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416Y1 - 보일러 - Google Patents

보일러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416Y1
KR950006416Y1 KR92013082U KR920013082U KR950006416Y1 KR 950006416 Y1 KR950006416 Y1 KR 950006416Y1 KR 92013082 U KR92013082 U KR 92013082U KR 920013082 U KR920013082 U KR 920013082U KR 950006416 Y1 KR950006416 Y1 KR 9500064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boiler
chamber
wind box
pre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910U (ko
Inventor
신춘식
Original Assignee
신춘식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춘식,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제작소 filed Critical 신춘식
Priority to KR92013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416Y1/ko
Publication of KR9400039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9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4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4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84Combustion air pre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Suppl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
제 1 도는 환풍기 및 열교환기를 설치한 종래 보일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종래 보일러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에 따라 열교환기의 상세단면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B확대 상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일러 본체 2, 30 : 송풍기
6, 40 : 윈드박스 41 : 송풍공기흡입실
42, 71 : 연소가스배기실 43 : 예열공기공급실
3, 70 : 열교환기 72 : 송풍공기예열실
73 : 열교환용핀 74 : 열교환봉
본 고안은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송풍기 및 열교환기를 보일러본체에 장착되는 윈드박스에 부착하여 소음 및 진동을 감소시키며 열효율을 향상시키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보일러는 제 1 도 및 제 2 도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구조상 송풍기(2) 및 열교환기(3)가 보일러 본체(1)에서 이격설치되고 이들을 보일러 본체(1)과 덕트(4)(4')에 의해 연통되게 설치하여야만 하였다. 상기 열교환(3)에는 프레온가스가 주입된 다수의 히트파니프(5)가 설치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덕트(4')와 송풍기(2)의 송풍공기가 지나는 덕트(4)가 평행으로 통과하게 되어 프레온가스의 순환으로 배기가스(점선화살표로 표시)와 송풍공기(실선화살표로 표시)사이에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송풍공기를 송풍기(2)에서 윈드박스(6)까지 송풍하기 위하여는 덕트(4)를 지나야 하기 때문에 덕트(4)에 의해 윈드박스(6)까지 연통된 송풍기(2)의 송풍효율은 덕트(4)와의 마찰 및 송풍거리가 길어지므로 그 효율이 저조하게 되어 용량이 큰 대형 송풍기를 사용하여야 하며 송풍거리의 진동을 감소하기 위한 방진장치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열교환기(3) 역시 보일러본체(1)에서 이격되어 덕트(4')에 의해 연통되므로 열교환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송풍기(2)와 열교환기(3)는 모두 보일러 본체(1)에서 이격된 지면(G)상에 설치되어야만 하므로 송풍기와 열교환기에 대한 기초공사 및 덕트의 연결등의 현장공사가 필요하게 되어 원가가 2중으로 부담되어 제조원가가 높아지며 설치공간이 넓게되므로 공간확보에 어려움이 따르고 공간이용율이 저하되고 설치비용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일러의 운반시, 보일러본체와 송풍기를 한단위로서 운반하지 못하고 각기 운반하여야 하므로 보일러의 운송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보일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소음 및 진동이 절감되고 열효율이 향상되며,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해진 보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열교환기와 송풍기를 보일러본체의 윈드박스상에 장착한 일체형보일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보일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는 노통(도시하지 않음)이 내설된 보일러 본체(10) ; 상기 보일러 본체(10)의 노통에 연통하며 하단에 송풍공기 흡입구(41a)가 형성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배기구(42a) 및 예열공기공급구(43a)가 형성되며 송풍공기 흡입실(41), 연소가스배기실(42), 및 예열공기공급실(43)로 이루어진 윈드박스(40) ; 상기 윈드박스(40)의 상기 송풍공기흡입개구부(41a)에 연통하도록 윈드박스(40)의 하단에 설치되는 송풍기(30) ; 및 상기 윈드박스(40)의 상기 연소가스배기구(42a) 및 예열공기공급구(43a)와 연통하도록 윈드박스(40)의 상단에 설치되며 연소가스 배기실(71)과 송풍공기예열실(72)로 2분되고, 내부에 증류수(W)가 봉입되고 외표면이 열교환용핀(73)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열교환봉(74)이 상기 송풍공기예열실(72)쪽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설치된 열교환기(7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의 작동을 이하에 설명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윈드박스(40)의 하단에 장착된 송풍기(30)가 작동공기는 윈드박스(40)의 송풍공기 흡입구(41a)를 통하여 송풍공기 흡입실(41)을 지나 윈드박스와 연통하도록 윈드박스(40)위에 설치한 열교환기(70)로 들어간다.
또한 보일러본체(10)의 노통에서 연소된 고열의 배기가스는 노통에서 이어진 연관(44)을 통하여 윈드박스(40)의 연소가스배기실(42)로 나와 연소가스배기구(42a)를 지나 열교환기(70)의 연소가스배기실(71)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그러므로 고열의 연소가스의 배기시, 열교환기(70)의 연소가스배기실(71)과 송풍공기 예열실(72)에 걸쳐 경사설치된 다수의 열교환봉(74)의 연소가스실(71)에 위치한 가열부(74a)는 배기가스에 의해 가열되므로 증류수(w)역시 가열되어 증기로 되어 경사진 상방으로 이동하게되므로 가열된 증기는 열교환봉의 송풍공기예열실(72)에 위치하는 예열부(74b)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봉(74)의 가열부(74a)와 예열부(74b)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열교환봉(74)의 가열부 (74a)와의 예열부(74b) 모두 고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송풍기(30)에 의해 송풍공기흡입실(41)을 지나 열교환기(70)의 송풍공기예열실(72)로 들어온 공기는 고온으로 가열된 열교환봉(74)의 예열부(74b)를 지나게되므로 송풍공기는 용이하게 예열된 상태로 열교환기(70)를 통과해 윈드박스(40)의 예열공기공급실(43)을 지나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버너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70)의 열교환봉(74)속의 증류스(w)는 가열부(7a)에서 가열되는 고온의 상태에서 예열부(47b)에서 송풍기에 의해 열을 빼앗기는 저온의 상태로 되어 계속 열교환봉내를 순환하게되므로 송풍공기의 예열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는 송풍기가 보일러본체에 장착되는 윈드박스의 하단에 장착되어 보일러와 일체화됨으로서, 송풍기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이 보일러 본체에 의해 흡수되므로 별도의 방진 장치 없이도 소음 및 진동이 현저히 감소되며, 송풍기 및 열교환기를 설치할 별도의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만큼 공간의 활용율을 제고할 수 있음과 아울러 보일러와 송풍기를 분리하지 않고 운반할 수 있으므로 운송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윈드박스에 근접설치되므로 송풍효율을 제고할 수 있게 되며, 열교환기를 윈드박스상에 설치하므로서 열교환효율이 월등히 상승하게 되어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으며, 송풍기와 열교환기가 윈드박스상에 장착됨으로서 덕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송풍효율 및 열교환효율이 제고되고 보일러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다대한 장점을 갖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송풍기와 열교환기를 설치하기 위한 기초공사 및 덕트와의 연결작업등의 현장공사가 필요없으므로 원가의 2중 부담이 발생하지 않아 제조원가가 월등히 저렴하게 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노통이 내설된 보일러 본체(10) ; 상기 보일러 본체(10)의 노통에 연통하며 하단에 송풍공기 흡입구(41a)가 형성되고 상단에 연소가스배기구(42a) 및 예열공기공급구(43a)가 형성되며 송풍공기 흡입실(41), 연소가스배기실(42), 및 예열공기공급실(43)로 이루어진 윈드박스(40) ; 상기 윈드박스(40)의 상기 송풍공기흡입개구부(41a)에 연통하도록 윈드박스(40)의 하단에 설치되는 송풍기(30) ; 및 상기 윈드박스(40)의 상기 연소가스배기구(42a) 및 예열공기공급구(43a)와 연통하도록 윈드박스(40)의 상단에 설치되며 연소가스 배기실(71)과 송풍공기예열실(72)로 2분되고, 내부에 증류수(W)가 봉입되고 외표면이 열교환용핀(73)에 의해 둘러싸인 다수의 열교환봉(74)이 상기 송풍공기예열실(72)쪽으로 일정각도 상향 경사설치된 열교환기(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
KR92013082U 1992-07-15 1992-07-15 보일러 KR9500064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082U KR950006416Y1 (ko) 1992-07-15 1992-07-15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082U KR950006416Y1 (ko) 1992-07-15 1992-07-15 보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910U KR940003910U (ko) 1994-02-21
KR950006416Y1 true KR950006416Y1 (ko) 1995-08-10

Family

ID=19336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082U KR950006416Y1 (ko) 1992-07-15 1992-07-15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4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240B1 (ko) 2022-01-19 2022-10-06 이건식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910U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6933A (en) High efficiency fuel-fired condensing furnace having a compact heat exchanger system
US4364514A (en) Heat-recovering apparatus for furnaces
CA1211016A (en) Compact high efficiency furnace
RU2208741C2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агрегат
US5322050A (en) High efficiency fuel-fired condensing furnace having a compact heat exchanger system
KR950006416Y1 (ko) 보일러
JP6531212B1 (ja) 乾燥用空気供給装置
US4194558A (en) Waste heat recovery device
US4524754A (en) Heating appliance
KR200172768Y1 (ko) 폐열 회수장치를 부설한 건조기
KR100393276B1 (ko) 열풍보일러
CN213178320U (zh) 一种自降温节能燃烧装置
CN212673282U (zh) 一种热管式空气预热器
KR900005597Y1 (ko) 엽연초 건조기의 흡입공기 예열장치
KR200243192Y1 (ko) 열풍기
KR200148486Y1 (ko) 공기조절장치의 열교환기
CA2144493C (en) High efficiency fuel-fired condensing furnace having a compact heat exchanger system
JP2547654Y2 (ja) 温風暖房機
KR930000888Y1 (ko) 온실용 난방기
JPS5833361Y2 (ja) 排ガスボイラの追焚き装置
CA2033240C (en) Heat condensing furnace with de-intensifier tubes
JP2937249B2 (ja) 高効率間接加熱炉
RU1800242C (ru)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ь
KR920005335Y1 (ko) 온풍기
TWM609561U (zh) 整合式烘烤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IN ENTIRETY REQUESTED 19981203

Effective date: 1999043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