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76Y1 -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 - Google Patents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9076Y1 KR950009076Y1 KR2019930000129U KR930000129U KR950009076Y1 KR 950009076 Y1 KR950009076 Y1 KR 950009076Y1 KR 2019930000129 U KR2019930000129 U KR 2019930000129U KR 930000129 U KR930000129 U KR 930000129U KR 950009076 Y1 KR950009076 Y1 KR 95000907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press
- iron pieces
- iron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 B30B15/041—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철(凸)편, 톱니나사 및 미끄럼 구(溝)의 설치위치 표시도면이다.
제 2 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 측면도이다.
제 3 도는 종래 프레스의 사시도이다.
제 4 도는 a, b, c는 종래의 프레스에 있어서 슬라이더, 크랭크 축의 조합정면 측면 및 평면도이다.
제 5 도는 종래의 프레스 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더, 크랭크 축 및 연동간의 작동 개략도이다.
제 6 도는 종래의 프레스 기계에 있어서 프레스 작동력의 wjs달상태 표시도이다.
제 7 도는 a, b는 종래의 프레스 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더에 의해 작동된 압압력 방향 표시도이다.
제 8 도는 a, b는 종래의 프레스 기계에 있어서 우력과 비틀림이 슬라이더의 철편에 작용된때에 형성되는 분력의 표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대 11 : 컬럼
12 : 크랭크축 13 : 연동간
14 : 감속수단 15 : 톱니나사
16 : 슬라이더 161 : 철(凸) 편
17 : 미끄럼구
이 고안은 프레스 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더 안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스 가공과정에서 슬라이더에 생기는 우력이나 비틀림을 거의 제거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한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레스 기계의 구조는, 제3도 및 제4도 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대(10) 후방에 상방으로 연신하는 좌우 양 컬럼(11)을 일체성형하며 이 양 컬럼(11)사이에 크랭크 축(12)을 설치하고, 또 이 크랭크축(12)의 크랭크 핀에 연동간(13)을 축연결하며 이 양 컬럼(11) 후방에 이 크랭크 축(12)을 연동회전시키는 기어 감속수단(14)을 마련함과 아울러, 모터에 의해 이 감속수단(14)에 동력을 공급시키며, 더욱이 이 연동간(13)에 톱니나사(1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16)를 결합하고, 이 슬라이더(16)를 연동간(13)의 동작에 따라서 상, 하 활동시킴으로서 공작물을 프레스 가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톱니나사(15) 선단은 상기 슬라이더(16)의 중심부위와 연결하여 이 슬라이더(16)의 후방양측에 철편(161)을 일체성형하고, 이들 각각을 상기 양 컬럼(11)내측에 형성된 오목부 형상의 미끄럼구(17)내측에 계합(제4도 c에 도시한 바와같이)함과 아울러, 이 미끄럼구(17)내면에 동(鍋) 메탈 라이너(18)를 설치하여이 철편(161)이 직접 미끄럼구(17)내접면과 접촉마찰하는 것을 피하게 한다.
상기한 크랭크 축(12). 연동간(13), 및 슬라이더(16)의 동작표시도는, 제5, 6, 7 (a),(b)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크랭크 축(12)이 크랭크 핀 R을 개재하여 연동간(13)를 연동회전시키고, 이 연동간(13)은 크랭크축(12)에 따라서 편심회전하며, 0'점을 통하여 이 톱니나사(15)아래단에 연접된 슬라이더(16)가 미끄럼구(17)의 안내를 받으며, 이 연동간(13)에 따라서 편심회전하며 상하로 활동하도록 이루어져 이 상하활동에 의해서 형성된 프레스가 공행정은 이 크랭크 핀R의 길이의 2배로 된다.
그래서 이 연동간(13)이 상기 크랭크 축(12)에 의해서 아래측으로 연동하여 상기 슬라이더(16)에 압압력F를 전달하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압압력F는 상기 연동간(13)축에 적당한 경사각도로 이슬라이더(16)중심부 0'에 작용한다.(덧 붙여서 말하면 톱니나사 아래단이 정확히 슬라이더의 중심부위 0'를 관통한다).
즉, 상기 압압력F는 2개의 분력 Fx와 Fy로 분해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실제로, 이 슬라이더(16)에 펀칭력으로 전달된 압압력 F는 분력 Fy만큼이다.
다음에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분력 Fy는 프레스 작용을 갖고 있지만, 이 압압력의 전달점은 슬라이더(16)의 중심부위 0′이고 또 이슬라이더(16)의 중심부위 0'로 부터 거리 L이 이격된 후방에 중심 0가 위치할수 있도록 양측에 철편(161)을 불록하게 설치한 것으로 부터, 이 분력 Fy는 상기 슬라이더(16)에 프레스력을 발생시키는 것이의에, 이 철편(161) 중앙0를 기준으로 하여 이 슬라이터(16)에 대응하여 우력 M=FyL(제7도에 도시한 이와같이)이 작용하는 것으로 되고. 또 이 분력 Fx도 동일하게 슬라이더(16)후측의 철편(161)중앙0에 대해 비틀림 T=FxL의 작용을 한다(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런 까닭에, 이 압압력 F는 상기 슬라이더(16)를 밀어서 공작물을 프레스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우력 M과 비틀림 T를 발생시키는 것이고, 게다가 이 우력M과 비틀림T는 상기 슬라이더(16)의 철편(161)과 동 메탈 라이너(18)에 대하여 마찰손실을 촉진하는 나쁜 영향이 있다.
계속해서 제8도 a, b를 참조하여 알수 있는 바와같이, 우력 M은 상기 철편(161)에 대해서 그의 상단 a부위에서의 후향 작용력이 가장 크게 아레쪽으로 내리 갈수록 작아지고, 그 하단 b부위에서의 전향 작용력이 가장 크게 위쪽으로 올라 갈수록 작아지는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되고, 이 현상은 상기 철편(161) 이 미끄럼구(17)내측으로 활동할때에 철편(161)과 미끄럼구(17)의 각각 마찰력이 불균형으로 되는 상태를 초래하며, 상기철펀(161)의 미끄럼구(17)내측에 취부된 동 메탈 라이너(18)에 대한 마찰손실이 점점 더 심하게 된다.
한편 비틀림 T도 동일하게 철편(161)에 대해서 일측 c부위에 2개의 작용력을 형성하고, 아울러 타측 d부위에도 2개의 작용력을 형성하여(제8도 b에 도시한 바와같이)상기 동 메탈 라이너(18)가 비틀림 T의 발생으로부터 마찰손실을 받는다.
그러므로 상기 슬라이더(16)가 크랭크 축(12)의 회진에 따라서 1사이클로 상기 현상이 발생하고, 수백, 수천, 수만회로 압력을 행하는 프레스인 것을 생각하면 슬라이더(16)의 철편(161)과 동 메탈 라이너(18)의 마모가 되는 정도의 것을 아는 것은 당연하다.
또 동 메탈 라이너(18)가 마모되고, 철편(161)과 미끄럼구(17)와의 간격이 크게 되며, 상기 슬라이더(16)의 공작물을 압압하는 정밀도가 대단히 저하하고, 제품의 품질이 불안정하게 됨과 아울러 심한 경우에는 모형의 캐비티가 슬라이더(16)에 의하여 파괴된다.
상기 종래의 프레스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더 안내기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 고안은 슬라이더의 미끄럼구내에 활동가능하게 계합하는 철(凸)편을 이 슬라이더 중심에 축설치된연동간내에 나사결합하는 톱니나사 선단중심과 동일 직선상에 대응시켜, 즉 사이 0, 0'양위치를 중첩시켜 거리 L을 없애고. 상기 연동간의 슬라이더에 대응하는 압압력으로 부터 상기 슬라이더가 우력이나 비틀림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더의 철편과 그것과 미끄럼 계합하는 미끄럼구의 동 메탈 라이너의 마모를 경감하여 양자 수용수명을 연장시키고 동시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프레스 및 모형과의 대응위치 정도를 보존하고 유지가능한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고안은 기대 후단의 양측에 각각 위쪽으로 연신하는 컬럼을 마련하고, 이 양컬럼 상단사이에 크랭크 축을 설치하며, 또 이 크랭크 축을 모터와 연결된 감속수단으로 전동회전시켜 이 크랭크 축의 소정위치에 연결된 연동간을 운동시킴으로서 편심회전을 하도록 함과 아울러 슬라이더 후단양측에 마련된 철편을 각각 상기 컬럼에 설치된 미끄럼구내에 결합하며. 이 연동간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미끄럼구를 따라 상하활동시켜 프레스 작동을 행하는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에 있어서; 상기 철편을 상기 슬라이더 중심위치 양측에 마련하고, 이 철편을 각각 상기 미끄럼구에 결합하며, 아울러 상기 연동간하단에 나사결합된 톱니나사를 이 슬라이더 중심위치에 축 설치하고, 이 철편과 미끄럼구 및 톱니나사를 동일적선상이 되도록 배치한 구성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은, 그 슬라이더 중심위치 양측에 철편을 마련하고 이 철편을 각각 양 컬럼의 미끄럼구내에 계합하며 또 연동간 하단에 나사결합된 톱니나사를 이 슬라이더 중심위치에 축설치하여, 이철편과 미끄럼구와 톱니나사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부터 이 철편과 미끄럼구의 활동개면 위치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횔씬 이 슬라이더 중심위치에 가까워지고, 이 미끄럼구내축으로 활동하는 철편에 움직임이 어렵게 되고, 그 압압력을 거의 공작물의 프레스 가공에 집중시켜, 이 철에 대해서 그다지 우력이나 비틀림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가능하며, 또 종래 기술의 철편과 미끄럼구와의 간격이 점점 크게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한층 분명하게 될 것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고안의 프레스 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더 안내기구는, 대체적으로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프레스와 동일하며, 기대(10) 후단 양측에 일체형성하여 좌우 1쌍의 컬럼(11)을 마련하고, 이 컬럼(11) 상단사이에 크랭크 축(12)를 설치하며, 이 그랭크 축(12) 일단을 상기 컬럼(11)후방에 취부시킨 기어감속수단(14)에 치차결합하여 이 감속수단(14)에 의하여 크랭크 축(12)을 전동회전시키머, 또 크랭크 축(12)의 크랭크 핀 R하단에 톱니나사(15)를 아래단 내측으로 나사결합한 연동간(13)을 연결하며, 이 톱니나사(15)와 축 결합상태를 이루는 슬라이더(16)를 조정하고, 아울러 슬라이더(16) 후방양측에 각각 철편(161)을 형성하여(제4도 c를 참조), 상기 양 컬럼(11) 내측면에 구비된 미끄럼구(17)에 계합시키며, 더욱이 미끄럼구(17)내측면에 동메탈 라이너(18)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감속수단(14)을 개재하여 이 크랭크 축(12)을 전동회전토록하고, 상기 연동간(13)은 동시에 이 크랭크 축(12)에 수반되어 편심회전하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상기 톱니나사(15)와의 축 결합관계나 미끄럼구(17)의 안내로 부터, 상기 슬라이더(16)가 위아래로 활동하여 프레스 작동을 행하는 것이다(이것은 일반적인 프레스와 동일하므로 이 고안의 특징에 속하지 않는다).
이 고안의 특징은, 상기 슬라이더(16) 양측의 철편(161)에 있어서, 이 철펀(161)을 슬라이더(16)의 중심위치 양측으로 마련하고, 이 철편(161)과 톱니나사(15)를 이 슬라이더(16) 중심과 대응하는 위치로 축 결합하여 동일 직선상에 보존시키고, 동시에 미끄럼구(17)도 이 철편(161)과 톱니나사(15)와 함께 동일 직선상에 접하도록 배치한다(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설계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기 철편(161)과 상기 미끄럼구(17)의 활동개면 위치가 훨씬 이 슬라이더(16) 중심위치에 가까워지고, 이 미끄럼구(17)내측에서 활동하는 철편(161)에 유동이 발생하는 것이 어렵게 되며, 그 압압력 F를 거의 공작물의 프레스 가공에 집중시켜서, 철편(161)에 대해서는 별로 우력 M이나 비틀림 T를 발생시키지 않게 하는데, 이 상내는 제2도의 도시로부터 이해된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16)의 철편(161)이나 동 메탈 라이너(18)로 이루어짐으로서 양자 마찰수력의 불균형으로 부터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큰 폭으로 감소시켜 사용수명이 연장되고, 또는 상당한 기간의 사용이 되어도 종래 기술에 의한 철편(161)과 미끄럼구(17)와의 사이에 점점 큰 간격이 발생하여 슬라이더(160와 모형의 캐비티와의 대응위치에 영향을 가져오는 것이 없다. 환언하면 장기간 프레스와 모형의 관계정도를 보존유지시켜프레스 가공품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여기에 표명하는 것은 이 고안의 프레스 기계에 있어서 슬라이더 안내기구는 단지, 철편(161), 미끄럼구(17) 및 톱니나사(15)의 설치위치를 변화한 것이지만, 이러한 위치의 고쳐 바꿈으로 부터 종래 기술의 결점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일반적인 프레스 기계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6)에 압접수단(19)을 부착설치하여 슬라이더(16)가 공작물을 프레스 가공하고 상승할때, 공작물을 압접저지하여 슬라이더(16)로 부터 이탈시켜 상승하지 않도록 하고 있으며, 이 압접수단(19)은 상기 슬라이더(16)의 중심위치에 대응하여 미끄럼구(17) 표면과 적당한 간격을 보존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이렇게 함으로서 압점수단이 미끄럼구와 충돌하지 않게 된다.)
그런 까닭에 이 철편(161)을 슬라이더(16) 양측 중앙으로 이동설치하면, 압접수단(19)은 슬라이더(16)에 취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공작물을 프레스 압압후에 공작물이 슬라이더(16)를 따라서 상승하지 않지만, 이점에 있어서는 이 고안 출원인이 전리권을 획득한 대만전리공보 164570호를 이용하면 좋다.
즉, 상기 슬라이더 하단부에 탄성수단을 마련하고 항시 돌기 핀을 슬라이더 아래단면으로부터 뻗어 나오도록 하거나, 혹은 슬라이더 하단내부에 유압실 또는 공기압실을 형성하여 상기한 돌기 핀 선단을 보통은 슬라이더 아래단 면과 일치시켜서 슬라이더 프레스 작동을 행함으로서 상승할때에는, 이 슬라이더 아래단 면으로 끌려들어온 돌기 핀을 탄성수단으로 압축하여 공작물을 슬라이더로 부터 이탈시키도록 하고, 혹은 상기 유압실 또는 공기압실에 각각 유입이나 공기압을 공급하여 이 돌기 핀을 뻗어 나오도록 하여 공작물을 떼어 버림으로서 슬라이더로 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이 고안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슬라이더의 철편과 미끄럼구와의 활동면 위치가 충분히 상기 슬라이더 중심에 가깝고, 또 연동간 하단에 연결된 톱니나사를 상기 슬라이더 중심에 축 설치하여, 상기 철편과 미끄럼구와 톱니나사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미끄럼구 안쪽에서 활동하는 철편의 유동이 어렵게 되며, 그 압압력을 거의 공작물 프레스 가공에 집중시켜서, 상기 철편에 대해서는 그다지 우력이나 비틀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철편이나 동 메탈 라이너의 수력의 불균형으로부터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큰 폭으로 감소시켜 사용수명을 연장하게 된다.
또 상당기간 사용되어도, 종래 기술과 같이 철편과 미끄럼구와의 사이에 큰 간격이 발생하여 상기 슬라이더와 모형의 캐비티와의 대응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장기간 프레스와 모형과의 관계정도를 보존유지시켜서 그 프레스 가공품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
- 기대(10) 후단 양측에 각각 위쪽으로 연신하는 컬럼(11)을 마련하고, 이 양컬럼(11) 상단사이에 크랭크축(12)을 설치하며, 또 이 크랭크 축(12)을 모터와 연결된 감속수단(14)으로 전동회전토록 하고, 이 크랭크축(120의 소정위치에 연결될 연동간(13)을 연동하여 편심회전시킴과 아울러, 슬라이더(16) 후단양측에 마련된 철(凸)편(161)을 각각 상기 양 컬럼(11)에 설치된 미끄럼구(17)안쪽에 계합시켜서, 이 연동간(13)으로 슬라이더(16)를 미끄럼구(17)를 따라서 상하로 활동시켜 프레스 작동을 행하는 프레스 기계의 안내기구에 있어서; 상기 철편(161)을 상기 슬라이더(16)의 중심위치 양측으로 설치하고, 이 철편(161)을 각각 상기 미끄럼구(17)안쪽으로 결합하며, 또 상기 연동간(13) 하단에 나사결합된 톱니나사(15) 선단을 이 슬라이더(16)중심위치에 결합하여, 이들 철편(161), 미끄럼구(17) 및 톱니나사(15)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0129U KR950009076Y1 (ko) | 1993-01-07 | 1993-01-07 |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30000129U KR950009076Y1 (ko) | 1993-01-07 | 1993-01-07 |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9112U KR940019112U (ko) | 1994-08-19 |
KR950009076Y1 true KR950009076Y1 (ko) | 1995-10-19 |
Family
ID=1934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30000129U KR950009076Y1 (ko) | 1993-01-07 | 1993-01-07 |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9076Y1 (ko) |
-
1993
- 1993-01-07 KR KR2019930000129U patent/KR95000907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9112U (ko) | 1994-08-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23087A (en) | Punch press having a toggle joint mechanism drive | |
US3326029A (en) | Hydraulic press | |
US2140658A (en) | Riveting machine | |
US4932128A (en) | Mechanical force enhancer | |
KR950009076Y1 (ko) | 프레스 기계의 슬라이더 안내기구 | |
US3416352A (en) | Press for deforming plastic stock | |
Doege et al. | Optimized kinematics of mechanical presses with noncircular gears | |
US4044619A (en) | Device for controlling auxiliary means arranged in the reciprocating carriage of single or multistage presses | |
US4138904A (en) | Link drive mechanism for mechanical presses | |
JP2553447B2 (ja) | スエージングマシンにおける加工方法及び装置 | |
US2653838A (en) | Connecting rod joint | |
EP0575223B1 (en) | Sequential pivot pin force multiplier | |
US6308552B1 (en) | Forging machine | |
US3893327A (en) | Radial-swaging machine | |
JPH0231619B2 (ko) | ||
US2848034A (en) | Variable pressure fluid actuated brake beam compensation | |
MY117569A (en) | Motor-operated press mechanism | |
US3107559A (en) | Die forging press | |
US3406549A (en) | Straightening machine | |
US5014539A (en) | Crimp press | |
US2656744A (en) | Die adjusting mechanism | |
KR200274387Y1 (ko) | 피봇 레버식 프레스 기계 | |
US3280616A (en) | Horizontal forging and upsetting machine | |
EP0119358B1 (en) | Press force multiplier | |
DE3867150D1 (de) | Mehrzweckschmiedemas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70731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