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461Y1 -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461Y1
KR950006461Y1 KR2019910023963U KR910023963U KR950006461Y1 KR 950006461 Y1 KR950006461 Y1 KR 950006461Y1 KR 2019910023963 U KR2019910023963 U KR 2019910023963U KR 910023963 U KR910023963 U KR 910023963U KR 950006461 Y1 KR950006461 Y1 KR 950006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housing
rocker
spr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3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840U (ko
Inventor
전경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3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461Y1/ko
Publication of KR9300138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8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refuse, e.g. ash-trays
    • B60N3/083Ash-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제 1 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a, b 도는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1 : 수장부
13 : 댐퍼 15, 31 : 축봉
16 : 래치기어 17 : 피니언
20 : 로커 21 : 걸림편
22 : 장공 23 : 비틀림스프링
24 : 나사 25 : 요부
27 : 로울러 28 : 태엽스프링
32 : 트레이 33 : 로울러 지지대
34 : 요홈 35 : 랙
본 고안은 예를들면,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는 애시 트래이(ash tray) 또는 서랍식으로 된 드링크 홀더 등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 압측으로 래치기어와 피니언을 축착하고 트레이에는 피니언과 치합되게 랙이 형성되어 래치기어에 물려있는 로크를 작동시킴에 따라 트레이가 탄력적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수납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의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시 트레이의 록킹장치는 푸시버튼을 사용하여 트레이를 여닫게 되어 있는 것으로, 푸시버튼을 누르게 되면 트레이가 하우징에서 잠금장치가 해제되어 손으로 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는 트레이의 잠금장치가 해제된 상태에서 다시 손으로 당겨서 트레이를 하우징으로부터 빼내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로크를 작동시킴에 따라 하우징으로부터 트레이가 탄력적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자동적으로 열릴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며 조작을 간편하게 하여 애시 트레이의 고급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우징 일측으로 댐퍼가 고정 설치되고 이 댐퍼에는 축봉이 형성되어 래치기어와 피니언을 축착하고 트레이 일측으로 상기 피니언과 치합되게 랙이 형성되며 로울러에 권취되어 있는 태엽스프링이 단부를 하우징의 선단부에 나사로 고정하고 그 로울러는 트레이 후단부에 형성된 로울러 지지대에 재치하며 상기 래치기어에는 로커의 걸림편이 맞물려지게 하여 로커를 누르게 되면 걸림편이 래치기어에서 해제되어 태엽 스프링의 당기는 힘이 발생되어서 랙이 치합된 피니언이 회전됨에 따라 트레이는 열려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서, 하우징(10) 일측에는 수장부(11)가 형성되고 그 외측으로 나사공(12)이 형성되며 댐퍼(13)를 나사(14)로 수장부(11)에 고정 설치하고 댐퍼(13)에 형성된 축봉(15)에는 래치기어(16)와 피니언(17)을 축착하여 상기 수장부(11) 외측으로 근접하여 형성된 삽입봉(18)에는 통공(19)에 형성된 로커(20)를 삽입하되 걸림편(21)이 상기 래치기어(16)과 맞물려지게 하며 로커(20)의 선단부가 장공(22)을 통하여 하우징(10)전면부에 돌출되게 하고 비틀림 스프링(23)을 로커(20)에 걸어 맞추고 로커(20)를 나사(24)로 고정 설치하여 로커(20)가 비틀림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하여 삽입봉(18)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하며 하우징(10) 내측 중앙에는 길이방향으로 요부(25)가 형성되며 그 선단부로 나사공(26)이 천공되며, 로울러(27)에 권취된 태엽스프링(28)의 단부에는 통공(29)에 천공되어 이를 상기 나사공(26)을 통하여 나사(30)로 고정하며 로울러(27) 양측에 형성된 축봉(31)을 트레이(32)의 후단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로울러 지지대(33)의 요홈(34)에 재치하여 태엽스프링(28)에 의하여 트레이(32)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인장력을 유지하게 하며 트레이(32)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랙(35)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17)과 치합되게 하고 하우징(10)양측 내벽으로 서로 대향되게 스토퍼(36)가 형성되며 그 중간으로 가이드홈(37)을 형성하여 트레이(32) 양측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레일(38)을 안내하며 하우징(10) 바닥 양쪽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39)을 형성하여 트레이(32) 하단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40)을 개재하여서 트레이(32)가 하우징(10)에서 슬라이등 되도록 하며 하우징(10)의 모서리부에는 나사홈(41)이 형성되고 이와 대항되게 덮개(42)에는 나사공(43)이 천공되어 덮개(42)를 하우징(10) 상면과 맞대여서 나사(44)로 고정시킨 것으로, 도면 중 미 설명부호(45)는 크러시 패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a, b 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제 2a 도는 트레이(32)가 하우징(10)에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 2b 도는 트레이(32)가 하우징(10)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제 2a 도와 같은 상태는 로커(20)의 걸림편(21)이 래치기어(16)에 서로 맞물려져 있고 로울러(27)에 권취된 태엽스프링(28)은 풀어진 상태로 인장력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트레이(32)는 로커(20)에 의하여 하우징(10)내에 탄발적으로 록킹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로커(20)를 하방으로 누르면 (2점 쇄선 부분) 걸림편(21)이 래치기어(16)에서 벗어나게 되어 태엽 스프링(28)의 인장력이 발생하여 트레이(32)가 제 2 도 (b)와 같이 하우징(10)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는 댐퍼(13)의 축봉(15)에 축착된 피니언(16)이 회전되면서 이와 치합된 랙(35)에 의하여 트레이(32)가 하우징(10)으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속도가 감소되면서 부드럽게 나오게 된다.
따라서 태엽스프링(28)은 로울러(27)에 권취되는 것이며, 하우징(10) 내측에 형성된 가이드홈(37)(39)에 의하여 트레이(32)가 안정적으로 나오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0) 내측벽에 형성된 스토퍼(36)에 트레이(32)의 후단부에 걸리게 되어 트레이(32)가 더 이상 밖으로 나오지 않게 되는 것이며, 로커(20)에 의하여 트레이(32)의 이동거리는 조정하게 되는데 이는 로커(20)를 누른 상태에서 트레이(32)의 이동이 소정하는 만큼 나오게 되면 로커(20)를 놓는다.
따라서 걸림편(21)이 래치기어(16)에 맞물려지게 되어서 이동이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2a 도와 같이 트레이(32)를 하우징(10)에 수납시키려면 트레이(32)의 전면부를 앞방향으로 밀면, 래치기어(16)와 피니언(17)이 역회전하면서 트레이(32)가 이동하게 되며 감겨진 태엽스프링(28)이 풀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진되는 트레이(32)는 트레이(32)의 후단벽 외측이 하우징(10)의 후단벽에 맞닿게 되어 멈추게 됨과 함께 걸이편(21)이 래치기어(16)에 맞물려지게 되어 트레이(32)가 하우징(10) 내에서 록킹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애시 트레이 또는 드링크 홀더 등의 서랍식으로 된 트레이의 개폐가 로커의 작동에 의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1)

  1. 트레이가 하우징에 수납되며 트레이가 하우징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애시 트레이에 있어서, 하우징(10) 일측의 수장부(11)에는 댐퍼(13)가 설치되고 그 댐퍼(13)에 형성된 축봉(15)으로 래치기어(16)와 피니언(17)을 축작하며 로커(20)를 나사(24)로 고정설치하며 로커(20)의 걸밀편(21)이 비틀림 스프링(23)에 의하여 래치기어(16)에 탄력적으로 맞물려지게 하고 로커(20)의 선단부가 장공(22)을 통하여 하우징(10) 전면부에 돌출되게 하고 하우징(10) 내측 중앙으로 요부(25)가 형성되어 그 선단부로 나사공(26)을 천공하여 로울러(27)에 귄취된 태엽 스프링(28)의 선단부를 나사(30)로 고정하고 로울러(27) 양측에 형성된 축봉(31)을 트레이(32)의 후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로울러 지지대(33)의 요홈(34)에 재치하여 태엽프링(28)에 의하여 트레이(32)가 하우징(10)으로부터 인장력을 유지하게 하며 트레이(32)일측의 길이방향으로 랙(35)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17)에 치합되게 하여 상기 로커(20)의 작동에 의하여 트레이(32)가 하우징(10)으로부터 탄력적으로 개폐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의 록킹장치.
KR2019910023963U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KR950006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963U KR950006461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3963U KR950006461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840U KR930013840U (ko) 1993-07-26
KR950006461Y1 true KR950006461Y1 (ko) 1995-08-11

Family

ID=19325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3963U KR950006461Y1 (ko) 1991-12-26 1991-12-26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840U (ko) 199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19297A1 (en) Push-push sliding cosmetic container
JPH0237990Y2 (ko)
KR950006461Y1 (ko) 자동차용 애시 트레이(ash tray)의 록킹장치
KR100642550B1 (ko) 차량용 컵 홀더
KR970001987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리드 프리 오픈(pre-open)장치
JPH049833Y2 (ko)
KR940010622B1 (ko) 차량용 수납체의 서랍장치
JPH0442197Y2 (ko)
KR200234001Y1 (ko) 서랍장의 서랍 반자동 개폐장치
JP2004232231A (ja) 物品収容箱
KR200150401Y1 (ko) 트레이의 록킹장치
JPH0976811A (ja) カップホルダーユニット
KR970001478Y1 (ko) 컵 홀더
KR200177913Y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장치
KR940008143Y1 (ko) 랩탑의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970003633Y1 (ko) 카셋트 데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장치
KR940000857Y1 (ko) 카세트 테이프 취출장치
JPS6330674Y2 (ko)
KR200155980Y1 (ko) 자동차의 접이식 열쇠 보관함
JPH0316377Y2 (ko)
JPS5815579Y2 (ja) 扉の格納装置
KR0117354Y1 (ko) 보관함을 갖는 자동차용 팔걸이
KR970000710Y1 (ko) 자동차의 트레이 원터치 개, 폐 장치
KR0123486Y1 (ko) 차량의 글러브박스 덮개 로킹기구
JPH052060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