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200B1 - 음장모드 선택장치 - Google Patents
음장모드 선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0200B1 KR970000200B1 KR1019930014464A KR930014464A KR970000200B1 KR 970000200 B1 KR970000200 B1 KR 970000200B1 KR 1019930014464 A KR1019930014464 A KR 1019930014464A KR 930014464 A KR930014464 A KR 930014464A KR 970000200 B1 KR970000200 B1 KR 970000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sound field
- voice
- mode
- field effe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2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characterised by logic function, e.g. AND, OR, NOR, NOT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Stereo-Broadcasting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슴.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음장모드 선택장치의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장모드 선택장치의 블럭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자동 모드절환수단의 상세 회로도이다.
본 발명은 TV의 음성신호의 음장효과를 선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TV의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 및 수동으로 음장모드를 선택하는 음장모드 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장모드 선택장치는 음장효과 반도체칩에 구비된 모드 종류에 따른 음장모드 선택단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신호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제1도는 종래의 음장모드 선택장치의 블럭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장치는 수신된 TV방송 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음성신호 분리수단(100),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방송 상태 검출수단(110),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와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수단(130), 및 상기 모드선택된 음성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장모드에 따라 음장효과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음장효과회로(120)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동작은 상기 모드선택수단(130)은 음성신호 분리수단(100)을 통해 수신된 TV방송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와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검출수단(110)에 의해 검출된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와 모드선택단자(S1)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른 음성신호가 출력되고, 음장의 선택은 상기 음장효과회로(120)에 구비된 음장모드 선택단자(S2)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음장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음장모드 선택장치는 사용자가 수신된 음성신호의 종류에 따라 음장모드를 선택해야 하는 관계로 사용에 대단히 불편하여 한곳에 고정시키거나 아예 사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된 음성신호의 종류에 따라서 자동 및 수동으로 음장모드가 선택되는 음장모드 선택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음장모드 선택장치는 수신된 TV방송 신호의 음성방송 상태를 검출하여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방송 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방송 상태 검출수단; 상기 TV방송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에 음장효과를 부여하는 음장효과회로; 상기 음성방송 상태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장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TV방송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에 음장효과를 부여하는 음장효과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모드 절환수단을 구비하는 음장모드 선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 절환수단은 상기 음성방송 상태 신호를 자동음장 선택신호에 의해 게이팅하는 논리적 수단 및 상기 논리적 수단의 출력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장선택신호를 논리합 연산한 결과를 상기 음장효과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 제공하는 논리합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음장모드 선택장치의 일실시예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음장모드 선택장치의 블럭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음장보드 선택장치는 수신된 TV방송 신호로부터 음성신호를 분리하는 음성신호 분리수단(200),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입력하여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음성방송 상태 검출수단(210),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와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의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모드선택수단(220),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장모드에 따라 음장효과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음장효과회로(230) 및 상기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여 자동으로 음장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자동모드 절환수단(240)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자동모드 절환수단의 상세 회로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자동모드 절환수단은 자동음장 선택신호에 인에이블되어 입력되는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논리곱수단들(241)과, 자동음장선택시에 상기 논리곱수단들(24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음장모드선택시에 선택된 음장모드를 음장선택신호로 하여 출력하는 논리합수단들(242)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모드 절환수단(240)의 논리곱수단들(241)의 일방 단자는 각 모드에 해당하는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입력단자들(N1)과 각각 접속되고, 다른 단자들은 자동음장선택을 위한 자동음장선택신호 입력단자(N2)와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논리곱수단들(241)의 출력은 상기 논리합수단들(242)의 각 입력단자와 접속되고, 논리합수단(242)들의 다른 단자는 상기 음장모드 선택단자(N3)들과 각각 접속되며, 논리합수단들(242)의 출력단자들(N4)은 음장효과회로(230)와 접속되어 구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2도 및 제3도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음성방송 상태 검출수단(210)은 상기 TV방송 신호로부터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여 출력한다. 상기 모드선택수단(220)은 상기 분리된 음성신호와 검출된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모드선택에 따른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의 모드의 종류는 모노, 스테레오, 음성다중에 따른 주/부방송 및 부/부방송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는 모노, 스테레오, 및 음성다중의 세가지의 신호로 구분된다. 자동모드 절환수단(240)의 논리곱수단들(241)은 상기 세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세 개의 입력단자(N1)와 각각 접속되고 다른 단자들은 자동음장선택을 위한 자동음장선택신호 입력단자(N2)와 접속되므로 자동음장선택신호 입력이 하이일 때 인에이블되어 검출된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고, 자동음장선택신호 입력이 로우일때는 각각 로우를 출력하게 된다. 논리곱수단들(241)의 출력은 상기 논리합수단들(242)의 각 입력단자와 접속되고, 논리합수단들(242)들의 다른 단자는 상기 음장모드 선택단자들(N3)과 각각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음장선택신호 입력이 하이이면 검출된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는 접속된 논리곱수단과 논리합수단을 통해 그대로 출력되고, 자동음장선택신호의 입력이 로우이면 논리곱수단들(241)의 출력이 로우이므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장모드가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음장선택신호 입력이 하이일 때 사용자에 의해 음장모드가 선택되면 자동음장선택신호의 입력이 로우가 되도록 회로가 구성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자동 및 수동으로 선택된 음장모드는 상기 음장효과회로(230)로 입력되고 음장효과회로(230)는 상기 모드선택수단(220)으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선택된 음장모드에 따른 음장효과를 갖는 음성신호로 하여 출력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상기 음장효과회로(230)는 하나의 칩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경우에는 상기 자동모드 절환수단(240)을 포함하여 하나의 칩으로 구성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동음장선택장치는 TV방송 신호로부터 검출된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음장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하므로써, 사용자의 편리함을 도모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 수신된 TV방송 신호의 음성방송 상태를 검출하여 음성방송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방송 상태 신호를 발생하는 음성방송 상태 검출수단, 상기 TV방송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에 음장 효과를 부여하는 음장효과회로, 상기 음성방송 상태 신호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장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TV방송 신호로부터 분리된 음성신호에 음장 효과를 부여하는 음장효과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자동모드 절환수단을 구비하는 음장모드 선택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 절환수단은 상기 음성방송 상태 신호를 자동음성선택신호에 의해 게이팅하는 논리적 수단; 및 상기 논리적 수단의 출력과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음장선택신호를 논리합 연산한 결과를 상기 음장효과회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 제공하는 논리합수단을 포함하는 음장모드 선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14464A KR970000200B1 (ko) | 1993-07-28 | 1993-07-28 | 음장모드 선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30014464A KR970000200B1 (ko) | 1993-07-28 | 1993-07-28 | 음장모드 선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4985A KR950004985A (ko) | 1995-02-18 |
KR970000200B1 true KR970000200B1 (ko) | 1997-01-06 |
Family
ID=1936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4464A KR970000200B1 (ko) | 1993-07-28 | 1993-07-28 | 음장모드 선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02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4444B1 (ko) * | 1996-12-31 | 2000-05-01 | 정몽규 | 카 오디오 입력 신호에 따른 출력 모드 자동 절환 장치 및 그 방법 |
-
1993
- 1993-07-28 KR KR1019930014464A patent/KR9700002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04985A (ko) | 1995-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890017951A (ko) | 텔레비젼 수신기 | |
KR970019583A (ko) | 정보텔레비젼의 신호 선택회로 | |
JPH0787419A (ja) | テレビ受像器のオーディオ信号出力制御回路 | |
KR970000200B1 (ko) | 음장모드 선택장치 | |
KR960035244A (ko) | 모듈 티브이와 모듈 티브이 제어방법 | |
KR970006660B1 (ko) | 다중 입력 전자 장치의 누화 방지 시스템 | |
JPS58213569A (ja) | 映像入力切換装置 | |
US4956712A (en) | Apparatus for delaying a sub-aural signal in a television receiver | |
KR950005509Y1 (ko) | 입출력 겸용단자의 자동 가변회로 | |
KR900002075Y1 (ko) | Ird 에서의 오디오모드 스위칭회로 | |
KR930002236Y1 (ko) |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입력신호 선택제어회로 | |
KR200227501Y1 (ko) | 음성다중신호의출력제어장치 | |
KR100201315B1 (ko) | 텔레비젼과 외부기기의 음성 신호와 영상신호를 각각 선택하는 방법 | |
KR870001306Y1 (ko) | 음성다중방송신호 선택회로 | |
KR960002405Y1 (ko) | 의사 스테레오 회로 | |
KR0162364B1 (ko) | 연극방 제어장치 | |
KR100256099B1 (ko) | 음성신호 판별에러 검출방법 | |
KR940011056B1 (ko) | 다입력 a/v의 오배선 경고장치 | |
KR200241663Y1 (ko) | 영상기기의 입력신호 자동 선택장치 | |
KR20000010954U (ko) | 오디오/비디오 시스템의 입력단자 자유 연결 장치 | |
KR930002904Y1 (ko) | 음성다중신호 복조회로의 모드선택 보상회로 | |
KR960036557A (ko) | 비데오/오디오 자동 입력절환장치 및 방법 | |
KR900001739Y1 (ko) | 음성다중방송 수신기의 음성 절환회로 | |
KR920002447Y1 (ko) | 음성다중 방송의 수신모드 자동 절환회로 | |
KR970000301Y1 (ko) | 키입력단자를 이용한 음성다중 파일럿 감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12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