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679Y1 -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 Google Patents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679Y1
KR950007679Y1 KR2019930009023U KR930009023U KR950007679Y1 KR 950007679 Y1 KR950007679 Y1 KR 950007679Y1 KR 2019930009023 U KR2019930009023 U KR 2019930009023U KR 930009023 U KR930009023 U KR 930009023U KR 950007679 Y1 KR950007679 Y1 KR 9500076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pot
tableware
inner cylinde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6112U (ko
Inventor
홍서곤
Original Assignee
홍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서곤 filed Critical 홍서곤
Priority to KR2019930009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679Y1/ko
Publication of KR940026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6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6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6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발췌 일부절결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내통 2 : 단턱
3 : 저면부 4 : 요부
5 : 식기 10 : 솥
본 고안은 취사용솥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별도로 마련된 내통을 준비하여 이 내통에 식기를 안착시켜 분리취사를 할 수 있도록 된 취사용솥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일반적인 가열취사용 솥 또는 전기밥솥을 망라한 취사용 솥은 밥등을 지을때 전체 취사용솥에 쌀과 물을 부어 가열원으로써 가열하는 것에 의하여 밥도 짖고, 취사가 끝나게 되면 별도의 식기에 밥을 퍼담아 식사를 하곤 했다. 또한 국, 찌개류를 끓이거나 데우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전체 내용물을 한꺼번에 끓여 별도의 식기에 옮겨 식사를 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오랜 관습에 의하여 취사용솥은 내부구조가 거의 변화되지 아니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전체음식물을 취사하고, 떠먹는 것은 매우 불편하고, 필요한 음식물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가 없어 음식물의 낭비라는 2차적인 문제가 발생되는 폐단과 함께, 항시 동종의 음식물만이 취사가 가능하여 많은 취사용기를 필요로 하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관습화된 취사용솥이 갖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식기를 안치할수 있는 내통을 마련하여 솥에 인출가능하도록 내설하여 취사된 음식물을 별도의 식기에 퍼담는 수고와 음식물의 낭비를 줄이고 또한 이종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가 가능하도록된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구성을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통상의 솥(10)내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된 내통(1)을 형성하여 이루되, 내통(1)은 상부로 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단턱(2)이 형성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저면부(3)에 식기(5)가 안착될 수 있는 요부(4)를 다수로 형성한 용기로써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통은 제3도와 같이 솥의 내부형상에 따라서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로써 11은 내부관측용 투명부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작용효과를 좀더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이 구현된 취사용 솥(10)은 가열가능한 식기(5)에 쌀과 물을 넣어 내통(1)의 요부(4)에 상기 식사를 안착시킨 후 통상의 방법에 의하여 가열하게 되면 일정시간후 밥이 되게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밥은 각 식기(5)에 담겨 있으므로 별도로 퍼담는 수고를 덜게 하고 필요한 밥의 량만큼 식기(5)를 넣고 조리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음식물의 낭비가 없이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찌개류, 찜류, 국등을 별도의 식기에 담아 상기 내통에 넣고 가열하게 되면 동시에 이종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번 다수의 가열용기에 다수의 음식물을 따로이 조리하는 폐단이 해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내통(1)은 필요시 상부에 형성된 단턱(2)을 파지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되어 청소를 하거나 솥 전체를 사용함에 있어서 호환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식기를 수용하는 내통을 별도로 형성하여 식기에 직접 취사가 가능하여 음식물의 계량이 용이하고 음식물을 따로 퍼담는 폐단이 없으며 또한 이종의 음식물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 것으로써 매우 우수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로 착탈이 가능하도록된 내통(1)을 갖는 취사용 솥(10)에 있어서, 상기 내통(1)은 상부로 부터 내측으로 절곡된 단턱(2)이 형성되고 하부로 연장되어 저면부(3)에 식기(5)가 안착될 수 있는 요부(4)를 다수로 형성하여 일체구성하고, 이 내통(1)이 상기 솥(10)에 착탈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KR2019930009023U 1993-05-26 1993-05-26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KR9500076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023U KR950007679Y1 (ko) 1993-05-26 1993-05-26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023U KR950007679Y1 (ko) 1993-05-26 1993-05-26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112U KR940026112U (ko) 1994-12-08
KR950007679Y1 true KR950007679Y1 (ko) 1995-09-20

Family

ID=1935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023U KR950007679Y1 (ko) 1993-05-26 1993-05-26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6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6112U (ko) 199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875B1 (en) Cooking vessel with removable trough
NZ524951A (en) bowl structure
KR950007679Y1 (ko) 분리취사가 가능한 취사용 솥
CN205162828U (zh) 多功能蒸架及带有多功能蒸架的多功能电煮锅
KR20120031863A (ko) 두 가지-기능의 취사 도구 뚜껑
CN1816285A (zh) 组合式的食物烹饪器和蒸锅
JP2012516741A (ja) 調理容器
JPH072137B2 (ja) 加熱調理装置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CN218683697U (zh) 一种基于电磁加热的纸容器
CN210018942U (zh) 多功能组合式锅具
KR102483633B1 (ko) 휴대용 발열 식품 조리 용기
JPH0556965B2 (ko)
CN211632791U (zh) 一种多用途组合锅
CN106419479A (zh) 蒸煮两用电蒸锅
KR200336731Y1 (ko) 수육 조리용 용기
JPH0116459B2 (ko)
CA2244943C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KR20090002276U (ko) 찌기와 끓이기용 조리 포트
KR100763338B1 (ko)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KR870002592Y1 (ko) 받침대겸용 탕기류 뚜껑
KR200299306Y1 (ko) 음식물 조리용기
KR200320853Y1 (ko) 조리용 용기
CN206612562U (zh) 烹饪组件
KR20160002161U (ko) 다용도 동시 조리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