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282Y1 -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 Google Patents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282Y1
KR950007282Y1 KR2019900014212U KR900014212U KR950007282Y1 KR 950007282 Y1 KR950007282 Y1 KR 950007282Y1 KR 2019900014212 U KR2019900014212 U KR 2019900014212U KR 900014212 U KR900014212 U KR 900014212U KR 950007282 Y1 KR950007282 Y1 KR 9500072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rp
projecting piece
connecting rod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4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6378U (ko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호 filed Critical 김영호
Priority to KR2019900014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282Y1/ko
Publication of KR9200063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2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2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20Take-up motions; Cloth b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 프레임 1가 : 상측 연결봉
2, 2a : 돌출편 3 : 연결횡봉
3a, 3b : 나사부 4, 4a : 고정너트
5, 5a : 비임회전축공 6 : 경사비임
본 고안은 견직기에 경사를 공급시키는 송출기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프레임 규격을 확대시키지 않으면서 외경이 더 큰 경사비임을 장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데 보다 구체적인 것은 프레임의 양측에 외향으로 돌출편을 형성하여 돌출편에 구멍을 뚫고 돌 편 사이에 연결횡봉을 가설하므로서 프레임 외측으로 연결봉이 설치되어 프레임의 규격을 변경시키지 않고 비임 장치부 간격을 확대시켜 외경이 큰 경사비임을 장치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경사송출장치는 양측프레임의 내측에 구멍을 뚫어 연결봉을 가설하기 때문에 연결봉이 프레임의 내측으로 가설되어 비임장치부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경사비임의 외경이 큰 것을 장치할수가 없어 별도로 대형의 프레임을 갖춘 송출기를 만들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임장치대의 프레임 하측에 외향으로 일정크기의 돌출편을 형성하여 연결봉 체결구멍을 뚫고 그 사이로 연결봉을 장치케 하므로서 비임장치부의 간격이 매우 커져서 외경이 적은 기존의 경사비임은 물론이고 외경이 큰 경사비임의 장착도 가능한 다용도 송출기가 되게한 것인데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앙부에 비임회전축공(5)(5a)을 가지는 송출기 프레임(1)(1a)에 있어서, 프레임(1)(1a)의 하단부 외측으로 일정크기의 돌출편(2)(2a)을 형성하여 각 돌출편에 연결공을 뚫고 두 돌출편 사이에 연결횡봉(3)을 가설하여 연결횡봉의 양측 나사부(3a)(3b)가 돌출편의 연결공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곳에 너트(4)(4a)를 나사조임 하여서된 구조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프레임(1)(1a) 하단에서 외향으로 일정 크기의 돌출편(2)(2a)이 돌출되어 그 돌출편 사이로 연결 횡봉이 개입되어 연결횡봉의 양측나사부가 돌출편의 연결공 외측으로 돌출되어 너트(4)(4a)가 나사조임되므로 양측 프레임이 연결봉에 의하여 견고히 지지되면서 프레임의 폭을 키우지 않아도 프레임 내측의 비임장치부 간격은 넓어질수 있기 때문에 외경이 큰 대용량의 경사비임을 장치할수 있도록 되는 이점이 있어 외경이 작은 비임과 외경이 큰 비임을 불편없이 장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송출장치대를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부담을 절감시킬 수 있고 부대설비를 증가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대용량의 비임을 장치하여 사용할수 있기 때문에 능률적이고 경제적이며 사용효과가 큰 경사 송출기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부에 비임회전축공(5)(5a)을 가지는 송출기 프레임(1)(1a)에 있어서, 프레임의 하단 외측으로 일정크기의 돌출편(2)(2a)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각 돌출편에 연결공을 뚫고 두 돌출편 사이에 연결횡봉(3)을 가설하여 양단나사부(3a)(3b)를 돌출편의 구멍으로 관통시켜 외측으로 돌출되는 나사부에 고정너트(4)(4a)를 나착시킨 견직기용 경사 송출기의 프레임.
KR2019900014212U 1990-09-12 1990-09-12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KR9500072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212U KR950007282Y1 (ko) 1990-09-12 1990-09-12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4212U KR950007282Y1 (ko) 1990-09-12 1990-09-12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378U KR920006378U (ko) 1992-04-21
KR950007282Y1 true KR950007282Y1 (ko) 1995-09-06

Family

ID=1930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4212U KR950007282Y1 (ko) 1990-09-12 1990-09-12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2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6378U (ko) 1992-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30634A (ko) 직기의 프레임 구조
KR950007282Y1 (ko) 견직기용 경사송출기의 프레임
CN209325320U (zh) 新型防松动监控支架
US3221776A (en) Heddle-support devices for weaving looms
JPH03174057A (ja) 織機の伸子用固定部
US3346114A (en) Tensioning apparatus for vibrator screens
US5109890A (en) Loom sley drive
ES2038843T3 (es) Maquina de coser y procedimiento de fabricacion de la misma.
US3106942A (en) Heddle frame
CN208038645U (zh) 塑料圆织机经丝筒架
US3412762A (en) Heddle frame assembly having an improved heddle rod support
US3353570A (en) Harness frame connector
US3677306A (en) Loom sleys
KR100435507B1 (ko) 레피어 직기용 그리퍼 테이프 안내구
CN219886277U (zh) 多梭箱织机综框稳固装置
US2322385A (en) Separator bar for warp stop motion
CN213266927U (zh) 一种线筒快装式的针织横机
CN210378753U (zh) 一种新型电容器固定结构
CN213186675U (zh) 一种新型印制线路板
KR970001411Y1 (ko) 워터제트직기용 장력유지판의 체결고정장치
KR860003297Y1 (ko) 변사용 쟈카드의 요동 방지장치
CN212687211U (zh) 一种便于拆卸的纺织机械用导纱器
KR102300147B1 (ko) 원사 거치 시스템
US3566926A (en) Picker stick check
KR970004378Y1 (ko) 점보 보빈용 해사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