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529Y1 -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 Google Patents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529Y1
KR950009529Y1 KR2019930025530U KR930025530U KR950009529Y1 KR 950009529 Y1 KR950009529 Y1 KR 950009529Y1 KR 2019930025530 U KR2019930025530 U KR 2019930025530U KR 930025530 U KR930025530 U KR 930025530U KR 950009529 Y1 KR950009529 Y1 KR 950009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aving
width
yarn
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5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4330U (ko
Inventor
김해원
Original Assignee
김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원 filed Critical 김해원
Priority to KR2019930025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529Y1/ko
Publication of KR950014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3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5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08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 D03D15/21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cellulose-based natural from plants, e.g. cotton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제 1 도는 본 고안 직물의 일시예를 나타낸 일부 발췌 확대 정면예시도.
제 2 도는 A-A선 확대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 직물의 일실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원단 1 : 위사
2 : 경사 a : 한쪽끝
b : 다른쪽 H : 높이
L : 전체폭 ℓ : 짧은폭
P : 한조직
본 고안은 스크류 띠형 원단 직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물원단을 띠형으로 하고 이를 부채꼴의 나선형과 같은 스크류상으로 띠형 원단을 제직하여 줌에 있어 원단직물을 이루는 원사를 대마사등과 같이 한줄을 꼬아서되는 재료실을 원사로 하여 이를 직기로 공급하여 줌에 있어 원사를 좌·우폭을 이루는 길이를 설정할 때 제일 긴 길이에서 부터 한쪽폭은 길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다른쪽을 한조직씩 줄어 준것을 제일 짧은 길이폭을 좁혔다가 다시 제일 긴 길이로 넓혀주는 과정을 반복하고 이 원사의 길이에 따라 지조직사도 비례하여 제직이 이루어지게하여 위사는 그 폭이 일축에서 좁아졌다 넓어졌다하고 이를 엮어주는 경사는 위사의 폭따라 이를 엮어주게 하므로서 제직되는 원단 직물이 나선형의 부채꼴을 이룬 스크류형으로 제직되어 지게하여 부채꼴 나선형이 수겹포개어지는 제직을 이용하는 연마반으로의 사용이 직접 이루어지게 할 목적으로 고안한 것이다.
종래에는 본 고안과 같은 대마사의 제직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제직된 천을 사용하였거나 또는 평직된 직물원단을 절단하여 이를 수겹포개어 놓고 결착금구등을 사용하여 결합 사용하는 방법등이 이용되어지고 있으나 이는 실용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였다.
본 고안의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을 특수제직하는 방법이며, 그 사용처도 극히 한정되어 둥근원형을 이루는 제품에만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삿갓이나 연마반 또는 둥근치마등에는 일반적으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 직물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발췌 확대 명면도로서 원사는 한가닥의 꼬임으로되는 굵은 대마사등을 위사(1)로하여 지조직 경사(2)와 제직함에 있어 일정 길이의 전체폭(L)으로 제직되는 위사(1)를 한쪽끝(a)은 그폭을 일치시키고 다름쪽(b)은 한조직(P)씩 줄어 가면서 제직하여 제일짧은폭(1)까지 좁혔다가는 다시 제일 넓은 폭으로 제직하면서 이에 따라 지조직사인 경사(2)도 위사가 제직되는 부위와 지조직을 이루게 하여 원단(가)이 제직된 것이다.
이와같은 제직방식에 따라 제조되는 위사(1)와 경사(2)는 각각 그재질에 있어서 위사(1)는 올한가닥이 일정굵기(Q)를 유지하여 올한가닥씩을 지그재그로 제직하여줌에 있어 한쪽끝(a)은 전체폭(L)을 유지하는 상태로 하고 다른쪽(b)은 전체폭(L)에서 한조직(P)씩을 주어 가면서 제직하여주고 맨마지막의 제일 짝은폭(1)까지 좁혀진 다음에는 다시 제일 넓은 전체폭(L)으로 다시 넓어져 제직되게 하므로서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직된원단(가)의 다른쪽(b)을 중심점으로하여 한쪽끝(a)은 전체폭과 원사굵기(Q)에 비례하는 넓이(H)를 갖는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제직되므로 제직된 원단의 제일길이가 긴 전체폭(L)의 원사로 블때 부채꼴의 방사상으로 펼쳐진 모양을 반복하여 주게 되므로 결과적으로는 스크류형을 이루는 원단직물이 제직되어지는 것이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대마사와 같은 원사를 위사(1)로하여 반복제직하는 부채꼴의 직조는 한개 한개의 부채꼴직조가 계속하여 반복하여 주므로서 띠형 스크류 원단직물이 제직되는 것으로서 한쪽끝(Q)의 전체 높이(H)에 의하여 이를 반지름 형태로 하여 다른쪽(b)으로 기울기되어 제직이 이루어 지므로서 한개 한개로 되는 부채꼴이 반복되어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을 제직하여 주는 것으로서, 이때 원형의 띠판을 무한으로 제직하기 위하여는 상기와 같은 부채꼴직조가 연속하여 이루어지므로서 띠상의 원단이 나선형으로 연속직조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스크류 띠형 원단 직물을 제직함에 있어 바닥조직을 이루는 경사(2)와 이에 의하여 좌·우로 고정되는 위사(1)를 상호 제직함에 있어 경사(2)에 의하여 제직되는 위사는 일반적인 섬유실보다 굵으며 서로 꼬여있어 잘풀려 지지 않도록 형성된 꼬여진 대마사와 같은 제질을 위사로하여 위사자체가 일정 굵기(Q)를 갖으므로 제직된 원단의 두께가 형성되어지며 이를 무한의 스크류 나선형으로 제직할 수 있도록 위사의 전체폭(L)을 띠형 스크류 원단의 반지름 형태로 하고 이에서 차차외주로 나가면서 한조직(P)씩 줄어들도록 제직하여주고 맨끝단의 한쪽끝(a)은 제일 짧은폭(1)을 형성하도록 제직하여줌에 있어 이와 직교되는 경사(2)의 제직도 위사의 한조직(P) 이 줄어들어감에 따라 그 줄어든쪽에서는 서로 직교하도록 제직하므로서 경사에 의하여 제직된 위사가 서로 풀리지 않고 제직되어 연속적인 구성을 이룰수 있게 한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가닥의 굵은 대마사를 위사로하여 제직된 스크류 나선형 직물은 제직방법을 달리하여 여러겹으로 포개어지는 상태로의 제직도 가능하여 생산된 금속 재질의 제품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구로서의 사용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는 옷감의 레이스 직물 또는 삿갓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본 고안에선 나선형스크류로 제직되는 띠형원단직물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연마포로 사용함에 있어 일정굵기(Q)의 두께를 갖는 위사에 의하여 이를 여러겹으로 포개어 주고 필요부위를 절다하여 밀접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고안의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은 이를 제직함에있어 재단사나 북실사가 별도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숙련된 기술자 한사람이 적어도 3대이상 5대정도의 직기를 조작할 수 있어 인건비에 의한 생산원가 상승요인을 억제하는 효과를 높혀줌과 동시에 생산성과 작업성이 양호하여 일반 초보 기술자도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할것이다. 그리고, 본고안에서는 원사를 이루는 위사로서 대마사등으로 일정 굵기를 유지하는 위사를 공급하여줌에 있어 한가닥의 원사를 공급할 수도 있으나 그 이외의 방법으로 두가닥 또는 그 이상의 여러가닥을 겹쳐서 높은 두께로 공급하여 제직되는 스크류 띠형 원단 직물의 부피를 두껍게 할수도 있으며, 때에 따라서는 여러가닥을 동시에 엮어서 공급하여줌으로서 제직되는 원단의 견고성을 좋게 할수도 있도록한 매우 실용적이고도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일정 굵기를 유지하는 대마사와 같은 원사를 위사(1)로 꼬아 지조직 경사(2)와 제직하여서되는 직물에있어서, 일정길이의 전체폭(L)의 한쪽끝(a)은 그 폭을 고정하고 다른쪽(b)은 한조직(P)씩 그 폭을 좁혀가면서 제직하여 제일 짧은폭(1)까지 좁혔다 가는 다시 넓은폭으로 제직하여 부채살 원단(가)의 외주폭 넓이(H)가 반복되고 내주는 원사 두겹의 좁은 넓이로 반복되어 부채꼴 나선형의 띠형 원단이 제직되어짐을 특징으로한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위사를 한가닥 이상의 여러가닥을 겹쳐서 높은 두께로 공급시켜 지조직 경사가 제직하므로서 두꺼운 부피를 갖는 스크류 띠형 원단 직물.
KR2019930025530U 1993-11-30 1993-11-30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KR950009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530U KR950009529Y1 (ko) 1993-11-30 1993-11-30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5530U KR950009529Y1 (ko) 1993-11-30 1993-11-30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330U KR950014330U (ko) 1995-06-16
KR950009529Y1 true KR950009529Y1 (ko) 1995-11-08

Family

ID=19369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5530U KR950009529Y1 (ko) 1993-11-30 1993-11-30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5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4330U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9205B1 (en) Woven fabric for belt
US3094149A (en) Paper makers felt
US2883734A (en) Paper-maker's wet felt
US6418974B1 (en) Woven fabric using three dimensional and flat weave in combination, related methods and filter element
US4574107A (en) Method of producing a coated fabric
US4384021A (en) Fabric tapes and woven fabrics for the production thereof
CA2336504C (en) Joining loop of industrial fabric and joining part using the loop
US7117899B1 (en) Pile mesh fabric
US2845783A (en) Chenille fur strip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950009529Y1 (ko) 스크류 띠형 원단직물
US2741824A (en) Apertured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713877A (en) Woven pile floor covering
US3446252A (en) Belt fabric
US3700194A (en) Seam for woven fabric
US3568234A (en) Mop element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JP2000045147A (ja) 強化織物
US4548850A (en) Pile fabric with pile-free positions
TWM594621U (zh) 具回收紗線的布料
US3100004A (en) Woven article of manufacture having relatively stiff weft and method of making same
US3846970A (en) High bulk and potentially high bulk fibrous material
US2916798A (en) Woven mat
US3028884A (en) Pile fabric with wefts of different sizes
US2935095A (en) Slide fastener tape construction
US2912015A (en) Wear resistant selvage for woven fabric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