 착탈식 배터리(41)를 청소기 본체(1)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직류전원 즉, 종래의 배터리가 내장된 무선 진공청소기와 동일한 상태가 되어 상기 배터리(41)의 직류전원으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본체(1)내의 전동모터(7) 즉, 유니버설 모터(7)를 저전압 상태로 구동하여 전선이 닿지 않는 임의의 위치에서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전압 상태에서는 전원과 전동모터(7)가 직렬로 연결되고, 저전압 상태에서는 전원과 전동모터(7)가 병렬로 연결되므로 전동모터(7)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송풍기(6)에서 발생하는 진공상태는 청소하기에 충분하다. 더우기, 상기 착탈식 배터리(41)는 배터리(41)를 이루는 케이스내에 충전회로(42)가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기를 직접 코드를 사용하여 청소하고 있는 동안에도 별도의 가졍용 콘센트에 연결하여 배터리(41) 부분만을 충전시킬 수 있어 청소기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변경이나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이나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되어져야 한다.

Claims (3)

  1. 청소기 본체(1)의 내부공간을 분리벽(2)으로 구획하여 집진실(3)과 전동송풍실(4)로 구분하고, 상기 집진실(3)내에 먼지봉투(5)가 착설되고, 상기 전동송풍실(4)내에 전동모터(7)에 의하여 구동되는 전동송풍기(6)가 착설되며, 상기 전동송풍기(6)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전동송풍실(4)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집진실(3)에 진공이 발생되어 먼지 등을 흡입하도록 구성된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전동송풍실(4)의 전동모터(7)가 직류와 교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니버설 모터(7)이고, 상기 본체(1)의 후부 외면에 배터리(41)가 착탈될 수 있는 좁고 긴 형태의 슬릿(11)으로 된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구조의 슬릿(11)중 중앙에 형성된 슬릿(11)의 중간에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의 돌기(22)가 돌출되는 돌기 돌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구조의 하단부에는 배터리 연결단자(13)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후부 내측면에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21)가 착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하단부에는 착탈식 배터리(41)를 지지하는 바퀴(32)달린 지지구조(31)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손잡이(44)가 달린 케이스내에 충전회로(42)와 축전지(43)가 구비된 충전식 배터리(41)로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조가 2개 내지 3개의 슬릿(1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가 힌지고정구(33)와 경사면(34) 그리고 바튀(32)를 더욱 포함하는 판상의 구조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배터리(41)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KR1019930020179A 1993-06-07 1993-09-28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KR950012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179A KR950012171B1 (ko) 1993-09-28 1993-09-28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US08/254,078 US5596236A (en) 1993-06-07 1994-06-06 Motor capable of using high or low voltage
CN94108888A CN1041672C (zh) 1993-06-07 1994-06-06 可使用高电压或低电压的电动机
JP6124861A JPH07163114A (ja) 1993-06-07 1994-06-07 高電圧/低電圧兼用モーター
TW083105203A TW254010B (ko) 1993-06-07 1994-06-08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0179A KR950012171B1 (ko) 1993-09-28 1993-09-28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786A KR950007786A (ko) 1995-04-15
KR950012171B1 true KR950012171B1 (ko) 1995-10-14

Family

ID=19364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0179A KR950012171B1 (ko) 1993-06-07 1993-09-28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21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786A (ko) 199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0701A (en) Rechargeable cordless vacuum cleaner apparatus
JP2001321310A (ja) 電気掃除機
US4947514A (en) Internal contact for a charging circuit
JP2001112681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KR950012171B1 (ko) 착탈식 배터리가 구비된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JPS635719A (ja) 電気掃除機
CN110754994A (zh) 杆式吸尘器及吸尘器收纳座
CN102058349A (zh) 用于吸尘器的毛刷附件
JP3277541B2 (ja) 電気掃除機
JP2002034874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CN220045779U (zh) 可更换式清洁附件供电系统
CN2277737Y (zh) 吸尘器
KR950012170B1 (ko) 유.무선 겸용 진공청소기
KR100408790B1 (ko) 직류교류 겸용 진공 청소기
JP2004248439A (ja) 高電圧/低電圧兼用モーター及びこれを装着した真空掃除機
JPH0824187A (ja) 充交両用電気掃除機
KR100401596B1 (ko) 전기청소기
CN211324719U (zh) 杆式吸尘器及吸尘器收纳座
JP2001321309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JP2002034862A (ja) 電気掃除機
JP200312599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2000189367A (ja) 充電式電気掃除機
KR0125800B1 (ko) 직류/교류 절환 스위치
KR950006889B1 (ko) 흑판 분필가루 자동청소기
JP2002034864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