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76Y1 - 조립식 벽판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76Y1
KR950006776Y1 KR92013968U KR920013968U KR950006776Y1 KR 950006776 Y1 KR950006776 Y1 KR 950006776Y1 KR 92013968 U KR92013968 U KR 92013968U KR 920013968 U KR920013968 U KR 920013968U KR 950006776 Y1 KR950006776 Y1 KR 950006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late
joint
prefabricated
present
joint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9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586U (ko
Inventor
심옥진
Original Assignee
정훈목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훈목, 현대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훈목
Priority to KR920139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76Y1/ko
Publication of KR9400035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5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벽판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 L.V.I 공법에서의 조립식 벽판을 보여주는 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식 벽판의 사시도.
제5a, b도는 본 고안의 조립식 벽판을 이용하여 시공한 예시도로써 평면도 및 측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조립식 벽판을 이용하여 시공한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 내력벽판 11, 21 : 고리부
13 : 요홈부 30 : 거푸집
40 : 죠인트 모르타르
본 고안은 하나의 내력벽판의 측마구리부를 다른 내력벽판의 중간부에 일체로 접합하는 적합작업을 견고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조립식벽판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벽판 또는 바닥판넬을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으로 일송한후에 현장에서 일체로서 조립하여 만들어지는 소위 조립식 건축물에 있어서, 가장 주의가 요망되는 부분은 접합부가 된다는 것은 조립식 건축분야에서는 상식에 속한다. 건축물에 있어서 내력벽체는 건축물에 작용하는 모든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구조부이다.
따라서, 하나의 내력벽판과 다른 내력벽판 상호간의 접합구조야 말로 조립식 건축물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구조부가 된다고 할수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종래 조립식 건축물의 공법들중의 하나인 L.V.I 공법에서 사용되는 조립식벽판의 수직접합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조립식벽판의 수직접합구조는 하나의 내력벽판(10)의 측마구리부에는 상대적으로 긴 양측 돌출턱부(12), (12)들 사이의 중앙부에 깊은 요홈부(13)를 형성시키고, 축마구부리에 매립되는 마구리 연결고리의 고리부(11)를 상기 요홈부(13)내에 위치시키고, 다른 내력벽판(20)의 접합면부에 매립되는 중간 연결고리의 고리부(21)가 상기 마구리 연결고리의 고리부(21)와 겹쳐지도록 한후에, 상기 요홈부(13)내부에 미경화 죠인트 모르타르(40)를 타설하여 경화시켜 만들어지는 기술적 구성을 가졌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조립식벽판은 돌출턱부(12), (12)들로 둘러싸이는 요홈부(13)내에 죠인트 모르타르(40)가 타설되었기 때문에, 타설되어 경화된 후에 죠인트 모르타르(40)의 상태를 외부에서 관찰할 수 없었다. 따라서, 죠인트모르타르(40)가 부실하게 채워져서 시공됨으로 인하여 필요한 접합부강도에 미달되는 경우에도 보수공사가 곤란하였을 뿐 아니라, 죠인트콘크리트(40)의 시공상태 자체에 대한 확인작업조차 어려운 결합이 있었다.
또한, 요홈부가 돌출턱부(12), (12)들로 둘러 싸여져서 죠인트 모르타르(40)의 타설공간이 상대적으로 협소하였기 때문에, 죠인트 모르타르의 시공연도를 좋게 하기 위하여 물시멘트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므로, 죠인트 모르타르의 접합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결함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수직접합부에 사용되는 죠인트 모르타르의 시공상태의 확인과 보수공사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조립식벽판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둘째, 죠인트 모르타르의 타설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도록 하여 죠인트 모르타르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주는 조립식벽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조립식 벽판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측마구리부의 중앙부에 제1도와 같이 깊은 요홈부(13)를 형성하는 양측 돌출턱부(12), (12)들을 형성시키지 않고, 측마구리에 매립되는 마구리 연결고리의 고리부(11)가 측마구리부의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함에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식벽판은 다른 내력벽판(20)의 접합면부에 매립되는 접합연결고리의 고리부(21)가 상기 마구리 연결고리의 고리부(11)와 겹쳐지도록 하고, 접합부의 외측으로 별도의 거푸집(30)을 가설시킨 후에, 거푸집(30)의 내부에 죠인트 모르타르(40)를 타설하여 경화시키도록 시공된다.
제4도 및 제5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다른 내력벽판(20)의 접합면부가 중간부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제1실시에는 중간접합부를 구성하는데에 사용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다른 내력벽판(20)의 접합면부가 일측연부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모서리접합부를 구성하는 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식벽판은 첫째, 마구리 연결고리의 고리부(11)가 측마구리로부터 길게 돌출되기 때문에, 다른 내력벽판(20)과 그 측마구리를 수직접합시키고자 할 경우에 제5a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별도의 거푸집(30)으로 외부가 둘러싸이도록 하여, 거푸집 내부의 공간부에 죠인트 모르타르(40)를 타설하여야 한다. 따라서, 죠인트 콘크리트(40)가 경화된 후에는, 거푸집(30)을 제거시켜서 죠인트 모르타르(40)의 시공상태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즉, 본 고안의 조립식 벽판은 수직접합부에 채워지는 죠인트 모르트르(40)의 시공상태의 불량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하여, 수직접합부의 품질관리를 올바로 시행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고안의 조립식벽판은 종래 그 측마구리부의 양측연부에 존재하던 돌출턱부(12), (12)들로서 내부공간이 협소해지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내부공간이 넓어서 상대적으로 물시멘트비가 낮고 접합강도가 높게 배합되는 죠인트 모르타르를 채워넣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합부의 접합강도가 상대적으로 증대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조립식벽판의 수직접합구조는 죠인트 모르타르의 시공상태의 확인과 보수공사를 손쉽게 수행하도록 하여주며, 죠인트 모르타르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그 측마구리부에 매립되는 마구리 연결고리의 고리부(11)가 측마구리부의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도록 하여, 다른 내력벽판(20)과의 수직접합부 외측으로 별도의 거푸집(30)을 가설시킨 후에, 거푸집(30)의 내부공간부에 죠인트 모르타르(40)가 타설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벽판.
KR92013968U 1992-07-28 1992-07-28 조립식 벽판 KR950006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968U KR950006776Y1 (ko) 1992-07-28 1992-07-28 조립식 벽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968U KR950006776Y1 (ko) 1992-07-28 1992-07-28 조립식 벽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86U KR940003586U (ko) 1994-02-21
KR950006776Y1 true KR950006776Y1 (ko) 1995-08-21

Family

ID=1933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968U KR950006776Y1 (ko) 1992-07-28 1992-07-28 조립식 벽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7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03B1 (ko) * 2001-09-04 2004-08-21 삼성물산 주식회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복도식 아파트를 계단식아파트로 변경하여 실내 거주 공간을 확장하는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586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07610A1 (en) Interlocking mortarless load bearing building block system
PL183442B1 (pl) Cegła, zwłaszcza cegła do szalowania
KR20010091697A (ko) 루프바를 이용한 피씨 벽체의 이음부위 연결방법
KR950006776Y1 (ko) 조립식 벽판
JPH07292783A (ja) Pc部材の接続構造
KR200273410Y1 (ko) 조립식콘크리트단열블록
CN114382172A (zh) 一种全装配式建筑及其建筑方法
KR200265956Y1 (ko) 외장용벽돌
KR200329053Y1 (ko) 상, 하측 벽체용 피씨 벽부재의 플레이트 ·철근접합구조 및 그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JP2004352457A (ja) エレベータシャフトにおけるシャフトユニットの接合構造
US20060185283A1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panel showing fabrication thereof and the building system
JP200702356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部材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80011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直交接合方法
JPS5821848Y2 (ja) プレキヤストコンクリ−トブザイヨリナル キソバリノ セツゴウソウチ
KR20010038430A (ko) 방수성능을 갖는 접합부의 구조
CN217299267U (zh) 一种全装配式建筑
JPS6234895B2 (ko)
CN210086298U (zh) 一种拼装式地下室外墙后浇带预制板
JPH03295947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鉛直接合方法
JP2797238B2 (ja) 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壁部材の接合方法
JPH07292858A (ja) Pc部材の接続構造
KR100377134B1 (ko) 초고층 아파트의 복도와 발코니의 하프 슬래브 시공방법
KR200265957Y1 (ko) 벽돌
JP2584101Y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
KR950006777Y1 (ko) 조립식 벽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