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336B1 - 전도체용 표시지지대 - Google Patents

전도체용 표시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336B1
KR950009336B1 KR1019900020788A KR900020788A KR950009336B1 KR 950009336 B1 KR950009336 B1 KR 950009336B1 KR 1019900020788 A KR1019900020788 A KR 1019900020788A KR 900020788 A KR900020788 A KR 900020788A KR 950009336 B1 KR950009336 B1 KR 950009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onductor
support
rocker
tong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0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019A (ko
Inventor
팜펠 유르겐
Original Assignee
체. 아. 바이트뮐러 운트 콤파니
우베 쇄켈, 크라우스 에버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체. 아. 바이트뮐러 운트 콤파니, 우베 쇄켈, 크라우스 에버라인 filed Critical 체. 아. 바이트뮐러 운트 콤파니
Publication of KR910014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 H01B7/36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being a sleeve, ferrule, tag, clip, label or short length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6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distinguishing or length mark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도체용 표시지지대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지지대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표시지지대의 사시도.
제3도는 삽입된 전도체와 표시지지대 사시도.
제4 및 5도는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부터 삽입된 도체와 표시지지대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지지대 2 : 측벽
3 : 크램핑로커 4 : 전도체
5, 6, 7 : 크램핑 텅 8 : 회전막대
9 : 가이드 및 크램핑 판
본 발명은 삽입된 도체위에 작용하는 크램핑텅을 갖춘 크램핑 장치가 설치된 바닥부, 측벽 및 상부의 표시수용부로 구성된 지지체를 구비한 잔도체용 표시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표시지지대에 관한 공지 기술에 따르면(유럽특허 제EP 89 11 897.8호) 크램핑 장치는 지지체의 바닥부에 그 끝단부를 형성시킨 크램핑텅으로 구성되며, 상기 크램핑텅의 자유 고정단부는 상부로 비스듬이 지지체의 상부 표시수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지지체가 폐쇄된 중공프로필일때 전도체가 양호하게 안내되어 삽입될 수 있으며 크램핑텅을 통하여 현저한 고정력이 얻어질 수 있고 큰직경의 도체가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으로 인해 도체는 항상 단지 한 측면으로부터만 표시지지대의 지지체내로 삽입될 수 있거나 표시지지대가 단지 한 측면으로부터만 전도체를 통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것은 조립에 관련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이러한 표시지지대는 수배로 동일하게 압착되고 따라서 오직 한 방향으로만, 즉 오른쪽으로부터 또는 왼쪽으로부터만 판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 방향으로부터 표시될 도체상으로 밀려질 수 있으며 간단히 조립되고, 크램핑장치에 의해서 도체상의 그 위치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표시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크램핑장치는 회전가능한 3개의 크램핑텅을 가진 크램핑로커이고, 상기 크램핑텅중 중앙의 크램핑텅은 도체 관통부내로 돌출해 있으며, 도체의 삽입시 삽입방향에 따라 2개의 다른 크램핑텅중 하나가 중앙 크램핑텅에 의해 크램핑로커의 회전에 의해서 전도체로 선회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크램핑로커에 의해 표시지지대는 간단한 조립 및 확실한 크램핑이 이루어지면서 양방향으로부터 전도체상으로 밀려질 수 있다. 전도체용 지지체내의 삽입부는 실제로 비어있다. 전도체는 삽입시 로커의 중앙 크램핑텅에 마주친다. 보다 더 삽입하면 로커는 중앙 크램핑텅 위의 도체에 의해, 삽입방향에 따라 두개의 다른 크램핑텅중 하나가 전도체에 접합될 때까지, 회전된다. 완전히 삽입되면 전도체에 작용되는 두개의 크램핑로커의 크램핑텅의 의도된 고정 작용을 위한 변형이 이루어지며 또한 그럼으로써 상부의 인정된 표시수용부를 통한 안정된 지지와 더불어 도체의 직경에 적합한 도체의 2중 크램핑이 이루어진다. 조립의 방향이 자유로우며 특히, 원하는 판독방향에 따라 전도체상에 표시지지대를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크램핑로커가 특히, 하부에서 지지체의 양측벽과 일체로 결합된 회전막대를 통해 저항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된다. 또한, 지지체의 상부 영역, 즉 표시 수용부 바로 아래에 있는 탄성 가이드 및 크램핑판이 마찬가지로 양호한 크램핑에 기여하며, 직경의 차이가 현저한 도체가 표시지지대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삽입단계에서 도체를 크램핑로커로 안내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표시지지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전도체용 표시지지대는 지지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지체는 실질적으로 상부 표시수용부(1), 그것과 접속된 측벽(2) 및 바닥부로 구성되고, 상기 바닥부는 실질적으로 크램핑로커(3)의 형태인 크램핑장치로 형성된다. 지지체의 전술한 부분은 전도체(4)의 관통실을 의미한다.
크램핑로커(3)는 3개의 크램핑텅(5,6 및 7)으로 구성되고, 상기 크램핑텅의 내측 단부는 양측벽(2)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된 회전막대(8)로부터 시작된다. 전도체(4)가 삽입되지 않으면 가운데 위치한 크램핑텅(6)은 위쪽으로 대략 수직으로 전도체(4)의 관통실내로 돌출해 있다. 또 다른 크램핑텅(5)은 그것의 왼쪽에 약90°의 각도로 위치해 있으며 제3의 크램핑텅(7)은 그것의 오른쪽에 약90°의 각도로 위치해 있다. 지지체에 의하여 정해진 전도체(4)용 관통실내에서 표시수용부(1) 아래 상부영역에, 즉 삽입된 도체와 관련해서 크램핑로커(3)를 등진 도체의 측면에, 2개의 상부 측면 가이드 및 크램핑판(9)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장치는, 전도체(4)를 오른쪽으로부터(제4도 참조)뿐만 아니라 왼쪽으로부터(제5도 참조)도 이러한 표시지지대내로 삽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두 경우에 간단한 조립 및 양호한 크램핑, 따라서 전도체상에 표시지지대의 고정이 보장된다. 제4도에 따라 전도체가 오른쪽으로부터 삽입되는 경우, 또한 같은 의미인 전도체 상에 왼쪽으로부터 지지체가 삽입되는 경우, 전도체(4)의 선두모서리는 먼저 크램핑로커(3)의 중앙 크램핑텅(6)에 부딧치고, 이로인해 크랜핑로커(3)는 회전막대(8)의 탄성저항을 극복하면서 전체적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중앙 크램핑텅은 크램핑로커(3)에 대한 작동레버로 사용된다.
도체(4)를 보다 더 삽입하면, 크램핑로커(3)의 회전에 의해 오른쪽에 위치한 또다른 크램핑텅(7)이 전도체의 절연 외피까지 선회되고 이때 크램핑텅(5 및 7)의 자유 작용은 전도체의 직경크기에 따라 변형되므로, 지지대 전체가 전도체의 하부면에 2중으로 크램핑 지지된다. 또한, 전도체의 삽입시 2개의 상부 가이드 및 크램핑판(9)은 탄성적으로 넓어진다. 상기 상부 가이드 및 크램핑판은 전도체의 삽입시 전도체를 하부로 크램핑로커(3)위에 누르면서 안내한다. 전도체(4)에 대한 지지체의 관통실의 진입부분은 열려져 있기 때문에, 전체 조립은 문제가 없다. 도체는 먼저 자유스럽게 인입된 다음 넓어진 가이드 및 크램핑판(9)에 의하여 크램핑로커(3) 위로 압착된다. 보다 더 삽입하면, 상기 도체는 크램핑로커(3)를 자동으로 선회시키고 2중 지지에 의한 기울어짐 없는 안정한 고정을 얻는다는 의미에서 크램핑텅의 자유단부의 변형을 자동으로 수행한다.
크램핑 작용은 2개의 크램핑텅에 의해, 전술한 조립경우에는 2개의 크램핑텅(6) 및 (7)에 의해 얻어진다. 부가의 크램핑 작용은 회전막대(8)의 탄성적인 저항력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응하게 설계하면, 가이드 및 크램핑판(9)에 의해서도 크램핑 작용이 얻어진다. 전술한 디자인은 하나 또는 같은 표시지지대에 현저하게 차이나는 직경을 가진 전도체(4)를 삽입시키거나 이러한 전도체에 표시지지대를 확실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5도에는 왼쪽으로부터 전도체의 삽입, 즉 지지체가 전도체상으로 오른쪽으로부터 밀려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삽입방향에서 전도체의 선두모서리는 지지체의 내부로 수용된 후 크램핑텅(6) 위에 마주치며, 상기 크램핑텅은 다시 작동레버로 작용한다. 또한 크램핑로커(3)의 회전은 회전막대(8)의 회전 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제 왼쪽에 위치한 크램핑텅(5)은 전도체(4)의 외피에서 선회되므로 삽입이 끝난후 2개의 크램핑텅(5) 및 (6)은 기울어지지 않는 안정한 고정을 제공한다.

Claims (4)

  1. 삽입된 전도체상으로 작용하는 크램핑텅을 가진 크램핑장치를 구비한 바닥부, 상기 표시지지대 및 측벽으로 구성된 지지체를 가진 전도체용 표시지지대에 있어서, 크램핑장치는 회전할 수 있는 3개의 크램핑텅(5, 6, 7)을 가진 크램핑로커(3)이고, 상기 크램핑텅중 중앙의 크램핑텅(6)은 도체 관통부내로 돌출해 있으며, 도체의 삽입시 삽입 방향에 따라 2개의 다은 크램핑텅(5; 7)중 하나가 중앙 크램핑텅(6)에 의해 크램핑로커(3)의 회전에 의해서 전도체(4)로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크램핑로커(3)가 저항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지지대.
  3. 제2항에 있어서, 크램핑로커(3)가 지지체의 측벽(2)과 일체로 결합된 회전막대(8)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지지대.
  4. 제1항에 있어서, 삽입된 전도체(4)에 관련하여 크램핑로커(3)를 등진 전도체의 측면에 가이드 및 크램핑판(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지지대.
KR1019900020788A 1989-12-15 1990-12-15 전도체용 표시지지대 KR950009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414752 1989-12-15
DE3941475A DE3941475A1 (de) 1989-12-15 1989-12-15 Bezeichnungstraeger fuer elektrische leiter
DEP3941475.2 1989-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019A KR910014019A (ko) 1991-08-08
KR950009336B1 true KR950009336B1 (ko) 1995-08-19

Family

ID=6395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0788A KR950009336B1 (ko) 1989-12-15 1990-12-15 전도체용 표시지지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432525B1 (ko)
JP (1) JPH069128B2 (ko)
KR (1) KR950009336B1 (ko)
CA (1) CA2032324A1 (ko)
DE (2) DE3941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8633B1 (fr) * 1990-10-31 1992-12-31 Telemecanique Dispositif d'identification de cable electrique et procedes d'obtention s'y rapporta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04709A (fr) * 1966-10-24 1967-12-08 Cie Generale Entpr Elec Repère porte-étiquette
CH594270A5 (ko) * 1975-04-08 1977-12-30 Fehr Rudolf
DE3343064C2 (de) * 1983-11-29 1985-09-26 C.A. Weidmüller GmbH & Co, 4930 Detmold Bezeichnungsträger für elektrische Leitungen
EP0295542B1 (en) * 1987-06-19 1993-03-10 GRAFOPLAST S.p.A. Open sleeve support for wire marking elements with snap lock
JPH03505861A (ja) * 1988-06-03 1991-12-19 マサチューセッツ・インステチュート・オブ・テクノロジー ダイヤモンド上の二酸化ケイ素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41475A1 (de) 1991-06-20
JPH03230418A (ja) 1991-10-14
JPH069128B2 (ja) 1994-02-02
DE59003459D1 (de) 1993-12-16
EP0432525B1 (de) 1993-11-10
DE3941475C2 (ko) 1991-11-07
KR910014019A (ko) 1991-08-08
CA2032324A1 (en) 1991-06-16
EP0432525A1 (de) 1991-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7338A (en) Breaker device
US5704815A (en) Terminal device for electrical apparatus
US5679021A (en) Spring clamp actuator
KR890016711A (ko) 검지 장치를 갖는 전기 커넥터
CA1238093A (en) Electrical jack
KR910007190A (ko) 전기 커넥터
WO2000031830A1 (en) Screwless terminal block
KR950034901A (ko) 약전류 설비용 다중 접속핀 홀더
US5358422A (en) Terminal assembly
US4152564A (en) Actuating device for a battery operated module
KR950009336B1 (ko) 전도체용 표시지지대
KR880005709A (ko) 고주파 케이블 코넥터
US4040653A (en) Control device for stopping the withdrawing of unit cases
JPH05502328A (ja) 多極の電気的なカップリング装置
US4685028A (en) A.C. power entry module
JPH0845572A (ja) 速結端子台
JPH0668915A (ja) 速結端子装置
US5476397A (en) Wire terminal clamp
GB2137440A (en) Screwless terminal
JP2901094B2 (ja) 電気押ボタンスイッチ、特に自動車用危険監視信号スイッチ
CN210467653U (zh) 自锁式按键开关
KR900000523Y1 (ko) 전자 기기 하우징의 스위치 보호 커버 장치
JPH0336058Y2 (ko)
RU1833932C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соединитель с нулевым усилием введени контактов
KR200287884Y1 (ko) 연료량 표시장치의 레지스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