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59B1 - 드로우어웨이식 커터 - Google Patents

드로우어웨이식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59B1
KR950009959B1 KR1019900007265A KR900007265A KR950009959B1 KR 950009959 B1 KR950009959 B1 KR 950009959B1 KR 1019900007265 A KR1019900007265 A KR 1019900007265A KR 900007265 A KR900007265 A KR 900007265A KR 950009959 B1 KR950009959 B1 KR 950009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ejection
adjusting
tool bod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285A (ko
Inventor
다쯔오 아라이
다카노부 사이토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나가노 다께시 filed Critical 미쓰비시 긴조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0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로우어웨이식 커터
제1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인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방향에서 본 부분확대도.
제3a도는, 제1도의 Ⅲ방향에서 본 부분확대도.
제3b도는, 팁발출조정볼트를 조일때의 누름면이 작동하여 팁발출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제4도는, 제3도의 Ⅴ -Ⅴ선 종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부품 및 팁을 떼낸 상태를 나타내는 공구본체(2)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팁발출조정볼트의 이동량에 대한 팁발출조정량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7도는, 종래의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의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일부가 생략된 Ⅵ방향에서 본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공구본체 (3) : 팁부착자리
(8) : 팁 (12) : 쐐기부재
(15) : 팁발출조정부 (17) : 누름부
(17a) : 누름면 (18) : 나사구멍
(19) : 노치부 (20) : 팁발출조정볼트
본 발명은, 커터본체의 외주부에 복수의 절삭날팁을 부착과 분리하기 쉽게 부착하여 이루어진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에 관한 것이다.
제 7도 및 제 8도는,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의 일예인 드로우어웨이식 정면밀링커터(이하, 정면밀링커라고 약칭함)를 표시한 것이다.
이 정면밀링커터(1)는,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 그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오목형상의 팁부착자리(3)가 형성되고, 이 팁부착자리(3)에 지지부(5),(5a)및 지지부 고정쐐기(6), 팁고정쐐기(7)를 개재하여 절삭날을 보유하는 4각형상의 초경합금제 등으로 이루어진 드로우어웨이팁(이하, 팁으로 약칭함) (8)이 부착된 것이다.
보통 이들 팁(8)을 공구본체(2)에 부착할 때에는 공구본체(2) 외주면의 부착 면(2a)에서 각각의 팁(8)의 절삭날 앞끝까지의 출입치수(x)(이하, 팁발출량(x)으로 약칭함)를 균일하게 하는 팁발출조정작업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팁(8)을 외관이 직방체인 지지부(5)에 그 윗면을 맞닿음시키고, 또 길이방향의 길이가 S를 보유하는 지지부(5a)에 그 옆면을 맞닿음시켜서 얹어놓은 뒤, 이들을 팁부착자리(3)에 부착시켜, 지지부(5a)의 폭(S)과 팁(8)의 폭에 의하여 얻어지는 발출량(x)을 조정하는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즉, 상기한 팁발출조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폭(S)의 치수를 변화시킨 지지부(5a)(폭 S가 대략 8∼64㎛ 간격으로 형성된 것)를 다시 준비해두고, 그들의 지지부(5a)중에서, 각각 팁부착자리(3)에 부착함에 의하여 설정된 팁(8)의 발출량(x)을 얻을수있는 최적의 폭(S)을 보유하는 지지부(5a)를 선택하고 있다.
이 팁(8)의 발출량(x)을 조정한 후에, 볼트 (6a) (7a)에 의하여 상기한 지지부 고정쐐기(6)와 팁고정쐐기(7)를 나사를 조여 팁(8)을 팁부착자리(3)에 고정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정면밀링커터(1)에 있어서는, 팁의 발출조정시에 최적한 지지부(5a)가 보유하는 폭(S)을 얻기 위하여 여러번 각각의 팁부착자리(3)에 지지부(5a)를 부착시키는 작업을 반복하지 않으면 안되고, 그것을 부착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많은 작업시간을 소비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사용되는 지지부(5),(5a) 지지부 고정쐐기 (6) 등의 부품수가 증대하므로, 그 관리 및 취급이 번잡해짐과 아울러 부품보수 등에 필요한 비용이 높아지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팁의 발출조정을 신속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는 드로우어웨이식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드로우어웨이식 커터는 원반형상의 커터본체 외주부에 형성된 팁부착자리에 절삭날을 부착과 분리하기 쉽게 부착하여 이루어진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에 있어서 팁부착자리가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면 사이에 쐐기부재를 개재시켜서 절삭날팁이 부착됨과 아울러 팁부착자리에서 공구본체의 끝쪽에 팁의 발출조정부가 형성되어 있고, 팁발출조정부는, 그 팁의 부착자리쪽으로 절삭날팁의 한쪽면과 맞닿는 누름면이 형성되고, 또한 누름면에서 공구본체의 끝쪽 윗면에 상기한 누름면과 대략 평행하게 노치부가 형성되며, 이노치부내에는 이 노치부를 늘리고 줄여서 절삭날팁에 대한 누르는 힘을 증감시키는 조정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에 의하면, 팁의 발출량 조정작업을 실시할 때에, 팁의 발출조정부의 노치부를 늘리고 줄여서 팁에 대한 누르는 힘을 증감시키는 조정장치를 사용함에 의하여 팁의 발출조정을 쉽게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팁의 발출을 조정하기 위한 부품수가 적게 되므로 그 팁의 발출조정작업 및 부품관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드로우어웨이식 커터를 정면밀링커터에 적용한 일시예에 대하여, 제1도~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의 종래예와 마찬가지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정면밀링커터(1)는, 팁의 발출조정장치로서 지지부(5)(5a)를 사용하지 않고, 공구본체(2)에 형성된 팁의 발출조정부를 사용하여 팁의 발출조정을 실시하는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정면밀링커터(1)의 공구본체(2)의 외주부에는, 그 원주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오목형상의 팁부착자리(3)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팁부착시트(3)의 한쪽벽면(10)에는 팁(8)이 얹어놓여 있다. 또, 이 상기한 벽면(10)과 대향되는 다른벽면(11)과 팁(8) 아랫면과의 사이에는 쐐기부재(12)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팁(8)은 쐐기부재(12)의 관통구멍(12a)내로 삽입된 클램프나사(13)를 공구본체(2)내에 체결함에 의하여 이 팁(18)의 상하면에 맞닿아 있는 팁부착자리(3)의 벽면과 쐐기부재(12)의 옆면에 의해 끼워져 팁부착자리(3)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팁부착자리(3)에서 공구본체(2)의 끝쪽에는, 팁발출조정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팁발출조정부(15)는, 한쪽면으로 팁부착자리(3)의 옆면(11)을 따라서 홈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부(16)의 밑면은, 팁부착자리(3)의 밑면(3a)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팁발출조정부(15)의 팁부착자리(3)쪽에는, 팁(8)의 한쪽면(8a)과 맞닿게 되는 누름면(1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누름면(17a)에서 공구본체(2)의 끝쪽에는, 나사구멍(18)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18)의 상부(18a)는 테이퍼형상으로 지름이 넓혀져 있고, 또한 나사구멍(18)의 하부(18b)는 나사부를 보유하고 있다. 이 나사구멍(18)의 테이퍼형상인 상부(18a)에는 상기한 누름면 (17a)과 대략 평행하게 노치부(19)가 형성되어있다. 더우기, 전기한 누름면(17a)에서 공구본체(2)의 끝쪽에는 팁의 여유홈(17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상기한 나사구멍(18), 노치부(19), 팁여유홈(17b) 등에 의하여 누름부(17)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나사구멍(18)에는 노치부(19)를 늘리고 줄이거나 또한 누름면(17a)의 누르는 힘을 증감시키는 조정장치로서 머리부(20a)가 나사구멍(18)의 테이퍼형상 상부(18a)보다 대경으로 된 팁발출조정볼트(20)가 나사로 조여져 있다.
이와같은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에, 팁(8)을 부착시키고 다우기 팁(8) 발출량(x)의 조정을 실시하는 데는, 우선, 누름장치로서의 팁발출조정볼트(20)를 그 머리부(20a)의 상부가 나사구멍(18)의 테이퍼형상 상부(18a)내로 파묻히게 되도록 나사구멍(20)으로 조여 넣는다.
다음에, 공구본체(2)의 팁부착자리(3)의 벽면(10)에 팁(8)을 그 옆면에서 팁발출조정부(15)의 누름면(17b)에 맞닿음시켜 얹어놓는다.
다음에, 이 팁부착자리(3)의 벽면(10)과 대향하는 다른 벽면(11)과 팁(8)면과의 사이에 쐐기부재(12)를 삽입시킨다.
그리고 팁 (8)이 팁부착자리(3)위를 약간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클램프나사(13)를 공구본체(2)에 체결시킨다.
다음에, 각각 팁(8)의 발출량(x)을 측정한다. 여기서 팁(8)의 발출량(x)이 설정치에 도달하지 않는 곳은, 나사구멍(18)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팁의 발출조정볼트(20)를 더욱 조인다. 이것에 의하여 팁의 발출조정볼트(20)의 테이퍼형상 머리부(20a)와 맞닿음된 테이퍼부를 보유하는 누름부(17)가 팁의 부착자리(3)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그것에 의하여 누름부(17)가 팁부착자리(3)방향으로 이동되고, 더우기 누름부(17)의 누름면(17a)에 맞닿음하고 있는 탑(8)의 옆면(8a)이 누르게 되고, 팁(8)이 공구본체(2)의 앞끝쪽으로 이동한다. 또, 팁(8)의 발출량(x)을 감소시키는데는, 팁발출조정볼트(20)를 나사구멍(18)에서 이완시켜 윗쪽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팁발출조정부(15)의 누름부(17)에 가해져 있는 탄성변형이 복귀되어 누름부(17)는 공구본체(2)의 끝쪽으로 복귀된다. 계속하여, 팁(8)을 공구본체(2)의 끝쪽으로 강제 복귀시켜서, 그 옆면(8a)을 공구본체(2)의 끝쪽으로 후퇴한 누름부(17)의 누름면(17a)에 맞닿음시켜서 팁(8)의 발출량(x)을 감소시킨다. 이들 복수의 팁(8) 발출(x)조정을 실시한 후에, 재차 클램프나사(13)를 공구본체(2)에 체결함에 의하여 쐐기부재(12)에 의하여 팁(8)을 누르므로 팁부착자리(3)에 고정시킨다.
또, 제6도는,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팁발출조정부(15)의 누름부(17)의 목부분 폭(t)을 2㎜, 팁발출조정볼트(20)의 머리부(20a)의 테이퍼각도를 10으로 하여 팁발출조정을 실시한 경우의 팁의 발출조정볼트(20)의 이동량(H)에 대한 팁발출조정량(α)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같이, 팁발출량의 조정작업을 실시할 때에 팁발출조정부(15)의 노치부(19)를 늘리거나 줄여서 팁(8)에 대해 누르는 힘을 증감시키는 팁발출조정볼(20)를 사용함에 의하여, 팁의 발출조정을 쉽게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다.
또, 팁의 발출조정부(15)의 누름부(17)의 목부분 폭(t), 팁발출조정볼트(20)의 머리부(20a)의 테이퍼각도, 팁발출조정부의 노치부(19)의 폭 등을 변화시킴에 의하여 팁의 발출조정작업에 있어서의 팁발출조정량(x)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지름의 공구본체(2)에 균형이 잡힌 팁발출조정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더우기 팁(8)의 발출을 조정하기 위한 부품수가 적게 되므로, 그 팁(8)의 발출(x) 조정작업 및 부품관리가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팁발출조정부(15)의 노치부(19)를 늘리거나 줄여서 팁(8)에 대해 누르는 힘을 증감시키는 조정장치로서 팁발출조정볼트(20)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조정장치로서 유압을 사용하는 기구를 적용해도 마찬가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에 의하여 팁발출조정부의 노치부를 늘리거나 줄여서 팁에 대해 누르는 힘을 증감시키는 조정장치를 미세조정함에 의하여 팁의 발출조정작업을 신속하게 또한 고정밀도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절삭작업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우기 팁의 발출조정을 하기 위한 부품수가 적게 되므로 절삭공구의 제품단가의 저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원판형상의 커터본체 외주부에 형성된 팁부착자리(3)에 절삭날팁(8)을 부착과 분리하기 쉽게 부착하여 이루어진 드로우어웨이식 커터에 있어서, 상기한 팁부착자리의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벽면 사이에 쐐기부재(12)를 개재시켜서 상기한 절삭날팁(8)이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한 팁부착자리(3)에서 상기한 공구본체(2)의 끝쪽에는 팁발출조정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팁발출조정부(15)는 팁부착자리(3)에 절삭날팁의 일측면과 맞닿는 누름면(17a)이 형성되며, 또한 누름면에서 공구본체의 끝윗면에 압압면과 대략 평행하게 노치부(19)가 형성되고, 이 노치부내에는 노치부를 늘리거나 줄여서 상기한 절삭날팁에 대해 누르는 힘을 증감시키는 조정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로우어웨이식 커터.
KR1019900007265A 1989-06-20 1990-05-21 드로우어웨이식 커터 KR950009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784789 1989-06-20
JP???1-157847 1989-06-20
JP1-157847 1990-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85A KR910000285A (ko) 1991-01-29
KR950009959B1 true KR950009959B1 (ko) 1995-09-04

Family

ID=15658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265A KR950009959B1 (ko) 1989-06-20 1990-05-21 드로우어웨이식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610B1 (ko) * 2007-05-17 2008-12-12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플라스틱 스크랩 재생 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85A (ko) 1991-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38986C (en) Drilling and chamfering tool
JP2001506190A (ja) 2つの工具部品を連結する工具継手と連結方法
US6142719A (en) Self-drilling screw
US7367552B2 (en) Clamping apparatus
US5746549A (en) Metal cutting tool
US6702528B2 (en) Insert holder having convexly curved surface for supporting a cutting insert
US6962468B2 (en) Clamping device for tool holder
JP2001515794A (ja)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US4525109A (en) Cutting tool having a cutting blade in a shank slot
KR950009959B1 (ko) 드로우어웨이식 커터
KR101638653B1 (ko) 양방향 조정 기구를 가진 절삭 공구
JP2001071204A (ja) チップ,ホルダ,及び切削工具
JP2001515795A (ja) 切り屑を除去する機械加工用の工具
KR950006964Y1 (ko) 드로우어웨이팁의 클램프기구
JPH0839330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固定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用いたカッタ
KR950006965Y1 (ko) 드로우어웨이팁의 클램프기구
US4382726A (en) Boring tool
US4497601A (en) Cutting tool
US5148609A (en) Adjusting locator for cutting tools
JPH035361Y2 (ko)
JPH0623607A (ja) 切削工具用ホルダ
KR960007821Y1 (ko) 허브
SU1611599A1 (ru)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JP2516132Y2 (ja) スローアウェイ式カッタ
JP2591188Y2 (ja) 微調整可能な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1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