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170Y1 -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170Y1
KR950009170Y1 KR2019930001743U KR930001743U KR950009170Y1 KR 950009170 Y1 KR950009170 Y1 KR 950009170Y1 KR 2019930001743 U KR2019930001743 U KR 2019930001743U KR 930001743 U KR930001743 U KR 930001743U KR 950009170 Y1 KR950009170 Y1 KR 950009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ardening
garden
presen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1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913U (ko
Inventor
유외출
Original Assignee
유외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외출 filed Critical 유외출
Priority to KR2019930001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170Y1/ko
Publication of KR9400199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9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1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7/00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 A01K77/005Landing-nets for fishing; Landing-spoons for fishing foldab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제1도는 종래 뜰채의 연결구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3도 a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구성도, b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배면구성도, c는 본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 a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간이 절첩된 상태의 정면구성도.
제4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간이 설치된 환체를 일정구간 회동시켜 환체 전방의 완간을 하향시키는 상태의구성도.
제4도 c는 본 고안에 따른 환체를 완전히 회동시켜 완간이 각각 180°로 펼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제5도 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c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d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결합설치하는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e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5도 실시예를 보인구성도, f는 제5도 e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부재 4 : 회동부
5 : 작동부 10,10' : 연결판
12,12' : 삽입공 13,13' : 삽입봉
30,30' : 완간 40 : 환체
42 : 요홈 43 : 걸림홈
50 : 작동봉 51 : 걸림부
본 고안은 낚시용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뜰채의 중량이 가볍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재조원가를 낮추며 사용이 간편하여 제품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낚시용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에 관한것이다.
뜰채는 통상 낚시를 하거나 물고기를 잡을때 사용하는 것인데, 이와 같은 뜰채는 일반적으로 펼쳐서 사용하고, 휴대 보관시에는 절첩하여 휴대 보관한다.
이와 같은 뜰채는 대개 뜰채망이 설치된 완간과 장봉상의 파지부, 그리고 이들 상호를 연결 설치하며 뜰채망이 설치된 완간을 절첩가능하게 지지설치하는 연결구로 대별(大別)되며, 상기 뜰채에서 특히 장봉상의 파지부와 완간을 연결설치하는 연결구는 뜰채의 사용시, 즉 펼쳐진 완간을 펼쳐진 상태로 지지하며 또한 간단한 조작에 의해 완간을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뜰채의 구성요소 및 기능상에서 가장 중요할 뿐만 아니라 상품의 가치를 척도하는 주된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도 뜰채의 완간과 장봉상의 파지부를 연결하며 완간을 선택적으로 절첩할 수 있는 연결구가 여러가지 형태로 다수 제안 사용되고 있는데, 제1도 도면은 그중 대표적인 종래 뜰채 연결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종래 뜰채연결구는 지지밀판(100)과 상측에 조작버튼(210)을 갖는 지지덮개판(200)이 상하 한쌍으로 양분 설치되며 이는 텐숀밴드체(300)로 연결되어 상기 밀판과 덮개판을 결합 일체화시킨 것으로, 이의 양측 내부에는 완간(400)의 일단부가 내삽,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후방은 뜰채대(500)의 내부에서 견고히지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뜰채연결구에서 완간을 펼쳐 사용하거나 또는 접은 상태로 절첩 보관시에는 상기 지지덮개판(200) 상측의 조작버튼(2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지지밀판(100)과 지지덮개판(200)이 연결된 연결부위의 양측 내부에서 내삽 지지된 완간(400)의 일단부가 그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조작버튼(21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완간을 펴거나 절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뜰채연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즉, 상하 한쌍으로 구성된 지지밀판(100)과 지지덮개판(200)이 금속재로 구성된 관계로 제품의 중량이 무거우며, 또한 금속재로 구성된 지지밀판(100)과 지지덮개판(200)의 연결되는 부위의 양측 내부에 완간(400)의 일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이들 사이에서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밀판과 덮개판의 내부 상하를 정밀 가공해야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며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유발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기술결점에 감안한 것으로, 중량이 가벼우며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수 있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상하 분리구성되며 대응된 볼트공을 갖는 한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상하면에 뜰채의 완간이 대향 설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 일측에 수직 연통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며 회동부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작동부와, 를 포함하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에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는, 상, 하 분리구성되며 대응된 볼트공(11)을 갖고 결합부재(20)로서 결합되는 한쌍의 연결부재(1)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1)는 대응된 볼트공(11)(11') 및 삽입공(12)(12')을 가지며 대향하여 외향 절곡된 판상의 연결판(10) (10')과, 상기 연결판(10)(10')을 일체로 결합설치하는 결합부재(20)와, 상기 연결판(10)(10')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할 뜰채의 손잡이에 삽입지지되는 반원상의 삽입봉(13)(13')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판의 어느 일측은 후술할 완간의 전후방으로 회동됨을 방해하지 않도록 일측에 절결부를 가짐이 좀더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재(1) 사이에는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상하면에 뜰채의 완간(30)(30')이 대향 설치되는 회동부(4)가 구비된다.
상기 회동부(4)는 상기 연결부재(1)의 볼트공(11)(11')과 대응된 축공(41)을 갖는 환체(40)와, 상기 환체(40)의 상하면에 상기 완간의 절곡된 일단부와 대응하여 절곡되며 그를 삽입지지하는 반원상의 요홈(42)와, 상기 요홈(42) 하단부에 형성되어 완간(30)의 절곡된 일단부가 회동되는 회동홈(42')과, 상기 환체(40)의 하면적소에 절결되어 후술할 작동봉이 걸림지지되는 걸림홈(43)을 갖는다.
상기 한쌍으로 분리구성된 연결판(10)(10')의 삽입공(12)(12')에는 수직 연통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하에 회동부(4)의 걸림홈(43)에 걸림지지되며 회동부(4)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작동부(5)가 구비된다.
상기 작동부(5)는 상기 연결판(10)(10')의 대응된 삽입공(12)(12')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환체(40)의 걸림홈(43)을 걸림지지하여 환체(40)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절곡 구성된 걸림부(51)를 갖는 작동봉(50)과, 상기 작동봉(50)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52)과, 상기 지지편(52)과 삽입공(12')의 일측바닥면(도시되지 않음)에 탄지되어 작동봉(50)의 상하작동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53)를 갖는다.
제3도 a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면구성도, 제3도 b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배면구성도, 제3도 c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은 상하 한쌍으로 구성된 연결판(10)(10')의 반원상을 갖는 요홈(42)에 삽입지지된 완간(30)(30')이 각각 펼쳐진 상태, 즉 삽입봉(13)(13')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로 각각 90°씩 완간(30)(30')이 펼쳐진 상태이며 제3도 c와 같이 환체(40)의 걸림홈(43)에 작동봉(50)의 걸림부가견고히 걸림지지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또한 제3도 c의 가상선 위치까지 작동봉에 돌출될 때에는 환체의 걸림홈에서 작동봉이 이탈퇸 상태이므로 완간이 설치된 환체의 회동이 가능할 것이다.
제4도 a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간이 절첩된 상태의 정면구성도, 제4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완간이 설치된 환체를 일정구간 회동시켜 환체전방의 완간을 하향시키는 상태의 구성도, 제4도 c는 본 고안에 따른 환체를 완전히 회동시켜 완간이 각각 180°로 펄쳐진 상태의 구성도이다.
즉 제4도 a는 두개의 완간(30)(30')이 포개어진 상태로 손잡이 방향으로 절첩된 보관상태라 할 수 있으며, 또한 환체(40)의 걸림홈(43)에 작동봉(50)의 걸림부(51)가 지지되지 않고 걸림부(51)의 상면이 환체(40)의 후면에서 지지되며, 또한 연결판(10)(10')의 삽입공(12)(12') 내측에 탄지된 탄성부재(53)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압축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완간(30)(30')을 점차 회동시키면 볼트축을 중심으로 환체(40)가 점차 회동되어 이에 삽입지지된 한쌍의 완간(30)(30')이 연결판(10)(10')의 삽입봉(13)(13')과 평행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평행이 유지된 상태에서는 환체(40) 전방에 지지된 완간(30)을 전방으로 180°하향시켜 환체(40)의 전후방에 구비된 완간(30)(30')을 180°유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환체(40) 전방의 완간(30)을 180° 전방으로 하향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유는 이미 상술했던 바와같이 전방연결판(10)의 일측이 일부 절결된 상태이므로 전방의 완간(30)이 전방으로 하향회동시 아무 제한도 받지 않고 상기 연결판(10)의 절결된 부위를 경유 전방회동이 가능한 것이다. (제4도 b 참조)
상기 완간(30)(30')이 180° 필쳐진 상태에서 환체(40)를 다시 90° 회전시키면 환체(40)의 후면이 작동봉(50)의 걸림부(51) 상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회동한후 회동이 완료되면 작동봉(50)의 걸림부(51)가 탄성부재(5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향하며 환체(40)의 걸림홈(43)에 삽입지지된다.
따라서 완간(30)(30')의 펼쳐진 상태, 즉 뜰채의 사용상태가 완료된다.
사용완료후 뜰채의 절첩 보관시에는 상기 동작의 역순으로 절첩보관함은 물론일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60은 뜰채이다.
제5도 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2실시예이다.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100"을 부가한 동일 부재번호를 사용하며, 양자의 차이점은 단지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1)가 한쌍으로 분리구성된 것인 반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부재(101)가 일체로 구성된 것일뿐,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구성 및 동작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3실시예이다.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200"을 부가한 동일부재 번호를 사용하며, 양자의 차이점은 단지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의 삽입봉(13)이 표면이 매끄러운 원통상으로 구성된 반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삽입봉(213)의 외주연이 나사산이 구성되므로, 상기 삽입봉(213)이 결합되는 뜰채대의 내부도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에 의한 분리결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일뿐,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이 지배적인 특징부인 구성 및 동작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 c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4실시예이다.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300"을 부가한 동일 부재번호를 사용하며, 양자의 차이점은 단지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1)가 한쌍으로 분리구성된 것인 반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실시예와 동일하게 분리구성된 연결부재(1)의 삽입봉(313) 일측을 나사(310)로 결합하여 틈새가 벌어지는것을 방지하는 것일뿐,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구성 및 동작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생략한다.
제5도 d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를 결합설치하는 결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400"을 부가한 동일 부재번호를 사용하며, 양자의 차이점은 단지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와 회동부(4)의 환체(40)를 일체로 연결설치하는 결합부재(20)가 본 실시예는 볼트로 구성된 것인 반면 상기 실시예는 나비나사(420)로 구성된 것일뿐,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구성 및 동작은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 e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의 제5실시예이다.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500"을 부가한 동일부재 번호를 사용하며, 양자의 차이점은 단지 본 실시예의 연결부재가 한쌍으로 분리구성된 것인 반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와 같이 연결판이 양측으로 구성되지 않고 어느 일측에만 형성된 것일뿐, 상기실시예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 f는 제5도 e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이다.
상기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차이점은 상기 실시예의 결합부재(20)는 볼트로 구성되고 삽입봉은 표면이 매끄러운 원통상으로 구성된 것인 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부재가 나비나사(620)로 구성되고 삽입봉은제5도 b와 같이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이는 상술했던 제5도 b와 기술구성 및 목적이 대동소이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연결장치를 중량이 가볍고 내수성이 강한 합성수지로 구성하므로서, 뜰채의 중량이 가볍고 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등의 특징이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9)

  1. 상하 분리구성되며 대응된 볼트공을 갖는 한쌍의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축설되며 상하면에 뜰채의 완간이 대향 설치되는 회동부와, 상기 한쌍의 연결부재 일측에 수직 연통설치되며 선택적으로 상하 작동되며 회동부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작동부와, 를 포함하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대응된 볼트공 및 삽입공을 가지며 대향하여 의향 절곡된 판상의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을 일체로 결합설치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연결판 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할 뜰채의 손잡이에 삽입지지되는 반원상의 삽입봉을 갖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볼트공과 대응된 축공을 갖는 환체와, 상기 환체의 상하면에 상기 완간의 절곡된 일단부와 대응하여 절곡되며 그를 삽입지지하는 반원상의 요홈과, 상기 요홈 하단부에 형성되어 완간의 절곡된 일단부가 회동되는 회동홈과, 상기 환채의 하면 적소에 절결되어 작동봉이 걸림지지되는 걸림홈을 갖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대응된 삽입공에 삽입되며 선택적으로 환체의 걸림홈을 걸림지지하여 환체의 회동을 방지하도록 절곡구성된 걸림부를 갖는 작동봉과, 상기 작동봉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과 삽입공의 일측면에 탄지되어 작동봉의 상하작동시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를 갖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으로 분리구성된 연결부재의 삽입봉 일측에 삽입봉이 벌어짐을 방지하는 나사가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포함하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판이 어느 일측에만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가 나비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하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삽입봉 외주연에 나사산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KR2019930001743U 1993-02-10 1993-02-10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KR950009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743U KR950009170Y1 (ko) 1993-02-10 1993-02-10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1743U KR950009170Y1 (ko) 1993-02-10 1993-02-10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913U KR940019913U (ko) 1994-09-15
KR950009170Y1 true KR950009170Y1 (ko) 1995-10-23

Family

ID=19350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1743U KR950009170Y1 (ko) 1993-02-10 1993-02-10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1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913U (ko) 1994-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37881A (en) Adjustable shadow casting shade umbrella and stand
US11439238B1 (en) Folding chair
US4193413A (en) Disengaging connector for attaching fabric to a tubular support member
US4716919A (en) Portable blind with automatic opening top
US2793764A (en) Folding rack
US5979856A (en) Music stand
JPH11507421A (ja) 屋内または屋外用折り畳み式展開用枠組み
JP2012514523A (ja) サッカーゴール
KR200490130Y1 (ko) 낚시용 도래
EP0139632A1 (en) Vacuum cleaning nozzle
FR2523420A1 (fr) Parapluie ayant un dome de forme ovale
US4118064A (en) Collapsible folding rocking chair
US7089610B2 (en) Portable hammock
KR950009170Y1 (ko) 뜰채연결구의 연결장치
US5471778A (en) Collapsible net assembly capable of rotatably closing the support rods upon which the net is supported
US20070067907A1 (en) Baby crib including a top frame unit that can be disassembled
CN209731958U (zh) 一种推杆折叠机构及园林工具
US4193415A (en) Umbrella canopy frame and staff construction
US4311332A (en) Shellfish rake construction
CN210395295U (zh) 一种折叠捞网
JP7154345B2 (ja) 折り畳みスツール
CN110149997B (zh) 一种园林树枝积雪抖落机
US4658843A (en) Flexed fan umbrella apparatus
CN108811678A (zh) 一种旋转式折叠机构及具有该旋转式折叠机构的割草机
KR101558464B1 (ko) 낚시용 절첩식 뜰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