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240B1 -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 Google Patents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240B1
KR102451240B1 KR1020220007972A KR20220007972A KR102451240B1 KR 102451240 B1 KR102451240 B1 KR 102451240B1 KR 1020220007972 A KR1020220007972 A KR 1020220007972A KR 20220007972 A KR20220007972 A KR 20220007972A KR 102451240 B1 KR102451240 B1 KR 102451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individual heating
building
main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식
Original Assignee
이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건식 filed Critical 이건식
Priority to KR102022000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240B1/ko
Priority to KR1020220122201A priority patent/KR20230112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240B1/ko
Priority to PCT/KR2023/000477 priority patent/WO20231405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12Smoke conduit systems for factories or large bui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2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originating from various locations to the outside, e.g. in locomotive sheds, in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02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for carrying away waste gases, e.g. flue gases; Building elements specially designed therefor, e.g. shaped bricks or se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2Linings; Jackets;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7/005Inducing draught;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fluid fuel
    • F24H9/2042Preventing or detecting the return of combustion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1/00Flue gas duct systems
    • F23J2211/20Common flues for several combus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아파트 등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배기가 공동의 주배출관을 통해 건물의 옥상 상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배출관에 일정 간격으로 통풍구를 형성하여 세대 내부로 배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연통이 연결되어 건물의 옥상 상부로 배기하기 위한 주배출관이 구비된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배출관의 측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Common exhaust structure of individual heating boilers in apartments}
본 발명은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아파트 등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배기가 공동의 주배출관을 통해 건물의 옥상 상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배출관에 일정 간격으로 통풍구를 형성하여 세대 내부로 배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개별난방식 다층아파트의 굴뚝은 건물의 일측면에 구비되면서 일층에서 옥상까지 사각형의 수직닥트로 축조되어 있으며, 또한 굴뚝의 각층에는 양측의 두 가구에 설치된 보일러의 배기연통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각 가구에서 개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보일러의 연소시, 연소실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보일러의 연통으로 배출되어 굴뚝을 통해 대기속으로 배출되어지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개별난방식 굴뚝은 각층의 많은 보일러들이 동시에 가동되더라도 배기가스가 대기로 배출되도록, 즉, 최대부하에 적합하도록 내부 단면적이 그만큼 크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두대의 보일러만 가동되는 경우에는 배기가스가 굴뚝을 미쳐 빠져 나가지 못하고 세대 내부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20-1994-000391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아파트 등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배기가 공동의 주배출관을 통해 건물의 옥상 상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배출관에 일정 간격으로 통풍구를 형성하여 세대 내부로 배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출관의 상단은 옥상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옥상에는 수목을 조성하여 탄소중립을 도모할 수 있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출관의 상단에는 배기팬이 설치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배출관의 상단에는 그물망을 설치하여 새 등 동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연통이 연결되어 건물의 옥상 상부로 배기하기 위한 주배출관이 구비된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배출관의 측면에 통풍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통풍구는 주배출관의 개별난방보일러의 연통이 연결된 위치보다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배출관은 하단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풍구는 하단에 상향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가 주배출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배출관은 외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주배출관의 상단의 배출구에는 배기팬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에는 그물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주배출관의 상단의 배출구는 옥상에 조성된 수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아파트 등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배기가 공동의 주배출관을 통해 건물의 옥상 상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배출관에 일정 간격으로 통풍구를 형성하여 세대 내부로 배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배출관의 상단은 옥상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옥상에는 수목을 조성하여 탄소중립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배출관의 상단에는 배기팬이 설치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배출관의 상단에는 그물망을 설치하여 새나 동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의 배출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의 배출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 등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배기가 공동의 주배출관을 통해 건물의 옥상 상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배출관에 일정 간격으로 통풍구를 형성하여 세대 내부로 배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5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물 내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10)의 연통(20)이 연결되어 건물의 옥상 상부로 배기하기 위한 주배출관(100)이 구비되고, 상기 주배출관(100)의 측면에 통풍구(110)가 형성되어 배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50)는 아파트, 빌라, 다양한 형태의 주택 등의 건물 높이에 대응되도록 건물 외벽에 주배출관(100)이 설치되며, 주배출관(100)에는 각 세대에 설치되는 개별난방보일러(10)의 연통(20)이 연결되어 주배출관(100)의 상단 배기구(120)를 통해 각 개별난방보일러(10)에서 발생한 연소가스 등의 배기가 세대와 떨어진 옥상 상측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세대로의 유입을 방지하여 보다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기서 개별난방보일러(10), 연통(2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연통(20)은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관으로는 배기가 이루어지고, 외부관으로는 흡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주배출관(100)의 내측으로 연통(20)의 내부관이 결합되어 주배출관(100)의 내부로 배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주배출관(100)은 측면에 통풍구(110)가 형성되어 통풍구(110)를 통해 외기가 주배출관(100)의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주배출관(100) 내부의 압력을 높여 주배출관(100)에 유입된 연소가스가 상단으로 보다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개별난방보일러(10)가 일정 개수 이상 사용중이어서 주배출관(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의한 주배출관(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거나, 외기가 고기압인 경우, 외기가 통풍구(110)를 통해 주배출관(100)의 내부로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주배출관(100) 내부의 압력을 더욱 상승시킴으로써 개별난방보일러(10)의 연통(20)으로부터 주배출관(10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주배출관(100)의 상단으로 연소가스의 이송 및 배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배기가스가 세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건물의 상부로 배출됨으로써 창문 등을 통해 세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거주민이 배기가스를 흡입하지 않게 되므로 주거주민의 건강을 증진하는 효과도 있다.
이때, 전술한 주배출관(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의한 주배출관(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이란 상기 주배출관(100)의 배기구(120)를 통해 배기가스가 상승하여 배출될 수 있는 주배출관(100) 내부의 압력을 의미한다.
또한, 개별난방보일러(10)가 일정 대수 이하로 사용중이어서 주배출관(100)의 내측으로 유입된 배기가스에 의한 주배출관(10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이거나, 외기가 저기압인 경우, 주배출관(100)으로 배출된 배기가스가 다시 연통(20)을 통해 개별난방보일러(10)가 설치된 세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데, 배기가스가 주배출관(100)의 배기구(120)에 도달하지 못하더라도 주배출관(100)에 형성된 통풍구(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배기가스가 세대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 및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통풍구(110)는 직경이 연통(20)의 배기공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저기압 시 통풍구(110)를 통한 배기가스의 배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져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통풍구(110)는 하단에 상향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112)가 주배출관(100)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112)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외기가 유입될 때 외기가 주배출관(100)의 상부를 향하도록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기가스의 상향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퉁풍구(110)는 개별난방보일러(10)의 연통(20)이 연결된 위치보다 일정 간격 이격된 상측에 형성됨으로써 통풍구(110)로 유입된 외기의 흐름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상측에서 형성되어 배기가스의 상향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배기가스가 통풍구(110)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에는 배기가스가 가이드(112)에 의해 하향하는 것이 차단되고 통풍구(110)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풍구(110)는 각 세대별로 설치되는 개별난방보일러(10)의 연통(20)에 대응되는 수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더 적거나, 더 많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어, 2개 세대의 연통(20)이 연결될 때 마다 하나의 통풍구(110)가 형성될 수 도 있고, 1개 세대의 연통(20)이 연결될 때 두개 이상의 통풍구(110)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주배출관(100)은 상단의 배기구(120)에 배기팬(122)이 구비되어 배기가스의 배기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배기팬(122)은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동력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배기가스가 배출됨에 따라 또는 외기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하는 무동력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20)의 외측에는 그물망(124)이 구비되어 배기구(120)를 통해 새 등 동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동물의 유입으로 인한 각종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풍구(110) 및 주배출관(100)의 하단의 관통된 단부에도 그물망(110a,100a)이 구비되어 동물 및 벌레의 유입을 방지하여 주배출관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그물망(124,110a,100a)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져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건물의 옥상에는 수목을 조성하고, 상기 주배출관(100)의 배기구(120)가 구비된 상단은 상기 수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탄소중립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배출관(100)은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상단이 옥상 방향으로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배기가스 중의 질산화물질, 이산화탄소 등의 일부가 옥상에 조성된 수목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탄소중립효과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배출관(100)은 건물의 외벽에 노출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건물 건축 시 건물의 외벽에 매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주배출관(100)은 외부에 단열재(130)가 구비되어 한파 시 응축수의 생성 및 응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5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아파트 등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배기가 공동의 주배출관을 통해 건물의 옥상 상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배출관에 일정 간격으로 통풍구를 형성하여 세대 내부로 배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주배출관의 상단은 옥상 바닥을 향하도록 설치하고, 옥상에는 수목을 조성하여 탄소중립을 도모할 수 있으며, 주배출관의 상단에는 배기팬이 설치되어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주배출관의 상단에는 그물망을 설치하여 새 등 동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아파트 등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배기가 공동의 주배출관을 통해 건물의 옥상 상부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주배출관에 일정 간격으로 통풍구를 형성하여 세대 내부로 배기의 역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50: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100: 주배출관 110: 통풍구
112: 가이드 120: 배기구
122: 배기팬 124: 그물망
130: 단열재

Claims (8)

  1. 건물의 옥상에 수목이 조성되고, 이 건물의 각 세대에 설치된 개별난방보일러의 연통이 연결되어 건물의 옥상 상부로 배기가스를 배기하기 위해 하단이 관통 형성되고, 상단의 배출구가 옥상에 조성된 수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주배출관이 구비된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주배출관의 측면에는 개별난방보일러의 연통과 일대일 대응되도록 다수의 통풍구가 설치되고,
    각각의 통풍구의 위치는 대응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연통의 위치보다 일정 간격 이격된 상측에 위치하고,
    통풍구로 유입된 외기의 흐름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상측에서 형성되어 배기가스의 상향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거나, 통풍구를 통해 배기가 이루어져 세대로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통풍구는 직경이 연통의 배기공 직경과 같거나 크게 형성되어 통풍구를 통한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기가스가 연통을 통해 세대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통풍구는 하단에 상향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가 주배출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통풍구를 통해 외기가 유입될 때 외기가 주배출관의 상부를 향하도록 흐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배기가스의 상향에 도움이 되고, 배기가스가 통풍구를 통해 배출되는 경우에는 배기가스가 가이드에 의해 하향하는 것이 차단되고 통풍구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주배출관은 외부에 단열재가 구비되고,
    상기 배출구에는 배기팬 및 그물망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20007972A 2022-01-19 2022-01-19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KR10245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972A KR102451240B1 (ko) 2022-01-19 2022-01-19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KR1020220122201A KR20230112036A (ko) 2022-01-19 2022-09-27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PCT/KR2023/000477 WO2023140557A1 (ko) 2022-01-19 2023-01-11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7972A KR102451240B1 (ko) 2022-01-19 2022-01-19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201A Division KR20230112036A (ko) 2022-01-19 2022-09-27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240B1 true KR102451240B1 (ko) 2022-10-06

Family

ID=8359729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972A KR102451240B1 (ko) 2022-01-19 2022-01-19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KR1020220122201A KR20230112036A (ko) 2022-01-19 2022-09-27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201A KR20230112036A (ko) 2022-01-19 2022-09-27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51240B1 (ko)
WO (1) WO20231405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557A1 (ko) * 2022-01-19 2023-07-27 이건식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151U (ko) * 1990-03-13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역풍 방지장치
KR940003910U (ko) 1992-07-15 1994-02-21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제작소 보일러
JP2000291248A (ja) * 1999-04-09 2000-10-17 Osaka Gas Co Ltd 集合住宅の給排気システム
KR20110040755A (ko) * 2008-07-16 2011-04-20 네빌 도널드 드허빌 굴뚝용 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8218B1 (ko) * 2018-10-12 2019-09-04 김경환 고층건물의 공조 및 용수공급 시스템
KR102451240B1 (ko) * 2022-01-19 2022-10-06 이건식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7151U (ko) * 1990-03-13 1991-10-28 삼성전자 주식회사 가스보일러용 역풍 방지장치
KR940003910U (ko) 1992-07-15 1994-02-21 주식회사 대열보일러 제작소 보일러
JP2000291248A (ja) * 1999-04-09 2000-10-17 Osaka Gas Co Ltd 集合住宅の給排気システム
KR20110040755A (ko) * 2008-07-16 2011-04-20 네빌 도널드 드허빌 굴뚝용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40557A1 (ko) * 2022-01-19 2023-07-27 이건식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0557A1 (ko) 2023-07-27
KR20230112036A (ko) 202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240B1 (ko) 개별난방보일러의 공동배기 구조
JP2944983B2 (ja) 共通配置の煙道流入口及び流出口を備えた水ヒータ
KR20080041923A (ko)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배출가스 배출구조 및 그의류건조기
KR100808179B1 (ko) 공동주택의 의류건조기 전용 배출구조 및 그 의류건조기
CN205746988U (zh) 木屋用钢板壁炉
US4047490A (en) Recuperative heating system
RU2455578C1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ел (варианты)
US6321997B1 (en) Method for operating a stove in a building,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this method
KR100885702B1 (ko) 시설재배 하우스 및 축사용 에너지 절약형 온풍 난방기
JPH08193737A (ja) 二重管ダクト給排気装置
KR100857792B1 (ko) 의류건조기 배출가스의 건물 외부 배출 구조
KR200425262Y1 (ko) 공동주택 에어 덕트의 배기 구조
ES2265200B1 (es) Sistema de ventilacion y salida de gases conducida.
KR200443701Y1 (ko) 환기용 건식에어덕트
RU2733463C1 (ru) Котел настенный наруж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RU2684675C1 (ru) Система отопления и вентиляции помещения путем утилизации отработанных дымовых газов котельной с зависимой системой регулирования температуры
KR940003910Y1 (ko) 개별난방식 다층 아파트의 굴뚝
CA2909758C (en) Method for reducing stack effect in a house
CN2526738Y (zh) 高效节能锅炉燃烧器
Maliszewska Impact of Weather Conditions on the Operation of Flue Gas Ducts and the Gravitational Ventilation in Rooms with Gas Appliances
KR20200016109A (ko) 화장실 냄새 확산 방지 장치
Kadulski CSA Preliminary standard: F3261-M1989-Residential Mechanical Ventilation Requirement.
KR101562947B1 (ko) 구들형 실내난방장치
CN2564653Y (zh) 一种住宅用烟气集中排放的烟道
JP2007285645A (ja) 小住宅用屋根裏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