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032B1 -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032B1
KR950008032B1 KR1019920012587A KR920012587A KR950008032B1 KR 950008032 B1 KR950008032 B1 KR 950008032B1 KR 1019920012587 A KR1019920012587 A KR 1019920012587A KR 920012587 A KR920012587 A KR 920012587A KR 950008032 B1 KR950008032 B1 KR 950008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hole
winding
roller shaft
fricti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151A (ko
Inventor
김병화
Original Assignee
김병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화 filed Critical 김병화
Priority to KR1019920012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032B1/ko
Publication of KR94000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24Constructional details adjustable in configuration, e.g. expansible
    • B65H75/242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 B65H75/243Expansible spindles, mandrels or chucks, e.g. for securing or releasing cores, holders or packages actuated by use of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2Supporting web roll
    • B65H18/04Interior-supp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3Supporting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44Wrapping or packing material

Landscapes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제1도는 본 발명 또는 종래의 장치가 적용되는 권취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의 개략적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F″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종래의 권취장치를 보인 단면개략도.
제4도는 제3도의 일부발췌 종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권취장치의 일부발취 단면개략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발췌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G-G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권취장치 요구발췌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E-E선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상태도.
제11도는 제9도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상태도.
제12도는 제10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 상태도.
제13도는 제11도의 ″A″부분 확대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14도는 제12도의 ″B″부분 확대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15도는 제9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제16도는 제10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상태도.
제17도는 제15도의 ″C″부분 확대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제18도는 제16도의 ″D″부분 확대도로서 작용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톱니 13 : 지관
14 : 회전축 20 : 공기유통로
21 : 고무튜브 22 : 판스프링
27 : 메탈 52 : 작동쳄버
55 : 만곡부 56 : 작동작
59 : O링 60 : 압압판
본 발명은 각종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장지 특히 비닐재로 이루어진 포장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디자인의 형상, 모양으로 인쇄한 것을 일정하게 개폭하여 권취하기 위한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해 포장지 특히 비닐재의 필름을 흔히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비닐재의 일표면에 포장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표시하기 위한 디자인의 형상,모양을 인쇄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비닐재의 원판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동일한 디자인의 형상,모양을 다수열로 배열시키는 상태로 인쇄공정을 취하게 된다.
이와같은 인쇄공정을 마친 인쇄된 포장지의 권최로울러축에 권취되어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열로 배열된 디자인의 형상, 모양이 단일의 인쇄면을 갖도록 폭으로 개폭하여 다시 권취로울러축에 권취되어 음식물을 자동으로 포장하게 된다.
즉, 첨부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디자인의 형상, 모양이 다수열로 인쇄된 포장지원단(1)을 권취로울러(2)에 권취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 즉, 상기한 다수열로 인쇄된 디자인의 형상 모양을 별개의 것으로 각각 개폭되도록 하기 위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절단칼(3)에 의해 개폭되게 된다. 이렇게 개폭되어 인쇄된 디자인의 형상,모양은 별개의 것으로 각각 가이드 로울러(5)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하에서 각각 별개의 권취로울러(4)에 재권취되게 된다.
이와같이 권취로울러축(4)에 재 권취된 인쇄된 디자인의 형상,모양의 포장지는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면서 음식물을 포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권취로울러축(4)는 인쇄된 포장지 원단(1)으로부터 재 권취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쇄되어 액폭된 포장지(1')를 일정한 텐션을 유지하면서 권최하게 된다.
종래에는 첨부한 도면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권취로울러축(4)의 외표면에 톱니(11)가 형성된 다수개의 프릭션코어(FRICTION CORE)(12)를 외삽입하고, 또한 상기 톱니(11)에 파지되는 상태로 지관(13)이 외삽입하여서 지관(13)에 인쇄되어 개폭된 포장지(1')가 권취되게 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것을 회전축(14)의 회전에 의해 권취로울러(4)가 회전하게 되면 이에 외삽입된 프릭션코어(12)가 그 마찰에 의해 회전되게 되고, 또한, 프릭션코어(12)에 형성된 톱니(11)가 지관(13)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상태로 파지하므로 지관(13) 역시 회전하면서 인쇄되어 개폭된 포장지(1')를 권취하였다.
그러나 지관(13)에 권취되는 인쇄되어 개폭된 포장지(1')가 두껍게 권취되면서 될 수록 지관(13)을 회전시키고자 이를 파지하고 있는 톱니(11)가 지관(13)내부로 더욱더 깊게 파고 들어가거나, 때에 따라서 슬립(slip)이 발생하여 지관(13)을 훼손케하면서 극히 미세한 분말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미세한 종래 분말은 그대로 배출되어 개폭된 포장지(1')에 달라붙게 된다.
이와같이 인쇄되어 개폭된 포장지(1')에 달라붙는 미세한 종이분말은 그대로 음식물과 함께 포장되어 출하되게 되므로 결국 음식물을 섭취하는 사람이 그대로 섭취하게 되어 건강을 헤쳐 버리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포장지(1')가 비닐재의 필름을 대다수 이용하는 점을 감안할 때 인쇄되어 권취된 상태에서 다시 재권취되면서 원단(1)과 원단(1)의 마찰에 의해 생성되는 정전기에 의해서 종이분말은 극히 용이하게 포장지(1')에 달라붙게 되는 단점이 있고, 이는 결국 상기한 문제점을 그대로 노출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지관(13)을 파지하고자 하는 방법이 제안된바 있었는데, 이는 첨부한 도면 제5도 내지 제7도에 상세히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다.
즉, 권취로울러축(4)의 내부에 공기유통로(20)을 형성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주면, 이 압축공기는 프릭션코어(12)의 내부의 일정공간부(26)에 내장된 고무튜브(21)에 내삽입되게 된다.
이때, 압축공기에 의해 고무튜브(21)가 팽창하게 되면 이의 상부에 수개소에 위치한 판스프링(22)이 변형하여 이의상부에 고정된 작동간(23)이 상승하게 되고, 또한 이러한 작동간(23)의 상승에 의해서 이에 고정된 압압판(24)이 지관(13)의 내부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서 지관(13)을 고정하고, 권취로울러축(4)의 회전구동은 상기 프릭션코어(12)의 측면에 고정된 메탈(27)이 권취로울러축(4)와 마찰에 의해 구동되도록 하여 메탈(27)이 프릭션코어(12)에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권취로울러(4)의 공기유통로(20)을 통하여 프릭션코어(12)의 내부에 내장된 고무튜브(21)에 공급되는 압축공기 권취로울러(4)의 표면을 따라 배출될 우려가 있는데 이는 상기 메탈(27)과 프릭션코어(12)의 사이에 장착되는 시일링(28)에 의해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수단은 상기와 같이 압압판(24)이 지관을 압압하는 것에 의해 파지함으로 해서 미세한 종리분말의 발생을 배제하는 점에 있어서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금속제로 이루어진 프릭션코어(12)의 내부에 공간부(26)을 형성하고, 다시 그 내부에 고무튜브(21)를 장착하기 위한 제조공정이 극히 까다로워 일반적인 방법에 의하여 생산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극히 복잡하여 생산능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고, 또한 고무튜브(21)의 파손이 극히 용이하여 한부분에라도 파손이 되면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압축공기를 내장 튜브에 주입하여 권취하는 권취장치의 단점을 보완하는 일본국 실용공개 소 62-83043호의 ″샤프트″가 안출된 바도 있다. 이는 중공축의 외벽을 관통하는 실린더를 형성하고, 이 실린더 내에 피스톤을 끼워 설치하여 이 피스톤에 출몰되는 래그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이러한 샤프트는 비교적 그 축직경이 크고, 축간 길이가 짧은 대경단축에는 용이하게 실시될수 있으므로, 실패형의 웨브에 감거나 풀기위한 경우에는 유용하지 모르나, 소경장축화 하기에는 여러 문제점이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즉 중공축과 이 중공축을 관통하는 다수의 실린더에 의하여 축강도가 저하되고, 그 축의 직경을 작게 할 때는 상기 실린더를 결합구성 하는 것이 불합리하면 이때 축 강도는 더더욱 저하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종래 기술이 갖는 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써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비교적 폭이 넓은 인쇄된 포장지를 일정간격으로 절취하면서 이를 소정의 지관상에 권취하는데 적합한 소경장축을 갖는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2중의 축구조를 축강도가 향상되되 실린더를 배제하고 작동자의 작동공간인 쳄버를 마련하므로 조립구성이 간편하고 소경장축화하기에 용이한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 제8도 내지 제9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중앙내부에 공기유통로(20)가 형성된 권취로울러축(4)의 외주면에는 공기유통공(4')이 형성되고, 다수의 프릭션코어(12)가 상기축에 외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코어(12)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도록 수개소에 노출공(50)과 연통되는 왕복작동공(51)이 작동쳄버(53)와 관통하여 ″″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왕복공(51)과 작동쳄버(52)내에는 밑면을 만곡되게 만곡부(55)로 형성한 작동자(56)를 작동쳄버(52)상에서 소정의 간격(T)를 두고 삽입하되, 상기 왕복공(51)에 위치하는 작동자(56)를 작동쳄버(52)상에서 소정의 간격(T)를 두고 삽입하되, 상기 왕복공(51)에 위치하는 작동자(56)에는 O링(57)을 삽입하고, 상기 작동쳄버(52)에 위치하는 작동자(56)의 상부면내측부에 O링(57)을 착설하고, 상기 노출공(56)에는 압압판(60)이 삽입되어 상기 작동자(56)의 상부에 체결고정되도록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그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와 같이 프릭션코어(12)의 외표면에 지관(13)을 삽입하여 인쇄되어 개폭된 포장지(1')를 권취하기 위한 일련의 준비공정을 마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회전구동하는 권최로울러축(4)의 공기유통로(20)를 통하여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주게된다.
이렇게 공급된 압축공기는 공기유통로(20)에서 공기유통공(4')을 통해 프릭션코어(12)의 내부 즉 프릭션코어(12)와 권취로울러축(4)의 사이에 공급하여 그 내부공간에서 충만되게 되어 압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공기는 작동자(56)를 외향으로 밀려나도록 밀어주게 되는데 이때 작동자(56)는 작동쳄버(52)에 소정의 간격(T)을 두고 내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간격(T)만큼의 스토록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간격(T)만큼 작동자(56)은 외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자(56)의 상부에 체결고정된 압압판(60)역시 간격(T)만큼 이동하여 지관(13)의 내면을 압압하면서 고정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O링(59)은 압축공기가 작동쳄버(52)에서 왕복작동공(51)과 노출공(50)을 통해 외부에 배출되지 않도록 함에 있고, 또한 왕복작동공(51)에 위치하여 작동자(56)에 착설된 O링(57)역시 상기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권취로울러축(4)의 길이방향으로 시일링(28)에 의해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프릭션코어(12)에 구동전달은 메탈(27)이 권취로울러축(4)에 삽입고정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자(56)의 밑면을 만곡부(55)로 형성하여 그 밑면에서 압축공기를 받는 압력이 크게 미칠수 있도록 하여 결국 작동자(56)가 압축공기에 의해 외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다시 말해 지관(13)에 권취되는 인쇄되어 개폭된 포장지(1')의 권최두께가 두꺼우면 두꺼울수록 압아판(60)에 많은 힘이 전달되므로 이에 의해 밀려나지 않고 지관(13)의 내면을 압압하면서 고정되되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만곡부(55)의 크기와 깊이는 사용하고자 하는 포장지(1')에 따라 얼마든지 설계변경 가능하고, 또한 만곡부(55)가 아닌 직선부를 형성한다고 해도 결국 압축공기는 구획된 공간인 작동쳄버(52)내에서 작용하게 되므로 이와같이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근본적인 장치에 입각하여 이를 다음과같이 변형하여 실시할수도 있을 것이다.
즉, 첨부한 도면 제10도에서와 같이, 작동자(56)즉 상기에서 작동쳄버(52)내에 삽입되는 작동자(56)를 프릭션코어(12)의 내측면과 일치되는 원형만곡의 크기로 구성하되 단지 이를 분할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넓이가 넓을수록 압축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크게 미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작동자(56)가 지관(13)에 권취되는 포장지(1')가 두껍게 권취되어도 권취로울러축(4)의 방향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첨부한 도면 제11도 및 제13도내에서와 같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게 되는바, 이는 작동자(56)와 작동쳄버(52)를 형성하는 프릭션코어(12)의 내면과의 사이에 복귀스프링(70)을 착설하여 상기에서와 같이 일련의 포장지(1')의 권취작업이 끝난후에 상기한 프릭션코어(12)상에서 지관(13)을 탈거시키고자 할 때, 압축공기의 공급을 중단시켜주게 되면 상기한 복귀스프링(70)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쳄버(52)에서 작동자(56)가 원위치하도록 하여 압입판(60)이 노출공(56)에 삽입되어서 프릭션코어(12)상에서 지관(13)을 용이하게 탈거키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첨부한 도면 제12도 및 제14도에서와 같이 작동자(56)과 프릭션코어(12)의 내면과의 사이에 복귀스프링(70)을 장착하여도 상기와 같이 효과를 구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한 도면 제15도 및 제17도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자(56)의 상부면 내측부에 착설되는 O링(59)의 하부에 끝단이 상향한 복귀스프링(71)을 착설하되 상기 작동쳄버(52)내에 삽입되는 작동자(56)의 상부면 끝단부에 돌출부(72)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는 상기와 같이 작동자(56)가 외향이동하는 작동을 한후에 지관(13)을 프릭션코어(12)상에 탈거시키고자 할 때 복귀스프링(71)이 작동쳄버(52)를 형성하는 프릭션코어(12)의 내면에 접지될 때 발생되는 탄발력에 의해 작동자(56)가 용이하게 원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 상기한 돌출부(72)는 상기 복귀스프링(71)이 작동자(56)에서 작동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주기 위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한 도면 제16도 및 제18도에서와 같이 일자형의 복귀스프링(73)을 O링(59)의 하부에서 작동자(56)에 착설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작동자(56)의 크기가 프릭션코어(12)의 내면과 거의 일치하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그 원형의 만곡부에 의해서 작동자(56)이 외향하여 이동할때 일자형의 복귀스프링(73)이 프릭션코어(12)의 내주연 만곡부에 닿으면서 탄성을 형성하게 되므로 그 탄발력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않을 때 용이하게 작동자(56)이 원취할 수 있게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지관을 지관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상태로 고정하는 것이므로 종래와같이 미세한 종이분말을 발생시키지 않을뿐만 아니라, 구획된 공간 내에서 작동자의 이동작동에 의해서 지관을 압압하는 수단을 취하게 되므로 압축공기가 배출되어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공간의 구획 및 작동자의 제조수단역시 손쉬운 방법 즉, 다이케이스팅 및 절삭가공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어 생산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포장지 뿐만아니라 각종 개폭후 권취장치를 이용하는 어떠한 원자재에도 적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3)

  1. 중앙내부에 공기유통로(20)가 형성된 권취로울러축(4)의 외주면에는 공기유통공(4')이 형성되고, 다시의 프릭션코어(12)가 외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프릭션코어(12)의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도록 수개소에 노출공(50)과 연통되는 왕복작동공(51)이 작동쳄버(52)와 관통하여 ″″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왕복공(51)과 작동쳄버(52)내에는 밑면이 만곡된 만곡부(55)를 갖는 작동자(56)를 작동쳄버(52)상에서 소정의 간격(T)를 두고 삽입하되, 상기 왕복공(51)에 위치하는 작동자(56)에는 O링(57)을 삽입하고, 상기 작동쳄버(52)에 위치하는 작동자(56)의 상부면내축부에 O링(59)을 착설하며, 상기 노출공(56)에는 압아판(60)이 삽입되어 상기 작동자(56)의 상부에 체결고정되도록 하여된 프릭션코어(12)를 다수로 권취로울러축(4)에 끼워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쇄된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쳄버(52)내에 삽입되는 작동자(56)를 상기 프릭션코어(12)의 내측면과 같은 원형만곡의 크기로 분할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쇄된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자(56)와 작동쳄버(52)를 형성하는 프릭션코어(12)의 내면과의 사이에 코일 또는 판스프링형의 복귀스프링(70,71,73)을 착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인쇄된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KR1019920012587A 1992-07-15 1992-07-15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KR950008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587A KR950008032B1 (ko) 1992-07-15 1992-07-15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2587A KR950008032B1 (ko) 1992-07-15 1992-07-15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151A KR940002151A (ko) 1994-02-16
KR950008032B1 true KR950008032B1 (ko) 1995-07-24

Family

ID=1933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587A KR950008032B1 (ko) 1992-07-15 1992-07-15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83B1 (ko) * 2020-05-26 2020-09-10 김윤기 프릭션 샤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3596B1 (ko) * 2013-01-16 2014-03-12 (주)율림에어샤프트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783B1 (ko) * 2020-05-26 2020-09-10 김윤기 프릭션 샤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2151A (ko) 199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2614B2 (ja) ウエブ材料のログを形成する巻き取り装置及びそれに関する方法
ES2190649T3 (es) Procedimiento para envolver un fardo redondo prensado en una prensa empacadora, dispositivo de envoltura en una lamina y prensa empacadora con un dispositivo de envoltura de esta clase con una lamina.
JP4979961B2 (ja) 包装材料のストリップに型押しする装置
KR101373596B1 (ko) 에어 샤프트 롤러 코어
ES2135965T3 (es) Dispositivo para el arrollado de una banda de tejido de genero de punto.
KR950008032B1 (ko)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US4099435A (en) Cutting knife for winding machines
US5285977A (en) Apparatus for cutting web material
CA2064064A1 (en) Process and device for winding continuous webs of material, in particular paper or carton
KR20050004302A (ko) 오염물 제거 테이프 롤 형성 장치 및 오염물 제거 테이프롤 형성 방법
CA23209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inuously reeling a web material
JPH0687526A (ja) 材料スライスの移送装置、移送機構及び移送方法
GB2177061A (en) Wrapping machines
PL364140A1 (en) Printing unit wrapping strips of tobacco and a printing method
KR970002673Y1 (ko) 인쇄된 포장용 포장지의 개폭후 권취장치
US9972222B2 (en) Label roll with a blank lea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JPS6052449A (ja) 紙巻取装置における紙管供給装置
US3288465A (en) Pneumatic conveyor for synthetic plastic wrapping sheets
KR960016998A (ko) 셔터 도어용 프레임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0183372B1 (ko) 수축포장용 필름지 공기배출공 형성장치
EP1584596A3 (de) Materialrollen und Offset-Rotationsdruckmaschine
US2592892A (en) Process for forming markings in tubular braided covers for vacuum cleaner tubes
US1981155A (en) Toilet seat cover forming machine
DE69813633D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luftkissen für verpackung
JP2537634Y2 (ja) 用紙切断装置を備えたロータリー型穿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