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277B1 -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 Google Patents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277B1
KR950007277B1 KR1019920024292A KR920024292A KR950007277B1 KR 950007277 B1 KR950007277 B1 KR 950007277B1 KR 1019920024292 A KR1019920024292 A KR 1019920024292A KR 920024292 A KR920024292 A KR 920024292A KR 950007277 B1 KR950007277 B1 KR 95000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ation
drying
temperature
stroke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4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069A (ko
Inventor
성관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4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277B1/ko
Publication of KR940015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2Microwa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6Microwave heating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temperature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58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humidity or vapor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4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2206/046Microwave drying of wood, ink, food, ceramic, sintering of ceramic, clothes, h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의류건조기의 요부 횡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의류건조기를 뒤에서 본 상태의 일부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마이컴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살균 건조방법에 따른 운전 프로그램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티 4 : 드럼
6 : 익편 8 : 마그네트론
10 : 냉각팬 11 : 히터
12 : 투입공 13 : 유입공
14 : 배기공 15 : 흡입팬
18 : 온도센서 19 : 습도센서
본 발명은 마이크로 웨이브와 열풍을 사용하여 의류의 살균과 건조를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특히, 살균행정에서 습의류의 온도를 살균온도 이상으로 가열할때는 마이크로 웨이브로만 가열하여 건조행정과는 별개로 진행이 가능토록한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를 건조시키는 기기는 주로 전기에너지가 공급되는 가열기(히터)에 공기를 통과시켜 생성된 열풍을 습한의류에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형태로 되어있다.
이러한 열풍 방식의 의류건조기는 건조실에 투입된 열풍이 습의류속의 수분을 증발시킬때 발생되는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제거한 배기방식과 습의류에서 발생된 비교적 고온의 습한공기를 응축장치에 의해 응축시켜서 수분이 제거된 더운공기를 가열기에 보내 재가열한후 건조실에 투입시켜 의류를 건조시키는 제습방식(순환방식)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열풍을 열원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경우는 열풍과 습한의류의 전열로 인한 건조특성 때문에 의류건조시 살균행정을 채택하는 것은 배기방식에서는 거의 불가능하므로 제습방식의 의류건조기에만 살균행정이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살균행정이 적용되는 제습방식의 의류건조기로 개발된 것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중 일본국 특개소 60-100998호 발명은 건조행정중에 고온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게 하여 이동안에 살균을 행하고 이와같은 조건 성립에 의해 건조행정이 종료되는 것인데 이는 두꺼운 의류를 건조할 경우 열풍에 의해서는 두꺼운 의류의 내부를 고온상태로 유지하기가 힘들어 건조와 살균이 동시에 불완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본국 실개소 62-182197호 고안은 건조행정과 살균 행정을 분리하여 일단 건조한후 살균처리를 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고온에서 건조에 이어 살균이 계속 행하여지므로 의류 및 기기내(건조실내)가 장시간에 걸쳐 고온상태에 있게됨에 따라 의류나 건조실의 수지제 구성물이 열에 의한 손상을 받게되는 폐단이 있다.
상기 폐단을 해소하고자 개발된 한국특허 공고번호 91-6790호 발명은 온도센서를 이용하여 살균행정의 효율을 좋게 실행하므로서 의류나 수지제 부품을 열로부터 보호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내용의 것들은 모두 열풍을 열원으로하여 살균건조하는 것으로서 습의류 가열이 열풍에 의한 간접가열 방식이기 때문에 살균행정의 채택과 제습기능을 부가한 경우에서는 건조완료에 요구되는 시간이 오래걸리는 결점이 있으며, 표준 용량보다 적은 의류량에서는 열량의 손실로 인하여 균일한 살균효과를 얻기 어렵고 살균행정에 따른 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폐단이 있다.
또한 열풍에 의한 가열방식은 열전달에 의한 간접가열 방식이므로 건조가 어느정도 진행된 상황에서 건조와 살균을 병행 혹은 건조와 살균을 분리하여 진행되어야 함에 따라 의류나 수지제 부품의 열적 보호가 어렵고, 의류의 두께나 의류의 량에따라 의류전체의 균일한 살균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이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살균건조의 열원으로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한 유전가열 방식과 열풍방식을 병행사용하므로서 살균을 보다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행하면서도 건조시간이 상당히 단축될 수 있도록 한 살균 건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는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 안전하게 마이크로 웨이브를 습의류에 전달할 수 있는 건조실, 유동공기 온도와 살균온도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습도센서 및 이를 판별하고 제어하는 장치, 살균시간을 계측하는 행정시간 카운터와 건조실내로 살균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을 제어하는 입출력제어부, 살균행정이후 건조행정의 유동공기 조건의 변화를 위한 히터와 그 제어부, 건조행정시 건조를 위한 주변공기조건을 제어하는 건조행정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마이크로 웨이브 에너지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제로된 원통형 캐비티(1)의 전면판(1a)에는 내면주면에 초우크 형상의 굴곡부(3)가 형성된 도어(2)를 평면접촉되게 설치하며 기밀유지를 위해 씨일링재를 부착하고 있다.
캐비티(1)내에는 습한의류에 마이크로웨이브 전달이 가능하고 에너지 전달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수지제로된 드럼(4)을 후미의 풀리(5)와 함께 모터(21)로 구동되게 축설하며, 전면판(1a)에 걸쳐지는 드럼(4)의 개구부에는 드럼(4)의 회전이 용이하고 기밀이 유지되도록 펠트(FELT)가 끼워져 있는 풀리(5)의 이면에는 원심팬용 익편(6)이 형성되어 흡입팬(15)의 동작과는 별도로 풀리(5)의 회전시 건조실내로 공기를 공급한다.
캐비티(1)의 후면판(1b) 외부에는 도파관(9)을 통해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캐비티내로 공급하는 마그네트론(8)을 설치하되 그 일측에는 냉각팬(10)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히터(11)를 설치하며, 히터(11)가 설치된 후면판(1b) 부위에 마이크로 웨이브의 누설이 방지되는 크기의 투입공(12)들을 다수개 형성하여 외부에서 히터(11)에 의한 열풍 공급만이 가능토록 되어있다.
히터(11) 주변에는 서모스탯(11a)을 부착하여 흡입팬(15)의 오동작으로 히터(1)가 과열됨에 따른 부품의 열적 손상을 방지한다.
드럼(4)의 후면에는 투입공(12)과 대향되는 높이로 유입공(13)들을 환설하고 그 내외측에는 차단벽(7)(7a)이 돌설되어 투입공(12)으로 투입된 열풍이 드럼(4)의 유입공(13)으로 원활히 유입되게 한다.
캐비티(1)의 전면판(1a) 하부에는 마이크로 웨이브의 누설이 방지되는 크기로 다수의 배기공(14)을 형성한 후 모터(20)로 구동되는 흡입팬(15)의 배기덕트(16)를 연통시켜 강제 배기되도록 하며, 이때 배기덕트(16)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에어필터(17)를 설치하여 배기공(14)으로 유출되는 의류의 실오라기 등을 걸러내게 한다.
상기한 배기덕트(16)와 배기공(14) 사이에는 온도센서(18)와 습도센서(19)를 설치하여 유동공기의 상태를 감지토록 하므로서 건조실 실내를 살균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데이터로 이용하고 또한 건조행정에서도 연속적으로 측정되는 데이터로 이용하며, 이와 같이 검출된 데이터를 이용한 제어와 외부로부터 선택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를 의류건조기의 운전에 사용하고자 제3도와 같은 마이컴(Micro computer)이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행정에 따른 운전프로그램 블록도면은 제4도와 같고 이를 세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의류건조기를 운전함에 있어서 살균코스를 선택한 경우에 마이컴은 스타트키의 조작에 의해 살균행정에서 건조행정의 순서로 운전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즉, 전원을 “ON”하고 살균코스를 선택하여 스타트를 시키면 온도센서(18) 및 습도센서(19)가 초기의 온도와 습도를 검지하며, 그후 수초후 풀리(5)로 동력을 받는 드럼(건조실 : 4)이 회전되면서 히터(11)와 흡입팬(15)은 정지된 상태에서 마그네트론(8)만이 작동되어 마이크로 웨이브가 드럼(4)내로 조사된다.
또한 풀리(5) 후면의 익편(6)에 의해 발생된 바람과 마그네트론(8)을 식히는 냉각팬(10)의 바람은 캐비티(1)의 투입공(12)과 드럼(4)의 유입공(13)을 통해 드럼(4) 내로 원활히 유입된다.
이에따라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한 가열이 계속되는 드럼(4) 내부는 습한의류의 온도가 상승되고 유입공(13)을 통해 들어오는 유동공기로 인하여 증발이 이루어지 다음 습윤공기가 배기공(14)으로 배출된다.
이때 온도센서(18)와 습도센서와(19)가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데이터를 마이컴에 보내면 마이컴은 이미 설정된 살균범위 인가를 판단하여 적정온도 및 습도가 되었을때 살균 카운터를 개시한 다음 일정시간 동안 온도설정 범위내에서 마이크로 웨이브의 출력제어를 반복 수행하여 효과적인 살균을 행하는 것으로서 이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먼저 건조실에서 배기되는 습윤공기의 온도는 80℃, 습도는 90% RH 이상에서 의류가 살균된다고 가정하고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해 습의류가 가열되며서 건조실에서 배출되는 유동공기의 온도 및 습도를 온도센서(18)와 습도센서(19)로 감지하여 마이컴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설정된 온도 80℃, 습도 90% RH가 되면살균 시간의 시작을 카운터 한다.
그후 마이컴으로 검출되는 온도가 85℃에 이르면 마이크로 발진을 즉시 “OFF”시키며, 이에따라 건조실의 온도는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마이컴으로 검출되는 온도가 설성된 온도 80℃ 이하가 되면 또다시 마이크로 웨이브 빌진을 “ON”하여 습한의류를 가열한다.
이와 같이 마이컴에 설정된 최적의 살균온도 범위내에서 건조실의 온도가 승하강 되는 사이클을 설정된 살균시간(예 : 10분) 동안 반복 수행하여 살균을 하는 것이며, 살균시간이 종료된 후에는 흡입팬(15), 히터(11)가 마그네트론(8)과 함께 동작되면서 마이크로 웨이브와 열풍에 의한 건조행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살균행정을 선택시 동작최초에 즉 건조행정을 하기전에 마이크로 웨이브로만 가열하는 것이므로 건조행정과는 별도로 진행이 가능한 것이며, 이때 마이크로 웨이브 출력을 강한 설정으로 하여 흡입팬을 작동시키지 않고 가열하므로 마이크로 웨이브의 에너지가 건조실의 습의류에 효율적으로 전달됨에 따라 습의류의 온도상승이 빨라져서 살균 건조행정이 보다 단축되는 것이다.
또한 고출력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통한 직접 가열 방식으로 살균하기에 충분한 고열로 의류속에 수분이 비교적 많은 상태에서 건조전에 살균행정을 진행하므로서 의류의 두께나 량에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열이 됨에따라 살균을 보다 균일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며, 의류 중량 변화에 따라 정확한 살균을 하기위한 대처 능력이 뛰어나고 신속한 살균과 건조를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되는 습윤공기의 상태에 따라 마이컴이 마이크로웨이브의 출력을 조절하여 살균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살균행정시 의류 및 주변의 건조실 수지부품이 열적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미 설정된 살균시간에 의해 시간적 손실없이 정확한 살균을 수행할 수 있고, 살균행정으로 약간의 수분증발이 된 상태에서 높은 온도로 가열된 습의류를 곧바로 건조행정에 들어가게 하므로서 건조행정시 투입되는 열풍을 습의류의 예열에 소모함이 없어 모두 습의류의 수분증발에 이용할 수 있어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장치와 안전하게 마이크로 웨이브르 습의류에 전달할 수 있는 건조실, 건조실의 유동공기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고 판별하는 제어부, 살균시간을 계측하는 행정시간 카운터와 건조실내를 살균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웨이브 발진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부, 살균행정 이후 건조행정의 유동 공기 조건의 변화를 위한 히터와 그 제어부, 건조행정시 건조를 위한 주변공기 조건을 제어하는 건조행정 제어부에 의해 살균행정은 마이크로 웨이브를 통한 직접가열 방식으로 행하고 건조행정은 마이크로 웨이브와 열풍으로 직접가열과 간접가열을 병행하여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웨이브로만 행하는 살균행정을 건조행정전에 행하도록 하고 건조행정은 살균행정 종료후에 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살균행정시 건조실내로 조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고출력으로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마이크로 웨이브에 의한 살균행정시 흡입팬(Blower : 15)이 작동되지 않게 설정하여 건조실의 습의류가 신속하게 설정된 살균온도에 이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살균 및 건조행정시 건조실에서 배기되는 유동 공기의 온도, 습도를 온도센서와 습도센서로 감지하여 건조실 실내를 설정된 최적의 살균온도 및 건조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데이터로 활용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살균행정시 온도에서와 습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데이터가 설정된 살균온도 및 습도가 되면 살균시간을 설정된 시간동안 카운터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살균행정시 건조실 오도가 설정된 살균온도에 도달한 후 일정한 살균온도 범위내에서 카운터되는 설정시간 동안 마이크로 웨이브의 출력을 ON, OFF 반복 수행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KR1019920024292A 1992-12-15 1992-12-15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KR95000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292A KR950007277B1 (ko) 1992-12-15 1992-12-15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4292A KR950007277B1 (ko) 1992-12-15 1992-12-15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69A KR940015069A (ko) 1994-07-20
KR950007277B1 true KR950007277B1 (ko) 1995-07-07

Family

ID=19345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4292A KR950007277B1 (ko) 1992-12-15 1992-12-15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01B1 (ko) * 2002-02-08 2005-04-22 주식회사 엘에스글로벌 내의 살균 건조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40006679A (ko) * 2002-07-13 2004-01-24 최윤관 의류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69A (ko) 199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721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of a laundry dryer
JP3321945B2 (ja) 衣類乾燥機
KR100640789B1 (ko) 의류건조기
US2005005075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dryer
EP1743063B1 (en)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radiation drying unit
BRPI0712435A2 (pt) método de fornecimento de vapor e aparelho de tratamento
KR100724444B1 (ko) 드럼식 의류 건조기 및 그 제어 방법
KR950007277B1 (ko) 의류건조기의 살균 건조방법
KR950007278B1 (ko) 의류 건조기의 건조방법
KR100504495B1 (ko) 드럼 세탁기의 건조방법
JP3059897B2 (ja) 衣類乾燥機
KR100209686B1 (ko) 의류건조기
KR100209685B1 (ko) 의류건조기의 응축장치
KR19980027822A (ko) 드럼세탁기의 건조방법
KR0123938B1 (ko) 식기건조기의 건조효율 증가장치
JP3435829B2 (ja) 厨芥処理装置
JP2542929B2 (ja) 衣類乾燥機
KR950001223B1 (ko) 전자레인지의 불완전/과잉건조 방지방법
JPH119898A (ja) 衣類乾燥機
JP2004166744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JPWO2004046628A1 (ja) 生活用品乾燥機の装置の構造と乾燥動作の制御方法
KR101192197B1 (ko) 증기압축 사이클 시스템을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JPS59228895A (ja) 衣類乾燥機
KR0123940B1 (ko) 식기건조기의 열풍강제 순환제어방법
JPH02257999A (ja) 除湿式衣類乾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