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704B1 -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704B1
KR950006704B1 KR1019920002739A KR920002739A KR950006704B1 KR 950006704 B1 KR950006704 B1 KR 950006704B1 KR 1019920002739 A KR1019920002739 A KR 1019920002739A KR 920002739 A KR920002739 A KR 920002739A KR 950006704 B1 KR950006704 B1 KR 950006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power storage
storage control
detecte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8882A (ko
Inventor
심종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704B1/ko
Priority to TW081108105A priority patent/TW198782B/zh
Priority to US07/977,517 priority patent/US5410734A/en
Priority to GB9224735A priority patent/GB2261974B/en
Publication of KR930018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8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7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제1도는 종래의 페이징 수신기 블럭도.
제2도는 제1도 중 파형정형부의 구체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POCSAG코드 포맷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수신기의 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수신기의 제1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징 수신기의 제2상태에 따른 동작 파형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충전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0 : 수신부 411 : RF수신부
422 : 파형정형부 430 : 디코더
440 : 구동부 450 : DC/DC변환부
460 : 메모리 470 : 스위치
491 : 발광다이오드 492 : 램프
493 : 스피커 494 : 모뎀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에 있어서 파형정형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기 데이타 검출시 정확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줄이는 급속충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페이징(Paging) 수신기는 배터리(Battery)의 전압에 의해 동작되는 관계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RF(Radio Frequency) 회로에 연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주기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BS(Battery Save)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제1도는 상기와 같은 BS회로를 가지는 종래 페이징 수신기의 블럭도로서, 안테나(10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RF수신부(10)를 거쳐 베이스 밴드(base band) 신호로 변환한 후 파형정형부(120)에서 구형파로 변환하고 데이터 처리부(130)에서는 상기 파형정형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수신데이타를 분석 처리하여 부저음의 발생, 데이타의 표시등과 같은 동작을 함과 아울러 송신 코드 포멧에 따른 전원 저장 제어신호(BS)를 출력한다. 상기 전원 저장 제어신호(BS)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페이저 전용 시그날인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포멧에 따라 주기적으로 “온/오프”하여 최소한의 전력만 공급케함으로써 배터리를 절약하기 위해 스위칭부(140)로 출력하는 신호이다. 그런데 상기 파형정형부(12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형을 정형하기 위해서 큰 용량의 캐패시터(C1)가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캐패시터(C1)들은 RF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의 직렬 혹은 병렬로 연결되게 된다.
그러므로 전원 저장 제어신호(BS)에 따라 상기 캐패시터(C1)의 충방전 현상이 나타나게 되며 결국 저항(R2)과 캐패시터(C1)로 연결되는 충전 시정수 시간 동안은 필요한 데이터를 얻지 못하게 된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 파형정형부에 상기 저항(R2)과 캐패시터(CI)의 시정수보다 빠른 시간에 상기 캐패시터(CI)를 충전해 주는 급속충전회로(Quick charge circuit)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형정형부(120)에서는 기준전압을 만들어 주는 로우패스필터(이하 LPF라함)(200)를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LPF(200)의 중간전압 만큼 기준전압을 충전시킬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페이징 수신기에서는 자기 데이타 프레임(Frame) 신호가 들어오기전에 필터(filter)의 시정수보다 적어도 같은 시간 이전에 RS회로가 주기적으로 동작되도록 하고 있다. 그렇지만 전체회로가 동일하게 자기 데이타 프레임 신호가 들어오기 전에 먼저 동작되는 것은 상기 파형정형부(120)에서와 같이 기준전압을 만들어주는 회로를 제외한 다른 회로들에는 필요없는 전원이 공급되는 것인 바, 전원 소모면에서 비효율적이다.
상기와 같이 비효율적인 전원소모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RF수신부(110)와 파형정형부(120)로의 전원공급을 분리시켜 상기 파형정형부(120)의 기준전압을 미리 동작시켜 주기도 하였다. 상세한 동작은 미국 특허번호 제4,479,26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주 전원이 오프(off)되어 상기 파형정형부(120)의 기준전압(Vref)이 완전히 방전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주 전원을 온(on) 시켰을 때 초기데이타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 상기 파형정형부(120)의 기준전압(Vref)이 충전되는 시간을 길게 잡아야만 되므로 전원소모를 줄이는데 비효율적이고, 데이타의 전송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특정 데이타가 자기 데이타를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었고, 배치(Batch)수가 길어지게 되면 데이타를 수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 된바 있는 특허출원 번호 제91-21242호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서, 데이타 송신 상태에 따라 전원 및 급속 충전 제어를 제1동작 상태와 제2동작 상태로 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에러발생을 최소화하고, 최소한의 전력으로서 프리앰블 코드(preamble code)와 싱크코드(Sync Code) 및 자기 프레임 검출주기에만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며, 급속충전 회로를 사용시 충전된 기준전압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매우 긴 데이타가 수신될 경우에도 데이터에 에러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회로 및 방법에서는 프리앰블 검출시 뿐만 아니라 싱크코드 및 자기 데이타 프레임 검출시에도 전원을 공급하고 있어 파형정형을 위한 기준전압(Vref)이 전단의 로우패스필터(120)의 중간 전압보다 높아져 데이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높았고 그 만큼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데이타 검출시 정확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전원소모를 줄이는 급속충전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RF수신 신호에 대한 파형정형시 프레임블 검출 후 자기 데이타가 있을 때에는 급속충전을 하지 않아 로우패스필터의 중간전압과 이를 충방전하여 설정되는 전압 비교기의 기준전압이 일치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POCSAG 코드 포멧으로서,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페이저 전용 신호 형태이며 CCIR 권고안 584에 자세히 명시되어 있다. 상기 POCSAG 코드는 프리앰블 신호와 다수의 배치(batch)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하나의 배치는 하나의 단어동기(Word Sync)와 8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하나의 프레임은 어드레스 코드 단어 32비트와 메세지 코드단어 32비트의 2개의 코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치구조는 32비트 단위의 코드 단어 17개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프리앰블 신호는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하고 이 신호에 클럭비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것이다. 상기 단어 동기는 다음에 전송되는 어드레스, 메세지, 아이들(idle)과 같은 코드 단어 신호의 단어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블럭도로서, 기본 구성은 전술한 제1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동일하다. 수신부(410)는 RF수신부(411)와 파형정형부(422)로 구성된다. 상기 RF수신부(411)는 전원저장 제어신호(BS)의 입력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한다. 상기 파형정형부(422)는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로우패스 필터(422-1)와 저항(R2)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로우패스필터(422-1)의 출력을 충전하여 기준전압(Vref)을 발생하는 캐패시터(C1)와 상기 전원 저장제어신호(BS)의 입력에 의해 상기 잡음 제거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기준전압(Vref)과 비교하여 파형정형 출력하는 전압비교기(422-2)와 급속충전신호(QC)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압(Vref)이 급속히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급속충전제어부(422-3)로 이루어진다. 배터리(480)는 소정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디코더(430)는 상기 배터리(480)의 전압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파형정형부(422)에서 출력되는 수신데이타로 부터 프리앰블 신호와 단어동기(Word sync) 및 자기 데이타 프레임을 검출할 수 있는 주기로 상기 배터리(480)의 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하여 상기 수신부(410)에 전원저장 제어신호(BS)를 제공하며 급속충전신호(QC)를 제공하고, 다수의 배치데이타 처리결과를 출력한다. LCD(420)는 상기 디코더(430)의 제어를 받아 상기 배치 데이타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메모리(460)는 캡코드(Cap-Code) 데이터를 저장한다. 구동부(440)는 상기 디코더(430)의 출력에 따라 발광다이오드(491), 램프(492), 스피커(493), 모터(494)를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스위치(470)는 페이저의 주(main) 전원 스위치로 동작한다. 상기 전원 저장 제어신호(BS)의 주기에 맞춰 상기 수신부(410)와 디코더(430) 및 구동부(440)에 상기 배터리(480)의 전압을 공급 혹은 차단한다. DC/DC 변환부(450)는 상기 디코더(430)와 구동부(440)로 공급되는 전압레벨을 조절한다.
제5도와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동작 파형도로서, 제5a도의 주전원 스위치 파형이며, 5b도는 데이타가 없을 때의 전원 저장 제어파형이고, 5c도는 데이타가 없을 때의 급속충전 파형이며, 5d도는 데이타가 없을 때의 파형정형부(120)내의 콘덴서(C1)에 의한 기준전압(Vref)의 충·방전 파형도이다.
제6a도는 자기데이타 프레임이 있는 POCSAG 송신방식이며, 제6b도는 자기 데이타 프레임이 있을 때의 전원 저장 제어파형도이고, 제6c도는 자기데이타 프레임이 있을 때의 급속충전 파형도이고, 제6d도는 자기데이타 프레임이 있을 때의 파형정형부(120)내의 콘덴서(C1)에 의한 기준전압(Vref)의 충·방전 파형도이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충전 제어 흐름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의 배터리(480)에서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 전체 전원이 온되면 디코더(430)는 메모리(460)에 저장된 데이타를 억세스하고, 상기 억세스한 데이터에 의해 상기 배터리(480)의 전원을 스위칭하여 제5b도와 제5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BS신호와 QC신호를 발생하여 RF수신부(411)와 파형정형부(422)로 공급한다. 전원저장(Battery Save) 제어 신호(BS)는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시간 즉 Tc시간 만큼 하이 상태를 유지하고 제3시간 즉 Tb시간 만큼은 로우상태를 유지한 후 다시 제2시간 즉 Ta시간 동안 하이 상태를 유지한다. 그 이후 데이타가 없을 때는 Ta시간동안 하이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태를 변환하여 Tb시간 만큼은 로우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를 반복한다. 상기 Tctlrks은 초기 전원 공급시 파형정형부(422)내에 있는 캐패시터(C1)의 전압을 기준전압(Vref) 레벨로 충분히 충전하기 위한 시간 만큼이면 된다. 상기 전원 저장 제어 신호(BS)에 동기되어 상기 파형정형부(422)의 기준전압(Vref)은 5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a시간 동안 V2전압만큼 충전하고 Tb시간 동안 저항(R2)과 콘덴서(C1)의 경로를 거쳐 V1전압까지 자동 방전한다. 상기와 같이 디코더(430)가 제7도 (7b)단계에서 제5b도와 제5c도의 Tc와 Ta와 같은 전원 저장 제어신호(BS)와 급속충전 제어신호(QC)를 출력하면 RF수신부(411)와 파형정형부(422)는 상기 전원 저장 제어신호(BS)와 급속충전 제어신호(QC)의 입력 주기에 동작되어 제3도와 같은 코드 포멧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디코더(430)로 입력시킨다. 이에 상기 디코더(430)는 (7C)단계에서 제1설정코드 즉 프리엠블 코드 혹은 제2설정코드 즉 단어동기 코드가 검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아무런 코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7d)단계에서 배터리(480)를 Tb, Ta주기로 오프/온 스위칭하여 전원저장 제어신호(BS)와 급속충전제어신호(QC)를 RF수신부(411)와 파형정형부(422)에 입력시키고, (7e)단계에서 프리엠블 코드가 검출되었는가를 검색한다. 상기 (7e)단계에서 프리엠블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전술한 (7c) 단계를 반복하여 BS동작 코드로 들어가 프리엠블을 출력하게 된다. 즉 제3도와 같은 송신코드 중 프리앰블 코드와 단어동기 코드를 검출하기 위한 주기에만 RF수신부(411)와 파형정형부(422)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므로 초기에 전체 전원이 온되면 파형정형기(422)내 충전회로의 충전전압은 그 전에 방전된 어떤 값에서 기준전압(Vref)의 전후 값 V2와 V1사이로 충전되게 되며, 전원 저장 제어신호(BS)와 급속충전 제어신호(QC)의 동작에 따라 제5d도와 같이 충방전이 된다. 통상의 제5도에 있어서 온/오프 주기는 Tc≥Ta, Tb>Ta를 만족하도록 한다.
상기 제5b도, 제5c도와 같은 Ta주기 동안 동작 중 프리엠블 코드가 최소 12비트 이상 검출되면 디코더(430)는 (7f)단계에서 전원 저장 제어신호(BS)는 단어동기가 검출될때까지 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시간 즉 Td시간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며 급속충전 제어신호(QC)는 T2시간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7g)단계에서 단어 동기 코드 검출되는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단어 동기 코드가 검출되면 디코더(430)는 제6b도와 같이 상기 전원 저장 제어 신호(BS)를 제5~제8시간 즉 Ti, Te, Tj, Tf의 주기로 오프/온 스위칭한다. 다시 말해서, 제3설정 코드 즉 자기 데이타 프레임 32비트 앞에서 온되어 Te시간 동안 데이타를 처리하여 램프(LCD ; 492)에 표시 및 버저(buzzer) 동작되는 진동등을 행한다. 이때 급속충전 제어신호(QC)는 제6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Ta시간 동안에만 오프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와 같이 급속충전 제어신호(DC)를 프리엠블 신호 검출 이후에는 오프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파형정형부(422)의 기준전압(Vref)을 상기 파형정형부(422)내의 로우패스필터(422-1) 출력신호의 중간 전압과 일치시켜 데이타 손실을 방지하고 그 만큼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프레임블이 검출되는 동안에 제6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a시간 동안에만 급속 충전을 하고 이후 즉 단어동기나 자기 데이타 프레임이 검출되는 동안에는 급속 충전을 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출원 번호 제91-21242호에 개시되어 있는 ‘페이징수신기의 급속충전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이 갖는 단점, 즉 ‘프리앰블 검출시 뿐만 아니라 싱크코드 및 자기 프레임 검출시에도 전원을 공급하고 있어 파형정형을 위한 기준전압(Vref)이 전단의 로우패스필터(120)의 중간 전압보다 높아져 데이타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높았고 그 만큼의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제7도를 참조하면, 상기 (7h)단계를 수행하면서 (7i)단계에서 단어 동기 코드 검출 여부를 체크하여 단어 동기 코드가 검출되지 않으면 (7j)단계에서 제9시간 즉 Tg동안 수신부(410)을 온하여 연속해서 들어오는 코드에 대비하고 프리앰블 또는 단어동기가 검출되지 않을때엔 제5b도, 제5c도와 같이 전원 저장 제어 신호(BS)와 급속충전 제어신호(QC)를 오프/온 스위치 상태로 한다. 이때 제6d도에 도시된 파형정형부(422)의 기준전압(Vref)은 Ta시간 동안 V2전압으로 충전하고 하이 임피던스(R2,C1)에 의해 V1전압으로 방전 되었다가 프리앰블 검출후부터 메세지가 끝날 때까지 상기 전원 저장 제어신호(BS)에 동기되어 상기 캐패시터(C1)가 자체 충, 방전함으로써 LPF(422-1) 출력 전압과 같게 된다. 결론적으로, 프리앰블 검출이후 부터는 급속충전을 중지하고, 자기 배치 데이타를 처리한다. 만약 프리앰블만 검출되고 자기 데이타가 없을 경우에는 전원 저장 제어 신호(BS)에 동기하여 급속충전 제어신호(QC)를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프리앰블 검출시에만 급속충전을 실시하여 파형정형을 위한 기준전압을 전단의 로우패스필터 출력전압과 일치시킴으로써 특정데이타가 수신되더라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송속도와 데이타 배치수에 무관하게 데이타 손실 및 오류를 방지할 수 있고 전력 사용량을 최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소정 레벨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수단과, 상기 배터리수단의 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하여 전원 저장 제어신호와 급속충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폭삭코드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로우패스필터와 소정의 저항을 통해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출력을 충방전하여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잡음 제거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파형정형 출력하는 전압비교기와 상기 급속충전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압이 급속히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급속충전제어부를 가지는 파형정형수단과, 캡코드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의 주기에 맞춰 상기 배터리수단의 전압을 공급 혹은 차단하는 주전원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스위치의 구동에 응답하여 상기 캡코를 액세스하고, 수신데이타로부터 프리앰블영역과 단어동기영역에 위치하는 소정 비트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전윈저장 제어신호와 급속충전 제어신호를 각각 제1시간과 제2시간동안 발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프리앰블 혹은 단어동기가 검출되지 않을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와 급속충전 제어신호를 공히 제3시간동안 발생하지 않고 이어 제2시간동안 발생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프리앰블이 검출되는지 다시 확인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에서 프리앰블 검출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와 급속충전 제어신호 각각을 제4 및 제2시간동안 발생하여 상기 프리앰블에 연이어 송출되는 단어 동기가 검출되는지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프리앰블 혹은 단어동기가 검출되거나 상기 제3과정에서 상기 단어동기 검출시, 상기 급속충전 제어신호의 발생을 중지하고,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를 제5시간 동안 발생 중지후 제6시간동안 발생하여 상기 자기데이타프레임을 검출하고, 이어지는 제7,8시간동안 다시 발생중지, 발생하여 다음 데이타배치의 단어동기가 검출되는지 확인하며, 상기 다음 데이타배치의 단어동기 검출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를 상기 제5시간동안 발생중지하는 동작부터 다시 수행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기 다음 데이타배치의 단어동기가 검출되지 않을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를 제9시간동안 발생하여 다시 단어동기를 검출하고, 역시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2과정으로 루핑하는 제5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충전 제어방법.
  2. 소정 레벨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수단과, 상기 배터리수단의 전압을 스위칭하기 위하여 전원저장 제어신호와 급속충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폭삭코드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복조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베이스 밴드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로우패스필터와 소정의 저항을 통해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출력을 충방전하여 소정의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캐패시터와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의 입력에 의해 상기 잡음 제거된 베이스 밴드 신호를 상기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파형정형 출력하는 전압비교기와 상기 급속충전 제어신호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기준전압이 급속히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급속충전제어부를 가지는 파형정형수단과, 캡코드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의 주기에 맞춰 상기 배터리수단의 전압을 공급 혹은 차단하는 주전원 스위치를 구비한 무선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폭삭코드신호의 수신 및 수신된 폭삭코드신호로부터 프리앰블을 검출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동안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와 상기 급속충전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과정과, 상기 프리앰블 검출시, 해당 배치데이타를 모두 처리하는 동안 상기 급속충전 제어신호의 발생을 중지하여 상기 캐패시터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파형정형수단의 기준전압을 상기 로우패스필터의 중간 전압과 일치시키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이, 상기 프리앰블이 검출되지 않을 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와 급속충전 제어신호를 공히 제3시간동안 발생하지 않고 이어 제2시간동안 발생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프리앰블이 검출되는지 다시 확인하는 제1단계와,상기 프리앰블 검출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와 급속충전 제어신호 각각을 제4 및 제2시간동안 발생하여 상기 프리앰블에 연이어 송출되는 단어동기가 검출되는지 확인하는 제2단계와,상기 단어동기 검출시, 상기 급속충전 제어신호의 발생을 중지하고,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를 제5시간 동안 발생 중지후 제6시간동안 발생하여 상기 자기데이타프레임이 검출되는지 확인하는 제3단계와, 상기 자기데이타프레임을 검출시, 이어지는 제7,8시간동안 다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를 발생중지, 발생하여 다음 데이타배치의 단어동기가 검출되는지 확인하고, 상기 다음 데이타배치의 단어동기 검출시 상기 전원저장 제어신호를 상기 제5시간동안 발생중지하는 동작부터 다시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급속충전 제어방법.
KR1019920002739A 1991-11-26 1992-02-22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KR950006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739A KR950006704B1 (ko) 1992-02-22 1992-02-22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TW081108105A TW198782B (ko) 1991-11-26 1992-10-13
US07/977,517 US5410734A (en) 1991-11-26 1992-11-17 Quick charging battery saving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 paging receiver
GB9224735A GB2261974B (en) 1991-11-26 1992-11-25 Charging circuit and method for pag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2739A KR950006704B1 (ko) 1992-02-22 1992-02-22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882A KR930018882A (ko) 1993-09-22
KR950006704B1 true KR950006704B1 (ko) 1995-06-21

Family

ID=1932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2739A KR950006704B1 (ko) 1991-11-26 1992-02-22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7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437B1 (ko) 2015-08-11 2017-02-08 김진수 고객 호출 겸용 무선 충전 패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8882A (ko) 199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69395B2 (en) A method of saving power consumption in a battery operated radio pager
AU647194B2 (en) Pager receiver for enabling to omit power-on signal for receiving synchronization code in pager signal
KR900009178B1 (ko) 바테리 절약 회로를 갖고 있는 페이징 수신기
RU21108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отреблением мощности радиоприемник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радиоприемником в системе радиосвязи
EP0717510B1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iming of intermittent reception in radio equipment
CA1196386A (en) Battery saving circuit for paging receiver or the like
EP0317007A1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wake up signal
US583154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battery power in a paging receiver
EP0554941A1 (en) Battery power conservation in a selective call system
US5376929A (en)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battery saving features and method therefor
CA1233527A (en) Multiple alert pager
USH1173H (en) Paging device with alternating alert outputs
KR950006704B1 (ko) 무선 호출기의 급속충전 제어방법
GB2261974A (en) Quick charging circuit for paging receiver having a battery-save mode
KR860001043B1 (ko) 페이징 리시버(Paging Receiver)
KR950011078B1 (ko) 선택 호출 수신기
KR950008867B1 (ko) 호출 수신시 교대로 구동되는 스피커 및 led를 갖고 있는 페이징 수신기
US5420576A (en) Personal radio paging receiver having sync signal controlled DC/DC converter
KR0154180B1 (ko) 수신기용 전원 제어부
KR940003075B1 (ko) 페이징 수신기의 급속 충전제어 회로 및 그 제어방법
US582187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power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CA2051901C (en) Method for receiving calling data even if missing a predetermined code in a paging receiver
KR100229879B1 (ko) 무선 호출 수신기의 경보 발생 방법 및 장치
KR100229059B1 (ko) 선택 호출 수신기의 간헐 수신 제어 장치
KR0137446B1 (ko) 무선호출기의 전원 절감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