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072B1 -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072B1
KR950007072B1 KR1019920025463A KR920025463A KR950007072B1 KR 950007072 B1 KR950007072 B1 KR 950007072B1 KR 1019920025463 A KR1019920025463 A KR 1019920025463A KR 920025463 A KR920025463 A KR 920025463A KR 950007072 B1 KR950007072 B1 KR 950007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speed
motor
washing machine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036A (ko
Inventor
오동일
최준혁
유현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072B1/ko
Publication of KR940015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0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제1도는 종래 세탁기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세탁기의 포량에 따른 탈수 제어 방법 흐름도.
제3도는 종래 포량에 따른 탈수시간 설정 테이블표.
제4도는 제1도에서 클러치의 브레이크 풀림작용에 의한 탈수제어 과정의 일실시예.
제5도는 제1도에서 안전스위치를 이용한 탈수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
제6도는 제1도에 있어서 안전스위치 및 언발란스시 신호 파형도.
제7도는 본 발명 세탁기의 회로 구성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부 상세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포량 및 세탁코스에 따라 회전속도 및 탈수시간을 제어하여 탈수를 행하는 탈수제어 흐름도.
제10도는 제8도에 있어서 회전속도 및 탈수(운전)시간에 따른 탈수 패턴도.
제11도는 부하의 변화에 따른 BLDC 모터의 부하곡선 변화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일정속도제어 및 일정전압제어에 따른 탈수 패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속도변화량에 따른 일 실시예의 탈수 제어 흐름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진동센서에 의한 진동 감지 회로도.
제15도는 제14도에 의한 출력 파형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진동센서에 의한 소음방지방법에 대한 흐름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클러치 브레이크 접점상태에 따른 일 실시예의 소음방지방법에 대한 흐름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탈수조의 여력회전시 회전소고도 패턴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언발란스 감지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소음방지방법에 대한 흐름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언발란스 감지시 회전속도 패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마이크로 컴퓨터 12 : 배수밸브구동부
13 : 배수밸브 14 : 수위감지부
15 : 진동센서 16 : 모터구동부
17 : BLDC 모터 18 : 클러치
19 : 속도검출부
본 발명은 세탁기의 탈수제어 및 소음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속도검출부에서 출력되는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세탁초기에 설정된 포량에 대응한 회전속도(R.P.M)를 제어하고 세탁코스 및 포량에 따라 다양한 탈수를 행함과 아울러 세탁기의 공진점을 회피하면서 탈수를 할 수 있도록 하고, 모터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탈수시 언발란스를 감지하고 탈수행정 완료시에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탈수조를 낮은 회전속도에서 멈추도록 하여 언발란스 및 클러치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도록 한 세탁기의 탈수제어 및 소음 방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탁기의 회로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세탁기의 전체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와, 이 마이크로 컴퓨터(1)의 제어신호에 의해 세탁조에서 물을 배수하는 배수밸브(3)를 구동시키는 배수밸브구동부(2)와, 세탁조내의 물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에 전달하는 수위감지부(4)와, 마이크로컴퓨터(1)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유도모터(7)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모터구동부(6)와, 언발란스시나 세탁기 도어의 온, 오프시 그의 상태를 마이크로 컴퓨터(1)에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안전스위치(5)와, 상기 배수밸브(3)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배수밸브(3) 오프시엔 모터(7)의 동력이 펄세이터에만 전달되게 하고 배수밸브(3) 온시엔 펄세이터와 내부튜브(Inner Tub)에 동시에 동력이 전달되게 하는 클러치(8)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회로에 있어서 마이크로 컴퓨터(1)에서 모터구동부(6)로 제어신호를 보내면 유도모터(7)가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탈수개시가 되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포량에 따른 탈수 시간을 세트한다. 예로써 제3도에서 포량에 따른 탈수시간 설정테이블에 의하여 현재 진행수위가 저수위였다면 탈수시간은 7분으로 설정된다.
그런다음 마이크로 컴퓨터(1)의 제어신호에 의해 배수밸브(3)를 온하여 세탁조에서 물을 배수시키면서 수위감지부(4)로부터 공수위인지를 체크받는다. 공수위가 되면 시간을 초기과(t=0)시키고 30초동안 유도모터(7)를 온, 오프하면서 간헐탈수를 실시한다.
이렇게 간헐탈수 시간이 경과하면 유도모터(7)를 계속 온시켜 본 탈수과정을 진행한다. 본 탈수과정시엔 모터속도가 1600rpm으로 고속회전을 하게 된다. 이의 과정이 계속 진행하다가 탈수완료 시간이 되면 유도모터(7)와 배수밸브(3)를 오프하고 탈수과정을 끝내게 된다.
그리고 모터회전속도 패턴은 모터구동부(6)의 롬 내장되어 있어서, 키 조작에 의해서 정해진 회전속도 패턴에 따라 운전을 할때 그 회전속도 패턴은 세탁기의 최적 부하 상태에서 생기는 공진점을 회피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탈수제어에 대한 일 실시예로 제4도에 도시한 흐름도에서와 같이 탈수가 시작되면 배수밸브구동부(2)에 의해 배수밸브(3)를 온한다. 그러면 이와같이 기계적으로 연동하게 되는 클러치(8)의 브레이크 풀림 작용에 의해 내부튜브의 브레이크가 풀리게 되며, 내부튜브와 펄세이터는 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수위감지부(4)로부터 공수위가 감지되면 유도모터(7)를 내부튜브가 회전할 수 있는 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탈수를 행하게 한다.
1600rpm의 고속 회전으로 탈수를 진행한 후 소정의 탈수시간이 경과하면 유도모터(7)를 오프시키고 여력회전을 10초동안 시킨 뒤 배수밸브(3)를 오프시킨다. 이 배수밸브(3)가 오프되면 클러치의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내부튜드가 순간적으로 멈추게 된다.
또한 탈수제어에 대한 다른 실시예는 제5도에 도시한 흐름도에서와 같이 탈수가 진행되면 언발란스 판단센서인 안전스위치(S/F : 5)의 온(ON) 횟수(n)를 제로(Zero)로 두고 배수밸브(3)를 온하여 세탁조내의 물을 배수시키면서 수위감지부(4)로부터 공수위인지를 체크하여 공수위가 되면 행정시간을 초기화시키고, 소정시간동안 유도모터(7)를 온, 오프하면서 간헐탈수를 실시한다. 이렇게 하여 간헐탈수 시간에 도달하면 다시 유도모터(7)를 계속 온시켜 본 탈수 과정을 진행하면서 안전스위치(5)가 온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상기 안전스위치(5)는 세탁기 도어가 오픈(open)되거나 제6a도에서와 같이 실선으로 표시한 정상위치의 세탁조가 실선과 같이 언발란스가 되어 스위치에 닿으면 제6b도에서와 같이 하이 신호가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세탁기 도어의 오픈시나 세탁조의 언발란스시 안전스위치(5)가 온되면 그 온된 횟수(n)를 하나 증가시키고 온유지 시간(T)을 읽어 이것이 소정의 시간(t1)보다 긴가 짧은가를 체크한다. 만약 온 유지시간(T)이 소정시간(t1)보다 길면 세탁기도어의 오픈상태로 판단하여 탈수행정을 세탁기도어를 닫을 때까지 일시 중지한다.
온 유지시간(T)이 소정시간(t1)보다 짧으면 온횟수가 소정횟수 이하인가를 체크하여 이하면 계속 탈수를 진행하고 이상이면 언발란스로 판단하여 탈수를 중지하고 헹굼을 1회한 뒤 다수 탈수한다. 이렇게 진행하여 탈수완료시간이 도달하면 유도모터(7)와 배수밸브(3)를 오프시킨 뒤 탈수를 끝낸다.
이상에서와 같이 탈수제어 방법으로는 포량에 따라 설정된 시간동안 탈수를 하거나, 배수밸브와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클러치의 브레이크 풀림 작용 또는 안전스위치를 이용하여 탈수하며, 세탁 및 탈수 회전속도제어를 모터구동부의 롬에 내장되어 있는 회전속도 패턴을 세탁기의 공진점을 회피하여 설계하여 세탁 및 탈수행정시 내장된 회전속도 패턴으로 탈수 행정을 진행하도록 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있어서 탈수시 포량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탈수행정을 제어하기 때문에 획일화된 고속회전(1600rpm)으로 인해 포량이나 세탁코스에 대한 특성을 살릴 수가 없으며 쉬 손상하기 쉬운 세탁물을 고속회전 시킴으로 인해 포손상이 유발될 수 있고 탈수 행정이 종료하여도 탈수가 덜 되거나 너무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세탁기의 최적 상태에서의 공진점이 회피되도록 설계되어 있으나 세탁기 부하 변동에 따른 공진점 변동에 현재의 회전속도(RRM) 패턴이 추종을 하지 못함으로 해서 세탁기의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줄이지 못하고, 탈수조 장치를 모터 전원이 오프됨과 동시에 클러치를 동작 시킴으로 인해 탈수조내의 부하와 탈수조 자체의 여력 회전력에 의해 클러치 손상이 발생하며 이 클러치의 힘이 약해져서 탈수 후 탈수조 정지시 삐걱거리는 소음이 발생하면 야간에 세탁할 경우 주위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아울러 안전스위치는 한쪽에만 있어 언발란스 상태로 세탁조가 회전할 때 그 세탁조가 안전스위치에 닿을 확률이 한정되어 언발란스 감지가 늦어 언발란스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노이즈 등이 발생하면 안전스위치 온 횟수가 증가하여 오감지할 수 있고, 연속이 아닌 간헐적으로 안전스위치를 치더라도 횟수만 소정횟수로 되면 언발란스로 감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탈수시 회전수를 검출하여 포량, 코스별로 회전속도 및 탈수시간을 제어함과 아울러 회전속도제어시 속도의 변화량이 소정의 값 이하이면 탈수를 종료하여 포손상을 방지하고, 진동센서를 사용하여 진동을 감지한 후 세탁기 공진점 회피하도록 하여 소음을 줄이며, 탈수완료시 모터의 위치검출소자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회전속도가 저속회전일 때 탈수조를 정지시켜 클러치 손상방지에 따른 소음을 줄이고, 모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언발란스로 인해 진동을 방지하도록 한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 방지 방법을 창안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7도는 본 발명 세탁기의 회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탁기의 전체 세탁 행정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1)와, 세탁조내의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배수배브(13)를 구동하는 배수밸브구동부(12)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1)의 제어 신호에 따라 BLDC 모터(17)를 동작시키는 모터구동부(16)와, 상기 BLDC 모터(17)의 회전시 모터내에 형성된 마그네틱 필드(Magnetic Field)에 의해 모터의 속도를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1) 및 모터구동부(6)로 전달하는 속도검출부(19)와, 상기 배수밸브(13)와 기계적으로 연동되어 내부튜브(Inner Tub)에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18)와, 세탁조내의 물의 양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로 전달하는 수위감지부(4)로 구성한다.
상기 모터구동부(16)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직류전원을 인버터부(22)로 공급하는 정류부(21)와, 인가되는 제어전압(Verf)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PWM 신호를 출력하는 PWM 발생부(23)와, 이 PWM 발생부(23)로부터 발생되는 일측으로 입력되는 PWM 신호와 타측으로 입력되는 삼상 파형 신호를 조합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조합부(24)와, 이 신호조합부(24)의 제어신호에 따라 인버터부(22)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베이스 구동부(25)로 구성되고, 마이크로 컴퓨터(11)는 모터구동부(16)에서 인버터부(22)로 유입되는 전류의 양을 검출하고 그에 따른 전류신호를 출력하는 전류신호발생부(23)와, 속도지령(W*) 및 검출되어 입력된 속도신호에 따라 알맞은 PWM를 발생하도록 제어 전압을 연산하여 출력함과 아울러 세탁기(28) 상부의 안쪽 케이스에 부착된 진동센서(15)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는 제어부(27)로 구성되며, 속도 검출부(19)는 BLDC 모터(17)내부에 위치한 로터(Rotor)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29)와, 이 위치감지부(29)에서 감지된 위치 신호에 따라 삼상파형신호를 발생하는 삼상파형발생부(30)와, 위치감지부(29)의 위치신호에 따라 이에 알맞은 속도신호를 발생하는 속도신호발생부(31)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두가지의 탈수제어 방법과 세가지의 소음방지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그 첫번째 탈수 제어 방법으로는 탈수시 포량에 따른 설정시간동안 고속회전(1600rpm)시킴으로 인해 포손상을 유발시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9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탈수행정이 시작되면 먼저 코스별 및 포량별로 1차 및 2차 목료회전속도(RPM)와 운전시간을 마이크로 컴퓨터(11)의 룩업테이블(Lock up TABLE)에서 읽어와 세트한다. 여기서 코스별 및 포량별(수위별)에 따른 회전속도(RPM)와 운전시간(t)은 제10a, b도에 도시되어 있다.
예를들면 현재코스가 “울”이고 “저”수위일 때 1차 회전속도(R1)와 운전시간(t1)은 R1=500rpm, t1=30초이고 2차 회전속도(R2)와 운전시간(t2)은 R2=800rpm, t2=2분이 된다.
상기에서와 같은 데이타 세트가 끝나면 배수밸브(13)를 온(ON)하여 물을 배수하며 수위감지부(14)에서 공수위인지를 계속 체크하다 공수위가 되면 운전시간(t)을 초기화시키고 BLDC 모터(17)를 온한다. 이 BLDC 모터(17)가 온다면 속도조절신호(Vref)를 조절하여 현재의 회전속도(RPM)이 목표회전속도(R1)가 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포에 함유되어 있던 물이 빠져 나가게 되며, 유도모터인 경우와 비교하면 간헐탈수 과정에 해당된다.
회전속도(R1)가 1차 운전시간(t1)이 완료되면 1단계를 끝내고 시간을 다시 초기화시킨 뒤 2단계로 진입한다. 이 2단계에서는 목표회전속도(R2)를 내기 위해 속도조절신호(Vref)를 서서히 상승시킨다.
이렇게 하여 목표회전속도(R2)에 도달하여 2차 운전시간(t2)이 완료되면 BLDC 모터(17)와 배수밸브(13)를 오프하고 탈수 과정을 끝내게 된다.
이렇게 세탁코스와 수위(포량)에 따라 탈수시간과 탈수회전속도를 차별화함으로써 포손상을 방지한다.
두번째 탈수제어방법은 일정 시간동안 탈수행정을 제어하므로 인해 세탁물의 함수율 또는 함수도에 따라 탈수행정을 종료하여도 탈수가 덜되거나 탈수가 너무되어 덜 탈수되거나 포손상을 초래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3도에 도시한 흐름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BLDC 모터(17)가 회전함에 따라 위치감지부(29)에서 감지된 모터의 로터위치에 따라 삼삼파형발생부(30)에서 인버터부(22)의 스위칭소자를 제어하는 삼상파형신호를 발생한다.
이때 제어부(7)는 위치감지부(29)에서 감지된 로터위치에 따른 속도신호(Ws) 속도신호발생부(31)에서 보내오면 그 속도신호(Ws)와 속도지령신호(W*)에 의거하여 속도조절신호(Vref)를 PWM 발생부(23)로 보낸다.
따라서 PWM 발생부(23)는 속도조절신호(Vref)에 따라 PWM을 발생하면 이 PWM과 삼상파형을 신호조합부(24)에서 조합되어 베이스구동부(25)를 통해 인버터부(22)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BLDC 모터(17)의 속도 및 회전력은 제어부(27)의 속도조절신호(Vref)에 따라 PWM 파형의 듀티비(duty ratio)를 제어함에 의하여 제어된다.
한편, BLDC 모터(17)의 토오크(Torgue) 곡선 및 세탁기 부하곡선은 제11도에서와 같이 일정한 속도조절신호, 즉 제어전압(Vref)에서는 모터의 토오크 곡선(A)은 일정하고 부하가 많을 때는 세탁기 부하곡선이 L1으로 되어 모터속도는 WA로 되고 부하가 작을 때는 부하곡선이 L2로 되어 모터 속도는 WB로 된다.
즉 탈수행정시 제어전압(Vref)를 일정하게 하여 BLDC 모터(17)를 제어하면 물이 포로부터 빠져 나감에 따라 모터속도는 서서히 커지고 모터전류는 반대로 서서히 작아진다. 또한 포에 포함된 물이 거의 다 빠지면 모터속도는 일정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 속도의 변화량을 알면 탈수도를 알 수 있으므로 속도변화량(dw/dt)를 체크하여 이 값이 어느 정도 이하이면 탈수를 종료한다.
이것을 제12도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탈수 초기에 비산음과 같은 소음방지를 위해 t0-t2 구간에는 일정속도를 제어하여 모터의 속도가 목표속도(w1)에 도달하면 이때의 제어전압(Verf)을 일정하게 하여 모터(17)를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모터(17)의 속도는 서서히 상승하고 속도의 변화량은 서서히 감소(제12도)한다. 사기 속도변화량(dw/dt)이 설정치(ΔWO) 이하이면 모터를 정지시키고, 탈수를 종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세탁물에 포함된 물이 빠진 정도를 감지하여 탈수를 종료하므로 탈수도가 균일하여 세탁물의 구김이 가거나 세탁물이 축축해질 위험이 없다.
첫번째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은 세탁기의 최적부하 상태일 때 회전속도 패턴을 공진점이 회피되도록 설계하였으나 세탁기 부하 변동에 따른 공진점 변동에 현재의 회전속도 패턴이 추종하지 못함으로 해서 세탁기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을 줄일 수 없는 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제8도, 제14도 내지 제16도를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8도에서 세탁기(28)의 진동상태를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세탁기 상부의 안쪽 케이스에 부착된 진동센서(15)로부터 초당 펄스의 갯수 및 펄스의 폭을 읽어서 진동의 크기와 진동의 속도를 같이 읽어들인다.
여기서 진동센서(15)로부터 감지되어 입력되는 제14도에 도시한 진동감지회로에서 감지하고 그때 입력되는 진동센서 출력파형은 제15a도 내지 d도에서와 같이 일반 진동의 출력파형, 세탁조의 언발란스시출력파형, 세탁기의 공진점 운전시 출력파형이 마이크로 컴퓨터(11)에 기억되어 있다.
따라서 읽어들인 펄스의 폭과 갯수를 가지고 세탁기의 이상유무를 판정하는데 이는 미리 설정된 제15도에 도시한 진동패턴과 그때의 소음정도를 기억시키고 발생된 진동과 비교하여 세탁기가 공진점에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한 후 공진점이 있게 되면 회전속도를 낮추거나 높여 공진점을 회피한 후 세탁 및 탈수를 진행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공진점 운전시 진동센서(15)의 펄스폭은 좁고 시간당 펄스의 갯수는 많이 발생하며, 탈수조의 언발란스에 의한 진폭은 펄스의 폭이 넓고 시간당 펄스의 갯수는 적다.
이와같이 진동센서(15)의 사용으로 세탁기의 진공점을 회피하도록 하여 소음을 줄이고 야간 세탁기 운전시 아주 유용하도록 하였다.
두번째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은 탈수행정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탈수조를 멈추게 하기 위하여 모터전원이 오프됨과 동시에 클러치를 동작시킬 때 탈수조내의 부하와 탈수조 자체의 여력 회전력에 의해 클러치 손상이 발생되며 그 클러치의 힘이 약해져서 탈수후 탈수조가 멈출 때 삐걱거리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7도, 제17, 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세탁이나 헹굼이 끝나 탈수 행정에 들어가게 되면 배수밸브구동부(12)에 의해 배수밸브(13)가 온되고 수위감지부(14)에 의해 공수위가 체크되면 탈수시간(t)을 초기화시키고 모터(17)를 온하여 소정의 세탁기 탈수패턴으로 탈수시간만큼 진행한다.
탈수시간이 완료되면 모터(17)를 오프시킨 뒤 세탁조의 여력회전을 계속시키면서 속도검출부(19)를 통해 모터의 회전속도(RPM)를 감지하여 그 값이 100rpm 이하일 때 배수밸브(13)를 오프하여 클러치(18)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내부튜브(Inner Tub)를 멈추게 한다. 여기서 세탁조의 여력회전은 초기 고회전속도에서 마찰력등에 의해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이와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제17도의 흐름도에서와 같다.
여력회전시 회전속도 패턴도를 살펴보면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수종료시각(A′)에서 모터(17)를 오프하고 속도검출을 시작하며 모터회전속도가 100 이하인 B점에서 클러치(18)를 놓아 내부뉴브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탈수 행정 완료후 모터의 회전속도를 검출하여 낮은 회전속도에서 탈수조를 정지시키므로 고회전 속도에서 정지하면서 발생되는 클러치 소음을 사전에 방지하고, 클러치 수명도 연장시킨다.
세번째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은 안전스위치가 한쪽에만 있어서 언발란스 상태로 세탁조가 회전할 때 닿일 확률이 한정되어 언발란스 감지가 늦어 진동이 계속 진행되고, 노이즈 등이 발생하면 안전스위치 온 횟수가 증가하여 오감지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9도 및 제20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9도의 흐름도에서 탈수가 시작되면 마이크로 컴퓨터(11)의 신호에 의해 배수밸브(13)가 온하여 탈수조에 있는 물을 배수시킨다. 배수가 다되어 수위감지부(14)로부터 공수위 신호가 오면 마이클로 컴퓨터(11)는 세탁시간(t)을 초기화시키고 탈수과정에 들어간다. 탈수가 시작되면 시간이 회전속도 상승구간인지를 체크하여 제20도에서 a,c 구간의 상승구간에 해당되면 모터(17)의 제어전압(Vref)을 조절하여 목표회전속도(Rt)에 도달하도록 하여 탈수 행정을 진행하고, 시간이 0-ta, tb-tc사이가 아니면 구속이나 언발란스 감지에 들어가게 되는데 구속시엔 시간이 지나도 목표 회전속도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며, 언발란스시엔 모터 회전속도가 일정하지 못하고 제20도에 도시한 b와 d 구간처럼 리플형이 된다.
상승시간이 아니면 우선 Rt와 평균전류값([Rmax+Rmin]/2)을 비교하여 100RPM 이상 차이가 나면 구속으로 판단하여 모터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100RPM 이하이면 Rmx-Rmin의 차가 100RPM 이하인가를 체크하여 이하이면 언발란스가 경미하다고 판단하여 계속 탈수를 진행하고 이상이면 신한 언발란스로 감지하여 모터를 정지시키고 급수하여 발란스시켜 진동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포량 및 세탁코스에 따라 회전속도 및 탈수시간을 제어하거나, 모터 속도의 변화량으로 탈수를 행하도록 하여 포손상을 방지하고, 진동센서를 이용하여 세탁기 공진점에 의한 진동이나 언발란스에 의한 진동체크가 가능하여 그에 따른 소음을 줄이며, 탈수행정 완료시엔 탈수조를 저회전 속도에서 정지시켜 클러치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모터의 회전 속도로 구속이나 언발란스 상태를 감지하여 진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탈수시엔 포손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음을 방지하고 야간운행시에 적당하도록 한 효과과 있다.

Claims (8)

  1. 탈수행정이 시작되면 코스 및 포량별로 1차, 2차 목표 회전속도와 운전시간을 세트한 후 배수밸브(13)를 온하여 물을 배수하여 공수위가 되면 운전시간을 초기화하고 BLDC 모터(17)를 온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모터온시 속도조절신호(Vref)를 조절하여 현재의 회전속도를 1차 회전속도(R1)가 되도록 하여 1차운전시간(t1)동안 운전하여 간헐탈수를 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간헐탈수가 완료되면 운전시간을 다시 초기화시킨 뒤 속도조절신호(Vref)를 서서히 상승시켜 2차 목표회전속도(R2)로 유지하도록 하여 2차 운전시간(t2)동안 운전한 뒤 모터(17) 및 배수밸브(13)를 오프시켜 본 탈수과정을 종료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속도조절신호(Vref)는 BLDC 모터(17)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3. 탈수행정이 시작되면 소정시간 동안 모터속도를 목표속도(W1)까지 변화시켜 가면서 간헐탈수를 행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모터의 속도가 목표속도에 도달하면 제어전압(Vref)을 일정하게 하여 모터를 회전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속도의 변화량(dw/dw)를 체크하여 소정값(ΔWO) 이상이면 계속 체크하여 소정값 이하이면 모터(17)를 정지시키고 탈수를 종료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탈수제어방법.
  4. 세탁 및 탈수행정시 진동센서(15)로부터 펄스를 읽어들여 펄스의 폭 및 갯수로서 분석된 진동을 미리 설정된 진동패턴과 비교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비교된 진동이 작으면 현재의 회전속도를 유지시켜 행정을 계속 진행하고 진동이 크면 세탁기 공진점에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여 공진점에 있게 되면 회전 속도를 높이거나 낮추어 공진점을 회피한 후 계속해서 행정을 진행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진동센서(15)에 의한 펄스의 폭 및 갯수로 분석된 진동은 세탁조의 언발란스에 의한 것인지 세탁기의 공진점 운전시에 의한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진동센서(15)는 세탁기의 상태를 가장 잘 감지할 수 있는 세탁기의 상부의 안쪽 케이스에 부착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
  7. 탈수행정 완료후 모터(17)를 오프하고 세탁조의 여력회전을 계속시키면서 모터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회전속도(RPM)가 일정값 이상이면 계속해서 호전속도를 검출하고 일정값 이하(저속회전)이면 배수밸브(13)를 오프하고 클러치(13)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내부튜브를 멈추게 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
  8. 탈수행정시 회전속도가 상승하면 목표회전속도로 소정시간동안 탈수를 진행하고 상승하지 않으면 구속 및 언발란스 상태를 감지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목표 회전속도와 평균전류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회전속도값 이상 차이가 나면 구속으로 감지하여 모터(17)를 정지시키고 소정의 회전속도값 이하면 최고 및 최저 회전속도와의 차가 소정의 회전속도값 이하이면 언발란스가 경미하다고 판단하여 계속 탈수를 진행하고 이상이면 심한 언발란스로 감지하여 모터를 정지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소음방지방법.
KR1019920025463A 1992-12-24 1992-12-24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KR950007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463A KR950007072B1 (ko) 1992-12-24 1992-12-24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5463A KR950007072B1 (ko) 1992-12-24 1992-12-24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36A KR940015036A (ko) 1994-07-20
KR950007072B1 true KR950007072B1 (ko) 1995-06-30

Family

ID=1934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5463A KR950007072B1 (ko) 1992-12-24 1992-12-24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9893B2 (en) * 2016-10-08 2022-10-25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dehydration, and wash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490B1 (ko) * 2001-09-21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동 세탁기의 클러칭을 위한 구동모터 제어방법
JP4664681B2 (ja) * 2002-11-26 2011-04-06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洗濯機の制御方法
KR101259799B1 (ko) * 2005-08-18 2013-04-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탈수방법
KR101241891B1 (ko) * 2006-06-21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숙모드를 갖는 세탁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0889817B1 (ko) * 2007-04-03 2009-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N111321552A (zh) * 2020-02-26 2020-06-2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控制方法及洗衣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79893B2 (en) * 2016-10-08 2022-10-25 Gree Electric Appliances, Inc. Of Zhuhai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dehydration, an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036A (ko) 199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5723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모터 세탁기의 포량 검출방법
US5913952A (en) Method of braking a dehydrating vessel in a washing machine
EP1533411B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214843B2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US5181398A (en) Dehydrator
US5301522A (en) Abnormal vibration detecting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2544000B2 (ja) 洗濯機
KR950007072B1 (ko) 세탁기의 탈수 제어 및 소음방지방법
KR100195925B1 (ko) 마이크로폰을 채용한 전자동 세탁기 제어방법
GB2281417A (en) Washing machine
JP260776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944784B2 (ja) 洗濯機
JP493576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960005803B1 (ko) 탈수기
KR950005179Y1 (ko) 세탁기의 탈수제어 장치
JP2923399B2 (ja) 洗濯機
KR100286821B1 (ko) 세탁기의 세탁제어방법
JP3691282B2 (ja) 洗濯機
KR950007845B1 (ko) 세탁기의 소음 저감방법
JPH04367693A (ja) 洗濯機のインバ−タ制御装置
JP2006068053A (ja) 洗濯機
KR100211558B1 (ko) 드럼세탁기의 탈수시 진동량 저감 제어방법
JP3048099B2 (ja) 洗濯機の脱水運転制御装置
JPH07136378A (ja) 洗濯機の脱水運転制御装置
KR19990075775A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1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