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87B1 - 3차원 드로잉 기구 - Google Patents

3차원 드로잉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87B1
KR950006887B1 KR1019910700587A KR910700587A KR950006887B1 KR 950006887 B1 KR950006887 B1 KR 950006887B1 KR 1019910700587 A KR1019910700587 A KR 1019910700587A KR 910700587 A KR910700587 A KR 910700587A KR 950006887 B1 KR950006887 B1 KR 95000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writing instrument
pulley
powder material
dimensional dra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0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937A (ko
Inventor
에이치. 앤더슨 리처드
알. 앤더슨 로버트
Original Assignee
에이치. 앤더슨 리처드
알. 앤더슨 로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앤더슨 리처드, 알. 앤더슨 로버트 filed Critical 에이치. 앤더슨 리처드
Publication of KR92070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7/00Planetaria; Globes
    • G09B27/08Gl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00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12Repeatedly-usable boards or tablets for writing or drawing having translucent writing surfaces producing visual impressions by co-operation with backing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3차원 드로잉 기구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의 필기구 조립체 및 필기구 조립체의 지지체에 대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의 제어부 및 위치선정기구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필기구 조립체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의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완구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투명한 중공의 구형체와 이 구형체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구형체의 내부면에 접착된 분말재와, 구형체의 내부에 배열되어서 분말재를 긁어냄으로써 구형체의 내부면상에 소정의 형상이 그려지도록 사용될 수 있는 필기구(scribe)와, 그리고 필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3차원 드로잉(drawing)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3차원 드로잉 기구는 3차원 형상의 스케치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주로 교재용 및 완구로서 사용된다.
[발명의 배경]
편평한 유리의 하부면 또는 내부면으로부터 분말재를 제거하도록 제어부에 의해서 필기구를 위치시킴으로써 2차원 형상의 스케치가 형성되는 방식의 2차원 드로잉 기구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소위 에치-에이-스케치(ETCH-A-SKETCH)(“오하이오 아트 컴패니(Ohio Art Company)”의 등록상표)이다.
이와같은 에치-에이-스케치 형태의 2차원 드로잉 기구는 출원인 “그랜드진(Grandjean)”의 미합중국 특허 제3,055,113호에 개시되어었다. 이러한 2차원 드로잉 기구에서는, 투명한 유리의 편평한 하부면을 따라서 필기구를 위치시키도록 폴리 및 케이블 시스템을 사용한다. 2개의 손잡이가 케이블과 폴리를 제어한다. 하나의 손잡이가 필기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한편, 다른 손잡이는 필기구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형상 및 그림들이 유리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유리의 하부면을 가로지르며 필기구를 이동시키도록 2개의 손잡이를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필기구가 유리의 하부면을 가로지르며 이동하면서 분말재를 긁어내게 되고, 이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이 유리의 편평한 표면상에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된 스케치는, 2차원 드로잉 기구를 뒤집어서 적당히 흔들어줌으로써 지워질 수가 있다. 소정량의 분말재가 분말재용 저장소로서 이용되는 하우징안에 수용되어 있다. 하우징은 또한 폴리, 케이블, 제어용 손잡이 및 투명한 유리에 대한 지지구조물로서 작용한다. 2차원 드로잉 기구를 뒤집으면, 하우징의 바닥에 놓여져 있는 분말재가 투명한 유리의 내부면과 접촉된다. 2차원 드로잉 기구를 적당히 흔들어주면, 분말재가 유리의 모든 영역, 특히 필기구에 의해서 분말재가 제거되어 있는 지역으로 접착된다. 이와같은 2차원 드로잉 기구의 명백한 한계는, 단지 투명한 유리의 편평한 표면상으로만 스케치를 형성하도록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는 2차원 드로잉 기구의 사용을 2차원으로 표현되는 형상만을 그리도록 제한한다. 공지된바와 같이, 모든 형상들의 2차원으로 적절하게 표현될 수는 없다.
지구의 표면과 같은 구형체의 표면은 2차원으로 적당하게 표현될 수 없다. 그러한 시도는 메르카토르식투영도법(Mercator Projection)과 같은 지도들로 귀착되고, 메르카토르식 투영도법에서 경도를 나타내는 경선 또는 자오선은 서로 평행하게 그려지고, 위도를 나타내는 위선은 각각의 위선 사이의 거리가 적도록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의 직선으로 그려진다. 물론, 이러한 것은 구형체상에서나 적절하게 표현될 수 있는 지표면의 실제 특성을 엄청나게 왜곡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출원인 “카사그너(Cassagnes)”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364,176호에는, 곡면의 드로잉 표면을 가지는 드로잉 기구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드로잉 기구의 표면은 사용자쪽으로 볼록하게 마치 TV 세트의 스크린과 같이 바깥쪽으로 돌출한 팽창부를 제공한다. 이와같은 드로잉 기구의 스크린은 평면이 아니므로 기술적으로는 2차원이 아니지만, 편평한 형태의 형상들을 묘사하는데 제한을 받게 된다. 즉, 이러한 드로잉 기구의 스크린은 중앙으로 약간의 팽창부를 가지는 편평한 스크린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같이, 비록 종래의 기술이 3차원 형상들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문제를 제한된 범위내에서 인식하였을지라도, 결국 만족스런 해결책을 제공하기에는 비효율적이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관련하여 앞서 언급된 바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투명한 중공의 구형체와, 이 구형체의 내부에 수용되어서 구형체의 내부면에 접착된 분말재와, 구형체 내부에 배열되어서 분말재를 긁어냄으로써 구형체의 내부표면상에 소정의 형상이 그려지도록 사용될 수있는 필기구와, 그리고 필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3차원 드로잉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는 3차원 스케치를 형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주로 교재용 및 완구용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는, 구형체상에 그려져야만 적절하게 표현될 수 있는 지표면 등과 같은 3차원 형상들을 실제의 형태로 제공한다. 이는, 훌륭한 교재와 매력적인 완구의 양자를 모두 만족시킨다.
3차원 드로잉 기구는 구형표면과 관련이 있는 지리학 또는 천문학과 같은 과목을 가르치는데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지리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3차원 드로잉 기구의 표면위에 대륙들을 스케치하도록 지시를 하고, 그리고 나서 각 대륙위에 위치된 국가들을 스케치하고 딱지를 붙이도록 할 수 있다. 천문학을 가르치기 위하여, 학생들이 천체의 상대적인 위치를 배우는 것을 돕도록 하늘의 별들과 별자들이 3차원 드로잉 기구의 구형체상에 스케치 될 것이다.
예술적인 스케치들이 3차원 드로잉 기구에 의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는 어린이들의 예술적 능력을 표현하는 동시에 어린이들을 즐겁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에도, 많은 가능성들이 참으로 혁신적이고 예술적인 응용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형체는 야구공, 전구, 골프공, 달, 심지어 2개의 둥근 눈과 웃는 입을 가진 행복한 얼굴 등과 같은 물품의 생김새들을 재생하도록 스케치될 수 있다. 참으로 기발하고 추상적인 형상들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이들 형상은 단지 사용자의 상상력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다른 이점들이 다음의 설명과 도면들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의 도면에 도시되고 설명되는 실시예는 ,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청구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변경 또는 제조될 수가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드로잉의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었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아크릴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중공의 구형체(12)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10)을 갖추고 있다. 구형체(12)는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분말재를 수용하고 있는데, 이 분말재는 구형체(12)의 내부면(86)(제5도 참조)에 접착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는 반짝이는 은색표면으로 보여진다. 또한, 구형체(12)내에 배열되어 있는 필기구 조립체(40)가 구형체(12)의 내부면(86)으로부터 분말재를 선택적으로 제거시키도록 필기구(42)를 위치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구형체(12)상에 소정의 형상을 스케치할 수가 있다.
제1제어부 또는 방위제어부(14)가 구형체(12)를 그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며, 이에 따라서 필기구 조립체(40)는 구형체(12)의 표면을 가로지르는 수평선을 그리게 된다. 방위제어부(14)를 한쪽 방향으로 여러번 회전시키면 구형체(12)가 그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한바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지표면 둘레의 위선을 닮은 완전한 선이 구형체(12)의 둘레로 그려진다.
제2제어부 또는 고도제어부(16)는 필기구 조립체(40)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수직선을 형성시킨다. 구형체(12)의 최하부면상에 어떠한 형상을 그리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도제어부(16)는 양쪽 방향으로 완전히 회전될 수는 없다. 고도제어부(16)를 한쪽 극단위치로부터 다른쪽 극단위치로 회전시키면, 구형체(12)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그리고 다시 반대쪽 하부의 지표면의 경선을 닮은 선이 그려진다.
필기구 회수제어부(18)가 필기구(42)를 그 종방향 축선을 따라서 다시 필기구 조립체(40)안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구형체(12)상에 형상을 그리지 않는 상태로 제1 및 제2 제어부(14,16)와 필기구 조립체(40)의 위치선정을 조작할 수가 있다.
스케일(20,22,24), 분할눈금(26,28) 및 포인터(30)에 의해서 필기구(42)의 위치가 기록됨은 물론이고, 사용자가 이들 기구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치를 선정함으로써 구형체(12)상에 다시 형상을 그릴 수가 있다. 스케일(22)과 분할눈금(28)은 필기구(42)의 위도위치를 제공한다. 스케일(20)과 분할눈금(26)은 필기구(42)의 방위위치를 제공한다. 마찬기지로, 스케일(24)과 포인터(30)도 필기구(42)의 방위위치를 제공한다. 스케일(20)과 분할눈금(26), 또는 스케일(24)과 포인터(30)의 어느 것으로도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에 방위위치를 지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의 제어기구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구는 제1제어부 또는 방위제어부(14)와, 제2제어부 또는 고도제어부(16)와, 제1제어 풀리 또는 방위제어 풀리(72)와, 제2제어 풀리 또는 고도제어 풀리(70)와, 제1제어 케이블 또는 방위제어 케이블(56)과 제2제어 케이블 또는 고도제어 케이블(58)과, 구형체 폴리(74)와, 그리고 필기구 폴리(48)로 이루어져 있다.
필기구 조립체(40)가 필기구(42)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서 수직한 수평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필기구 조립체(40)의 필기구(42)는 필기구 풀리(48)상에 형성된 슬라이브(46) 안으로 후퇴될 수 있는 단부(44)를 갖추고 있다. 필기구 폴리(48)는 지지기둥(54)를 갖추고 있다. 필기구 폴리(48)는 지지기둥(54)의 장착부재(110,112)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제1축선(50) 및 제2축선(52)을 갖추고 있다. 고도제어 케이블(58)이 지지기둥(54)의 그루우브(49)내에 수용되어 있는데, 이 고도제어 케이블(58)에 의해서 고도제어부(16)가 필기구 조립체(40)의 고도를 조절한다.
필기구 조립체(40)의 제2축선(52)내에 형성되어 있는 보어(53)는 제3케이블 또는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이 통과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에 장력을 가하면,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이 필기구(42)에 부착되어서 필기구(42)를 슬라이브(46) 안으로 후퇴시킨다. 필기구 회부 케이블(60)은 보어(53)의 개방부로부터 지지기둥(54)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106)을 통하여 제1회수 폴리(66)까지 연장하여 있다.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은 제1회수풀리(66)으로부터 제2회수풀리(68)까지 수평하게 연장한 후에 다시 수직으로 필기구 회수제어부(18)로 연장하여 있다.
지지기둥(54)은 하우징(10)의 바닥(38)에 지지기둥(54)를 부착시키기 위한 베이스(78)를 갖추고 있다. 베이스(58)의 상부면(80)은 매끄러운 지지면을 형성한다. 각각의 구멍(106,108,118)은 각각의 제어 케이블(58,60)이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베이스(78)는 하우징(10)의 바닥(38)에 고정된다. 중간 고도제어 풀리(62,64) 및 제1회수풀리(66)가 하우징(10)의 바닥(3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눈금 또는 스케일(20)이 형성된 방위제어부(14)가 축(102)에 의하여 방위제어 풀리(72)에 연결된다. 방위제어 케이블(56)이 방위제어 풀리(72)의 구형체 풀리(74) 사이로 연장한다. 구형체 풀리(74)의 목부(76)는 제1도의 구형체 (12)에 대한 부착점을 제공한다. 구형체(12)가 방위 구형체 풀리(74)의 목부(76)와 마찰식으로 결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적절한 접착제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방위제어부(14)의 회전에 의해서 구형체(12)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구형체(12)의 정확한 회전량은 구형체 풀리(74)의 지름에 대한 방위제어 풀리(72)의 지름의 비율에 의하여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눈금 또는 스케일(22)에 형성된 고도제어부(16)가 축(104)에 의하여 고도제어 풀리(70)에 부착된다. 고도제어 케이블(58)이 고도제어 풀리(70)로부터 제1 및 제2중간 고도제어 풀리(62,64)를 거쳐서 필기구 풀리(48)로 연장한다. 고도제어부(16)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및 제2축선(50,52)의 종축을 중심으로 필기구 조립체(40)가 회전한다. 필기구 조립체(40)의 정확한 회전량은 필기구 풀리(48)의 지름에 대한 고도제어 풀리(70)의 지름이 비율에 의하여 결정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필기구 조립체(40)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필기구(42)는, 분말재를 긁어내어서 소정의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형체(12)의 내부면(86)과 접촉할 수 있는 단부(44)를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형성된 형상들이 구형체(12)의 외부면(88)에서 보여질 수 있다.
스프링(84)이 필기구(42)를 연장위치로 밀어준다. 스프링(84)는 필기구(42)에 부착되거나, 또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스프링 정지부(80)상에 형성된다. 스프링(84)을 압축시키도록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에 충분한 인장력을 적용하면, 필기구(42)가 필기구 조립체(40)의 슬라이브(46) 안으로 후퇴한다. 그리고나서, 스프링(84)이 스프링 정지부(80) 및 필기구(42)를 연장위치로 다시 밀어준다.
필기구 회수 제어부(18)는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에 부착되어 있으며,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은 제1 및 제2중간 풀리(66,68)를 각각 거쳐서 구형체 풀리(74)의 중앙 개방부(100)를 통과하여 필기구 조립체(40)의 제2축선(52)에 형성된 보어(53) 안으로 연장하여 있다. 하우징(10)의 상부면(34)로부터 윗쪽으로 필기구 회수 제어부(18)를 당기면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에 인장력이 가해지며, 이에 따라서 필기구(42)가 필기구조립체(40)의 슬라이브(46)안으로 후퇴된다. 필기구 회수 제어부(18)는 하우징(10)의 상부면(34)를 통해서 고정되어 있다. 필기구 회수 제어부(18)를 하우징(10)의 안쪽을 향해서, 아랫쪽으로 내리누리면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상의 인장력이 완화되며, 이에 따라서 스프링(84)이 필기구(42)를 필기구 조립체(40)의 슬리이브(46)의 바깥쪽으로 밀어준다.
제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0)이 내부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보스(120,122,124)가 축(104,105)을 수용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축선(102)도 이와 유사한 보스(도시되지 않음)에 수용되어 있다. 제1 및 제2회수풀리(66,68)에 대한 각각의 축선(94,114)은 브라켓(94,96)에 수용되어 있어서, 제1 및 제2회수풀리(66,68)가 하우징(10)의 바닥(38)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제1 및 제2중간 고도제어 풀리(62,64)도 하우징(10)의 바닥(38)에 부착되어 있다.
구형체 풀리(74)는 지지기둥(54)의 베이스(78)의 지지면(80)상에 회전가능하 설치되어 있다. 구형체 풀리(74)에 형성되어 있는 중앙 개방부(100)가 지지기둥(54)을 수용한다. 방위제어부(14)가 회전될 때 구형체 풀리(74)는 지지기둥(54)를 자유롭게 회전한다.
산화알루미늄과 같은 미세한 분말재가 구형체(12)안에 수용된다. 이러한 미세한 분말재는 구형체(12)의 내부면(86)에 접착되어서, 구형체(12)의 내부면(86)상으로 불투명한 층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제어부(14,16)에 의해서 필기구 조립체(40)가 작동됨에 따라서, 필기구(42)의 단부(44)에 의해서 분말재가 긁혀짐으로써 구형체(12)의 내부면(86)에서 소정의 분말재가 떨어져 나온다.
상부면(34), 측면(36) 및 바닥(38)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0)은 플라스틱 사출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제어부(14,16), 풀리(62,64,66,68,70,72), 회수제어부(18) 및 필기구 조립체(40) 등과 같은 소형 부품들도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고도제어 케이블(56) 및 방위제어 케이블(58)은 고무와 같은 영구 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필기구 회수 케이블(60)은 나일론 모노필라멘트와 같은 비탄성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분말재의 총이 구형체(12)의 내부면(86) 위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3차원 드로잉 기구를 뒤집어서 적당하게 흔든다.
스케치에 앞서 필기구(42)는 후퇴위치에 놓여질 것이다. 또는 필기구(42)를 스케치가 시작되는 지점에 위치시킬수도 있다. 바람직한 형상을 형성하도록 방위제어부(14) 및 고도제어부(16)를 회전시킴으로써 스케치가 이루어진다. 구형체(12)의 내부면(86)상에 어떠한 형상도 그려짐이 없이 필기구(42)를 재위치시킬 필요가 있을때는, 필기구 회수제어부(18)을 하우징(10)으로부터 윗쪽으로 당기면 된다.
예를들면, 지구의 적도와 같은 구형체(12)의 최외부 주위의 수평선을 그리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절차가 진행된다.
먼저, 원하는 형상이 형성될 구형체(12)의 외주를 따르는 임의의 위치에 필기구(42)를 위치시킨다. 다음에, 구형체(12)의 내부면(86)상에 접착되어 있는 분말재의 층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구형체를 뒤집어서 적당히 흔든다.
3차원 드로잉 기구를 사용자의 앞쪽으로 평면상에 똑바로 세워놓고서, 방위제어부(14)를 한쪽 방향으로 여러번 회전시킴으로써 필기구(42)가 구형체(12)의 내부면(86)을 중심으로 한번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구형체(12)의 최외부상에 지구의 적도와 같은 선이 그려지게 될 것이다.
제1선과 나란하게 지표면의 위선과 같은 제2선을 그리는 절차는 하우징(10)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필기구 회수제어부(8)를 당김으로써 시작된다. 필기구(42)가 앞서 그려진 제1선의 윗쪽으로 대략 2.54cm의 짧은 거리를 두고서 재위치된다. 그리고나서, 필기구 회수제어부(18)를 하우징(10)안으로 밀어준다. 필기구(42)가 구형체(12)를 중심으로 한바퀴 회전되도록, 방위제어부(14)를 한쪽 방향으로 여러번 회전시킨다. 여기서, 구형체(12)는 회전되지만 필기구(42)는 회전되지 않음을 주목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3차원 드로잉 기구를 뒤집어서 적당히 흔들면, 형상이 지워지게 된다.
구형체(12)의 표면상에 정사각형을 그리려면, 먼저 구형체(12)의 상부와 바닥 상이의 중간에 필기구를 배치시키고 방위제어부(1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정사각형의 밑면이 그려진다. 다음에, 정사각형의 우측면을 형성하도록 고도제어부(1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나서, 정사각형의 윗면을 형성하도록 방위제어부(1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끝으로, 정사각형의 좌측면을 형성하도록 고도제어부(1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구형체(12)의 표면위에 원을 그리려면, 정사각형을 그리는 것과 매우 유사하게 절차가 수행될 수 있지만, 필기구(42)가 일련의 원호들을 그려나가도록 방위제어부(14)가 고도제어부(16)를 동시에 조작해야만 하고, 이에 의하여 각각의 제어부(14,16)를 각각 조작함으로써 형성되는 정사각형의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된다.
사용자가 구형체(12)상에 바람직한 형상을 그릴 수 있도록 제어위치의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정사각형을 그리게 하는 지시를 다음과 같이 보다 정확히 작성할 수 있다.
(1) 구형체의 상부와 바닥 사이의 대략 중간지점에 필기구를 위치시키고, 각각의 제어부를 “0”으로 둔다.
(2) 좌측(방위) 제어부를 “10”으로 시계방향 회전시킨다.“
(3) 우측(고도) 제어부를 “10”으로 시계방향 회전시킨다.
(4) 좌측(방위) 제어부를 “0”으로 반시계방향 회전시킨다.
(5) 우측(고도) 제어부를 “0”으로 반시계방향 회전시킨다.
이러한 지시들에 의하여, 정사각형의 형상이 구형체(12)상에 형성된다. 유사한 지시가 다양한 형상들을 형성하도록 제공될 것이다. 또한, 스케일의 판독은 형상의 재생을 위한 지시들을 제공하도록 최초의 형상이 형성되는 동안에 기록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3차원 드로잉 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이러한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가지 변경 및 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들면 하우징의 크기 및 모양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구조 또는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수정될 수 있다. 또한, 산화알루미늄과 다른 다양한 재료들이 구형체의 내부에 접착되도록 사용되어서, 여러가지 형상을 구형체상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여러가지 변경 및 개조는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고, 결코 본 발명이 앞서 설명된 실시예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7)

  1. (a) 투명한 중공의 구형체와, (b) 상기 구형체 안으로 수용되어서 상기 구형체와 접촉하였을때 상기 구형체의 내부면에 접착되는 분말재와, (c) 상기 분말재를 긁어냄으로써 상기 구형체상에 소정의 형상을 형성시키도록 상기 구형체안에 배열되어 있는 필기구와, 그리고 (d) 상기 필기구를 조작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기구가, 상기 구형체를 그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방위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1제어 손잡이와, 상기 필기구의 종축에 수직한 수평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필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고도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손잡이와, 그리고 상기 필기구의 재위치선정을 위해서 상기 구형체의 상기 내면으로부터 필기구를 제거시키는 필기구 회수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3차원 드로잉 기구.
  2. (a) 투명한 중공의 구형체와, (b) 상기 구형체 안으로 수용되어서 상기 구형체와 접촉하였을때 상기 구형체의 내부면에 접착되는 분말재와, (c) 수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구형체 안에 배열되어 있는 필기구 조립체와, (d) 상기 구형체의 상기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분말재를 긁어내기 위한 날카로운 말단부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필기구 조립체의 내부에 부분적으로 배열되어서 상기 구형체의 상기 내부면과 상기 말단부가 서로 접촉하는 연장위치와 상기 말단부가 상기 구형체의 상기 내부면과 접촉하지 않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필기구와, (e) 상기 필기구 조립체상에 형성된 풀리와, (f) 상기 구형체에 부착된 풀리와, (g)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방위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1제어 손잡이와, (h)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고도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제어 손잡이와, (i) 상기 제1제어 손잡이와의 연결된 제1풀리와, (j) 상기 제2제어 손잡이와 연결된 제2풀리와, (k) 상기 제1풀리로부터 상기 구형체에 부착된 풀리로 운동을 전달하는 제1케이블과, 그리고 (1) 상기 제2풀리로부터 상기 필기구 조립체상에 형성된 풀리로 운동을 전달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는 3차원 드로잉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a) 회수제어 손잡이와, (b) 상기 회수제어 손잡이로부터 상기 필기구로 운동을 전달하도록 상기 회수제어 손잡이 및 상기 필기구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3케이블과, 그리고 (c) 상기 필기구를 상기 연장위치로 밀어주도록 상기 필기구 조립체 안에 배치된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있는 3차원 드로잉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체안에 배치된 상기 필기구 조립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구형체 안에 부분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지지기둥을 더 포함하고 있는 3차원 드로잉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손잡이에 눈금이 제공되어 있는 3차원 드로잉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말재가 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3차원 드로잉 기구.
  7. (a) 투명한 중공의 구형체와, (b) 상기 구형체 안으로 수용되어서 상기 구형체와 접촉하였을 때 상기 구형체의 내부면에 접착되는 분말재와, (c) 상기 구형체의 상기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분말재를 긁어냄으로써 상기 구형체상에 소정의 형상을 형상시키도록 상기 구형체 안에 배열되어 있는 필기구와, (d)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방위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1제어손잡이와, (e)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고도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제2제어손잡이와, 그리고 (f) 상기 필기구의 재위치선정을 위해서 상기 구형체의 상기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필기구를 제거시키는 필기구 회수제어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제어손잡이가 상기 구형체를 그 수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방위방향으로 위치시키며, 상기 제2제어손잡이가 상기 필기구의 중촉에 대해서 수직한 수평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필기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필기구를 상기 구형체에 대해서 고도방향으로 위치시키는 3차원 드로잉 기구.
KR1019910700587A 1989-10-11 1990-10-09 3차원 드로잉 기구 KR950006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20,136 1989-10-11
US420136 1989-10-11
US07/420,136 US5038482A (en) 1989-10-11 1989-10-11 Three-dimensional drawing device
PCT/US1990/005750 WO1991005669A1 (en) 1989-10-11 1990-10-09 Three-dimensional draw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937A KR920700937A (ko) 1992-08-10
KR950006887B1 true KR950006887B1 (ko) 1995-06-26

Family

ID=2366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0587A KR950006887B1 (ko) 1989-10-11 1990-10-09 3차원 드로잉 기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38482A (ko)
EP (1) EP0450034A4 (ko)
JP (1) JPH04503336A (ko)
KR (1) KR950006887B1 (ko)
AU (1) AU627413B2 (ko)
BR (1) BR9006952A (ko)
CA (1) CA2044152C (ko)
WO (1) WO19910056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2874A (en) * 1989-10-11 1993-05-25 Anderson Richard H Three-dimensional drawing device
US5324224A (en) * 1991-12-09 1994-06-28 Anderson Richard H Spherical construction toy and light apparatus
PL230187B1 (pl) * 2016-06-17 2018-10-31 Vmg Eco Spolka Z Ograniczona Odpowiedzialnoscia Sposób nanoszenia na powierzchnię kuli nadruku i zespół do nanoszenia na powierzchnię kuli nadruku
US10894220B2 (en) 2018-04-23 2021-01-19 Spin Master Ltd. Drawing device
US10744814B1 (en) * 2018-05-17 2020-08-18 Anton Zumot Etch a sketch tool with removable and replacable glasses and method thereof
DE102021119465A1 (de) * 2021-07-27 2023-02-02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dditiven Fertigung eines Bauteils innerhalb einer Aufnahmeeinheit unter Verwendung eines pulverartigen Material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01304A (en) * 1959-05-28 1960-07-05 Grandjean Arthur Tracing device
FR1437285A (fr) * 1965-06-21 1966-04-29 Globes terrestres ou appareils analogues, utilisables notamment comme auxiliaires dans l'enseignement
US3466034A (en) * 1967-06-09 1969-09-09 Raymond E Sargent Game device
US3760505A (en) * 1971-11-17 1973-09-25 Ohio Art Co Tracing device
DK129606B (da) * 1972-08-08 1974-10-28 Scan Globe As Lysglobus.
FR2354793A1 (fr) * 1976-06-14 1978-01-13 Gresset Bernard Jouet tel que tableau
FR2475988A2 (fr) * 1978-09-04 1981-08-21 Cassagnes Andre Appareil a dessiner
JPS57500640A (ko) * 1980-04-09 1982-04-15
FR2481648A1 (fr) * 1980-05-05 1981-11-06 Henri Mizoule Dispositif pour le trace d'un dessin sur un support, notamment pour jouet
FR2496012A1 (fr) * 1980-12-12 1982-06-18 Cassagnes Andre Appareil a dessiner
US4550503A (en) * 1984-06-15 1985-11-05 Handi-Pac, Inc. Toy computer image processor assembly
FR2582992A1 (fr) * 1985-06-11 1986-12-12 Cassagnes Andre Appareil a dessiner
US4801266A (en) * 1988-01-25 1989-01-31 Benjamin Kinberg Irridescent drawing or sketch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1005669A1 (en) 1991-05-02
CA2044152C (en) 1994-08-02
AU6600590A (en) 1991-05-16
AU627413B2 (en) 1992-08-20
US5038482A (en) 1991-08-13
BR9006952A (pt) 1991-11-05
EP0450034A1 (en) 1991-10-09
EP0450034A4 (en) 1992-12-02
KR920700937A (ko) 1992-08-10
CA2044152A1 (en) 1991-04-12
JPH04503336A (ja) 1992-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9039A (en) Three-dimensional drawing device
KR950006887B1 (ko) 3차원 드로잉 기구
US3423872A (en) Transparent sphere with rotating balls therein
JP2022516017A (ja) 創造的な構築セットの付属品
US3387393A (en) Toy planetarium
US5033965A (en) Three dimensional globe
US3775900A (en) Toy doll
CN108492709B (zh) 月相观察仪
JP2005078031A (ja) 天球儀
US4762380A (en) Interactive kaleidoscope
CN213935398U (zh) 一种教学演示地球仪
US5321891A (en) Drawing device
US9039421B2 (en) Educational apparatus
CN111028624B (zh) 一种物理教学用平抛运动演示设备
US4559021A (en) Poseable doll head
CN2226324Y (zh) 三球式角动量守恒演示器
US4526549A (en) Celestial globe
CN211000665U (zh) 抛物线定义演示及曲线绘制仪
US3303583A (en) Satellite orbital simulator
CN209859474U (zh) 一种盖天仪
JPH0624855Y2 (ja) 地球公転説明器
CN2658876Y (zh) 三天体地球仪
Barth Star Mentor
JPH0453663Y2 (ko)
Berglund Look--it's a co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