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822B1 - 식물재배용기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822B1
KR950009822B1 KR1019930008003A KR930008003A KR950009822B1 KR 950009822 B1 KR950009822 B1 KR 950009822B1 KR 1019930008003 A KR1019930008003 A KR 1019930008003A KR 930008003 A KR930008003 A KR 930008003A KR 950009822 B1 KR950009822 B1 KR 95000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separator
caps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석
Original Assignee
김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점석 filed Critical 김점석
Priority to KR101993000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822B1/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물재배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격리판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격리판 사용상태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수경재배시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토양재배시 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배용기 2 : 용기체
3,3′ : 캡 4,4′ : 가공구멍
5,5′ : 걸림가이드 6,6′ : 신축만곡가이드편
7 : 격리판 7′ : 격리평면판부
8,8′ : 걸림부 9,9′ : 끼움요홈부
10,10′ : 지지만곡돌편 11: 부유물체
12,12′ : 공간부 13,13′ : 만곡부
본 발명은 설치 장소에 알맞도록 재배용기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고 삽탈식 격리판으로 간격조정이 임의로우며 수경재배 및 토양재배를 겸할 수 있는 식물재배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식물재배용기나 구조물이 한정되어 있어 다양하게 사용하기가 어렵고, 특히 한 용기내에 여러 식물을 재배하기가 어렵고 설치장소에 알맞도록 재배용기의 길이조정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하고 사용처에 알맞게 재배용기의 길이를 조정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재배용기에도 재배식물에 따라 격리판으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내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수경재배도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재배용기(1)는 용기체(2)와 캡(3)(3′)과 격리판(7)을 분리하여 형성하되, 용기체(2)는 양측면을 만곡부(13)(13′)로 형성하고, 다수개의 가공구명(4)(4′)을 형성하여 필요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내측으로는 신축만곡가이드편(6)(6′)을 하측으로 돌설시킨 기억자형으로 된 걸림가이드(5)(5′)를 양측으로 나란하게 돌설되게 하여 용기체(2)와 일체로 길게 형성하고(길이는 한정되지 않음) 캡(3)(3′)은 재배용기체(2) 양단부측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시킨 용기체(2)의 개방된 양단부를 막도록 하고 격리판(7)은 양측으로 걸림부(8)(8′)를 돌설시키고 걸림부(8)(8′) 평면판부(7′) 사이에는 끼움요홈부(9)(9′)가 형성되도록 절곡시키고 격리평면판부(7′) 양측에는 격리평면판부(7′)와 직교상태이면서 지지면적이 넓어 지도록 한 지지만곡돌편(10)(10′)을 돌설되어 형성하여, 길게 형성시킨 용기체(2)를 설치장소에 알맞게 절단시킨 다음 양단부측에 캡(3)(3′)을 씌우고 필요한 곳에 격리판(7)을 재치시켜 사용하도록 한 식물재배용기이다.
미설명 부호 30, 30′는 철재 또는 합성수지재 구조물을 만든 부라켓트이고, 31은 물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경재배시는 길게 형성시킨 용기체(2)를 설치 장소에 알맞게 절단시킨 후 양단부측에 캡(3)(3′)을 씌울 때 접착제 등으로 도포시켜 양단부측에 밀봉되게 하고, 걸림가이드(5)(5′) 상부측에 스치로폴 등의 보유물체(11)를 게재시킨 후 구멍을 뚫어 재비식물을 이양시키면 식물이 부유물체(11)에 지지된 상태로 하측의 물에 접촉되어 성장하게 된는 것이다.
또한 여러 종류를 심기 위해 격리판(7)을 사용할 때는 용기체(2) 상측에서 용기체(2)와 수평인 상태로 용기체(2) 내에 삽입시킨 후 돌려주면 격리판(7)의 걸림부(8)(8′)는 용기체(2) 걸림가이드(5)(5′) 상측에 게재되고 격리판(7) 끼움 요홈부(9)(9′)에 걸림가이드(5)(5′) 단부측이 끼워지면서 격리평면판부(7′) 측면측으로 돌설시킨 지지만곡돌편(10)(10′)이 걸림가이드(5)(5′) 하측으로 돌설된 신축만곡가이드(6)(6′)을 뒤로 밀면서 꽉끽 되므로 지지력이 넓어지고 고정성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
분리시는 역작용시키면 착탈되게 된다.
또한 토양재배시는 걸림가이드(5)(5′) 하측이 신축가이드편(6)(6′)으로 흙이 메꿔지기 어려운 대신 공간부(12)(12′)가 형성되어 환풍작용 즉 산소를 공급하게 되고 다수개의 가공구멍(4)(4′)은 필요한 곳을 절개 가공시켜 수경재배시는 상부측만을 뚫어 물이 넘쳐내리도록 하고 토양재배시는 하부측만을 뚫어 물배출 작용 등을 하게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면서 설치 장소에 알맞게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걸림가이드와 용기형태로 부유물체를 지지시켜 수경재배와 토양재배를 겸할 수 있도록 할뿐만 아니라 재배용기에 격리판이 간단하고 견고하게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대단히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재배용기(1)는 용기체(2)와 캡(3)(3′)과 격리판(7)을 분리하여 형성하되, 용기체(2)는 양측면을 만곡부(13)(13′)로 형성하고, 다수개의 가공구명(4)(4′)을 형성하여 필요시 구멍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 내측으로는 신축만곡가이드편(6)(6′)을 하측으로 돌설시킨 기억자형으로 된 걸림가이드(5)(5′)를 양측으로 나란하게 돌설시키고 그 하부일측에 공간부(12)(12′)가 형성되도록 하여, 용기체(2)와 일체로 길게 형성 하고 (길이는 한정되지 않음) 캡(3)(3′)은 재배용기체(2) 양단 부측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시킨 용기체(2)의 개방된 양단부를 막도록 하고 격리판(7)은 양측으로 걸림부(8)(8′)를 돌설시키고 걸림부(8)(8′) 평면판부(7′) 사이에는 끼움요홈부(9)(9′)가 형성되도록 절곡시키고 격리평면판부(7′) 양측에는 격리평면판부(7′)와 직교상태이면서 지지면적이 넓어지도록 한 지지만곡돌편(10)(10′)을 돌설되어 형성하여, 길게 형성시킨 용기체(2)를 설치장소에 알맞게 절단시킨 다음 양단부측에 캡(3)(3′)을 씌우고 필요한 곳에 격리판(7)을 재치시켜 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기.
KR1019930008003A 1993-05-10 1993-05-10 식물재배용기 KR95000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003A KR950009822B1 (ko) 1993-05-10 1993-05-10 식물재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8003A KR950009822B1 (ko) 1993-05-10 1993-05-10 식물재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822B1 true KR950009822B1 (ko) 1995-08-29

Family

ID=19355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003A KR950009822B1 (ko) 1993-05-10 1993-05-10 식물재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82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4372A (en) Planter
WO1992007063A3 (en) A culture device having a detachable cell or tissue growth surface
NZ336935A (en) A cell container for growing seedlings in nurseries or greenhouses having aperture at top
CN107257622B (zh) 水耕栽培器
AU583074B2 (en) Device for horticulture
KR950009822B1 (ko) 식물재배용기
USD281406S (en) Cultivating tower for plants, flowers or the like
DE59910107D1 (de) Zellkulturgefäss für die Kultivierung nicht adhärenter Zellen
KR200486775Y1 (ko) 물받이부재가 구비된 파티션용 화분
USD259870S (en) Support to hold potted plants above water level
US5943820A (en) Flower holder with angled flower support
USD247271S (en) Holder for Christmas tree or potted plants
CA2283546A1 (en) Culture plate for the rooting of young plants
JP2000060327A (ja) 植木鉢給水装置
GB2280583A (en) Plant support
KR890000295Y1 (ko) 수경 재배용 화분
ES1044253U (es) Pieza para el entutorado de plantas vegetales en invernaderos.
AU4660099A (en) Plant tray and cultivation system provided with such a plant tray
USD263366S (en) Plant growth enhancement enclosure
KR910009380Y1 (ko) 분해조립용 화분받침대
KR200180103Y1 (ko) 담 설치용화분
KR970068814A (ko) 육묘용기
JPH08266161A (ja) 接木苗養生器
GB2063350A (en) Retaining elements
JP2000210171A (ja) 花 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