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825Y1 -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825Y1
KR950005825Y1 KR92024302U KR920024302U KR950005825Y1 KR 950005825 Y1 KR950005825 Y1 KR 950005825Y1 KR 92024302 U KR92024302 U KR 92024302U KR 920024302 U KR920024302 U KR 920024302U KR 950005825 Y1 KR950005825 Y1 KR 9500058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outlet portion
cylinder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4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2741U (ko
Inventor
미노루 이치카와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이치카와
가부시키가이샤 닛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이치카와, 가부시키가이샤 닛소 filed Critical 미노루 이치카와
Publication of KR930012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27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8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8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
제 1 도는 여과장치를 구비한 관상어용 수조의 정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여과장치의 요부확대평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여과장치 측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한 측단면도.
본 고안은 담수어나 열대어등 관상어를 사육하는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상어용 수조에는 여러가지 타입의 것이 개발되어 있으나, 일반적인 관상어용수조는, 물을 여과하는 여과장치를 수조본체상부에 설치하고, 양수펌프로 퍼올린 수조내의 물 여과장치에 보내고, 여과한 물을 수조본체내에 다시보내 순환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양수펌프에 의해 퍼올린 물을 여과장치내부의 여과재에 공급할때, 물을 여과재 위에 넓게 분배하기 때문에 여과재의 위쪽에 통을 설치해두고, 이 통내에 양수펌프로부터의 물을 일단 흘러넣어, 통의 밑부분에 개설해둔 다수의 구멍으로부터 광범위하게 물을 부어넣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여과장치에서는 양수펌프의 토출구에 접속한 송수관의 출구를 통의 위부분에 두어, 출구로부터 유출하는 물을 통내로 자연낙하시키고 있으므로 물소리가 난다. 이때문에, 이 물소리가 조용한 실내에서는 소음이되고, 특히 밤중에는 크게 들려서 수면에 방해가 되는 일이 적지 않다.
그래서, 소음발생이 적은 여과장치의 개발이 기다려졌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 소음의 발생을 억제한 수조의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고안에 의한 여과장치는, 여과조내에 여과재를 장진하고, 여과재의 위쪽에는 여과조의 길이 방향에 따라 통을 배설하고 양수펌프의 토출구에 접속한 송수관의 출구부분을 상기 통내에 두어, 출구부분에서 토출되는 물을 상기 통내에 유입해서 이통의 저면에 개설한 구멍으로부터 여과재 위에 흘러내리게한 관상어양수조에 있어서 송수관의 출구부분에는 물을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안내해서 흘러내리게한 경사안내면을 형성해서, 이 흘러내리게한 경사안내면의 경사하단을 통의 저면에 근접내지 접촉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여과장치에서는 송수관의 출구부분에 경사안내면을 구비하도록 하였으므로, 출구부분에서 유출된 물은 상기 경사안내면에 안내되어 통의 저면에까지 흘러내리므로, 물소리의 발생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다른 목적과, 기타의 특징은 첨부의 도면에 따른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백하게 한다.
관상어용수조(1)의 제 1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수조본체(2)의 상부에 여과장치(3)를 설치하고 있다.
여과장치(3)는 수조본체(2)의 상부틀체(4)의 위에 올려놓는 가로가 긴 베이스틀(5)과, 이 베이스틀(5)위에 설치된 가로가 긴 여과조(6)과, 이 여과조(6)내의 상부에 여과조(6)의 길이방향에 따라 배설해놓은 통(7)과, 이 통(7)의 하측의 여과조(6)내에 충진한 여과재(8)와, 여과조(6)의 가로의 베이스틀(5)에 설치한 양수펌프(9)로 되어 있고, 이 양수펌프(9)의 흡수구에 접속된 흡수관(10)을 수조본체(2)의 내부아래쪽으로 뻗어내어 양수펌프(9)의 토출구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접속한 송수관(11)을 위쪽으로 세워서 출구부분(12)을 통(7)의 한쪽으로부터 통(7)내에 임하도록했다.
통(7)은 제 2 도, 제 3 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대략 평탄한 저면(13)의 좌우측모서리를 세우는 동시에, 밑면(13)의 일단(도면중좌측)과 타단을 세워주고, 밑면(13)에는 작은 분배구멍(14)를 복수개 개설해놓았다.
상술한 통(7)에 물을 공급하는 송수관(11)을 출구부분(12)는 제 3 도에 표시한 실시예로는 출구부분(12)의 선단을 아래쪽으로 경사시킴으로서 경사안내면(15)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출구부분(12)을 세트할 경우, 하향경사안내면(15)의 경사하단(15')의 통(7)의 밑면(13)에 접촉시키든가, 혹은 근접시킨다.
상기한 구성으로된 여과장치(3)에 있어서, 양수펌프(9)를 작동하게 되면, 흡수관(10)의 흡수부(10')로부터 흡인된 물이 송수관(11)을 통해 압송되어, 출구부분(12)으로부터 통(7)내에 공급된다.
그리고, 출구부분(12)으로부터 통(7)내에 물이 흐를 경우, 이 물은 경사진 경사안내면(15)에 안내된 상태로 경사지게 흐르고, 통(7)의 밑면(13)위까지를 흘러내린다. 따라서 송수관(11)의 출구부분(12)으로부터 유출된 물은 끊임없이 연속해서 흐르게 되므로 물의 낙하에 의한 충격음이나 관류에 의한 소리의 발생은 현저하게 억제된다.
통(7)내에 흘러내린 물은, 저면(13)을 흐르는 동안에 분배구멍(14)으로부터 여과재(8)위에 흘리고, 여과재(8)를 통과해서 여과된 물은 되돌아가는 관(16)을 통해서 수조본체(2)내로 되돌려진다.
송수관(11)의 출구부분(12)에서 유출한 물을 통(7)의 밑면(13)에 천천히 흐르게하는 구성은, 출구부분(12) 자체를 하향경사시킨 것에 한하지 않고, 물을 기울게 안내해서 통(7)내에 흘러내리게 할 수 있으면 어떤 구성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제 4 도에 표시하는 다른 실시예는, 통(7)의 밑면(13) 자체를 융기시킴으로써 경사안내부(17)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이 경사안내부(17)상에 송수관(11)의 출구부분(12)을 접촉 내지 근접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수관(11)의 출구부분(12)에 경사면을 형성하지 않아도, 출구부분(12)에서 유출한 물이 경사안내부(17)의 경사안내면(17')에 안내된 상태로 통(7)의 밑면(13)까지 흘러내린다. 따라서 물소리의 발생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가 있다.
이상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송수관의 출구부분에서 토출되는 물이 경사안내면에 의해 안내되어 흘러내림으로, 물소리의 발생을 억제할 수가 있다.
따라서 조용한 실내나, 밤중에도 물소리가 귀에 거슬리지 않는 조용한 관상어용 수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여과조내에 여과재를 충전하고 여과재의 위쪽에는 여과조의 길이 방향에 따라 통을 설치하고, 양수펌프의 토출구에 접속한 송수관의 출구부분을 상기 통내로 유도하고, 출구부분에서 토출되는 물을 상기 통내로 유입시켜 이통의 밑면에 개설한 구멍으로부터 여과재상으로 흘러내리게한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송수관의 출구부분에는 물을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안내해서 흘러내리게한 하향경사 안내면을 형성해서, 이 하향경사안내면의 경사하단을 통의 밑면에 근접 내지 접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 하향경사안내면은 이 송수관의 출구부분의 선단을 아래쪽을 향해서 경사지게 함으로써 형성된 여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이 하향경사 안내면은 이 통의 밑면의 일부를 출구부분의 높이까지 융기시킴으로 형성되는 여과장치.
KR92024302U 1991-12-17 1992-12-03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 KR9500058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110399U JP2541510Y2 (ja) 1991-12-17 1991-12-17 観賞魚用水槽の濾過装置
JP91-110399 1991-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2741U KR930012741U (ko) 1993-07-26
KR950005825Y1 true KR950005825Y1 (ko) 1995-07-21

Family

ID=1453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4302U KR950005825Y1 (ko) 1991-12-17 1992-12-03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541510Y2 (ko)
KR (1) KR950005825Y1 (ko)
GB (1) GB2262894B (ko)
HK (1) HK527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10380A (en) * 1996-02-24 1997-08-27 Malcolm Graham Goodson Filter for ponds, aquariums etc.
JP6506631B2 (ja) * 2015-06-03 2019-04-24 三洋スーパースタンド株式会社 観賞魚水槽の上部設置用濾過装置
CN108442474A (zh) * 2018-05-22 2018-08-24 惠达卫浴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安装并能提高溢流能力降低补水声音的补水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482Y2 (ja) * 1982-12-16 1985-08-29 和利 冨永 観賞魚水槽用濾過装置
JPH0435762U (ko) * 1990-07-19 1992-03-2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62894A (en) 1993-07-07
HK52796A (en) 1996-04-03
KR930012741U (ko) 1993-07-26
JP2541510Y2 (ja) 1997-07-16
GB2262894B (en) 1995-03-22
GB9213810D0 (en) 1992-08-12
JPH0551063U (ja) 1993-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714B2 (ja) エアー駆動式フィルタ装置
US5665227A (en) Dual-flow protein skimmer
US5626747A (en) Aquarium overflow filter system having a pre-overflow wall
US5753112A (en) Main drain leaf removal system for pools
KR200141729Y1 (ko) 관상어용여과장치
JP3605582B2 (ja) 外部式濾過装置
KR950005825Y1 (ko) 관상어용 수조의 여과장치
DE69212110D1 (de) Wasserversorgungssystem mittels negativen Druckunterschiedes
US6073585A (en) Aquarium sand fountain
KR950008064B1 (ko) 관상어용수조의 여과장치
US3035702A (en) Aquarium filter system
US4615798A (en) Aquarium filter
JP3178379U (ja) 水槽浄化装置
CN211861526U (zh) 一种水族箱的防倒流结构
JPH08108196A (ja) 浄化用フロート噴水
CN217958356U (zh) 一种适应鲟鱼习性的养殖池
KR920005548Y1 (ko) 어항용 물순환장치
JPH06276891A (ja) 内部式濾過装置
CN212614378U (zh) 一种水帘窗体结构
KR200216401Y1 (ko) 관상어용 물순환/산소공급장치
JPH08108197A (ja) 浄化用フロート噴水
KR20090006390A (ko) 수조의 수 처리 장치.
RU1806558C (ru) Водозаб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ождевальной машины
KR970006694Y1 (ko) 활어운반용 수족관의 거품 집합장치
KR900007392Y1 (ko) 어항의 양수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