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628Y1 - 4단절환 광스위치 - Google Patents

4단절환 광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628Y1
KR950008628Y1 KR2019950012664U KR19950012664U KR950008628Y1 KR 950008628 Y1 KR950008628 Y1 KR 950008628Y1 KR 2019950012664 U KR2019950012664 U KR 2019950012664U KR 19950012664 U KR19950012664 U KR 19950012664U KR 950008628 Y1 KR950008628 Y1 KR 950008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pin
optical
pitch
ferr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시 시께마쯔
코이찌 타카기
토시히꼬 오오타
준 야마가와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덴키코교 카부시키가이샤
토모마쯔 켕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덴키코교 카부시키가이샤, 토모마쯔 켕고 filed Critical 후루카와덴키코교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2019950012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02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involving direct waveguide displacement, e.g. cantilever type waveguide displacement involving waveguide bending, or displacing an interposed waveguide between stationary waveguides
    • G02B6/3506Translating the waveguides along the beam path, e.g. by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opposed waveguide ends, or by translation of the waveguide en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35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switching means
    • G02B6/354Switching arrangements, i.e. number of input/output ports and interconnection ty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Light Control Or Optical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4단절환 광스위치
제1도a 내지 제1도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광스위치의 절환패턴을 표시한 설명도.
제2도a,b의 각각은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제1의 페룰을 표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제3도a,b의 각각은 상기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마찬가지의 제2의 페룰을 표시한 사시도 및 정면도.
제4도a 내지 제4도c의 각각의 상기 광스위치의 구동계통을 포함한 전체구성을 표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배면도.
제5도, 제6도의 각각은 본 고안의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페룰의 다른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7도a 내지 제7도c의 각각은 본 고안의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페룰의 핀구멍의 형상의 다른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광스위치의 사용되는 지지대의 다른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사시도.
제10도a 내지 제10도d, 제11도a 내지 제11도d, 제12도a 내지 제12도d, 제13도a 내지 제13도d, 제14도a 내지 제14도d의 각각은 본 고안에 의한 광스위치의 절환패턴의 다른예를 표시한 설명도.
제15도a,b는 종래의 광스위치의 절환패턴을 표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제1의 페룰 22 : 제2의 페룰
23, 24 : 핀구멍 25 : 기준핀
27a~27d, 19 : 광파이버 41 : 지지대
43, 44 : 쌍안정형 솔레노이드 45, 46 : 플런저
47, 48 : 입상편 49a, 49b, 50a, 50b : 푸시헤드
본 고안은, 광파이버선로의 광로절환에 사용되는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4단계로 광로절환이 가능한 광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파이버선로의 광로절환에 사용하는 광스위치로서 제15도a,b와 같은 광스위치가 공지되어 있다(일본국 특개소 63-85522호 공보).
상기 광스위치는, 단부면을 맞대어 배치되는 제1의 페룰(11)과 제2의 페룰(12)을 가지고 있다. 제1의 페룰(11)은 평행의 2개의 핀구멍(13)을 가지고, 제2의 페룰(12)도 상기 핀구멍(13)에 대응하는 평행의 2개의 핀구멍(14)을 가지고 있고, 대응하는 핀구멍(13),(14)에는 양페룰(11),(12)에 걸치도록 기준핀(15)이 삽입되어 있다. 제1의 페룰(11)의 핀구멍(13)은 기준핀(15)이 빈틈없이 삽입고정되는 사이즈로 형성되어 있고, 제2의 페룰(12)의 핀구멍(14)은, 이 페룰(12)이 기준핀(15)에 대해서 일정한 피치(P)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단면형상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의 페룰(11)의 2개의 핀구멍(13)의 사이에는 예를들면 4심테이프심선(16)의 4개의 광파이버(17a)~(17d)가 단부면을 노출시켜서 고정되어 있고, 제2의 페룰 (12)의 2개의 핀구멍(14)의 사이에는 예를들면 2심테이프심선(18)의 2개의 광파이버(19a),(19b)가 단부면을 노출시켜 고정되어 있다.
지금 제1의 페룰(11)의 고정되어 있고, 제2의 페룰(12)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고 하면(역방향도 가능함), 제15도a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2의 페룰 (12)에 화살표(A) 방향의 힘을 가한 상태에서는, 제2의 페룰(12)의 2개의 광파이버(19a), (19b)는 제1의 페룰(12)의 한쪽의 2개의 광파이버(17a),(17b)와 광로가 연결된다. 그후, 동도면(b)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2의 페룰(12)에 화살표(B) 방향의 힘을 가하면, 페룰(121)이 가로방향으로 이동하고, 페룰(12)의 광바이버(19a),(19b)는 제1의 페룰(12)의 반대쪽의 2개의 광파이버(17c),(17d)와 광로가 연결된다.
상기 광스위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광로의 절환을 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광스위치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비교적 제조가 용이하고 코스트가 싸다고 하는 이점이 있으나, 제1의 페룰과 제2의 페룰이 상대적으로 2개의 위치밖에 대향할 수 업기 때문에, 2단계의 절환밖에 행할 수 없고, 용도가 한정된다고 하는 문제가 잇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비추어, 4단계의 절환이 가능한 광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단부면을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제1, 제2의 페룰과,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기준핀을 구비하고, 제1, 제2의 페룰의 각각은 2개의 평행한 핀구멍을 가지고 있어, 그 핀구멍에 상기 2개의 기준핀이 삽입되어 있고, 제1의 페룰의 핀구멍은 그 페룰이 기준핀에 대해서 일정피치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의 페룰의 핀구멍은 그 페룰이 기준핀에 대해서 상기 일정피치의 2배의 피치만큼 가로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면형상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제2의 페룰의 각각은 핀구멍의 한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됨으로서 정해지는 한쪽위치와, 핀구멍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됨으로서 정해지는 다른쪽 위치에 위치결정되도록 되어 있고, 제1, 제2의 페룰의 한쪽에는 3개이상의 광파이버가 상기 일정피치의 1/n(n=정의 정수)의 피치로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와 상대하도록 1개이상의 광파이버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광스위치는, 제1의 페룰과 제2의 페룰이 다음의 4개의 위치에서 상대할 수 있다.
① 제1, 제2의 페룰은 모두 핀구멍의 한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된 상태.
② 제1의 페룰은 핀구멍의 한쪽의 내측면에 기준핀에 압압되고, 제2의 페룰은 핀구멍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된 상태.
③제1의 페룰은 핀구멍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되고, 제2의 페룰은 핀구멍의 한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된 상태.
④ 제1, 제2의 페룰은 모두 핀구멍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된 상태.
따라서 상기 광스위치는 4단계의 광로절환이 가능하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a 내지 제1도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광스위치는 , 단부면을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제1, 제2페룰(21),(22)과,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기준핀(25)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제2의 페룰(21),(22)의 각각은 2개의 평행한 핀구멍(23),(24)을 가지고 있고, 핀구멍(23),(24)에 상기 2개의 기준핀(25)이 삽입되어 있다, 2개의 기준핀(25)은 상기한 4상태중 어느 한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1의 페룰(21)의 핀구멍(23)은 그 페룰(21)이 기준핀(25)에 대해 일정피치(P)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될수 있도록 단면형상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의 페룰(22)의 핀구멍(24)은 그 페룰(22)이 기준핀(25)에 대해서 상기 일정피치(P)의 2배의 피치(2P)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단면형상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1의 페룰(21)에는 4개의 광파이버(17a)~(27d)가 상기 일정피치(P)와 마찬가지의 피치(P)로 고정되어 있고, 제2의 페룰(22)에는 상기 광파이버와 상대하도록 1개의 광파이버(29)가 고정되어 있다.
광파이버(27a)~(27d)와 광파이버(29)의 위치관계는, 제1도a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1, 제2의 페룰(21),(22)은 화살표(A)방향으로 밀리고, 핀구멍(23),(24)의 한쪽의 내측면에 기준핀(25)에 압압되어 위치결정되어 있을때에, 광파이버(29)와 광파이버(27c)의 광축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제1도b에 표시된 바와같이 제1의 페룰(21)만을 화살표(B) 방향으로 밀면, 제1의 페룰(21)은 일정피치(P)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고, 핀구멍(23)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25)에 압압되어, 그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광파이버(29)는 광파이버(28d)와 광축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제1도a의 상태에서 제1도c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2의 페룰(22)만을 화살표(B)방향으로 밀면, 제2의 페룰(22)은 피치(P)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고, 핀구멍(24)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25)에 압압되어, 그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광파이버(29)는 광파이버(27a)와 광축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제1도c의 상태에서 제1도d에 표시한 바와같이 제1의 페룰(21)을 화살표(B)방향으로 밀면, 제1의 페룰(21)은 피치(P)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하고, 핀구멍 (23)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25)에 압압되어, 그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광파이버(29)는 광파이버(27b)와 광축이 일치한다.
본 고안의 광스위치는 이상과 같이 해서 4단계의 광로절환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고안의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페룰의 구체예를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2도a,b는 제1의 페룰(21)을 표시한다. 상기 페룰(21)은, 그 위에 접착고정되는 중앙덮개판(32) 및 양쪽덮개판(33)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31)은 윗면중앙부에 일정피치(P)로 4개의 V홈(34)을 형성하고, 그 양쪽에 그것과 평행해서 사디리꼴홈(35)을 형성한 것이다. V홈(34)에는 테이프심선(26)의 4개의 광파이버(27a)~(27d)가 장착되고, 그 위체 중앙덮개판(32)이 접착고정된다.
이에 의해 4개의 광파이버(27a)~(27d)가 정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기판 (31)의 사다리꼴홈(35)을 형성한 부분에는 각각 양쪽덮개판(33)이 접착고정되고, 이 양쪽덮개판(33)과 사다리꼴홈(35)에 의해 핀구멍(23)이 형성된다.
상기 핀구멍(23)에는 제2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준핀(25)이 삽입된다. 이 기준핀(25)은 핀구멍(23)내에서 페룰(2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2개의 핀구멍(23)의 중심간격은 2개의 기준핀(25)의 중심간격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준핀(25)이 핀구멍(23)내에서 이동가능한 범위는, 기준핀(25)이 핀구멍(23)의 한쪽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위치(실선)에서, 다른쪽의 안쪽면에 접촉하는 위치(점선)까지로 된다. 이것이 기준핀(25)에 대한 페룰(21)의 이동피치(P)가 된다. 4개의 V홈(34)은 이것과 마찬가지 피치(P)로 형성되어 있다.
제3도a,b는 제2의 페룰(22)을 표시한다. 상기 페룰(22)은, 기판(36)과, 그위에 접착고정되는 중앙덮개판(37) 및 양쪽덮개판(38)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36)은 윗면 중앙부에 1개의 V홈(39)을 형성하고, 그 양쪽에 그것과 평행으로 사다리꼴홈(40)을 형성한 것이다. V홈(39)에는 단심광파이버심선(28)의 광파이버(29)가 장착되고, 그 위에 중앙덮개판(37)이 접착고정된다. 이에 의해 광파이버(29)가 정위치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기판(36)의 사다리꼴홈(40)을 형성한 부분에는 각각 양쪽덮개판(38)이 접착고정되고, 이 양쪽덮개판(38)과 사다리꼴홈(40)에 의해 핀구멍(24)이 형성된다.
상기 핀구멍(24)에는 제3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준핀(25)이 삽입된다. 이 기준핀(25)은 핀구멍(24)내에서 페룰(2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2개의 핀구멍(24)의 중심간격은 2개의 기준핀(25)의 중심간격과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준핀(25)이 핀구멍(24)내에서 이동가능한 범위는 , 기준핀(25)이 핀구멍(24)의 한쪽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위치(실선)로부터, 다른쪽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위치(점선)까지로 된다. 이것이 기준핀(25)에 대한 페룰(22)의 이동피치가 된다. 이 이동피치는 상기 제1의 페룰(21)의 이동피치(P)의 2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판(31),(36)은 특히 높은 치수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예를들면 세라믹이나 초경합금의 초정밀연삭가공 혹은 실리콘단결정기판의 화확에칭등에 의해 형성된다.
제4도a 내지 제4도c는 상기 제1, 제2의 페룰의 구동게통을 포함한 광스위치의 전체구성을 표시한다.
제1, 제2의 페룰(21),(22)의 핀구멍(23),(24)에 삽입된 2개의 기준핀(25)은, 그 양단부와 중앙부를 지지대(41)에 고정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의 페룰(21),(22)의 후단부면과 지지대(41)의 양단지지부사이에는 압축코일스프링(42)이 개재하여 삽입되어 있고, 2개의 페룰(21),(22)은 그 반발력에 의해 선단부면을 맞대고 있다.
한편, 지지대(41)의 하면에는 제1, 제2의 페룰(21),(22)에 대응하는 제1, 제2의 솔레노이드(43),(44)가 고정되어 있다, 이들 솔레노이드(43),(44)는 플런저(45),(46)가 기준핀(25)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쌍안정 타입이다. 플런저(45),(46)의 양단부의 각각에는 입상편(47),(48)이 고정되고, 각각의 입상편(47),(48)의 상단부에는 페룰(21),(22)의 측면을 미는 푸시헤드(49a),(49b),(50a),(50b)가 고정되어 있다. 각 푸시헤드(49a),(49b),(50a),(50b)는, 전진후퇴가능한 푸시핀(51)을 가지고 있고, 이들 각 푸시핀(51)은 푸시헤드내의 압축스프링(52)에 의해 항상 전진하는 (밀어내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43),(44)의 플런저(45),(46)의 왕복운동 스트로크는, 한쪽의 푸시헤드(49a),(50a)가 페룰(21),(22)을 밀었을 때는 그 푸시핀(51)이 중간위치까지 안으로 들어가고, 반대로 다른쪽의 푸시헤드(49b),(50b)가 페룰(21),(22)을 밀었을 때는 그 푸시핀(51)이 중간위치까지 안으로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제4도a에서는 한쪽의 푸시헤드(49b),(50b)가 페룰(21),(22)을 밀고 있고, 제1도d와 마찬가지 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제1의 솔레노이드(43)을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키면 푸시헤드(49a)가 제1의 페룰(21)을 반대쪽으로부터 밀어서 제1의 페룰(21)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제1도c의 상태가 된다. 또한, 제4도d의 상태에서 제2의 솔레노이드(44)를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키면 푸시헤드(50a)가 제2의 페룰(22)을 반대쪽으로부터 밀고, 제2페룰(22)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제1도b의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로부터 제1의 솔레노이드(43)를 반대방향으로 동작시키면 푸시헤드(49a)가 제1의 페룰(21)을 반대쪽으로 부터 밀어서 제1의 페룰을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제1도a의 상태가 된다.
상기 광스위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4단계의 절환을 행하는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페룰의 다른예를 표시한다. 이 제1, 제2의 페룰(21),(22)는 엔지니어링수지 등의 경질, 고정밀도수지의 몰드성형에 의해 얻게 되는 것이다. (23),(24)는 핀구멍이고, (26)은 테이프심선이고, (27a)~(27d)는 광파이버이고, (28)은 단심광파이버심선이고, (29)는 그 광파이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페룰의 또다른 예를 표시한다, 제1의 페룰(21)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기판(31)와 양쪽덮개판(33)을 하우징(61) 내에 삽입하고, 볼트(62)로 고정한 것이나, 기판(31)의 중앙부에는, V홈이 아닌, 평판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속에 엔지니어링수지 등의 고정밀도수지(63)를 충전할때에, 성형핀에 의해 광파이버(27a)~(27c)를 삽입하는 미세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또 제2의 페룰(22)도 마찬가지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기판(36)과 양쪽덮개판(38)을 하우징(64) 내에 삽입하고, 볼트(65)로 고정한 것이나, 기판(36)의 중앙부에는, V홈이 아닌, 평판형상의 구멍을 형성하고, 그 속에 엔지니어링 수지 등의 고정밀도수지(66)를 충전할때에 형성핀에 의해 광파이버(29)를 삽입하는 미세구멍을 형성한 것이다.
다음에 제7도는 페룰에 형성되는 핀구멍의 다른 예를 표시한다. 제7도a는 핀구멍(23),(24)을 가로방향으로 긴 3각형으로 형성한 것이고, 제6도b는 핀구멍(23)을 가로방향으로 긴 마름모꼴로 형성한 것이고, 제6도c는 핀구멍(23)을 가로방향으로 긴 장방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기준핀(25)을 삽입하는 핀구멍(23),(24)는 이와 같은 단면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에 제8도는 본 고안의 광스위치에 사용되는 지지대의 다른예를 표시한다.
제4도에 표시한 지지대(41)는 기준핀(25)을 V홈에 얹어서 위치결정한 것이나, 이 지지대(41)는 기준핀을 지지구멍(67)에 삽입해서 고정지지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하면 지지대를 수지의 몰드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고, 코스트가 싸다.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광스위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다. 이 광스위치는, 제4도에 표시한 광스위치의 페룰(21),(22), 기준핀(25), 지지대(41)를 상자체(68)와 덮개(69)로 덮어서 방진구조로 한 것이다. 기타는 제4도와 마찬가지이고, 동일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제10도 내지 제15도는 각각 본 고안에 의한 광스위치의 절화패턴의 다른예를 표시한다. 각 도면의 a~d는 제1도의 a~d의 상태에 대응하고 있다.
제10도에서는 제1의 페룰(21)에 8개의 광파이버(27a)~(27h)를 페룰(21)의 이동피치(P)의 1/2피치로 고정하고, 제2의 페롤(22)에 2개의 광파이버(29a),(29b)를 같은 피치로 고정하고 있다. 이와같이 하면 제10도a~d에 표시한 바와같이 2대 8의 광파이버의 광로절환을 4단계로 행할 수 있다.
이것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예를들면 제1의 페룰에 12개의 광파이버를 그 페룰의 이동피치(P)의 1/3의 피치로 고정하고, 제2의 페룰에 3개의 광파이버를 동일한 피치로 고정하면, 3대 12의 광파이버의 광로절환을 4단계로 행할 수 있다.
제11도에서는 제1, 제2의 페룰(21),(22)에 각각 6개의 광파이버(27a)~(27f), (29a)~(29f)를 제1의 페룰(21)의 이동피치(P)와 같은 피치로 고정하고, 제11도a~d에 표시한 바와같이 6대 6의 절환을 4단계로 행하도록한 것이다.
제12도에서는 제1의 페룰(21)에 3개의 광파이버(27a)~(27c)와 제2의 페룰 (22)에 2개의 광파이버(29a),(29b)를 제1의 페룰(21)의 이동피치(P)와 마찬가지 피치로 고정하고, 제12도a~d에 표시한 바와같이 2대3의 절환을 4단계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이 절환방식에서는 어느 광파이버도 상대방의 모든 광파이버와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제13도에서는 제1의 페룰(21)에 3개의 광파이버(27a)~(27c)를 페룰(21)의 이동피치(P)와 마찬가지 피치로 고정하고, 제2의 페룰(22)에 1개의 광파이버(29)를 고정하고, 1대 4(3개의 접속+1개의 접속)의 절환을 4단계로 행하도록 한 것이다.
제14도는 제1의 페룰(21)에 1개의 광파이버(27)를 고정하고, 제2의 페룰(22)에 4개의 광파이버(29a)~(29d)를 제1의 페룰(21)의 이동피치(P)와 마찬가지 피치로 고정한 경우이다. 즉 제1, 제2의 페룰에 고정된 광파이버의 개수가 제1도와 반대의 경우이다. 이와같이 제1, 제2의 페룰에 고정되는 광파이버의 개수가 상기 각 실시예와 반대로 되어도 마찬가지 4단계의 절환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단순한 동작으로 신속히 광파이버의 광로를 4단계로 절환할 수 있는 광스위치를 얻을 수 있고, 종래보다 복잡한 광로의 절환을 저렴한 광스위치로 간단히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부면을 서로 맞대어 배치되는 제1, 제2의 페룰(21),(22)과,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기준핀(25),(25)을 구비하고, 제1, 제2의 페룰(21),(22)의 각각은 2개의 평행한 핀구멍(23)(23), (24)(24)을 가지고 있고, 이 핀구멍에 상기 2개의 기준핀(25),(25)이 삽입되어 있고, 제1의 페룰(21)의 핀구멍(23)은 그 페룰이 기준핀에 대해서 일정피치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의 페룰(22)의 핀구멍(24)은 그 페룰이 기준핀에 대해서 상기 일정피치의 2배의 피치만큼 가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단면형상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있고, 제1, 제2의 페룰의 각각은, 핀구멍의 한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됨으로서 정해지는 한쪽의 위치와, 핀구멍의 다른쪽의 내측면이 기준핀에 압압됨으로서 정해지는 다른쪽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있고, 제1, 제2의 페룰의 한쪽(21)에는 3개 이상의 광파이버(27a),(27b),(27c),(27d)가 상기 일정피치의 1/n(n=정의정수)의 피치로 고정되어 있고, 다른쪽(22)에는 그 일부 또는 전부와 상대하도록 1개 이상의 광파이버(29)가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단절환 광스위치.
KR2019950012664U 1995-06-05 1995-06-05 4단절환 광스위치 KR950008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664U KR950008628Y1 (ko) 1995-06-05 1995-06-05 4단절환 광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664U KR950008628Y1 (ko) 1995-06-05 1995-06-05 4단절환 광스위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5411A Division KR930006767A (ko) 1991-09-04 1991-09-04 4단절환 광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628Y1 true KR950008628Y1 (ko) 1995-10-12

Family

ID=1941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664U KR950008628Y1 (ko) 1995-06-05 1995-06-05 4단절환 광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62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10B1 (ko) * 2012-11-01 2013-12-05 주식회사 피피아이 1×n 광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4710B1 (ko) * 2012-11-01 2013-12-05 주식회사 피피아이 1×n 광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85825A (en) Optical switching connector
US5430819A (en) Multiple optical fiber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same
US20050031290A1 (en) Assembly for stacking optical fibers in an aligned two dimensional array
US5253310A (en) Optical coupling structure and method
CN1306627A (zh) 可靠性较高的光纤耦合光开关
US6320997B1 (en) Self-aligning 1xN rotary optical switch
EP25938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ligning optical transports in a ferrule
JP2000284146A (ja) 積層可能なマルチファイバフェルールの組立方法
EP0782022A1 (en) Optical fibre arr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0441049B1 (en) Optical fiber switch
KR950008628Y1 (ko) 4단절환 광스위치
US20020181854A1 (en) Fiber array switch having micromachined front face with roller balls
KR950008629Y1 (ko) 3단절환 광스위치
JP2969598B2 (ja) 4段切替え光スイッチ
JP3545022B2 (ja) コネクタ
JP2969597B2 (ja) 3段切替え光スイッチ
JPH06148536A (ja) 光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US6136411A (en) Angularly self-aligned optical subassembly
US6437929B1 (en) Piezo-actuator based optical add/drop module
JP3137066B2 (ja) 多心光ファイバアレイ端末
CA2461188A1 (en) Optical switch and optical switch array
CA2091466A1 (en) Optical fiber switch
CA2052331A1 (en) Optical switching connector
JP3190166B2 (ja) 光スイッチ及び光ファイバ配列部材の製造方法
JP2835163B2 (ja) 3段切替え光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