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908B1 -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08B1
KR950008908B1 KR1019930006710A KR930006710A KR950008908B1 KR 950008908 B1 KR950008908 B1 KR 950008908B1 KR 1019930006710 A KR1019930006710 A KR 1019930006710A KR 930006710 A KR930006710 A KR 930006710A KR 950008908 B1 KR950008908 B1 KR 950008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heat
adhesive
fib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대근
Original Assignee
문대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대근 filed Critical 문대근
Priority to KR101993000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9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08B1/ko

Links

Landscapes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열융접착성(熱融接着性)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는 주조성재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이하 EVA라 함)를 기본으로 하여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 이하 PP라 함)수지를 혼합한 중합체 혼합물에 접착성수지를 배합하여 압출방사기에서 가열가압에 의한 용융방사법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는 자체의 접착력과 열가소성을 이용하여 섬유제품의 말단부에 대한 풀림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후가공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용단(溶斷) 가공하는 것을 당해업계에 제공한다.
따라서 이와같은 가공특성을 갖는 열융접착복합섬유는 열융접착을 위해 수지자체의 접착력과 열가소성 특성이 양호하여야 하고 또한 열융접착이 이루어진 후에도 접착 부위가 모지(母地)와 다름없이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우며 이음부의 유연성이 있어야 한다.
종래에도 열융접착성 복합섬유가 있었으나 이는 방사, 연신후에 토우(Tow)상태로 기계권축을 부여하고 릴렉스를 위한 열처리를 한 후 요구되는 길이로 절단하여 스테이플로 하며, 그 다음 커팅(Cutting)하여 웨이브(Wave)화 하고 이를 적층, 열세스트하여 외장부를 용융함으로서 심부 상호를 접착하여 주빅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본원발명의 목적 및 작용, 효과와는 다른 것이다.
또한 최근에는 접착성 폴리비닐알콜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공개된 바 있으나 이 역시 부직포를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되는 것이고 본 발명과 같이 직, 편물의 단부 마무리 가공용으로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 발명과 목적이 같은 것으로서 폴리아마이드계 열융접착섬유가 있으나 이는 본 발명과는 제조방법이 전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품가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결과 원료의 구입이 용이하면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잘 용융이 되며 접착력이 양호하고 접착이 완료된 후에도 일반 섬유직물과 거의 다름없이 부드럽고 탄력성이 양호한 성질을 지니는 열융접착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사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의 용이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 출원인의 선출원된 발명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그 발명은 열융접착제의 원료인 EVA수지와 폴리프로피렌수지의 중합 체피레트(Polymer Pellet)를 혼합한 것에 관련 첨가재와 접착성부여수지를 첨가하여 섬유화하는 방법에 특징이 있는 것인데 이는 방사효율이 낮아 경제성이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원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단점을 개량하고, 품질은 우수하나 경제성이 미흡한 선출원 발명의 단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출원 발명보다 EVA 수지의 함량을 크게 줄이고 폴리프로필렌수지와 접착성수지를 배합함으로서 상술한 특징과 장점 이외에도 경제성이 관건이 되는 방사효율을 크게 향상시켜 생산단가가 더욱 저렴해지도록 한 것이다.
접착성수지로서는 열가소성수지인 폴리에스테르수지, 어태틱폴리프로필렌수지(APP), 폴리에틸렌수지(PE),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등이 있다.
본 발명이 제조방법은 주조성재인 EVA수지 59-1%(Wt)를 기본으로 하여 PP수지 41-99%(Wt)를 혼합하고 다시 적당량의 접촉수지를 배합한 혼합물을 노즐다이온도(NOZZLE DIE TEMPERATURE) 150-130℃로 하여 압출방사기에서 용융 방사하여 열융접착복합섬유(複合纖維)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제조방법 및 작용, 효과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열융착(熱融着) 효과와 유연성 그리고 다른 수지와 상용성(相溶性)이 좋은 열가소성 EVA수지는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와의 공중합물이며 그 융점의 범위가 50-103℃ 정도이다.
그러나 EVA수지 그 자체만으로는 수데니어의 가는 섬유로 제조할 수 없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성상(性狀)의 섬유를 얻기 위해서는 EVA수지와 상용성(相溶性)이 좋고 인장강도가 높은 PP수지를 혼합 용융하여 복합소재로서 섬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EVA수지와 PP수지를 혼합용융하여 복합섬유를 조성함에 있어서 그 조성비율은 59-1(Wt) : 41-99%(Wt)의 범위내에서 임의의 비율로 선택할 수 있으며 이의 조성비에 따른 혼용수지의 물리적 특성은 결국 방사효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어 생산성이 좋아지고 생산단가가 더욱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주조성재인 EVA수지는, 강한 접착성과 매우 양호한 열가소성, 유연성이 있으나 자체의 인장강도는 약한 편이므로 이와 혼용되는 PP수지가 전체적인 인장강도를 높여주게 되어 상호보환적인 물리적 특성이 있으므로 관련첨가재와 접착성수지를 배합한 혼합물을 EVA수지와 PP수지의 혼합물에 혼합시켜 노즐다이온도 150-300℃로 압출방사기에서 용융 방사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복합소재로서 경제성이 뛰어난 열융접착복합섬유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착성수지는 섬유의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며 접착성수지의 배합량 역시 가감이 가능하고 EVA수지와 PP수지 전량(全量)의 5-45(Wt)로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조성물로 제조된 열융접착복합섬유도 본 발명과 동일한 것이며 EVA수지의 함량이 높을 때는 접착성수지를 적게 배합하고 EVA수지의 함량이 낮을 때는 접착성수지를 많이 배합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열융접착복합섬유는 종래의 폴리아마이드게 열접착섬유보다 제조공정이 간편하고 제조설비가 간단하며, 특히 방사효율이 크게 향상되어 생산단가가 더욱 저렴할 뿐만 아니라 재질이 부드럽고 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각종 섬유제품에 열융접착복합 섬유로서 다양한 용도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위한 열융접착복합섬유의 사용예는,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아크릴사를 심사(芯絲)로 하여 본 발명의 열융접착복합섬유를 피복시켜 열융접착사를 제조하여서 사용하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실시예 1]
EVA수지 25%(Wt)와 PP수지 30%(Wt)를 혼합하여 전술한 접착성수지중 PE수지를 전 중량에 대하여 45%(Wt) 배합한 것을 압출방사기에서 노즐다이온도 260℃ 정도로 용융방사하여 13데니어 정도의 열융접착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아크릴사를 심사(芯絲)로 하여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열융접착복합섬유를 S방향으로 카바링한 열융접착사를, 장갑제조시 장갑의 단부에 편직하여 145℃ 정도로 열처리한 결과 장갑의 단부가 양호하게 열융접착되었고 장갑의 끝부분이 풀리지 않았으며 또한 접착부위가 부드러운 촉감을 그대로 지니고 있어 전혀 이물감을 느낄 수 없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EVA수지 15%(Wt)와 PP수지 50%(Wt)를 혼합하고 접착성수지중 PE수지를 전 중량에 대하여 35%(Wt) 배합한 것을 압출방사기에서 노즐다이온도 280℃ 정도로 용융방사하여 9데니어 정도의 열융접착복합섬유를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탄성사와 아크릴사를 심사(芯絲)로 하여 상기와 같이 제조된 열융접착복합섬유를 S방향으로 연사한 열융접착사를 역시 장갑단부에 편직한 다음 155℃ 정도로 열처리한 결과 실시예 1과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EVA수지의 함량을 크게 줄이더라도 PP수지와 접착성수지를 배합하여 열융접착복합섬유를 제조할 수 있으며 EVA수지의 함량이 많은 것 보다 섬유방사가 가공온도가 약간 상승하는 문제가 있지만 그대신 방사효율이 향상되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므로서 특히 경제적인 면에서 더욱 유리해지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1)

  1. 주조성재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공중합수지[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EVA)] 59-1(Wt)를 기본으로 하여 여기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PP)]수지 41-99%(Wt)를 혼합하고, 전(全) 혼합물에 대하여 5-45%(Wt)의 접착성수지를 배합하여 조성한 혼합물을 노즐다이 온도 150-300℃로 하여 압출방사기에서 용융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KR1019930006710A 1993-04-19 1993-04-19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KR950008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710A KR950008908B1 (ko) 1993-04-19 1993-04-19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6710A KR950008908B1 (ko) 1993-04-19 1993-04-19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908B1 true KR950008908B1 (ko) 1995-08-09

Family

ID=1935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710A KR950008908B1 (ko) 1993-04-19 1993-04-19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9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6764A (zh) * 2015-12-25 2016-04-20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三维打印的浸胶聚碳酸酯丝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06764A (zh) * 2015-12-25 2016-04-20 成都新柯力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三维打印的浸胶聚碳酸酯丝料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39195A (en) Bonded fibrous materials and method for making them
JP2545260B2 (ja) 嵩高補強不織布
US4520066A (en) Polyester fibrefill blend
US3837943A (en) Method of producing compound fabrics
KR910002512B1 (ko) 목질 섬유 매트
CN109183281B (zh) 一种pe纺粘无纺布及其制造方法
CN102758311B (zh) 凹凸伸缩无纺布及其制造方法
WO1982003359A1 (en) Moldable fibrous ma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nd product molded therefrom
CN1068374A (zh) 聚乙烯双组分纤维
CN113106631B (zh) 一种防水防油弹性柔软无纺布及其制作工艺
CN103589053B (zh) 一种长玻纤增强聚丙烯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CN103306046A (zh) 一种医用被胎胎芯絮片及其制备方法
CN1029414C (zh) 弹力絮片及其生产工艺
US5948712A (en) Fabric for trim base member
KR950008908B1 (ko) 열융접착성을 갖는 복합섬유(複合纖維)의 제조방법
US4102969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rimped textile elements by fibrillation of films
KR920010333B1 (ko) 탄성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CN109537162B (zh) 包装用强韧无纺布的制备方法
DE2345978A1 (de) Vliesstoffe
KR10203749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JPS599658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EP3705614A1 (en) Fiber-contain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08144128A (ja) 複合繊維および不織布および編織物
KR930004325B1 (ko) 열융접착 복합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CN109532159A (zh) 一种热塑性聚合物制品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