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83Y1 -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 Google Patents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83Y1
KR950006883Y1 KR92024028U KR920024028U KR950006883Y1 KR 950006883 Y1 KR950006883 Y1 KR 950006883Y1 KR 92024028 U KR92024028 U KR 92024028U KR 920024028 U KR920024028 U KR 920024028U KR 950006883 Y1 KR950006883 Y1 KR 950006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power
driving state
voltage
comp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40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236U (ko
Inventor
이충윤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920240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883Y1/ko
Publication of KR940013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4Testing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로 컴퓨터 2 : 릴레이
3 : 전원 4 : 제1비교부
5 : 제1디스플레이부 6 : 제2비교부
7 : 제2디스플레이부 M : 모터
CT : 전류검출기
본 고안은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각 전기제품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구동시켜야 할 내부 전장품(예로서 모터, 히터, 솔레노이드, 릴레이 등)의 수가 많아졌다. 따라서, 마이크로 컴퓨터와 같은 제어장치를 통하여 각 전장품에 대한 구동명령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구동명령신호를 입력한 각 전장품의 구동부는 이 구동명령 신호에 따라서 해당 전장품을 구동시키게 되었다.
이와같이 각 전기제품에 사용되는 전장품의 수가 많아지고, 이 전장품들이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전장품들이 어떤 상태로 구동되는지 확인할 수가 없었다.
예로서, 전장품이 정상상태로 구동되는지, 또는 구동되지 않는지, 또는 구속상태에 있는지(즉, 과부하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각 전장품의 구동상태를 인식할 수 있는 회로가 요구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요구에 따라 안출한 것으로, 전장품의 구속구동상태와 구동중지상태 및 정상구동상태를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류검출기는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에 따른 유기전압을 발생한다.
정상구동상태의 임계값으로 설정된 제1기준전압을 갖는 제1비교부는 전류검출기에서 발생된 유기전압과 설정된 제1기준전압을 비교하여 해당논리신호를 출력한다.
제1디스플레이(display)부는 제1비교부의 논리신호에 따라 전장품의 정상구동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구동된다.
구속구동상태의 임계값으로 설정된 제2기준전압을 갖는 제2 비교부는 전류 검출기에서 발생된 유기전압과 설정된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논리신호를 출력한다.
제2 디스플레이부는 제2비교부의 논리신호에 따라 전장품의 구속상태(즉, 과부하 상태)를 인식시키기 위하여 구동된다.
전장품의 구동중지상태는 제1디스플레이부와 제2디스플레이부의 디스플레이 상태 조합에 의해 인식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된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마이크로 컴퓨터(1); 모터(M), 전원(3), 마이크로컴퓨터(1)의 명령에 의해 구동되어 모터(M)에 전원(3)을 공급하는 릴레이(3); 모터(M)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그것에 상응하는 유기전압을 발생하는 전류검출기(current trans)(CT); 전류검출기(CT)에 검출된 유기전압을 정류하는 다이오드(D1); 커패시터(C1∼C2)와 저항(R1∼R5)(R15)과 직류전원(Vcc1) 및 연산증폭기(IC1)로 이루어지고, 정류된 전압을 설정된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상용하는 레벨 신호를 출력하는 제1 비교부(4); 저항(R6∼R8)과 적색 발광다이오드(L1)와 NPN형 트랜지스터(Q1)와 직류전원(Vcc2∼Vcc3) 및 커패시터(C3)로 이루어져 상기 제1비교부(4)의 출력신호에 따라 적색 발광다이오드(L1)를 발광시키거나 발광을 중지시키는 제1디스플레이부(5); 직류전원(Vcc4)과 저항(R9∼R11) 및 연산증폭기(IC2)로 이루어지고, 정류된 전압과 설정된 제2기준전압을 비교하여 비교결과에 상응하는 레벨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부(6); 직류전원(Vcc5∼Vcc6)과 저항(R12∼R14)과 커패시터(C4)와 PNP형 트랜지스터(Q2) 및 녹색 발광다이오드(L2)로 이루어지고, 제2비교부(6)의 출력신호에 따라 녹색 발광 다이오드(L2)를 발광시키거나 발광을 중지시키는 제2디스플레이부(7)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설정된 제1기준전압은 모터(M)가 정상동작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치로서, 직류전원(Vcc1)과 저항(R2, R3)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설정된 제2기준전압은 모터(M)가 구속동작상태, 즉 과부하 상태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치로서, 직류전원(Vcc4)과 저항(R9)(R10)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 컴퓨터(1)에 의해 릴레이(2)가 구동되고, 모터(M)에 전원(3)이 공급되면, 모터(M)는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전류검출기(CT)는 모터(M)에 흐르는 전류에 상용하는 소정전압을 발생하고, 다이오드(D1)는 이 소정전압을 정류한다. 정류된 전압은 제1비교부(4)의 연산증폭기(IC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제1비교부(4)의 연산증폭기(IC1)는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 제1기준전압과 이 정류된 전압을 비교한다.
제1기준전압이 정류전압보다 크면, 연산증폭기(IC1)는 로우(low)신호를 출력하고 이 로우신호는 제1디스플레이부(5)의 NPN형 트랜지스터(Q1)를 턴오프(turn off)시킨다. 따라서, 적색 발광다이오드(L)에는 직류전원(Vcc3)의 공급이 차단되어, 적색 발광 다이오드(L1)는 발광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터(M)가 구동중지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역으로, 제1기준전압이 정류전압보다 작으면, 제1디스플레이부(5)의 적색 발광다이오드(L1)는 발광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모터(M)가 정상동작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정류된 전압은 제2 비교부(6)의 연산증폭기(IC2)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고, 연산증폭기(IC2)는 그것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된 제2기준전압과 정류전압을 비교하여 해당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즉, 정류전압이 제2기준전압보다 크면, 연산증폭기(IC2)는 로우신호를 출력하고, 이 로우신호는 제2디스플레이부(7)의 PNP형 트랜지스터(Q2)를 턴-온(turn-on)시킨다. 따라서, 녹색 발광다이오드(L2)에는 직류전원(Vcc6)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어 녹색 발광다이오드(L2)에는 직류전원(Vcc6)로부터 전압이 공급되어 녹색 발광다이오드(L2)는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모터(M)가 구속동작 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만약, 정류전압이 제2기준전압보다 작으면, 제2디스플레이부(7)의 녹색 발광다이오드(L2)는 발광되지 않고 사용자는 모터(M)가 구동중지상태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녹색 발광다이오드(L2)와 적색 발광다이오드(L1)가 모두 발광되면, 모터(M)가 구속동작상태이고, 적색 발광다이오드(L1)만이 발광되면, 모터(M)가 정상동작상태이고, 이들 모두가 발광되지 않으면 모터(M)가 구동중지상태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구입이 용이한 소자를 이용하여 간단히 회로를 구성함으로써, 구성이 복잡한 전기제품에서 필수전장품의 동작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전장품을 갖는 전기기계에 있어서, 전장품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고 그것에 상응하는 유기전압을 발생하는 전류검출기; 전류검출기의 유기전압을 정류하는 정류기; 정류된 전압을 정상구동상태의 임계값으로 설정된 제1 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제1 비교부; 정류된 전압을 구속구동상태의 임계값으로 설정된 제2기준전압과 비교하는 제2비교부; 제1비교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1색을 발광하거나, 그 발광을 중단하는 제1디스플레이부; 제2비교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2색을 발광하거나, 그 발광을 중단하는 제2디스플레이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1비교부는 직류전원; 직류전원을 분배하여 제1기준전압을 발생하는 복수개의 저항; 정류된 전압을 일입력단자에 제1 기준전압을 타입력단자에 입력하여 이들을 비교하는 연산증폭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제2비교부는 직류전원; 이 직류전원을 분배하여 제2기준전압을 발생하는 복수개 저항; 정류된 전압을 일입력단자에, 제2기준전압을 타입력단자에 입력하고 이들을 비교하는 연산증폭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제1디스플레이부는 직류전원; 상기 제1비교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NPN형 트랜지스터; NPN형 트랜지스터가 턴온 또는 턴오프됨에 따라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직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1색상의 발광다이오드;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제2디스플레이부는 직류전원; 상기 제2비교부의 출력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는 PNP형 트랜지스터;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가 턴온 또는 턴오프됨에 따라 상기 직류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직류전원의 공급이 차단되는 제2색상의 발광다이오드;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제1기준전압은 제2기준전압보다 더 작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KR92024028U 1992-11-30 1992-11-30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KR950006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028U KR950006883Y1 (ko) 1992-11-30 1992-11-30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4028U KR950006883Y1 (ko) 1992-11-30 1992-11-30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236U KR940013236U (ko) 1994-06-25
KR950006883Y1 true KR950006883Y1 (ko) 1995-08-22

Family

ID=19345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028U KR950006883Y1 (ko) 1992-11-30 1992-11-30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88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749B1 (ko) * 2000-09-19 2002-08-09 대한민국(전남대학교총장) 다채널 3상태 신호검출 및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236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3556B2 (ja) 電子機器の回路が保護可能な電源供給装置
US7221858B2 (en) Pulse-width modulation motor speed control circuit
US6917506B2 (en) Control apparatus for master/slave outlets
US4558226A (en) Voltage detecting circuit with hysteresis characteristic and high noise immunity
US20060238946A1 (en) Power tool safety system
KR950006883Y1 (ko) 전장품의 구동상태 인식회로
US4672367A (en) Optical indicator device
US20020093250A1 (en) Controlling device for a heat-dissipating system
JP7033273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EP1404014B1 (en) Power circuit
US5235265A (en) Multi-level motor load sensing circuit
CN111386653A (zh) 识别无刷dc马达的种类的识别方法、识别装置以及无刷dc马达
US7405550B2 (en) Control input circuit for an electrical device
KR100520090B1 (ko) 과전압 보호회로를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970002782Y1 (ko) 서보 콘트롤러의 과전압 검출 및 보호 회로
KR100314429B1 (ko) 마이크로컴퓨터의폭주방지장치
KR0125907Y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전압 안정화 회로
KR890006042Y1 (ko) 전압 자동 제어 장치
KR930007550Y1 (ko) 전원 스위칭 회로
KR0117779Y1 (ko) 과전압 감지 전원회로
JP3864497B2 (ja) 過電流保護回路を備えた制御装置
KR890003235Y1 (ko) 메모리의 데이타 보호회로
KR910003645Y1 (ko) 페일 세이프 구동회로
KR930004375Y1 (ko) 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의 인버터 보호회로
JPH0787877B2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