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315Y1 -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 Google Patents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315Y1
KR950006315Y1 KR2019910025125U KR910025125U KR950006315Y1 KR 950006315 Y1 KR950006315 Y1 KR 950006315Y1 KR 2019910025125 U KR2019910025125 U KR 2019910025125U KR 910025125 U KR910025125 U KR 910025125U KR 950006315 Y1 KR950006315 Y1 KR 950006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dual
voice
signal
ster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51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5723U (ko
Inventor
안진원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251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6315Y1/ko
Publication of KR9300157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57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3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7Analogue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음성출력 처리를 보인 플로우 챠트.
제 4 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음성 전환스위치의 쉬프트 루틴 동작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 2 : L, R 출력제어회로
3 : 타이머 마이콤 4 : 음성전환스위치
5 : 채널전환스위치
본 고안은 VTR에 있어서 음성다중(Dual) 방송의 부(sub)음성 모드로 청취도중에 스테레오 또는 모노 음성 모드의 광고 방송이 삽입 종료된 후 다시 음성다중 방송으로 전환될 경우 부(sub)음성모드로 자동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한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듀얼방송의 부(sub) 음성모드(예 ; 외국어의 음성모드)로 청취하고 있는 도중에 스테레오 또는 모노 음성모드의 광고 방송이 삽입되면 스테레오 또는 모노 모드의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삽입광고가 종료되어 다시 듀얼 방송 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는 듀얼방송의 주(Main) 음성(예 : 모국어 음성모드) 모드로 변환되어 스피커로 출력하기 때문에 광고 삽입전에 청취하던 부음성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음성 전환스위치를 조작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성다중 방송의 부음성 모드로 수신중에 광고 방송이 삽입되어 이에 의한 스테레오 또는 모노 음성 모드 신호가 인가되면 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 또는 모노 음성 모드를 출력하도록 하고 다시 음성다중 방송이 재개되어 듀얼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듀얼 방송의 부음성 모드로 전환되도록 한 프로그램을 타이머 마이콤에 입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테레오 모드 신호와 듀얼 모드 신호를 인식하여 타이머 마이콤(3)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1)와 음성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L, R 제어회로(2), 음성모드 및 채널을 전환 하기 위한 음성 및 채널 전환위치(4), (5)와 신호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마이콤(3)으로 구성하되, 상기 타이머 마이콤(3)은 듀얼방송의 부음성 신호 수신도중 광고방송이 삽입되어 이에 의한 스테레오 음성모드 또는 모노음성 모드가 입력되면, 이를 출력시키고 다시 듀얼 모드 신호가 입력될 경우에는 자동으로 전상태인 듀얼 방송의 부음성 모드로 선택되어 출력하도록 된 프로그램이 입력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하는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해 채널 전환스위치(5)를 작동시키게 되면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1)로부터 공급되는 스테레오 방송신호 또는 듀얼 방송신호는 타이머 마이콤(3)에 입력되고 이에 음성출력 전환은 초기화되면 L, R 출력 제어회로(2)를 통해 음성 출력이 제어된다.
이러한 초기화 상태에서 음성 전환 스위치(4)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면 제 4 도에 도시된 순서로 레프트(L) 라이트(R) 출력이 순차적으로 제어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 2 도의 작동상태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듀얼 방송모드를 원하는 경우, 먼저 채널 전환스위치(5)를 동작시키게 되면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1)에서는 듀얼 모드 신호가 " 하이 " 레벨 전압으로 인가되어 타이머 마이콤(3)으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타이머 마이콤(3)에서는 듀얼신호를 판독하게 되고 듀얼 신호인 경우에는 자동으로 주(Main) 음성이 선택되어 L, R 출력 제어회로(2)를 통해 스피커(도면 미도시)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청취하고자 하는 듀얼 방송의 부(sub) 음성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음성 전환스위치(4)를 작동시키면 부음성 모드로 음성이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청취하고 있는 도중 광고 방송이 삽입되면 자동으로 광고 방송의 스테레오 모드 또는 모노 모드의 음성출력으로 선택되어 스피커(도면 미도시)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때 광고 방송이 종류되어 다시 듀얼 인식신호가 하이레벨 전압으로 타이머 마이콤(3)에 인가하게 되면 타이머 마이콤(3)에서는 이를 인식하여 이전에 선택된 듀얼 방송의 부음성 모드로 자동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동작하도록 한 타이머 마이콤(3)의 음성 출력 처리 상태를 보인 플로우 챠트를 제 3 도에 도시하였는바, 채널 전환 스위치(5)의 채널 전환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는 타이머 마이콤(3)에 내장된 램(RAM)의 (L), (R)을 " 로우 " 레벨로 설정하고 채널 플레그를 " 1 " 로 설정한 상태이며 이때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1)에서 듀얼 인식회로(하이)가 있는가를 타이머 마이콤(3)에서 판독하여 듀얼신호 " 하이 " 가 입력되고 있으면 채널 플래그의 상태를 판단하여 채널 플레그가 " 1 " 이면 채널 플레그를 " 0 " 으로 설정하고 듀얼 모드 신호시 주음성 모드(L′), 부음성 모드(R′)를 " L ", " H " 즉 " 로우 " 레벨, "하이 " 레벨로 초기화시킨 다음(L′), (R)에,의 내용을 설정한다.
그러나 동일 채널을 채널 전환없이 계속 청취하는 경우에는 채널 전환의 입력이 없으므로 직접 듀얼 모드 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듀얼 모드 신호이면 채널 플레그를 판단하게 되는데 채널 플레그는 " 0 " 상태이므로 (L), (R)에 듀얼 모드시 주음성 신호(L′), 부음성 신호(R′)을 설정하고 그 다음 음성 전환 스위치(4)에서 음성 전환이 이루어졌는지의 유무를 판단하여 음성 전환 입력이 없는 경우에는 L, R 출력제어 회로(2)의 레프트(L) 출력과 라이트(R) 출력에 (L), (R)의 내용, (R) 즉, 주(Main) 음성 모드가 선택되어 출력된다.
이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제 2 도의 ①에 해당된다.
반면에 음성 전환 스위치(4)에서 음성전환이 이루어졌는지를 판단하여 음성전환 입력이 들어오면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의 듀얼 모드 신호(하이)인지를 판단 하여 듀얼모드 신호인 경우에는 (L′)(R′)의 내용을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단계 쉬프트(shift) 시키고 (이때(R′)의 경에는, (L′)로 쉬프트 됨)(L′)(R′)의 내용을 (L)(R)에 설정한 다음 L, R 제어회로(2)로 (L)(R)의 내용을 출력한다.
여기서, L, R 출력제어 회로(2)는 " 로우 " 레벨 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만 활성화(Active) 상태로 동작된다.
이와같이 하여 듀얼방송을 청취하는 도중 스테레오 모드로 된 광고 방송이 삽입되면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1)의 스테레오 인식신호가 " 하이 " 레벨로 동작하여 타이머 마이콤의 (L)(R)을 " 로우 " 레벨로 설정하고 음성 전환 입력의 유무를 판단하여 (L)(R)의 내용을 L, R 출력제어회로(2)를 통해 스피커(도면미도시)로 출력하는데 이는 제 2 도의 ②에 해당된다.
광고방송이 종류되어 다시 듀얼 모드 전환되는 경우에는 채널 전환은 없으므로 직접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1)의 듀얼인식 신호(하이)로 검출하여 채널 플레그를 판단하지만 채널전환은 없기 때문에 채널 플레그는 " 0 " 이므로 (L′)(R′)의 내용은 (L′)을 (L)(R)에 설정하고 음성 전환 입력을 판단한 다음 L, R 출력제어 회로(2)로 (L)(R)의 내용 (L)을 출력하는데 이는 제 2 도의 ③에 해당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듀얼방송의 부음성 모드로 수신중에 광고 방송이 삽입되어 이에 의한 스테레오 또는 모노 음성 모드 신호가 인가되면 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 또는 모노 음성모드를 출력하도록 하고 다시 듀얼 방송이 재개되면 주음성 모드로 변환되지 않고 자동으로 듀얼 방송의 부음성 모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에 의한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한 것이다.

Claims (2)

  1. 스테레오 모드 신호와 듀얼 모드 신호를 인식하여 타이머 마이콤(3)으로 출력 시키기 위한 스테레오/듀얼 인식회로(1)와 음성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L, R 제어회로 (2)와 음성 모드 및 채널을 전환하기 위한 음성 및 채널 전환스위치(4)(5)와 신호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 마이콤(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마이콤(3)은 듀얼 방송의 부음성 신호 수신시 스테레오 음성모드 또는 모노 음성 모드가 입력되면 이를 L, R 출력제어회로(2)를 통해 출력시키는 수단과 다시 듀얼 모드 신호가 인가되면 자동으로 듀얼방송의 부음성 모드로 출력시키는 수단이 프로그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KR2019910025125U 1991-12-30 1991-12-30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KR9500063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125U KR950006315Y1 (ko) 1991-12-30 1991-12-30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5125U KR950006315Y1 (ko) 1991-12-30 1991-12-30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723U KR930015723U (ko) 1993-07-28
KR950006315Y1 true KR950006315Y1 (ko) 1995-08-05

Family

ID=19326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5125U KR950006315Y1 (ko) 1991-12-30 1991-12-30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63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5723U (ko) 199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41999A (en) Audio apparatus having a karaoke function
KR960002473B1 (ko) 서라운드 데코더
KR950006315Y1 (ko) 음성출력 자동선택장치
KR940006177B1 (ko) 서라운드 제어회로
JPH05199470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20001948A (ko) Nicam의 언어 다중방송 탐색 시스템
KR910008728Y1 (ko) 음성 다중 방송시 모노 사운드 및 서라운드 모드 절환회로
KR970000200B1 (ko) 음장모드 선택장치
KR950013629B1 (ko) 텔레비젼의 모드자동 절환방법
JP3799776B2 (ja) 音声装置
JP3065744U (ja) Avセレクタ装置
KR0126783B1 (ko) 약신호시 음성다중모드 전환방법
KR980009969U (ko) 입력 자동절환 회로
JP2002084600A (ja) アンプ装置
KR0130428B1 (ko) 브이씨알의 입력 라인 자동 선택 장치
KR100213484B1 (ko) 방송모드 자동전환방법
KR900001331Y1 (ko) 음성다중 tv에서의 서라운드 모드 자동 전환회로
JPS5919667B2 (ja) テレビ音声多重放送用受信機
KR860000313B1 (ko) 음성다중 방송신호 선택회로
KR900002075Y1 (ko) Ird 에서의 오디오모드 스위칭회로
JPH08205040A (ja) 自動チャンネル切換システム
KR930006649Y1 (ko) Tv 수상기용 입력 절환장치
KR930008695Y1 (ko) 테이프사운드의 자동선택 제어회로
KR19990025734A (ko) 외부음성신호 인가시 전원제어가 가능한 방송수신장치
KR19980016447A (ko) 음성다중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