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484Y1 -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484Y1
KR950007484Y1 KR92025438U KR920025438U KR950007484Y1 KR 950007484 Y1 KR950007484 Y1 KR 950007484Y1 KR 92025438 U KR92025438 U KR 92025438U KR 920025438 U KR920025438 U KR 920025438U KR 950007484 Y1 KR950007484 Y1 KR 950007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joining
piece
guid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5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682U (ko
Inventor
박기화
Original Assignee
박기화
한국제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화, 한국제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기화
Priority to KR92025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484Y1/ko
Publication of KR9400156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6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02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binding or wrapp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제1도는 반제품 포장용 포대 자동접합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3a, b, c도는 본 고안이 작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4a도는 제 3b도의 I-I선 단면도.
제5a, b, c, d도는 포장용포대의 하단 접합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포대공급장치 2 : 포대
2' : 개봉부 2a, 2b : 접합면
3 : 이송벨트 4 : 가이드 로울러장치
5 : 확개장치 6 : 접합장치
7 : 절첩장치 8 : 측판
9, 9' : 횡간 10 : 안내벽
11 : 연장편 12 : 걸림편
13,15' : 걸고리 14 : 안내간
15 : 회동걸림편 16 : 스프라켓
17 : 체인 괘도 18,18' : 압축실린더
18a, 18b : 피스톤로드 19, 19' : 압착편
20, 20' : 감지센서 21 : 압축공기 배출관
22 : 히팅로울러
본 고안은 상ㆍ하가 개봉된 상태의 포장용포대 반제품(이하 '포대'라 약칭함)을 접합하기 위한 포장용 포대 자동접합장치에 설치되는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으로 공급되는 포대를 이동간에 접합면을 자동으로 확개하고, 접합하기 위한 적정폭으로 포대하단부를 면접시키기 위한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대는 제 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의 하단부가 개봉되고, 그 하단부가 소정의 폭으로 절첩된 상태로서 자동공급장치에 공급 되어진다.
이후, 포대의 절첩부를 확개하여 접합면을 기립시킨 후, 열압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켜 포장용 포대를 완성하게 되는 바, 상기한 포대의 절첩부를 확개하고, "ㅗ"자형으로 기립시키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이송벨트에서 이송되는 포대를 정지시킨 후 절첩부를 확개하고 확개된 부분을 양접 합면이 서로 면접되도록 양측에서 압압하여, "ㅗ"자형으로 기립시킨 후 이송벨트를 다시 구동시켜 다음의 작업단계인 접착장치로 이송시켜 주도록 된 것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벨트에 의하여 이송중인 포대를 정지시킨 다음 확대 및 접합면을 면접시키는 종래의 장치는, 포대의 확개 및 접합면 면접작업을 수행할 때마다 구동중인 이송벨트를 정지시켜야 하였으므로 전력의 과다한 소비 및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출된 것으로, 이송벨트에 의하여 이송중인 포대를 정지시키지 않고 이송간에 확개작업 및 면접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손실을 극소화 하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서 이송간에 확개작업 및 접합면 면접작업을 수행하고, 다음의 접합장치로 이송시켜 접합되도록 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줌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포대 자동접합장치는, 반제품상태의 포대를 공급하는 포대공급장치와, 포대가 본 고안의 확개장치를 통과하면서 기립되고, 접합면이 면접되어진 상태에서 다음의 작업 공정인 접합장치와, 접합된 포대를 일정한 형태로 절첩하는 절첩장치로 대변되는 바, 본 고안은 상기한 각종의 장치중에서 확개장치만을 그 적용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상기한 포대공급장치 및 접합장치, 절접장치는 종래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동확개장치는 기존의 자동접합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본 고안 장치만을 기존의 장치에 설치하고, 부가적인 기본 제어시스템만 교체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단부가 절첩된 상태로 반가공된 반제품 상태의 포대(2)를 공급하는 포대공급장치(1)와, 절첩된 포대의 하단부 일단을 펼쳐주는 가이드 로울러 장치(4)와, 상기 가이드로울러장치(4)를 통과하면서 포대(2)의 하단부 일단이 펼쳐진 상태로 공급되어 접합시키기 위하여 "ㅗ"자형으로 기립, 면접시켜주는 확개장치(5)와, 히팅로울러(22)에 의하여 포대(2)의 접합면(2a)(2b)을 접합시켜주는 접합장치(6)와, 접합된 포대(2)으 기립된 개봉부(2')를 압압하여 절첨시켜주는 접첩장치(7)로 구성된 포장용포대 자동접합장치에 있어서, 이송벨트(3)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판(8)과 횡간(9)(9')에 의하여 지지되는 안내벽(10)이 설치되며, 그 하부일측 횡간(9)에는 연장편(11)을 고정하여 판스프링재와 같은 탄력을 가진 걸림편(12)의 일측 말단을 고정설치하되, 타측 말단부에는 걸고리(13)를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연장편(11) 상측에는 하향으로 만곡진 한 쌍이 안내간(14)을 고정설치하여, 스프라켓(16)의 체인궤도(17)에 고정된 회동걸림편(15)이 안내간(14)을 따라 이동토록 하며, 스프라켓(16)의 전후방에는 압축실린더(18)(18')에 의하여 상하운동을 하는 압착편(19)(19') 한 쌍이 감지센서(20)에 의하여 작동되고, 걸림편(12)와 회동걸림편(15)이 대립하여 포대(2)의 하단개봉부(2')를 확개시키는 지점의 후방에 압축공기배출관(21)을 설치하여 감지센서(20')에 의하여 감지작동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미 설명 부호 2a, 2b는 접합면, 18a, 18b는 피스톤로드, 22는 히팅 로울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제 5a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개봉된 상태로 절첩된 포대(2)가, 포대공급장치(1)에서 이송벨트(3)로 공급되어 확개장치(5)로 이송되며, 확개장치(5)로 이송된 포대(2)가 횡간(9)의 연장편(11)에 고정된 걸림편(12)에 다다르면, 감지센서(20')의 감지에 의하여 압축공기배출관(21)에서 압축공기가 포대(2)의 하단 개봉부(2')로 분사되어 걸림편(12)에 포대(2)의 접합면(2a)(2b)가 들뜨게 된다.
계속해서 포대(2)가 전진하여 개봉부(2')의 일측 접합면(2a)이 연장편(11) 말단에 형성된 걸고리(13)에 걸리고, 체인궤도(17)에 고정 설치된 회동걸림편(15)이 스프라켓(16)의 구동으로 안내간(14)을 따라 회동하여 회동걸림편(15)의 말단에 형성된 걸고리(15a)가 포대(2)의 타측 접합면(2b)를 걸게 된다.
이때, 체인궤도(17)에 고정된 회동걸림편(15)이 회전할 때, 회전하는 탄력에 의하여 상기 회동걸림편(15)이 좌, 우로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안내간(14)에 정확히 도달되도록 체인궤도(17) 양측에 설치된 안내벽(10)사이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송벨트(3)는 계속 구동하여 포대(2)를 이송시키는 것이며, 이송벨트(3)의 이송속도보다 체인궤도(17)의 회전이 더욱 빠르게 이루어 지므로, 포대(12)의 일측 접합면(2a)은 걸림편(12)에 걸려 일시적으로 정지되나, 타측 접합면(2b)을 걸고 있는 회동 걸림편(15)이 빠르게 회전하여 포대(2)의 일측 접합면(2b)을 당기게 되므로, 포대(2)의 하단 개봉부(2') 접합면(2a)(2b)이 양측으로 확개되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개봉부(2')가 걸려 확개된 상태로 이동하여 체인궤도(17)의 회전에 의하여 회동걸림편(15)에 개봉부(2')가 걸려 확개된 상태로 이동하여 체인궤도(17)의 말단부까지 이동되며, 이송걸림편(15)은 체인궤도(17)를 따라 회전하여 포대(2)에서 이탈됨과 동시에, 체인궤도(17)말단부의 적정 위치에 설치된 감지센서(20)에 의하여 포대(2)의 전ㆍ후방에 경사지게 설치된 압축 실린더(18)(18')가 작동되고, 피스톤의 말단에 부착된 압착편(19)(19')이 제 5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포대(2)의 확개된 개봉부(2')를, 제 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2)의 개봉부(2')를 압압하여 "ㅗ"자형으로 압착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압착편(19)(19')에 의하여 포대(2)의 개봉부(2')를 "ㅗ"자형으로 압착한 상태로 다음의 접착공정을 위하여 접착장치(6)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접착장치(6)는 대향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히팅로울러(22)에 의하여 열압착되거나, 저착제 도포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접합면(2a)(2b)에 접착제가 도포되고, 히팅로울러(22)에 의하여 접합응고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 절첩장치(7)에 의하여 제 5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대(2)의 양끝 돌출부가 내측으로 절첩되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한 접착장치(6)와 절첩장치(7)는 종래의 자동접합장치에 적용되어 사용되는 것이어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이송벨트(3)에 의하여 이송되는 포대(2)를 정지시키지 않고, 이동간에 포대(2)의 하부 개봉부(2')가 확개되어 "T"자형으로 기립되고 다음 작업으로 이송되므로 전력의 소비를 극소화 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20)(20')의 감지에 의하여 각기부분이 작동되므로 정확한 위치에서 확개 및 접합면 면접작업이 이루어져, 포대(2)의 하단 개봉부(2')의 접합 및 절첩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1)

  1. 하단부가 절첩된 상태로 반가공된 반제품 상태의 포대(2)를 공급하는 포대공급장치(1)와, 절첩된 포대의 하단부 일단을 펼쳐주는 가이드 로울러 장치(4)와, 상기 가이드로울러장치(4)를 통과하면서 포대(2)의 하단부 일단이 펼쳐진 상태로 공급되어 접합시키기 위하여 "ㅗ"자형으로 기립, 면접시켜주는 확개장치(5)와, 히팅로울러(22)에 의하여 포대(2)의 접합면(2a)(2b)을 접합시켜주는 접합장치(6)와, 접합된 포대(2)의 기립된 개봉부(2')를 압압하여 절첩시켜주는 접첩장치(7)로 구성된 포장용포대 자동접합장치에 있어서, 이송벨트(3)의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측판(8)과 횡간(9)(9')에 의하여 지지되는 안내벽(10)을 설치하고, 일측 횡간(9)에는 연장편(11)을 연장 설치하여,말단부에는 걸고리(13) 형성된 걸림편(12)을 고정하고, 연장편(11) 상측에는 하향으로 만곡진 한 쌍이 안내간(14)을 고정설치하여, 스프라켓(16)의 체인궤도(17)에 고정된 회동걸림편(15)이 안내되도록 하며, 스프라켓(16)의 전ㆍ후방에는 압축실린더(18)(18')에 의하여 상하작동을 하는 압착편(19)(19') 한 쌍을 설치하여 광센서(20)에 의하여 작동토록 하며, 걸림편(12)와 회동걸림편(15)이 대립하여 포대(2)의 개봉부(2')를 확개시키는 지점의 후방에 압축공기배출관(21)을 설치하여 감지센서(20')의 감지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분산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KR92025438U 1992-12-14 1992-12-14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KR950007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438U KR950007484Y1 (ko) 1992-12-14 1992-12-14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5438U KR950007484Y1 (ko) 1992-12-14 1992-12-14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682U KR940015682U (ko) 1994-07-22
KR950007484Y1 true KR950007484Y1 (ko) 1995-09-13

Family

ID=1934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5438U KR950007484Y1 (ko) 1992-12-14 1992-12-14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4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682U (ko) 199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0010E (en) Packaging apparatus and method
JPH048284B2 (ko)
US3739547A (en) Shrink-wrapp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199003B1 (ko) 긴 박스 테이핑 장치
US5134833A (en) Packaging machine & method
KR950007484Y1 (ko) 포장용포대 제조용 포대하단 접합부 자동확개장치
US3735557A (en) Machine for wrapping palletized loads in heat shrinkable plastic film
CA2776596A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insert means for opening/closing the mouth of bags and bag filling/sealing machine provided with said apparatus
US4813206A (en) Tape sealing the perimeters of carton walls
JPH04118303U (ja) 包装装置
US4289567A (en) Apparatus for applying web sections to a flat-lying workpiece
JPS6330651Y2 (ko)
JP3715912B2 (ja) 箱体の封緘方法およびその封緘機
JPH0551853U (ja) 包装機等におけるフィルム接合装置
JPH0520283B2 (ko)
JP2936954B2 (ja) 包装機のフイルム自動切換装置
KR100406157B1 (ko) 자동포장기의 커터실러 구동장치
KR100586381B1 (ko) 모서리 개봉형 지퍼포장용기의 제조를 위한 한쪽 날개형합성수지제 지퍼 열접합장치
JPS6116966Y2 (ko)
ATE29007T1 (de) Vorrichtung zum verschliessen gefuellter saecke.
JP3047957U (ja) 被包装体の自動包装装置における整包構造
SU1585219A1 (ru) Способ упаковывани концевых частей длинномерных изделий
JPH105500A (ja) 洗濯済みシーツ拡張機
JPS6134241Y2 (ko)
JPH044704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0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