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94Y1 -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 Google Patents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94Y1
KR950006794Y1 KR92017234U KR920017234U KR950006794Y1 KR 950006794 Y1 KR950006794 Y1 KR 950006794Y1 KR 92017234 U KR92017234 U KR 92017234U KR 920017234 U KR920017234 U KR 920017234U KR 950006794 Y1 KR950006794 Y1 KR 9500067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member
ceiling
support
ceil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7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854U (ko
Inventor
이근태
Original Assignee
이근태
주식회사 이화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태, 주식회사 이화정공 filed Critical 이근태
Priority to KR92017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94Y1/ko
Publication of KR9400078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8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0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5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crews, bolts or clamping strip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제1도는 본 고안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L형 보울트의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제1지지부재의 단면도.
제4a도는 제1도에 따른 제2지지부재의 제1예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
제4b도는 제1도에 따른 제2지지부재의 제2예에 대한 평면도 및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사용예에 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 2 : 콘크리트못
3 : L형보울트 4 : 제1지지부재
5 : 핀 6 : 천정판
7 : 나사머리부 8 : 설치구멍
9 : 수나사부 10, 15, 15' : 지지판
11 : 설치구멍 12, 17, 17' : 암나사부
13, 16 : 체결부 14 : 제2지지부재
본 고안은 건물등에 천정을 시공할 때 사용되는 지지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재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동시에 천정판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도 있도록 된 조립식 천정판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슬라브로 된 천정에다 천정판을 부착하는 종래의 방식은 다수의 자재로 여러공정을 거쳐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 시공비가 상승되고 시공기간이 길어지며, 특히 우물천정시공시 작업이 까다롭다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결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출원인이 실용신안 제92-15839호를 제안한 바 있는데, 이는 제5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콘크리트천정면(50)에 소정간격을 두고 L형보울트(51)를 고정부착시킨 다음, 이 L형보울트(51)에 철판등을 ㄷ자형상으로 구부린 몸체(52)의 하단부에 걸림부(53)와 고정부(54)를 형성시켜, 이 걸림부(53)와 고정부(54) 사이에 플라스틱제 지지판(55)을 끼워넣은 지지부재(56)를 나사결합시킨 다음, 상기 지지판(55)을 매기로 천정판(57)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된 지지부재는 여러공정을 거쳐야만 제품이 완성되게 되어 제작이 불편하고, 또 제작시 잔재물이 발생되어 원가를 상승시킴은 물론, 1개의 지지부재에 2개의 천정판을 동시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어 천정판의 설치상태가 견고하지 못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부재를 단순화시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한편, 천정판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된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직사각형으로 된 지지판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원통형상을 하면서 내주면에 소정의 암나사부가 형성된 체결부가 압입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조립식천정판 설치부재의 사용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것으로, 천정(1)에 콘크리트못(2)이나 에어타카핀(도시안됨)으로 고정부착된 L형보울트(3)에 제1지지부재(4)가 나사결합으로 설치되면서, 이 제1지지부재(4)에 핀(5)으로 천정판(6)이 연속적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L형보울트(3)는 제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대체로 타원형상으로 납작하게 형성된 나사머리부(7)의 중간부에 소정의 설치구멍(8)이 형성되면서, 상기 나사머리부(7)와 소정각도로 절곡되어 연장형성된 부위에 수나사부(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부재(4)는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합성수지나 목재류를 직사각형상으로 절단한 지지판(10)의 중간부위에 설치구멍(11)이 형성되어, 이 설치구멍(11)에 원통형상을 하면서 내주면에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체결부(13)의 한쪽 끝부분이 압입설치됨으로써, 상기 체결부(13)가 지지판(10)을 견고하게 붙잡아 주도록 되어있다.
제4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지지부재의 평면도 및 단면도인바, 이 제2지지부재(14)는 합성수지등으로 된 지지판(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로 체결부(16)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이 체결부(16)의 중간부위에 소정의 암나사부(17)가 상기 지지판(15)까지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재는 평판형상으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바, 즉 제4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합성수지 등을 압출시킨뒤 직사각형상으로 절단한 평판형상의 지지판(15')중간부위에 소정의 암자사부(17')가 형성됨으로써 지지판(15')자체에 체결부가 갖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의 설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4)를 L형보울트(3)로 천정(1)에다 부착한 다음, 제1지지부재(4)의 지지판(10)에 천정판(6)을 부착시킨다. 즉 콘크리트천정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상기 L형보울트(3)를 고정부착시킨 다음, 이 L형보울트(3)에 상기 제1지지부재(4)의 체결부(13)를 끼워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제1지지부재(4)의 체결부(13)를 끼워 나사결합시키면, 상기 제1지지부재(4)의 지지판(10)이 아래로 향한 상태로 설치되게 된다.
이어 상기 각각의 제1지지부재(4)를 설치높이가 서로 수평이 되도록 L형보울트(3)에 대해 회전시키면서 조절하게 되면, 천정(1) 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에도 제1지지부재(4)들의 설치상태가 수평상태가 되고, 이렇게 정렬된 제1지지부재(4)의 지지판(10)에 천정판(6)을 보울트나 에어타카핀등으로 고정시키면 조립식 천정판의 설치가 끝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지지판(10)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해서 지지판(10)들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하면, 천정판(6)의 각 모서리부를 보울트나 에어타카핀으로 촘촘하게 고정시켜줄 수가 있게 되어 견고한 부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적용되는 제2지지부재(14) 역시 상기 제1지지부재(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설치하면 되는바, 이 제2지지부재(14)는 지지판(15) 자체에 암나사부(17)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평평한 천정(1)에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판을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천정판을 부착시킬수 있게 됨으로써, 천정판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게 되고, 또 설치부재가 단순화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천정(1)에 고정부착되는 L형보울트(3)에 나사로 천정판(6)을 부착시키도록 된 조립식 천정판의 지지부재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지지판(10)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설치구멍(11)에, 원통형상을 하면서 내주면에 소정의 암나사부(12)가 형성된 체결부(13)가 압입설치된 제1지지부재(4)를 나사 결합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가 평판형상으로 된 지지판(1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높이로 형성된 체결부(16)의 중간부위에 소정의 암나사부(17)가 상기 지지판(15)까지 관통형성된 제2지지부재(14)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천정판 설치부재.
KR92017234U 1992-09-09 1992-09-09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KR9500067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234U KR950006794Y1 (ko) 1992-09-09 1992-09-09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7234U KR950006794Y1 (ko) 1992-09-09 1992-09-09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54U KR940007854U (ko) 1994-04-15
KR950006794Y1 true KR950006794Y1 (ko) 1995-08-21

Family

ID=1933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7234U KR950006794Y1 (ko) 1992-09-09 1992-09-09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9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854U (ko) 199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9017A (en) Balcony railing assemblies of extruded metal
US3858850A (en) Adjustable picket rail assembly for stairways
KR950006794Y1 (ko) 조립식천정판 지지부재
JPH0122806Y2 (ko)
KR0112463Y1 (ko) 천정 판넬 고정구
KR960000701Y1 (ko) 벽판넬의 결합장치
KR0131916Y1 (ko) 조립식 천정모서리 마감대
JPH0334430Y2 (ko)
KR950006788Y1 (ko) 조립식 천정판의 설치구조
JPS637644Y2 (ko)
JPH0240660Y2 (ko)
JPH0421960Y2 (ko)
JPS6220562Y2 (ko)
JP2512002Y2 (ja) セラミック建材
JPH07580Y2 (ja) 手すり
KR100219885B1 (ko) 벽면 마감재
JPS5840167Y2 (ja) バルコニ−における連結構造
JPS5825067Y2 (ja) 建築用中空パネル
JPH069205Y2 (ja) 中空成形板体
JPH0712529Y2 (ja) 中空押出成形板材の取付け金具
JP2542960Y2 (ja) 部品連結構造
JP2580797Y2 (ja) デッキプレート用天井吊り金具
JPS5817048Y2 (ja) 天井取付装置
KR19980058218U (ko) 연결 너트
KR960009422Y1 (ko) 천정틀 설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18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