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664Y1 -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664Y1
KR950005664Y1 KR92021577U KR920021577U KR950005664Y1 KR 950005664 Y1 KR950005664 Y1 KR 950005664Y1 KR 92021577 U KR92021577 U KR 92021577U KR 920021577 U KR920021577 U KR 920021577U KR 950005664 Y1 KR950005664 Y1 KR 950005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uller
connection
fixe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3718U (ko
Inventor
천현기
Original Assignee
남정우
삼성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우, 삼성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정우
Priority to KR92021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664Y1/ko
Publication of KR940013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3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6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시공예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 케이블연결박스의 분해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 케이블연결박스의 일부 절개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A-A선 단면도.
제 5a, b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의 연결접속 및 분리예시도.
제 6 도는 본 고안 케이블고정대의 사시도.
제 7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 결선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블고정대 11 : 고정고리
12 : 끼움부 13 : 케이블고리
20 : 케이블연결박스 60 : 케이블
210 : 본체 211 : 삽입홈
212 : 간격부 213 : 절취홈
214 : 풀러안내돌기 215 : 안내요홈
216 : 풀러지지돌기 217 : 풀러작동구멍
218 : 케이블삽입구멍 220 : 뚜껑
230 : 풀러 240 : 판스프링
250 : 접속단자
본 고안은 빌딩, 아파트등 건축물의 천정에 배선되는 케이블의 연결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이블을 슬라브에 매설하지 않고 천정에 은폐시킴과 동시에 전기제품과 간단하게 연결하고자 인출한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천정에 케이블의 배선을 위해, 배관을 슬라브에 매설하여 케이블을 삽입하여 배선토록 하는 매입배관식과, 슬라브와 천정판사이에 배관을 설치하여 그 배관에 케이블을 삽입하여 배선하는 노출배관식으로 배선하여 왔던 것으로, 양자의 방식 모두 전등 등의 전기제품이 설치되는 위치에 케이블 연결을 위한 별도의 박스를 설치하되 매입배관식에는 슬라브에 매설하고 노출배관식에서는 노출되게 설치하여 케이블의 인출 및 연결을 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매입배관식의 경우, 첫째, 배관을 슬라브에 매설하기 위한 배관공사와 케이블의 삽입공사를 하여야 되는 작업상의 공정으로 배관비용과 인건비의 지출로 공사비가 상승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둘째, 전기제품의 케이블과 배관내의 케이블의 연결 후 절연테이프로 감아서 타선과의 합선을 방지하고자 하여도 결선처리가 불확실하여 화재의 위험이 있으며, 셋째, 상술한 케이블의 연결작업 및 절연테이프의 감는 작업의 필요로 공기가 지연되고, 넷째, 시공 후 상술한 케이블의 보수작업시 감전의 위험이 있으며, 다섯째, 절연상태가 불확실하여 누전의 우려가 있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또, 노출배관식의 경우, 배관이 슬라브에 매설되지 않아 배관 매설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은 있으나, 배관을 슬라브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결국 상술한 매입배관식의 경우와 같은 결점이 노출될 수 밖에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케이블을 슬라브와 천정판사이에 배선하되 천정판을 고정시키는 스타드에 케이블고리로 지지고정되게 하고, 슬라브에 케이블연결박스를 고정시킨 후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박스에 단순히 끼우는 것만으로 케이블상호간 및 전기제품이 연결되도록 하므로써, 첫째, 종래와 같은 배관공사 및 케이블삽입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전기제품의 케이블과 배관내의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이 자연스럽게 케이블연결박스에서 연결할 수 있어 결선처리가 확실하여 화재의 위험이 없으며, 셋째, 상술한 케이블의 연결작업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가 없고, 넷째, 시공 후 상술한 케이블의 보수작업시 케이블을 케이블연결박스에서 뺐다꼈다하면 되므로 감전의 위험이 없으며, 다섯째, 절연상태가 확실하여 누전의 우려가 없는 무배관 케이블연결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제 1 도 내지 제 6 도는 본 고안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를 나타낸 실시예로써, 천정판(40)을 접착고정하며 슬라브(30)와의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다수개의 스타드(50)에 케이블(60)이 배선되게 설치되는 케이블고정대(10)와, 상기 배선되는 케이블(60)와 전기제품(70)의 케이블(60)을 끼워서 연결접속되게 슬라브(30)에 고정설치되는 케이블연결박스(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타드(50)는 일반적인 것으로, 그 스타드(50)는 천정판(40)을 슬라브(30)에 고정되게 하는 동시에 천정판(40)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간격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고정대(10)는 제 6 도와 같이 스타드(50)에 끼워져 고정되게 일단이 절개되어 끼움부(12)가 형성된 고정고리(11)와, 고정고리(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블(60)이 관통되어 걸릴 수 있도록 한 케이블고리(13)로 구성된다.
그 케이블고정대(10)는 PVC 또는 금속재로 제작하며, 스타드(50)에 탄력있게 압착할 수 있도록 고정고리(11)에 탄력성을 부여한다.
상기 케이블연결박스(20)는 절연체로써, 다수개의 풀러(230), 판스프링(240), 접속단자(250)를 수납하는 본체(210)와, 상기 풀러(230), 판스프링(240), 접속단자(25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뚜껑(220)을 조립하여 구성한다.
상기 본체(210)는 상부로 개방되게 양측에 다수개의 삽입홈(211)을 형성하도록 간격부(212)를 형성하고, 그 간격부(212)는 접속단자(250)의 접점(251)의 갯수에 따라 연결되게 외측벽측에 절취홈(213)을 형성하며, 각 간격부(212)의 중앙 전후벽에 높이방향으로 안내요홈(215)이 형성된 풀러안내돌기(214)와, 풀러(230)의 상하작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풀러지지돌기(216)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풀러안내돌기(214)와 풀러지지돌기(216) 사이의 바닥면에 풀러작동구멍(217)을 형성하고, 그 풀러작동구멍(217)의 양측에 케이블삽입구멍(218)을 형성하되 외측방향으로 편중되게 형성한다.
또, 중간부 양측에 보울트관통구멍(219)을 형성하여 상기 뚜껑(220)과 함께 고정보울트(260)로 슬라브(30)의 PVC앙카(31)에 고정토록 한다.
상기 뚜껑(220)은 판상으로 형성하며, 중간부 양측에 보울트관통구멍(221)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210)와 함께 슬라브(30)에 고정되며, 본체(210)와 뚜껑(220)은 고정나사(222)로 일체로 조립한다.
상기 풀러(230)는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며, 이는 일측면에 안내돌기(231)를 돌출형성하되 상부에만 돌출시켜 상하작동시 본체(210)의 풀러안내돌기(214)의 안내요홈(215)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동시에 풀러작동구멍(217)에 삽입되어 상하작동시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본체(210)의 바닥면에 걸리도록 한다.
또, 풀러(230)의 양측면에 경사면(232)이 형성된 돌출부(233)를 형성하여 판스프링(240)을 탄력있게 눌러서 케이블(6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판스프링(240)은 본체(210)의 삽입홈(211)에 2개를 한쌍으로 하여 삽입설치하되 풀러(230)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여 풀러안내돌기(214)와 풀러지지돌기(216)에 의하여 좌우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240)은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케이블(60)에 일정한 탄력으로 압력을 가하여 접속단자(250)와 확실한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풀러(230)에 의하여 탄력있게 케이블(60)에서 이탈하여 케이블(60)의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 접속단자(250)는 본체(210)의 삽입홈(211)에 삽입설치되어 판스프링(240)에 의해 탄력지지되게 하되 요홈(252)을 형성하여 풀러지지돌기(216)에 걸리지 않도록 설치하고, 필요할 경우 전기제품의 배선에 따라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접점(251)으로 형성하여 본체(210)의 절취홈(213)에 끼워서 연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10)의 저면에 전기제품지지판(80)을 고정나사(81)로 조립하여 일체화한다.
그리고, 전기 제품 지지판(80)과 전기제품(70)을 지지보울트(90)로 연결하여 전기제품(70)을 고정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 1 도와 같이 스타드(50)에 고정설치된 케이블고정대(10)의 케이블고리(13)에 케이블(60)을 끼워서 늘어짐이 없이 배선하고, 전기제품(70)이 위치되는 부위의 슬라브(30)에 케이블연결박스(20)를 고정보울트(260)로 고정한 뒤 제 5a 도와 같이 케이블(60)을 본체(210)의 케이블삽입구멍(128)을 통해 끼워서 판스프링(240)의 탄력에 의하여 접속단자(250)에 탄력있게 물려서 접속되게 하므로서 케이블(60)의 연결작업이 완료되게 한다. 즉 제 7 도와 같이 케이블(60)의 결선상태를 보면 전원의 +, -선을 상술한 방법으로 연결접속한 뒤 각 전기제품의 거실등, 발코니등 및 각 스위치 등의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하므로써 케이블이 복잡하게 꼬이거나 얽힘이 없이 연결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반대로, 케이블(60)을 케이블연결박스(20)에서 분리시키고자 할때 풀러(230)를 드라이버등으로 제 5b 도와 같이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 풀러(230)의 경사면(232)이 판스프fld(240)을 밀어서 절곡되게 하므로서 케이블(60)에서 판스프링(240)이 이격되어 케이블(60)을 용이하게 빼 낼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케이블상호간을 직접 연결할 필요가 없어 첫째, 배관공사 및 케이블삽입공사를 할 필요가 없어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고, 둘째, 전기 제품의 케이블과 배관내의 케이블을 연결할 필요가 없이 자연스럽게 케이블연결박스에서 연결할 수 있어 결선 처리가 확실하여 화재의 위험의 없으며, 셋째, 상술한 케이블의 연결작업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시킬 수가 있고, 넷째, 시공 후 상술한 케이블의 보수작업시 케이블을 케이블 연결박스에 뺐다꼈다하면 되므로 감전의 위험이 없으며, 다섯째, 절연상태가 확실하여 누전의 우려가 없는 것이다.

Claims (4)

  1. 천정판(40)을 접착고정하며 슬라브(30)와의 사이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는 다수개의 스타드(50)에 케이블(60)이 배선되게 설치되는 케이블고정대(10)와, 상기 배선되는 케이블(60)과 전기제품(70)의 케이블(60)을 끼워서 연결접속되게 슬라브(30)에 고정설치되는 케이블연결박스(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고정대(10)는 스타드(50)에 끼워서 고정되게 일단이 절개되어 끼움부(12)가 형성된 고정고리(11)와, 고정고리(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블(60)이 관통되어 걸릴 수 있도록 한 케이블고리(1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배관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연결박스(20)는, 상부로 개방되게 양측에 다수개의 삽입홈(211)을 형성하도록 간격부(212)를 형성하고, 각 간격부(212)의 중앙 전후벽에 높이방향으로 안내요홈(215)이 형성된 풀러안내돌기(214)와, 풀러(230)의 상하작동시 유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풀로지지돌기(216)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풀러안내돌기(214)와 풀러지지돌기(216) 사이의 바닥면에 풀러작동구멍(217)을 형성하고, 그 풀러작동구멍(217)의 양측에 케이블삽입구멍(218)을 형성하여 구성된 본체(210)와, 일측면의 상부에만 돌출된 안내돌기(231)를 상하작동시 본체(210)의 풀러안내돌기(214)의 안내요홈(215)을 따라 안내되게 하는 동시에 양측면에 경사면(232)이 형성된 돌출부(231)를 형성하여 판스프링(240)을 탄력있게 눌러서 케이블(60)를 용이하게 분리하는 종래의 풀러(230)와, 지그재그로 절곡하여 케이블(60)에 일정한 탄력으로 압력을 가하여 접속단자(250)와 확실한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는 동시에 풀러(230)에 의하여 탄력있게 케이블(60)에서 이탈하여 케이블(60)의 용이하게 분리하도록 삽입홈(211) 내에 삽입설치된 풀러(23)의 양측에 각각 설치하는 판스프링(240)과, 본체(210)의 삽입홈(211)에 삽입설치되어 판스프링(240)에 의해 케이블(60)을 탄력지지되게 접속하는 접속단자(250)와, 상기 풀러(230), 판스프링(240), 접속단자(25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는 뚜껑(220)을 조립하여 구성한뒤 고정보울트(260)로 슬라브(30)의 PVC앙카(31)에 고정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부(212)는 전기제품의 배선에 따라 연결되도록 접속단자(250)의 다수개의 접점(251)의 갯수에 따라 연결되게 외측벽측에 형성된 절취홈(213)에 끼워서 연결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KR92021577U 1992-11-14 1992-11-14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KR950005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577U KR950005664Y1 (ko) 1992-11-14 1992-11-14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577U KR950005664Y1 (ko) 1992-11-14 1992-11-14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18U KR940013718U (ko) 1994-06-25
KR950005664Y1 true KR950005664Y1 (ko) 1995-07-15

Family

ID=19343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577U KR950005664Y1 (ko) 1992-11-14 1992-11-14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6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49B1 (ko) * 2009-05-11 2009-08-11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건축용 천정 달대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449B1 (ko) * 2009-05-11 2009-08-11 (주) 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 건축용 천정 달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3718U (ko) 199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06806C2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ность в системе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US4037900A (en) Baseboard for electrical installations
US4627675A (en) Wiring system with quick connect wire terminals
US6483031B2 (en) Mounting bracket and extra-low voltage control device for installation with an electrical outlet box
US5243129A (en) Flexible undercarpet power system
KR200423507Y1 (ko) 실내용 파워트랙 콘센트
KR950005664Y1 (ko) 건축물의 무배관 케이블연결장치
US7888597B2 (en) Fixture box enclosure
US2162864A (en) Prefabricated wiring system
CN110710074A (zh) 将接线点配置在侧壁的电气配线结构及建筑物施工方法
JP5035736B1 (ja) ユニットハウス用配線システム
KR100842794B1 (ko) 건축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전기선 매설구조
EP0652609B1 (en) Raceway for distributing electric energy and similar services in civil use premises
US1929547A (en) Electric outlet molding
KR200274781Y1 (ko) 빌딩용 시스템박스
KR102270664B1 (ko) 수직형 케이블 트레이용 연결 박스
KR20050080456A (ko) 천정배선 분기장치
KR102587312B1 (ko) 배선박스용 케이블 커넥터
KR20000017736A (ko) 건물 내부의 배선방법
CN216488694U (zh) 一种多卡位暗装底盒
JPH0638326Y2 (ja) 多数の電灯器具配線用接続器
KR200246089Y1 (ko) 매입식 배선덕트
KR200246090Y1 (ko) 매입식 배선덕트
WO2002056438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and box for concrete ceiling
KR940000098Y1 (ko) 전선배관박스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