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033Y1 - 걸이구구조 - Google Patents

걸이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033Y1
KR950005033Y1 KR2019930000276U KR930000276U KR950005033Y1 KR 950005033 Y1 KR950005033 Y1 KR 950005033Y1 KR 2019930000276 U KR2019930000276 U KR 2019930000276U KR 930000276 U KR930000276 U KR 930000276U KR 950005033 Y1 KR950005033 Y1 KR 950005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lt
support
fastener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499U (ko
Inventor
임양목
Original Assignee
임양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34953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5033(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양목 filed Critical 임양목
Priority to KR2019930000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033Y1/ko
Priority to JP070673U priority patent/JPH071311U/ja
Publication of KR9400194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4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10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cabinets, walls, do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1Cantilever bra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2Mountings for pictures; Mountings of horns on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2201/00Details of connections of bathroom accessories, e.g. fixing soap or towel holder to a wall
    • A47K2201/02Connections to a wall mounted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걸이구구조
제1(a)도, 제1(b)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이구 구성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상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의 한실시예.
제5도는 제4도의 "A"부에 대한 상세단면도.
제6도 내지 제17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이구의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설치구 2A : 개구
2B : 경사부 3 : 고정구
4 : 볼트 4A : 볼트구멍
5,50 : 지지구 6 : 볼트수용부재
7 : 부착구 8,80 : 체결부재
9,19 : 너트 10 : 벽면
40 : 고정볼트
본 고안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각종 걸이구에 관한것으로, 특히 체결하고자 하는 두개의 부재의 재질이 다를경우 예로써 전기스탠드, 벽, 천정부착의 실내장식용 전기용품 걸이구, 타올걸이, 거울부착구, 치솔걸이 등의 욕실내걸이구, 동물머리형상의 실내장식용 걸이, 옷걸이, 급수세면대등에 적용가능한 걸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a)도, 제1(b)도는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한 걸이구의 분해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a)도의 조립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상면도이다.
본 고안의 걸이구는 볼트구멍이 형성되고 양측단이 절곡된 고정구(3)와, 설치구(2)의 개구(2A)속으로 삽입되는 지지구(5)와, 지지구(5)를 수용하는 개구(2A)를 형성한 설치구(2)로 구성된다. 제1(a)도 에서는 지지구(5)가 가로지르는 수직부(5A)와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5B)로 구성되고 그리고 지지구(5)가 끼워지는 설치구(2)에는 상기 지지구(5)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파여진 개구(2A)가 형성된다. 제1(b)도는 상기 제1(a)도의 변형예로써, 여기서는 지지구(5)의 가로지르는 수직부(5A)를 하방으로 향하도록 절곡시킨 구성으로 형성시키고, 이 지지구(5)가 끼워지는 설치구의 개구(2A)형상도 이 지지구(5)의 절곡형상에 개략맞게 홈을 형성시켰다. 또한 제1(c)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a)도, 제1(b)도에서의 지지구(5)는 단순한 사각형의 철편만으로도 할 수 있다. 이하의 각 실시예 도면에서는 편의상 제1(a)도에 의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조립단면도로써, 벽면등에 고정구(3)를 볼트(4)로써 먼저 체결한 후, 지지구(5)를 끼운 설치구(2)를 덮어 고정구(3)를 완전히 덮는 형태로 하여 측면에서 볼트(4)로 체결하여 걸이구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설치구(2)의 반대쪽면 즉 벽면반대쪽 예로써 걸이대가 설치되는 쪽에는 걸이대 수용홈(2B)을 형성시켰다.
제4도는 상기한 본 고안의 걸이구를 수건, 옷등의 각종 걸이대에 적용시킨 예이다. 즉 여기서 두개의 본고안에 의한 걸이구를 벽면에 고정시킨 후 걸이대(1)를 양 설치구(2)의 수용홈(2B)에 끼워 체결하면, 수건등의 각종 걸이대가 완성된다. 제5도는 제4도의 "A"부분 즉, 걸이대(1)와 설치구(2)사이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연결부(A)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여기서의 연결부(A)역시 본 고안의 걸이구구조로 형성시킨다. 즉 설치구(2)의 개구(2A) 내에 걸이대(1)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하되, 걸이대의 단부에는 지지구(5)와 고정구(3)가 내장되어 외부의 볼트(4)를 사용하여 복수 개소에서 조이면 걸이대(1)와 설치구(2)의 연결이 견고히 이루어진다.
단지 본 고안의 걸이구의 규격만 다를뿐 거의 동일형상과 구조로 연결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굳이 지지구(5)와 고정구(3)를 함께 사용하여 걸이대(1)를 설치구(2)에 체결하는 이유는 만약 설치구(2) 또는 걸이대(1)가 세라믹재로 이루어질 경우엔 설치시 작은 충격에도 연결부(A)가 쉽게 손상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특히 설치구(2)를 세라믹재를 이용하여 여러모양과 형태를 갖는 장식적인 구성으로 만들었을 경우엔 특히 강재로 이루어지는 고정구(3)와 지지구(5)를 필히 삽입하여 체결하면 연결부(A)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의 다른실시예이다. 제6도의 경우는 설치구와 체결하는 다른 대형구조물 예로써 간판등과 같은 것을 벽면(10)에 고정시킬 경우에 적용되는 걸이구의 구조이다. 여기에서는 기존의 볼트 대신 대형이 고정볼트(40)의 한쪽단부를 절곡된 형상으로 구성시켜 벽면(10)속에 파묻히도록 여러개소 미리 가설한 후에 고정구(3)를 고정볼트(40)에 체결시키고, 간판등의 여러고정요소위치에 일체로 구성된 설치구(2)를 측면에서 볼트(4)로써 체결시키면 간판등의 대형구조물이 벽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의 걸이구에 의하면 벽에 부착하는 각종 조명기구등도 본 고안의 설치구(2)와 일체로 형성시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7도는 본 고안에 의한 걸이구의 설치구(2)에 절연애자(60)를 연결구성한 실시예이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지하철권선등을 포함한 각종권선(61)연결의 중간지지구역활을 할수도 있다.
제8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로써 벽면(10)에 사슴등의 동물형태의 장식품을 벽에 고정시키는 실시예이고 제9도는 제8도의 설치구(2)의 벽면(10)부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구(2)의 외주에 다수의 볼트구멍(4A)을 형성시키고, 이 볼트구멍(4A)을 통해 볼트(4)에 의해 장식구(62)와 일체로 체결시킨다.
제10도는 제8도의 변형실시예로써 설치구(2)자체를 장식구(62)와 일체로 형성시킨 후 이 설치구(2)를 포함하는 장식구(62)를 벽면(10)에 조립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제11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의 또다른 실시예이다. 여기서는 설치구(2)의 개구(2A)형상이 경사부(2B)를 갖도록 형성시켰다. 제11도에서의 설치구(2)는 특히 당기는 힘이 많이 작용하는 가구나 부엌용의 각종 손잡이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조이다. 즉 설치구(2)의 자체형상을 손잡이 형태로 가공하여 취부장소에 고정구(3)와 지지구(5)에 의해 볼트(4)로써 설치가능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구(2)를 세라믹재로 구성시켜 소정의 취부위치에 취부가능한 구조이므로 설치구(2)를 아름다운 무늬와 형태를 가미한 세라믹재로 가공할 경우엔 미감이 매우 뛰어날뿐만아니라 손잡이등의 강도로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제12도는 고정구(3)를 볼트(4)로써 벽면등의 부착위치에 고정시키고자 할때 벽면(10)에 미리 볼트수용 부재(6)를 매설하여두고 고정구(3)와 함께 볼트(4)를 볼트수용부재(6)에 체결하면 더욱 편리하다. 볼트수용부재(6)는 그의 외부에 다수의 돌기(6A)와 볼트(6)의 수용이 용이하도록한 긴 개구(6B)를 형성하고 있다.
제13(a)도, 제13(b)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를 세먼대에 적용시킨 예이고 제14도는 제13도에 설치된 세면대를 뒤에서 본 배면도이다. 제13(a)도는 세면대(63)를 벽면에 설치할때의 개략분해도로써, 벽면에 고정구(3)를 볼트(4)에 의해 예로써 수직으로 나란히 좌우 2열로 취부한다. 그리고 세면대(63)의 대향면 해당결합위치에는 설치구의 개구(2A)를 미리 형성시켜 놓는다. 그리고 이 개구(2A)각각에 지지구(5)를 끼워넣고 앞서 벽면에 취부한 고정구(3)와 나란히 맞추어 세면대(63)의 좌우측면에서 수직으로 볼트(4)들을 체결하면 간단히 세면대(63)가 설치된다. 한편 벽면에 체결하는 고정구(3)는 별도의 취부대(65)와 함께 체결하면 더욱 견고히 체결시킬 수 있다.
제14도는 제13(a)도, 제13(b)도에 나타낸 설치상태를 세면대의 배면에서 본 참고도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세면대 설치와 같이 지지 및 체결을 위한 여러구성부품 및 별도의 부재가 필요없이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5도는 본 고안의 걸이구의 다른 실시예이다. 제15도에서는 특히 지지구(50)의 측단면형상이 두번꺽어접은 형태로 형성시켰으며 또한 설치구(2)의 개구(2A)내부도 상기한 지지구(50)의 두번꺽어접은 형상과 동일한 접촉면을 갖도록 내부를 계단식으로 구성시켰다.
이와같이 지지구(50)를 2단으로 꺽어접어 구성시키는 이유는 특히 설치구(2)의 타단에 형성되는 각종 장식구(62), 손잡이등의 부재가 클 경우에 결합강도를 특히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설치구(2)의 개구(2A)중심아래로 수직으로 체결하는 볼트(4)와 지지구(50)를 설치구(2)의 선단 측면에서 지지구(50)를 관통하여 고정구(3)를 가압하는 볼트(4)구조에 의해 더욱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설치구(2)를 형성하는 부재는 도기 재질로 모울드에 의해 형성하므로 제작이 편리하다. 이때 설치구 개구(2A)의 거의 중심부의 볼트(4)를 위한 구멍과 설치구 선단측면의 볼트구멍도 함께 미리 가공하여 모울드로 성형하면 조립이 있어 매우 편리하다. 앞선 제1도 내지 제14도까지는 지지구(5)가 1번꺽어 접힌구성을 예로써 여러물품에 적용한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지만, 특히 강도를 요구하는 각종걸이구를 위한 물품에는 제15도에 구성한 형상의 실시예에 의거 적용됨은 물론이다.
제16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변형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벽면에 미리 볼트(4)에 의해 고정구(3)가 고정되고, 그 대향부에는 고정구(3)를 덮어씌우는 부착구(7)가 볼트(4)에 의해 함께 고정설치된다. 부착구(7)에는 체결공(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공(7A)에는 체결부재(8)가 관통설치된다. 체결부재(8)의 일단은 나사가 형성되어 부착구(7)의 체결공(7A)을 관통하여 부착구(7) 내부에서 너트(9)에 의해 체결고정되고, 체결부재(8)의 타단은 가로로 신장되는 걸림부(8B)을 형성하고 있다.
즉 체결부재(8)는 개략 긴 "T"자 형태로 이룬다. 이 체결부재(8)의 걸림부(8B)는 장식구(62)에 형성시킨 개구(62A)에 삽입된다. 장식구(62)에 형성되는 개구(62A)의 입구는 체결부재(8)의 걸림부(8B)가 충분히 깊이 들어갈 정도로 형성시키고 개구의 끝단에는 가로로 전개하는 원형공간을 형성시킨다. 그리하여 개구(62A)의 입구를 통해 체결부재(8)의 걸림부(8B)를 깊숙히 끝까지 삽입시킨후 체결부재(8)를 화살표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잡아당겨도 체결부재(8)가 그 개구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체결부재(8)가 그 개구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체결부재(8)가 장식구(62)의 개구(62A)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체결부재(8)를 끼워돌린 후 부착구(7)를 체결부재(8)의 타단에 끼우고 너트(9)로 체결한다. 그리고 이 조립체를 벽에 설치된 고정구(3)에 맞대고 측부에서 볼트(4)로 체결하면 여러형태의 장식구(62)를 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7도는 제16도의 다른실시예로써 제17(a)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17(b)도는 제17(a)도의 설치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건걸이등과 같이 벽면에 긴봉형태로 돌출부착시키는 걸이구조일 경우, 도자기등으로 같이 벽면에 긴봉형태로 돌출부착시키는 걸이구조일 경우, 도자기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식물을 관통하는 체결부재(80)의 양단을 나사가공하여, 양쪽에서 너트(9) 및 너트(19)로 체결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보듯이 본 고안의 특징은 개구(2A)를 갖는 설치구(2)와 이 설치구(2)의 개구(2A)에 삽입되는 지지구(5) 또는 지지구(50)와 고정구(3)로 구성되어 있어, 고정구(3)와 지지구(5) 또는 지지구(50)를 사용하여, 세라믹재로 구성가능한 설치구(2)와 결합시킬 수 있어, 설치구(2)의 반대쪽에의 형상을 자유자재로 변형시켜 체결을 요구하는 물품에서 여러장식을 갖는 미감이 우수한 물품으로 구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걸이구의 기본구성에 의한 상기한 도면에 의한 설명은 단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고안 구성의 걸이구를 특히 재질이 다른 두개의 요소를 결합구성시키는 다른 어떤 물품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소정의 위치에 일정형상을 갖는 이질재료의 물품을 체결시키는 걸이구 구조에 있어서, 좌우 절곡형상을 가지며 원하는 취부위치에 볼트(4)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구(3)와, 고정구(3)와 지지구(5)를 수용하는 개구(2A)를 가지며, 볼트(4)에 의해 체결이 가능하도록 지지구(5)를 관통하는 볼트구멍과 일치하는 관통구멍을 갖는 설치구(2)와, 상기한 설치구(2)의 개구(2A)에 접하여 설치되는 절곡형상 지지구(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구(3)와 벽면(10)을 체결하는 볼트는 벽면(10)내부에서 절곡된 형상으로 미리 벽면(10)과 벽면으로 구성한 고정볼트(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설치구(2)의 개구(2A)에는 경사부(2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고정구(3)와 벽면(10)을 체결하는 볼트(4)는 벽면(10)내부에 일체로 형성시킨 돌기(6A)와 긴개구(6B)를 갖는 볼트수용부재(6)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구(5)는 2단으로 절곡한 형상을 갖는 지지구(50)로 구성되며, 상기한 설치구(2)의 개구(2A)중심부에는 지지구(50)의 하면을 결합하는 볼트(4)로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구(5)는 단순한 사각철편형으로 구성되어 체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절곡형상을 가지며 취부위치에 볼트(4)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구(3)와, 상기 고정구(3)상에 설치되며 체결공(7A)을 갖는 부착구(7)와, 상기 부착구(7)를 관통하며 일단에는 걸림부(8B)를 갖는 체결부재(8)와, 상기 체결부재(8)의 타단을 체결하는 너트(9)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양단이 나사가공되어 너트(9,19)에 의해 양단이 체결가능토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이구구조.
KR2019930000276U 1993-01-11 1993-01-11 걸이구구조 KR950005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76U KR950005033Y1 (ko) 1993-01-11 1993-01-11 걸이구구조
JP070673U JPH071311U (ja) 1993-01-11 1993-12-28 掛け具構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276U KR950005033Y1 (ko) 1993-01-11 1993-01-11 걸이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499U KR940019499U (ko) 1994-08-22
KR950005033Y1 true KR950005033Y1 (ko) 1995-06-21

Family

ID=1934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276U KR950005033Y1 (ko) 1993-01-11 1993-01-11 걸이구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1311U (ko)
KR (1) KR950005033Y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20594Y1 (ko) * 1966-10-21 1970-08-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499U (ko) 1994-08-22
JPH071311U (ja) 199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1056A (en) Shower and decorative curtain suspension for a bathroom stall
US5603475A (en) Rack structure
KR950005033Y1 (ko) 걸이구구조
KR940002084Y1 (ko) 욕실용 걸이구
CN209984122U (zh) 一种卫浴挂件
JPH0118069Y2 (ko)
JPH0415099Y2 (ko)
JP4067452B2 (ja) パネルを利用した固定物のフリーレイアウトシステム
KR970006613Y1 (ko) 선반용 횡대지지구
CN212325882U (zh) 一种家具的支撑脚
KR0135462Y1 (ko) 거울 고정구
KR200146977Y1 (ko) 욕실 벽걸이용 선반
KR100452687B1 (ko) 걸이대
JPH0118070Y2 (ko)
KR200267662Y1 (ko) 벽붙이용 걸이대
KR200377295Y1 (ko) 다용도 선반
KR200263037Y1 (ko) 조립식 고정대
KR970006614Y1 (ko) 선반용 횡대지지구
KR0133568Y1 (ko) 선반 고정구
KR200377297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
JPS6027206Y2 (ja) 挾着取付具
KR910002070Y1 (ko) 벽코너 부착용 조립식 다용도 선반
KR930003400Y1 (ko) 진열장의 벽면 고정장치
KR920006773Y1 (ko) 욕실용 다용도 지지대
KR200232499Y1 (ko) 욕실용 걸이의 걸이봉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19990429

Effective date: 200003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19990108

Effective date: 20000330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19981111

Effective date: 19990408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REQUESTED 20010118

Effective date: 20010529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506

Effective date: 20001109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123

Effective date: 20020514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0522

Effective date: 20030829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60512

Effective date: 2007012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EXPY Expiration of term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223

Effective date: 20070914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1010

Effective date: 2008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