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246B1 - 화학전지용 벤트라이너와 덮개구조물 - Google Patents

화학전지용 벤트라이너와 덮개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246B1
KR950011246B1 KR1019870006689A KR870006689A KR950011246B1 KR 950011246 B1 KR950011246 B1 KR 950011246B1 KR 1019870006689 A KR1019870006689 A KR 1019870006689A KR 870006689 A KR870006689 A KR 870006689A KR 950011246 B1 KR950011246 B1 KR 95001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ntliner
cell
sealing
orif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216A (ko
Inventor
다글러스 아이어스 알란
앤드루 웨스너 존
Original Assignee
에버레디 배터리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
에이. 이. 포스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버레디 배터리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 에이. 이. 포스만 filed Critical 에버레디 배터리 컴패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90001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14Cell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7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66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 H01M50/171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ethods of assembling casings with lids using adhesives or sealing ag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20Pressure-sensitive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Prim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학전지용 벤트라이너와 덮개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화학전지의 수직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의 수평단면도.
제3도는 전지덮개와 전지의 벤트라이너를 상세히 나타내는 제1도에 보여진 전기화학전지의 전지덮개와 전지용기의 확대 수직단면도.
제4a도,제4b도 및 제4d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전지내에 사용될 수 있는 양극 스프링 집전체 의한 형태에 대한 각각 평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
제4c도는 제4a도,제4b도 및 제4d도에 보여진 스프링 집전체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원료.
제5a도-제5f도는 제조단계시의 전지덮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원통형 전지용기 3 : 음극
4 : 음극 집전의판 6 : 분리기 라이너
10 : 바닥분리기, 디스크 12 : 양극
14,20 : 원통형 환상부재 15,17 : 뒷댐판
16,18,22,24 : 평평한 끝면 25 : 벤트라이너 오리피스
26 : 축방향 공동 28 : 스프링 스트립
29 : 벤트라이너 40 : 전지덮개
52 : 절연가스켓 56 : 볼, 밀봉부재
60 : 원형의 덮개오리피스 70 : 벤트라이너 격납부분
72,77 : 지지레지 74 : 밀봉웰
76 : 둥근 격납부 쇼울더 80 : 환상 캡부분
90 : 덮개플랜지 401 : 한상죔 디스크
420 : 스프링 집전조립체
본 발명은 비수용성 액상 옥시할로겐화물 전지와 같은 화학전지용의 안전하고, 재밀봉될 수 없는(non-resealable) 벤트클로우저(vent closur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전지용 벤트라이너(vent liner)와 전지덮개에 관한 것이다.
신뢰성 있고 오래 사용될 수 있는 전지 또는 축전지가 테이프레코더 재생기, 무선송신기 및 수신기와 같은 휴대용 전력장치를 위해서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장치용 전기화학전지 시스템은 높은 에너지밀도의 비수용성 액체 음극재료와, 종종 음극-전해질이라 일컬어지는 적절한 염과 함께 리튬, 나트륨과 같은 반응성이 큰 양극재료를 사용하여 오랜 수명을 제공한다.
화학전지는 전형적으로 누출에 의한 전해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서 밀봉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반응성이 큰 옥시할로겐화물 또는 할로겐화물 음극-전해질을 사용하는 비수용성 액체 음극전지의 경우에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액체의 누출 또는 이들 반응생성물은 전지를 사용하는 장치 또는 전지가 저장되는 각 막 또는 저장소의 표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어떤 작동조건에서는 이러한 액체 음극전지의 내압이 현저하게 증가될 수 있다. 이 압력은 화염과 같은 외부 원인 또는 충전 동안에 발생하는 열과 같은 내부의 원인에 기인한다. 어떤 상황에서는 양극은 녹아서 격렬하게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액체 음극과 직접 반응한다. 알칼리-아연전지, 탄소-아연전지 등과 같은 화학전지의 경우에, 이러한 전지는 사용조건하에서 다량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전술한 전지중의 어느 전지가 영구 밀봉된다면, 전지내의 내압이 증대되어 전지용기가 새거나 부풀어 오르거나 또는 파괴될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재산 및/또는 인명손실이 초래될 것이다.
그러므로 전지는 통상작동조건에서는 밀봉상태로 유지되나, 전지내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증가했을 때 열리도록 설계된 화학전지용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리튬 양극을 사용하는 액체 음극전지의 경우에, 리튬이 녹아서 액체 음극과 직접 반응하기 전에 벤트가 열려야만 한다. 배출시, 대부분의 액체 음극재료가 제거되어 양극과의 반응에 이용될 수 없다. 리튬-옥시할로겐화물 전지에 앞서 사용된 한 형태의 벤트조립체는 전지 덮개의 오리피스내에 끼어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같은 재료의 벤트라이너와 전지를 밀봉하기 위해서 라이너의 오리피스에 끼워진 유리공과 같은 밀봉부재로 되어 있다.
전지내에 예정된 압력이 되면, 밀봉부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벤트라이너 오리피스로부터 방출되어, 대기로의 지속적인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벤트조립체를 제조할 때, 전형적으로 오리피스는 전지덮개에 구멍을 뚫어서 만들어진다. 그리고나서, 라이너가 전지덮개 오리피스에 끼워진다. 라이너는 라이너가 전지덮개 오리피스에 끼워졌을 때 정확하게 위치가 선정되게, 라이너의 상부 가장자리에 플랜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끼워진 후, 플랜지가 덮개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일부 라이너는 덮개의 바닥면을 지나서 전지내부로 뻗어있다. 펀칭작업은 덮개의 상부와 오리피스의 벽의 교차지점에, 라이너에 해로운 자국을 낼 수 있는 거친 가장자리를 남기기 때문에, 라이너는 치밀한 끼움을 제공하기 위해서 전지덮개 오리피스로 내밀리거나 또는 압력에 의해서 끼워지지 못한다.
전지덮개에 구멍을 뚫어서 밴트라이너가 끼워지는 오리피스를 만듬으로써, 오리피스가 전지덮개의 바닥의 바깥쪽으로 경사져간다. 따라서, 전지덮개와 밴트라이너 사이에 갈라진 틈이 생긴다. 이 갈라진 틈은 전지가 충진될때, 음극-전해질로 채워질 것이다. 결과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전기 화학전지시스템은 전지의 리튬과, 전지덮개의 바로 밖의 대기에 존재하는 산소, 수증기 또는 산소와 수증기 사이에 만들어진다. 리튬은
Figure kpo00001
에 따라서 산화된다.
리튬이온이 갈라진 틈과 벤트라이트/덮개계면에 있는 전해질을 통해서 전지의 밖으로 확산될 것이고, 그 후에 대기수와 산소가 다음 화학식에 의해서 환원된다.
Figure kpo00002
전지덮개의 외부에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이들 생성물은 심한 부식성이 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전기 화학 전지 시스템을 만들 가능성과 함께, 전지의 누출을 시간에 따라서 가속시키고, 또한 전지의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제1도를 상세히 언급하면, 원통형 전지의 단면도가 제시되어 있다. 도시된 전지는 양극, 음극 집전체 및 액상 음극-전해질로 이루어진 비수용성 전기 화학전지이다.
음극-전해질은 활성음극 감극제에 용해된 이온전도성용질의 용액으로 이루어진다. 음극 감극제는 염화술푸린, 염화티오닐, 삼화염화인, 브롬화티오닐, 염화크로밀, 삼브롬화 비다딜 및 산화염화셀렌과 같은 주기율표의 족 V 또는 VI원소의 액상 옥시할로겐화물이다. 일염화황산, 일브롬화황산, 사불화셀렌, 일블롬화셀렌, 염화티오포스포릴, 브롬화티오포스포릴, 오불화바나듐, 사염화납, 사염화티타늄, 브롬화삼염화티타늄, 이브롬화이염화주석 및 삼브롬화염염주석과 같은 주기율표의 족 IV 내지 족 VI원소의 할로겐화물은 음극 감극제로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음극-전해질에서 사용되는 용질은 이온전도성용액을 만들 단일 또는 겹염이다. 비수용성계에 바람직한 용질은 무기이온성염과 유기 또는 무기루이스산의 착물이다. 액상 옥시할로겐화물 음극 감극제와 함께 사용하는데 적합한 전형적인 루이스산은 불화알루미늄, 브롬화알루미늄, 염화알루미늄, 오염화안티몬, 사염화지르코늄, 오염화인, 불화붕소, 염화붕소 및 브롬화붕소를 포함한다. 루이스산과 결합하는데 유용한 이온성염은 불화리튬, 염화리튬, 브롬화리튬, 염화리튬, 황화리튬, 불화나트륨, 염화나트륨, 브롬화낱륨, 불화칼륨, 염화칼륨 및 브롬화칼륨을 포함한다.
원한다면, 할로겐화물에 따라서, 보조용매(cosolvent)를 음극-전해질에 첨가하여, 더 좋은 전도성을 얻기 위해서 유전상수, 점도 또는 용질의 용매 성질을 변경시킬 수 있다.
적절한 보조용매의 예는 니트로벤젠, 테트라히드로푸란, 1,3-디옥솔란, 3-에틸-2-옥사졸리돈,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γ-부틸롤악톤, 술포란, 아황산 에틸렌글리콜, 아황산디메틸, 염화벤조일, 디메톡시에탄, 디메틸이소옥사졸, 디에틸카보네이트, 이산화황 등이다.
제1도의 전지하우징은 전지덮개(40)에 의해서 닫히는 열린 끝을 가지는 원통형 전지용기(2)로 이루어진다. 음극 집전외판(4)은 전지용기(2)의 곧추선 내부원주와 접촉하여서, 용기(2)를 전지용 음극 또는 +극 터미널로서 만든다. 바닥분리기 또는 디스크(10)를 가지는 분리기 라이너(6)는 음극 집전외판(4)의 내부원주내에 노출되어 이 내부원주와 접촉한다. 원한다면, 음극 집전재료는 용기(2)내로 밀어넣어지거나, 용기재료에 의해서 말리거나 또는 용기에 넣은 후에 원통형 튜브를 만들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활꼴조각으로 이루어지거나 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두-부재 양극(12)은 평평한 끝면(16 및 18)을 가지는 하나의 반쪽 원통형 환상 부재(14)와, 평평한 끝면(22 및 24)을 가지는 또 하나의 반쪽 원통형 환상부재(20)로 이루어진다. 각 원통형 반쪽부재의 평평한 끝면들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마주보며 배열되었을 때, 축방향공동(26)이 원통형 반쪽 환상부재(14 및 20) 사이에 정해진다.
음극 집전외판(4)은 활성음극재료와 바깥쪽으로 전기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전지의 음극의 전기화학공정동안에 확대된 면적의 반응장소를 제공하기 위해서, 전기전도성이 있어야만 한다. 음극 집전외판(4)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재료는 탄소재료와 니켈과 같은 금속이며, 아세틸렌블랙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입자재료로 만들어진다면, 음극 집전외판(4)은 용기(2)내에서 직접 성형되거나, 또는 균열 또는 파괴없이 다루어질 수 있는 여러가지 크기의 분리된 몸체로 성형될 수 있다. 음극 집전외판(4)이 탄소물질로 만들어진다면, 안정제를 가지거나 또는 가지지 않는 적절한 결합제가 음극 집전재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목적의 적절한 결합제는 비닐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 폴리스티렌 등이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된 전지가 액체옥실할로겐화물 음극과 함께 사용된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이 음극 집전외판(4)용의 바람직한 결합제이다. 필요하다면 결합제는 약 5 내지 약 30중량% 성형된 음극 집전외판(4)이 양으로 첨가되어야만 한다. 그 이유는 5% 미만의 양은 성형몸체에 충분한 강도를 주지 못하고, 반면에 30% 이상의 양은 탄소의 표면을 습기가 통하지 못하게 하고 또는, 탄소의 이용가능한 표면을 감소시켜서, 전지의 음극의 전기화학공정에 이용될 수 있는 활성장소 면적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바람직하다면, 결합제는 음극 집전외판(4)의 10 내지 25중량%이다. 음극 집전외판(4)용으로 선택된 재료는 이 재료가 사용될 전지내에서 화학적으로 안정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양극(12)은 소모성 금속이고, 알칼리금속, 알칼리토금속, 알칼리금속과 알칼리토금속의 합금, 또는 알칼리금속 또는 알칼리토금속과 다른 금속과의 합금이다(여기서 사용된 "합금"은 리튬-마그네슘과 같은 고용체, 혼합물 및 리튬모노알루미나이드와 같은 금속간 화합물을 포함한다). 양극(12)용으로 바람직한 재료는 알칼리금속, 특히 리튬, 나트륨 및 칼륨이다. 제1도에 보여진 전지에 있어서 염화술푸릴, 염화티오닐 또는 그들의 혼합물의 액상 음극과 함께, 리튬의 양극(12)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하다면, 호상의 뒷댐판(15 및 17)이 양극 몸체 각각의 내부면의 벽에 접촉하여 배열되어, 양극 전체에 걸쳐서 균일한 전류분포를 제공할 수 있다. 이것은 양극(12)의 내벽면상에 실질적으로 균일한 스프링압을 제공하면서, 양극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소모 또는 이용을 초래한다.
제1도 및 제3도를 언급하면, 원통형 덮개(40)는 원형덮개 오리피스(60), 벤트라이너 격납부분(70), 환상캡부분(80) 및 원주덮개 플랜지(90)를 포함한다. 벤트라이너 격납부분(70)은 원주지지레지(support ledge)(72),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밀봉웰(74) 및 둥근 격납부분 쇼울더(76)를 포함한다.
밀봉웰(74)의 아래에서 밀봉웰(74)과 일체로 연결된 원주지지레버(72)는 밀봉웰(74)이 기하학적인 축을 향하여 그 원주를 통하여 내부로 향하고, 원형의 형상을 하는 덮개오리피스(60)를 한정한다. 둥근 격납부분 쇼울더(76)는 밀봉웰(74)의 상부와 덮개레지(77)의 교차지점에 놓이고 덮개레지(77)는 쇼울더(76)와 환상캡부분(80)사이의 면적에 걸쳐 있는 수평면이다. 둥근 격납부분 쇼울더(76)는 급격한 가장자리없이 이 교차점에서 평탄한 전이부를 제공한다.
이 덮개(40)는 종래의 밀폐식으로 용기(2)와 덮개(40) 사이에 절연가스켓(52)을 가지고, 용기(2)에 치밀하게 밀봉된다. 덮개(40)는 박판금속,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강판을 드로우잉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오리피스(60)는 덮개(40)를 종래의 펀칭 또는 드릴링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덮개(40)를 제조하는 데 취해진 특정 단계는 아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두 원형끝을 연결하는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를 가지는 원통형 벤트라이너(29)는 덮개(40)내에 위치하여 두 끝중 한끝은 지지레지(72)와 접촉하고, 이 벤트라이너의 원통형 표면은 밀봉웰(74)의 내부표면과 접촉한다. 전지의 내부와 대기성분 사이에 일어나는 바람직하지 않은 전기화학전지 시스템에 대한 전위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지지레지(72)를 밀봉웰(74)의 원주둘레로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지지레지(72)는 또한 벤트라이너(29)가 접촉할 수 있는 레지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하나 이상의 안쪽으로 돌출한 탭 또는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덮개(70)를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금속성형절차에 의해서 밀봉웰(74)의 내부표면이 비교적 평탄하게 되기 때문에 아래의 설명대로 만들어지는, 벤트라이너(29)와 밀봉웰(74) 사이의 치밀한 접촉이 전지 안쪽에서 전지덮개의 바깥쪽으로의 리튬이온의 이동을 실질적으로 억제할 것이다. 이 점에 있어서, 벤트라이너와 덮개 사이의 계면에서 전에 발생했던 바람직하지 않은 전기화학전지 시스템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고, 이러한 기구에 의한 전지의 부식도 억제된다.
벤트라이너(29)는 (1) 밀봉부재를 벤트라이너(29)의 오리피스로 압력을 가해 끼우는 공정시에 형상이 만들어지는 박판재료; 또는 (2) 적절한 길이로 만들어진 튜브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으며, 후자가 더욱 바람직하다. 벤트라이너(29)의 재료는 탄성이 있거나 또는 없어도 되지만, 전해질에 저항성이 있어야 하고, 벤트라이너(29)로 부터 억지로 끼워진 밀봉부재를 뽑아내는 압력을 실질적으로 변경시키기 위해서 벤트라이너(29)내에 억지로 끼워진 밀봉부재와 반응하지 않아야 한다. 벤트라이너(29)는 델라웨어 소재의 E.I. Du Pont de Nemours & Co.의 Tefzel
Figure kpo00003
을 사용한 성형 벤트라이너가 바람직하지만, 폴리에틸렌,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 퍼플루오로알콕시중합체, 플루오르화된 에틸렌프로필렌중합체, 유리등과 같은 재료도 또한 적합하다.
위에 설명된대로, 밀봉부재는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내에 압력에 의해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전지를 밀봉한다. 이 밀봉부재는 제1 및 제3도에서 볼(56)로 구체화된 것처럼, 평탄한 구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볼(56)은 금속, 유리,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 또는 비탄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볼(56)은 한 재료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전지의 성분, 특히 전지의 액상성분, 화학적으로 저항성이 있는 재료로 피복되어야 된다. 볼(56)이 탄성이 있다면, 볼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플루오르화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퍼어플루오로알콕시 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또는 다른 선택된 플루오르 중합체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볼(56)이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재료로 피복될 때는 볼은 어떠한 재료로 만들어져도 된다.
덮개(40)의 바깥가장자리는 둔각으로 바람직하게는 180°에 근접하거나 또는 180°와 같은 각도로 휘어져, 제1 및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 플랜지(90)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백"구조라고 불리어지는 이러한 구조는 덮개(40)와 전지용기(2) 사이에 밀착밀봉을 제공한다. 그 이유는 조립할 때, 플랜지(90)가 절연가스켓(52)와 접촉한 상태에서 압축을 받고, 이 가스켓에 의해 전지에 열팽창 및/또는 수축에 의해서 어떤 치수변화가 일어난다면, 플랜지(90)가 가스켓(52)을 따라가기 때문이다.
전기전도성 스프링 스트립(28)(이 스트립의 레그(32 및 34)는 스크린이 대어진 두개의 양극 부재(14 및 20)에 치우쳐 있음)은 덮개를 전지의 양극 또는 음극 터미날로 만들기 위해서, 전지덮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스프링 레그(32 및 34)의 끝은 끝을 덮개(40)에 용접함으로써 덮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서 만들어졌을 때, 전지덮개(40)의 기하학적 형태는 새로운 연결장치의 사용을 가능케 한다. 제4a도 내지 제4d도를 참조하여, 스프링 스트립(28)과 환상죔 디스크(401)로 이루어진 단일의 스프링 집전조립체(420)가 제시된다. 디스크(401)는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탄성재료로 만들어진다. 스프링 스트립(28)의 스프링 레그(32 및 34)는 용접에 의해서 구역(402)에서 결합된다. 디스크(401)는 골진죔 구멍(403)을 포함하고, 이 디스크는 4개의 방사형 슬릿(404)을 한정하기 위해서, 구멍(403)의 원둘레에 동일한 간격이 떨어진, 4개의 아래로 굽고, 안쪽 반경방향으로 향해진 탭(406)을 가진다. 구멍(403)의 직경은 전지 내부에 배치된 밀봉웰(74)의 원통형 바깥면의 외경보다 더 작다. 그래서, 디스크(401)가 축방향의 밀봉웰(74)의 외부면으로 힘을 받을 때, 디스크(401)내의 탭은 힘을 받아, 약간 휘어서 열리게 될 것이다. 그후에 디스크(401)의 스프링 탭(406)에 의해서 만들어진 변형간섭끼움은 디스크(401)를 덮개(40)에 밀착압축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덮개(40)와 스프링 스트립(28)의 전기적 연결을 확실하게 한다.
스프링 집전조립체(420)는 디스크(401)가 첫째 형성부재(465)와 둘째 형성부재(466)에 일체로 연결되면서, 제4c도에 도시된 단일조각의 재료로 만들어진다. 부재(465 및 466)는 구역(402)에서 적절하게 휘어져 결합되어, 스프링 스트립(28)의 스프링 레그(32 및 34)를 만든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 전지덮개(40)는 제1 및 제3도에 도시된 형상을 갖도록 드로우잉된다. 제작순서가 제5a도-제5f도에 도시된다. 스테인레스강, 예를 들면 매끈한 표면을 가지며, 0.012인치 두께의 304L 스테인레스강을 블랭크 작업을 하였다. 그 블랭크 작업에 의해서, 덮개(40)가 디스크로부터 드로우잉되기에 충분한 크기의 평탄한 디스크를 찍어내었다. 그리고, 제5a도에 도시된 것처럼 이 디스크가 컵형상으로 드로우잉되고, 덮개플랜지(90)는 제5b도에 도시된 것처럼 미완성된 덮개의 원둘레를 반대방향으로 휨으로써 부분적으로 만들어진다.
다음에 벤트라이너 격납부분(70)과 환상캡부분(80)이 드로우잉 작업에 의해서, 일부 형성된 덮개에 형성된다. 드로우잉 작업동안에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드로우잉 작업은 다수의 단계로 행해지고, 각 단계는 덮개(40)를 최종 형상에 더 가깝게 연속적으로 드로우잉한다. 제5b도에 도시된 덮개형상을 만드는 단계 이후에, 9단계가 덮개(40)를 최종형상으로 드로우잉하는데 사용된다. 상세하게는, 제5b도에 도시된 덮개형상을 만든 후에, 덮개는 제5c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달형 부분(503)을 만들기 위해서 드로우잉 되며, 이 반달형 부분(503)으로부터 벤트라이너 격납부분(70)이 형성될 것이다. 5가지 연속 드로우잉 단계가 반달형부분(503)을 잇따라 좁게 하여, 제5d도에 도시된 덮개형상을 만들기 위해서 다음에 행해진다. 다음의 드로우잉 단계는 환상캡부분(80)을 만들기 시작하여, 제5e도에 도시된 덮개형상을 생기게 한다. 그후의 두 단계의 드로우잉 단계는 제5f도에 도시된 것처럼, 덮개(40)의 최종 형상을 생기게 한다. 그리고나서, 덮개오리피스(60)가 펀칭 작업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벤트라이너 격납부분(70)은 드로우잉 작업에서 초기에 만들어진다.
전술의 드로우잉 작업은 강의 약간 매끈한 표면 마무리에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나, 마무리는 벤트라이너(29)의 밀봉웰(74)로의 나중의 삽입이, 아래에 설명되는대로, 벤트라이너와 밀봉웰 사이에 치밀한 접촉이 생기도록 행해질 수 있게 충분히 매끈한 상태에 유지될 것이다.
벤트라이너(29)가 밀봉웰(74)안으로 압력에 의해서 끼워져, 간섭끼움이 생기도록, 원통형 벤트라이너(29)는 밀봉웰(74)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0.135인치의 외경을 가지는 벤트라이너(29)는 0.125인치의 내경을 가지는 밀봉웰(74)안으로 압력에 의해서 끼워진다.
벤트라이너(29)는 벤트라이너(29)의 바닥이 지지레지(72)와 접촉할 때까지 밀봉웰(74)내에 끼워진다. 이 방식으로 지지레지(72)는 벤트라이너(29)가 이 스톱에 부딪쳐서, 더 이상 삽입될 수 없게 하는 포지티브 스톱을 제공하여, 벤트라이너의 상부에 어떠한 플랜지도 필요없게 한다. 게다가, 간섭끼움에 의해서, 벤트라이너(29)의 바깥면이 밀봉웰(74)의 안쪽면에 강하게 접속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서 두면 사이에 치밀한 접촉이 생겨서, 리튬이온이 전지의 안에서 벤트라이너(29)와 밀봉웰(74)사이의 계면을 거쳐서 전지의 밖으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된다. 격납부분 쇼울더(76)는 둥글기 때문에 라이너의 삽입이 용이하며, 삽입동안에 라이너에 자국을 낼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벤트라이너(29)가 밀봉웰(74)에 삽입되었을 때 벤트라이너(29)의 상부 원형끝이 덮개레지(77)와 같은 높이가 되도록 벤트라이너(29)의 길이가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시할로겐화물 전지에 있어서는 벤트라이너를 끼우기전에, 밀봉웰(74)이 밀봉제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봉제는 라이너(29)의 표면 또는 밀봉웰(74)상에 결함이 생길 때, 라이너(29)와 밀봉웰(74)사이에 완전한 밀봉을 확실케 한다. 밀봉제는 할로카아본 왁스이고, 이 왁스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인 포화된 저분자량 중합체 또는 플로오로 탄성중합체이다. 다른 한편으로 Tefzel
Figure kpo00004
은 열에 의한 결합성이 있기 때문에 이 재료로 만들어졌을 때, 벤트라이너(29)는 밀봉웰(74)내로 끼워진 후 또는 끼워지기전에 충분한 열을 받아서, 그 내에서 압축결합된다.
벤트라이너(29)가 밀봉웰(74)내에 끼워진 후에, 스프링 집전조립체(420)의 디스크(401)를 밀봉웰(74)의 원통형의 바깥쪽으로 누르고, 덮개(40)를 환상의 가스켓(52)내의 적합한 위치로 끼워넣으며, 이 환상가스켓은 전지용기(2)의 열린 끝에 놓인다. 가스켓(52)은 Tefzel
Figure kpo00005
만들어져서, 밀봉웰(74)을 피복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동일한 형의 밀봉제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40)가 환상의 가스켓(52)에 끼워질때 용기(2)는 이미 음극 집전외판(4), 분리기 라이너(6) 및 바닥분리기(10), 두-부재 양극(12) 및 뒷댐판(15 및 17)을 이미 가지고 있었다. 덮개(40)가 가스켓(52)에 관하여 위치가 선정되기 때문에, 스프링 스트립(28)의 레그(32 및 34)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함께 압착되고, 두개의 스크린이 뒤에 대어진 양극 부재(14 및 20) 사이의 축방향 열림부로 힘을 받는다. 삽입된 스프링 스트립(28)은 양극부재의 내벽에 걸쳐서 균일하고 연속적인 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받침 스크린(뒷댐판)(15 및 17)을 통해서 두개의 양극부재(14 및 20)를 탄력에 의해서 기울어지게 한다.
덮개(40)를 가스켓(52)안으로 삽입한 후, 전지용기(2) 및 전지덮개(40)가 밀봉된 전지하우징을 만들도록 종래의 밀폐기술을 사용하여 전지를 닫아서 밀봉시킨다. 다음에 충진헤드조립체를 벤트라이너(29)의 상부에 대고 누른다. 바람직하게, 벤트라이너(29)의 상부 원형끝이 덮개레지(77)와 위치가 같다면, 그때는 또한 충진헤드가 덮개레지를 누른다. 그리고나서 전지가 음극-전해질로 채워진다.
용기가 음극-전해질로 채워진후, 밀봉부재(56)가 라이너(29)의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상에 배치되고, 밀봉부재(56)를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내로 끼우는 것이 지지레지(72)의 존재때문에 저항을 받을때까지 밀봉부재(56)를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에 밀어넣는데 램부재가 사용된다.
전술한 구조에서, 밀봉부재가 벤트라이너내에 너무 깊이 끼워진다면, 필요한 이상의 벤트압이 생겨서 남용의 조건아래서 전지가 분해될 가능성을 초래한다. 다른 한편으로, 밀봉부재가 벤트라이너내에 충분한 깊이로 채워지지 않으면, 통상 사용조건동안에 배출이 발생하여, 전지를 사용하는 장치에 불필요한 손상을 일으킨다. 본 발명에서, 밀봉부재(56)의 배치가 덜 중요하고, 지지레지(72)가 밀봉부재(56)가 눌리어지는 포지티브스톱을 제공하여, 쉽게 재현할 수 있는 벤트압을 제공한다.
램부재가 제거된 후, 밀봉제(62)의 층이 밀봉부재(56)와 벤트라이너(29)상에 배치되고, 덮개레지(77)상으로 뻗어 있어서, 완전하게 밀봉된 전지를 만든다. 적절한 밀봉재료는 할로카아본 왁스, 아스팔트 또는 습기에 저항성이 있고, 금속에 상당한 접착성이 있으며, 쉽게 이용될 수 있는 다른 재료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밀봉재료는 액상으로 적용되어 나중에 고화되어야 한다. 그리고나서, 전지를 강철재킷에 넣고, 마무리용 덮개(도시되지 않음)로 덮개(40)을 덮어서 전지의 마무리를 끝낸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는 공지의 구조를 사용한 전지보다 더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공지의 구조에서 벤트라이너는 벤트라이너가 전지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벤트라이너의 상부 가장자리상에 플랜지를 필요로 했다. 밀봉부재는 배출이 일어나기 앞서, 이 플랜지를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때문에 마무리용 덮개와 덮개의 상표면 사이의 높이는 밀봉부재의 직경과 플랜지의 두께를 수용하기에 충분해야만 했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나, 벤트라이너(29)의 상부 원형끝이 덮개레지(77)와 동일한 높이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마무리용 덮개와 덮개레지(77) 사이의 높이는 밀봉부재(56)의 직경만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개량된 벤트라이너 및 덮개구조는, 예를 들면 룩크란세(Leclanche)건전지, 염화아연 전지, 리튬-MnO2전지, 리튬-황화철 전지, 알칼리-MnO2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및 납-산 전지와 같은 다른 전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9)

  1. (a) 전지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전지 하우징; (b) 전지의 내부쪽으로 배열된 바닥을 가지는 밀봉웰(74)와, 밀봉웰에 오리피스를 정해주며, 밀봉웰의 바닥에 놓인 지지레지(72)로 이루어지며, 전지 하우징의 일부를 형성하는 벤트라이너 격납부분(70); (c) 밀봉웰내의 오리피스와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가 전지의 내부로부터 대기로의 통로를 제공하며, 벤트라이너의 끝이 지지레지(72)와 접촉하도록 밀봉웰내에 배치되고,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를 가지는 벤트라이너(29); (d) 벤트라이너(29)내에 억지로 끼워진 밀봉부재(56)를 포함하여, 밀봉부재(56)가 전지내의 예정된 가스압에서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로 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되도록 벤트라이너(29)와 밀봉부재(56)가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벤트라이너(29)에 밀봉웰(74)을 끼우는 것을 돕는, 윤곽이 잡힌 벤트라이너 격납부분 쇼울더(76)를 정하기 위해서 밀봉웰(74)의 위부분이 윤곽이 잡힘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벤트라이너(29)와 밀봉웰(74) 사이에 간섭끼움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전지 하우징이 전지용기(2)를 개폐하는 전지덮개(40)로 이루어지고, 벤트라이너 격납부분(70)이 전지덮개의 일부를 이루며, 전지덮개가 매끈한 벽을 가지는 밀봉웰(74)을 제공하기 위하여 금속성형과정에 의하여, 매끈한 판상재료로부터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5. 제4항에 있어서, 전지덮개(40)의 바깥둘레가 둔각으로 휘어져서, 전지덮개의 둘레에 플랜지(90)를 제공하여, 가스켓(52)이 전지덮개(40)의 플랜지(90)와 전지용기(2) 사이에 배치되어 압축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유체-치밀밀봉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6. 제1항에 있어서, 밀봉웰(74)이 대략 원통형상이고, 지지레지(72)가 밀봉웰(74)의 원주에서 연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밀봉웰(74)이 대략 원통형상이고, 지지레지(72)가 적어도 두개의 안쪽 반경방향으로 향해진 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8. 제4항에 있어서, 밀봉웰(74)이 전지의 내부에 배치된 원통형 바깥표면을 가지며, 전지가 (a) 다수의 안쪽 반경방향으로 향해진 탭(406)에 의해서 차단되는 원주를 가지는 죔구멍(403)을 포함하는 탄성판상 재료로 만들어지며, 축방향을 따라서 밀봉웰(74)의 원통형 바깥표면으로 힘을 받는 죔부재(401); 및 (b) 전지의 활성성분(12)중의 하나를 죔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죔부재(401)에 부착된 수단(32 및 3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9. 제8항에 있어서, 전지의 활성성분중 적어도 하나가 고상이고, 전지의 활성성분(12)중 하나를 죔부재(40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32 및 34)이 전지의 고체활성성분과 전기적으로 접촉을 위하여 죔부재(401)에 부착되어 치우쳐진 스프링 스트립(28)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10. (a) 전지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전지 하우징; (b) 전지의 하우징의 일부를 이루며, 전지의 내부에 배열된 원통형 바깥표면을 가지는 원통형 웰(74); (c) 다수의 안쪽 반경방향으로 향해진 탭(406)에 의해서 차단되는 원주를 가지는 죔구멍(403)을 포함하는 탄성판상 재료로 만들어지며, 축방향을 따라서 밀봉웰(74)의 원통형 바깥표면으로 힘을 받는 죔부재(401); 및 (d) 전지의 활성성분중 하나를 죔부재(40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죔부재에 부착된 수단(32 및 3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전지의 활성성분(12)중 적어도 하나가 고체이고, 전지의 활성성분중 하나를 죔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32 및 34)이 전지의 고체활성성분(12)와 전기접 접촉을 위하여, 죔부재(401)에 부착되어 치우쳐진 스프링 스트립(28)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12. 하우징내에 조립된 전지의 활성성분으로 이루어지며, 이 하우징은 벤트라이너(29)가 오리피스(60)내에 배열되면서, 오리피스를 정하는 원형벽(74)을 가지고, 밀봉부재(56)가 라이너(29)내에 억지로 끼워져서 벤트라이너(29)에 통상 유체-치밀밀봉을 제공하는 전기화학전지에 있어서, 밀봉부재(56)가 전지내의 예정된 가스압에 도달했을 때, 벤트라이너 오리피스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출되도록 밀봉부재와 라이너가 만들어지며, 전지의 내부 근처의 오리피스의 벽(74)은 벤트라이너(29)의 끝이 오리피스에 배치됐을 때, 접촉하는 오리피스(60)의 내부쪽으로 돌출하는 부재(72)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13. 제12항에 있어서, 원형벽(74)의 위부분이 라이너(29)의 오리피스(60)내로의 삽입을 돕도록 반달형 윤곽을 가지는 쇼울더(76)을 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벤트라이너(29)와 오리피스(60)의 벽사이에 간섭끼움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15. (a) 활성성분을 전지에 넣고; (b) 바닥; 밀봉웰(74)의 바닥에 있는 지지레지(72); 밀봉웰의 상부와 지지레지(77)의 교차지점에 있는 둥근 쇼울더(76)를 가지는 밀봉웰을 전지덮개(40)의 일부에 정하기 위해서 금속박판을 드로우잉하여 전지덮개를 성형하고; (c) 밀봉웰(74)의 바닥에 덮개오리피스(60)를 성형하고; (d)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를 가지는 벤트라이너(29)를 밀봉웰(74)에 삽입하고; (e) 전지덮개(40)를 전지용기(2)에 고정시키며; (f) 밀봉부재(56)를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내로 억지로 끼움으로써 전지를 밀봉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삽입단계가 밀봉웰(74)과 벤트라이너(29)사이에 밀봉을 형성하기 위해서 벤트라이너를 밀봉웰내로 억지끼움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제조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벤트라이너(29)가 열결합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벤트라이너가 전지덮개(40)에 열에 의해서 밀봉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제조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삽입단계가 밀봉웰에 끼워졌을 때, 벤트라이너(29)의 상부가 전지덮개와 동일수준의 평면이 되게 하는 길이를 가지는 벤트라이너를 끼우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활성성분을 전지용기내에 넣는 단계는 전지덮개(40)를 전지용기에 부착하기 전에, 첫째 활성성분을 전지용기(2)에 넣고; 전지덮개를 전지용기에 부착시킨 후, 벤트라이너(29)의 상부와 벤트라이너에 근접한 전지덮개의 상부로 충진헤드조립체를 압축하며; 둘째 활성성분으로 이루어진 유체를 충진헤드조립체로 부터 전지로 주입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제조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밀봉부재(56)가 밀봉웰(74)의 바닥에 지지레지(72)가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끼움이 억제될 때까지 벤트라이너 오리피스(25)내로 억지로 끼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화학전지 제조방법.
KR1019870006689A 1986-07-18 1987-06-30 화학전지용 벤트라이너와 덮개구조물 KR9500112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661986A 1986-07-18 1986-07-18
US886619 1986-07-18
US86-886619 198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216A KR890001216A (ko) 1989-03-18
KR950011246B1 true KR950011246B1 (ko) 1995-09-29

Family

ID=2538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6689A KR950011246B1 (ko) 1986-07-18 1987-06-30 화학전지용 벤트라이너와 덮개구조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582374B2 (ko)
KR (1) KR950011246B1 (ko)
DE (1) DE3718205C2 (ko)
ES (1) ES2005881A6 (ko)
FR (1) FR2601819B1 (ko)
GB (2) GB21938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5372A1 (fr) * 1987-12-24 1989-06-30 Accumulateurs Fixes Generateur electrochimique alcalin muni d'un ressort
EP0422966B1 (en) * 1989-10-13 1995-05-10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7923137B2 (en) * 2003-10-09 2011-04-12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Nonaqueous cell with improved thermoplastic sealing member
DE602004008113T3 (de) 2004-10-25 2019-03-07 Nestec S.A. Getränkezubereitungssystem
DE602006001573D1 (de) 2006-03-31 2008-08-07 Nestec Sa Kapsel mit durch Flüssigkeit gepresster Aussendichtung
JP4890395B2 (ja) * 2007-09-13 2012-03-07 株式会社エイチアンドエフ ブランク分離装置及びブランクの分離吸着移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9935B (de) * 1955-06-30 1958-05-14 Dominitwerke G M B H UEberdrucksicherung fuer Elektrolytkondensatoren
FR1344908A (fr) * 1962-07-03 1963-12-06 Yardney International Corp Dispositif de valve uni-directionnelle applicable en particulier aux boîtiers d'accumulateurs électriques
US3320097A (en) * 1964-08-06 1967-05-16 Gen Electric Resealable vent for a sealed casing
US4296186A (en) * 1975-08-22 1981-10-20 Wolf Franz J Two part pressure relief valve
US4529673A (en) * 1982-07-30 1985-07-16 Union Carbide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4592970A (en) * 1984-09-27 1986-06-03 Union Carbide Corporatio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DE8534913U1 (de) * 1985-12-12 1986-02-06 Kessel, Bernhard, 8071 Lenting Schließglied für einen mit Innendruck beaufschlagten Behä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716860D0 (en) 1987-08-26
JP2582374B2 (ja) 1997-02-19
FR2601819B1 (fr) 1995-06-02
GB8804260D0 (en) 1988-03-23
GB2193836B (en) 1990-08-15
DE3718205A1 (de) 1988-01-28
GB2201541A (en) 1988-09-01
JPS6332852A (ja) 1988-02-12
ES2005881A6 (es) 1989-04-01
DE3718205C2 (de) 1996-11-21
KR890001216A (ko) 1989-03-18
GB2201541B (en) 1990-08-15
GB2193836A (en) 1988-02-17
FR2601819A1 (fr) 198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9405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7824790B2 (en) Housing for a sealed electrochemical battery cell
US4154906A (en) Cathode or cathode collector arcuate bodies for use in various cell systems
US5418084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5015542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4529673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4931368A (en) Vent liner and cover construction for galvanic cells
JP2007508665A (ja) 改良型熱可塑性シーリング部材を備えた非水セル
US4483908A (en) Intumescent material-coated galvanic cells
US4664989A (en) Liquid cathode cell system employing a coiled electrode assembly
US4592970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CA1067957A (en) Slotted cathode collector bobbin for use in liquid cathode cell systems
US4437231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US4328289A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resealable vent closure
KR950011246B1 (ko) 화학전지용 벤트라이너와 덮개구조물
US6270918B1 (en) Low profile ventable seal for an electrochemical cell
US4533609A (en) Seal for electrochemical cell
US4532705A (en) Method of making a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resealable vent closure
US4672010A (en) Terminal pin-collector plate assembly for hermetically sealed cells
US4988585A (en) Liquid cathode electrochemical cells having insured anode to tab contact
US5114808A (en) Cell cover with internal compression ring of high yield strength material
EP0068837A1 (en) Electrochemical cell
US4454208A (en) Pressure contact tab/cover construction for electrochemical cells
US5041345A (en) Secondary seal for vented electrochemical cells
EP0422966B1 (en)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safety vent clos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