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999B1 - 블랭킹 커터 - Google Patents

블랭킹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999B1
KR950004999B1 KR1019920001874A KR920001874A KR950004999B1 KR 950004999 B1 KR950004999 B1 KR 950004999B1 KR 1019920001874 A KR1019920001874 A KR 1019920001874A KR 920001874 A KR920001874 A KR 920001874A KR 950004999 B1 KR950004999 B1 KR 950004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ature
radius
base plate
test pie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1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201A (ko
Inventor
데루오 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단벨
데루오 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단벨, 데루오 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단벨
Publication of KR92001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9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4Cutters therefor; D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Kni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블랭킹 커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블랭킹 커터를 구성부품으로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블랭킹 커터의 정면도.
제3도는 블랭킹 커터의 저면도.
재4도는 제3도의 Ⅳ-Ⅵ선에 잇따른 블랭킹 커터의 단면도.
제5도는 블랭킹 커터를 구성하는 베이스판의 평면도.
제6도는 블랭킹 커터를 구성하는 압착판의 평면도.
제7도는 아령형시험편을 나타낸 정면도.
제8도는 종래의 블랭킹 커터의 정면도.
제9도는 종래의 블랭킹 커터의 저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X-X선에 잇따른 단면도.
제11도는 다른 종래의 블랭킹 커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판 11 : 녹아웃판
15 : 손잡이 보스 20 : 베이스판
30,40 : 압착판 50,55 : 칼
본 발명은 고무, 플라스틱, 비닐, 폴리에틸렌, 종이등의 시이트재로부터 아령형의 시험편을 펀칭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블랭킹 커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아령형시험평(dumbbell-shaped test piece)은 종래에 있어서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조형성한 블랭킹 커터(5)를 사용하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 블랭킹커터(5)는 상단의 연부(椽部)(6)가 아령형성시험편의 형상에 맞추어서 단조형성되었고, 또한 이 상단의 연부(6)에 그라인더등으로 날카롭게 칼날을 형성하여, 이것을 열처리하여 만들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블랭킹 커터(5)는 상단의 연부(6)의 형성이 그라인더에 의한 손다듬질로 되어 고정밀도의 칼끝과 같이 만드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분제라거나, 칼 끝이 절손하였을 경우에는 커터(5)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어 비경제적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시정하기 위하여, 제8도-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칼만을 독립하여 교환할 수 있는 블랭킹 커터(100)를 사용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다.(일본국 실개소 54-60389)
이 블랭킹 커터(100)는, 평면(상하면) 형상이 아령형시험편과 동일형상으로 형성한 베이스판(101)과, 이 베이스판(101)의 4개의 측면에 대략 밀착하는 형상의 4장의 압착판(102a),(102b),(103a),(103b)와 이들 압착판과 베이스판(101) 사이에 끼워둔 4장의 칼(105a),(105b),(106a),(106b)과, 베이스판(101)의 상면에 접합된 송잡이 보스(107)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4장의 칼(105a),(105b),(106a),(106b)은 예컨데 두께 0.3mm의 박판형이고, 큰 가요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아령으로 맞춘 곡면을 지닌 베이스판(101)의 측면과 압착판(102a),(102b)사이에 따라 끼워져, 밀착되게 부착할 수 있다. 각 칼(105a),(105b),(106a),(106b)의 길이는 베이스판(101)의 4개의 외측면을 이루는 4개의 각변의 길이와 동일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압착판(102a), (102b), (103a), (103b)에 따라 꼭 압착되어서 부착된 각 칼(105a), (105b), (106a), (106b)의 칼 끝은 베이스판(101) 및 압착판(102a),(102b),(103a),(103b)보다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블랭킹커터(100)는 손잡이 보스(107)의 부분을 개재하여 프레스장치에 부착되었고, 이 프레스장치에 의하여 이 블랭킹커터(100)를 사이트 형부판에 꽉 눌러서 시이트형부판으로부터 아령형시험편을 블랭킹 형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블랭킹커터(100)의 경우 아령형시험편의 곡선형 측면을 블랭킹 형성하기 위한 칼(105a), (105b)의 칼끝이 제9도에서 2점쇄선 A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으로 약간 편향된다고 하는 것을 판명하였다. 제9도의 2점쇄선 A는 과장되게 나타나 있으나, 실제의 편향되는 양은 작은 값이다. 그러나 아령형시험편의 치수정밀도는 고정밀도의 것이 요구되므로,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칼끝의 편향이 있으며, 요구정밀도를 만족하는 시험편을 얻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칼의 칼끝의 편향이 있는 상기와 같은 블랭킹 커터(100)를 사용하여 아령형시험편(1)(제7도 참조)을 블랭킹을 아였을 경우, 이 시험편(1)의 띠형(帶形)중간부(3)의 폭(B2) 및 곳선부(4a),(4b)의 형상에 오차가 발생하여 이와 같은 오차가 있는 시험편을 사용하여 재료시험을 하였다면 바른 결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칼만의 교환이 자유롭고, 고정밀도의 아령형시험편의 블랭킹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아령형시험편의 곡선부의 블랭킹을 위한 칼의 칼끝이 안쪽으로 편향되는 일이 없는 구성의 블랭킹 커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족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블랭킹 커터는 평면형상이 아령형시험편과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 일정한 두께를 지닌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 판의 외측면을 이루는 각변에 대략 밀착하는 형상의 측면을 지닌 여러개의 압착판과, 베이스판의 외측면을 이루는 각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지닌 여러개의 가요성을 지닌 박판형칼로 되었고, 이들 박판형칼을 사이에 끼워서 압착판의 측면을 베이스 판에 대응하는 외측면에 밀착시키도록 꽉 눌러서 박판상칼 및 압착판을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박판칼이 베이스형판의 외측면의 전체둘레를 둘러쌈과 동시에 그 칼끝이 베이스판 및 압착판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아령형시험편의 띠형 중간부에 대응하는 베이스판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에 밀착하는 압착판의 측면을 평면형상으로 함에 있어 시험편의 양단부와 중간부를 잇는 곡선의 곡률반경보다 매우 큰 곡률반경의 요곡면형(凹曲面形)으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의 블랭킹커터를 사용하여 고무등으로 아령형의 시험편의 블랭킹 형성하면, 아령형시험편의 띠형 중간부에 대응하는 베이스판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에 밀착하는 압착판의 측면을 매우 큰 곡률반경의 요곡면형으로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칼의 칼끝이 안쪽으로 편향이 없어지게 되어, 고정밀도의 아령형시험편을 만들 수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본 발명에 관한 블랭킹커터를 그 저면쪽으로 위로(거꾸로)함과 동시에 분해한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블랭킹커터는 지지판(10)돠 이 지지판(10)에 접합하여 부착된 베이스판(20)과, 이 베이스판(20)의 4개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4장의 칼(50),(50),(55),(55)과 상기 4장의 칼을 베이스판(20)의 외측면을 꽉 누르는 4장의 압착판(30),(30),(40),(40)과 블랭킹 한 다음의 시험편을 압출하기 위한 녹아우트판(11)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부품이 보울트(36),(37),(49)나 너트(38)등으로 채결되어서 제2도-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할 수 있다.
베이스판(20)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형상이 아령형시험편과 동일형상이 되도록 형성되고, 폭이의 양단부(21),(21)와 띠형중간부(22)등으로 되었으며, 지지판(10)의 하면에 접합하여 부착할 수 있다.
이 지지판(10)의 상면에는 손잡이 보스(15)가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합된 상태에서 지지판(10) 및 베이스판(20)을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구멍(26)이 2개소에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26),(26)내에 하단이 녹아우트판(11)에 접합된 스터드(stud)(12)가 하방으로부터 느슨하게 끼워진다. 이 스터드(12)의 상단에 너트(12a)로 나사맞춤하였으며, 이에 따라 녹아우트판(11)이 지지판(10) 및 베이스판(2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베이스판(20)에는 또한, 2개의 스프링 삽입구멍(25)이 형성되어 있고 녹아우트판(11)을 부착하기 전에 스프링 삽입구멍(25)내에 녹아우트 스프링(13)이 삽입되어 있다. 이 때문에 녹아우트판(11)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녹 아우트 스프링(13)에 의하여 하방으로 눌러져서 스터드(12)의 상단의 너트(12a)가 지지판(10)에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유지된다.
베이스판(20)의 길이방향 양측면(24),(24)은 평면이고, 이 평면의 측면(24),(24)의 폭 치수와 같은 길이의 짧은 칼(55)이 측면(24),(24)과, 짧은 압착판(40),(40) 사이에 끼워져서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짧은 압착판(40)에는 2개의 위치 결정핀(41)이 고착됨과 동시에 보울트 삽입구멍(42)이 형성되어 짧은 칼(55)에는 이들 핀(41) 및 보울트(49)를 삽입시키는 삽입구멍(56)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핀(41)을 삽입구멍(56)을 통하여 베이스판(20)의 삽입구멍(29a)내에 삽입하도록 하여 짧은 압착판(40)에 따라 짧은 칼(55)을 베이스판(20)의 측면(24)에 꽉 누르고 보울트(49)을 삽입구멍(42),(56)을 통하여 베이스판(20)의 나사구멍(29b)에 비틀어 맞추어서 고정한다. 더욱이 짧은 칼(55)은 강철제로서, 그 두께 0.3mm이며, 그 칼끝(55a)은 하방을 향함과 동시에 베이스판(20) 및 짧은 압착판(40)의 하면보더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베이스판(20)의 폭방향 양측면은 폭 넓이의 단부(21)의 측면을 이루는 평면상의 제1측면(21a)과 폭형상의 중간부(22)의 측면을 이루는 제2측면(22a)과 양측면(21a)(22a)을 맺는 곡률반경(R1)의 철곡면(凹曲面)(23a) 및 곡률반경(R2)의 요곡면(23b)에 따라 형성된다.
제2측면(22)은 아령형시험편의 띠형 중간부에 대응하는 부분이지만 이 베이스판(20)에서는 매우 큰 곡률반경(R3)의 요곡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베이스판(20)의 폭방향 측면에는 이 측면의 길이와 같은 길이의 가용성을 지닌 박판형의 긴칼(50)이 김압착판(30)에 따라 눌리워서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긴압착판(30)의 측면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판(20)의 폭방향 측면에 긴칼(50)을 사이에 개재하여 밀착하는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판(20)의 제1측면(21a)에 결착하는 제1측면(31)과 베이스판(20)의 제2측면(22a)에 밀착하는 제2측면(32)과 베이스판(20)의 곡률반경(R1)의 철곡면(23a)에 결착하는 곡률반경(R4)의 철곡면(33a)과 베이스판(20)의 곡률반경(R2)의 요곡면(23b)에 밀착하는 곡률반경(R5)의 철곡면(33b)등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제 2측면(32)은 베이스판(20)의 제2측면(22a)에 대응되어 있고, 이 제2측면(22a)의 곡률반경(R3)과 대략 같은 곡률반경(R6)의 철곡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압착판(30)은 긴칼(50)을 끼워서 베이스형판(20)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부착되었으며, 보울트(36), (37) 및 너트(38)로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압착판(30) 및 긴칼(50)에는 보울트 삽입구멍(35),(51),(52)이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판(20)에는 나사구멍(28) 및 관통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긴칼(50)은 강철제의 두께 0.2㎜이고, 가요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긴압착판(30)에 의한 가압에 따라 긴칼(50)은 베이스판(20)의 측면에 잇따라 변형하여 이 측면에 밀착하여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밀착하여 부착되면 종래에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방으로 돌출하는 칼끝(50a)이 부분적으로 안쪽으로 편향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실시예의 커터의 경우에는 베이스판(20)의 제2측면(22a)이 곡률반경(R3)의 요곡면형으로 형성하고, 긴압착판의 제2측면(32)이 곡률반경(R6)의 철곡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칼끝(50a)이 안쪽으로의 편향을 없앨 수 있다.
상기한 곡률반경(R3), (R6)의 크기는 칼끝(50a)이 안쪽으로의 편향을 없앨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지만, 이 곡률반경의 크기는 아령형시험판(1)의 철곡면(4a)의 곡률반경(r1) 및 요곡면(4b)의 곡률반경(r2)의 크기나 긴칼(50)의 두께나 아령형시험편(1)의 폭이 넓은 단부(2)의 폭(B1)과 띠형 중간부(3)의 폭(B2)의 차(B1-B2), 중간부(3)의 길이(L1)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 때문에 곡률반경(R3), (R6)은 각 블랭킹 커터마다에 실험적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본다.
예 1
긴칼(50)의 두께=0.2㎜ :
아령형시험편(1)의 철곡면(4a)의 곡률반경 r1=25㎜,
요곡면(4b)의 곡률 반경 r2=14㎜,
폭이 넓이 단부(2)의 폭 B1=6㎜,
길이 L1=33㎜의 경우
베이스판(20)의 제2측면(22a)을 이루는 요곡면의 곡률반경 R3=1360㎜
긴압착판(30)의 제2측면(32)을 이루는 철곡면의 곡률반경 R6=1359.8㎜
이와 같이 곡률반경(R3), (R6)의 크기는 각부분의 치수는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결 같이 결정할 수는 없고, 각 블랭킹 커터마다에 설정할 수 밖에 없다. 단 일반적으로 말하여 긴칼(50)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아령형시험편(1)의 철곡면(4a) 및 요곡면(4b)의 곡률반경(r1), (r2)이 클수록 폭이 넓은 부분의 폭(B1)과 중간부의 폭(B2)의 차가 작을수록, 또 중간부의 길이(L1)가 클수록, 곡률반경(R3), (R6)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블랭킹 커터는 손잡이 보스(15)를 개재하여 프레스장치에 부착되었고, 프레스장치에 의하여 블랭킹커터가 고무, 플라스틱 등의 시이트형부재에 꽉눌리워져서 긴칼(50), 짧은 칼(55)의 칼끝이 시이트형 부재로부터 아령형시험편을 블랭킹한다. 이때 녹아우트판(11)은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고 칼날에서 상방으로 밀고 들어가게 되지만, 블랭킹 커터가 들어 올려지면 녹아우트 스프링(13)은 상하로 이동이 자유롭고 칼날에서 상방으로 밀고 들어가게 되지만, 블랭킹 커터가 들어 올려지면 녹아우트 스프링(13)에 따라 녹아우트판(11)이 하방으로 밀어 내려지게 되어 이것과 함께 블랭킹이 된 시험판이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베이스판의 외측면을 이루는 각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지닌 여러개의 가요성을 지닌 박판형칼 사이에 끼워서 압착판의 측면을 베이스판의 대응하는 외측면에 밀착시키도록 꽉 눌러서 박판형칼 및 압착판을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부착하였고, 박판형칼이 베이스판의 외측면의 전체둘레를 포위함과 동시에 그 칼끝이 베이스판 및 압착판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블랭킹 커터를 구성함과 동시에 아령형시험편의 띠형상 중간부에 대응하는 베이스판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에 밀착하는 압착판의 측면을 평면형상으로 함에 있어, 시험편의 양단부와 중간부를 있는 곡선의 곡률반경보다 매우 큰 곡률반경의 요곡면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블랭킹커터를 사용하여 고무등으로 아령형시험편을 블랭킹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이나, 이 경우에 아령형시험편의 띠형상 중간부에 대응하는 베이스판의 외측면과 이 측면에 밀착하는 압착판의 측면을 매우 큰 곡률반경의 요곡면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커터의 칼끝이 안쪽으로의 편향이 없어지게 되어 고정밀도의 아령형시험편을 블랭킹 형성할 수 있다.

Claims (5)

  1. 양단부가 폭이 넓고 중간부가 띠형이며, 양단부와 중간부를 곡선형으로 연결하여서 되는 아령형시험편을 시이트재로 블랭킹하기 위한 블랭킹 커터이며, 평면형상이 아령형시험편과 동일 형상이 되도록 형성한 일정한 두께를 지닌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외측면을 이루는 각변에 대략 밀착하는 형상의 측면을 지닌 여러개의 압착판과 베이스판의 외측면을 이루는 각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지닌 여러개의 가요성을 지닌 박판형칼로 되었고, 이들 박판형칼을 사이에 끼워서 압착판의 측면을 베이스판에 대응하는 외측면에 밀착시키도록 꽉눌러서 박판형칼 및 압착판을 베이스판의 외측면에 부착하여 박판형칼이 베이스판의 외측면의 전체둘레를 포위함과 동시에 그 칼끝이 베이스판 및 압착판보다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한 블랭킹커터에 있어서, 아령형시험편의 띠형 중간부에 대응하는 베이스판의 외측면과, 이 외측면에 밀착하는 압착판의 측면을 평면형상으로 함에 있어 시험편의 양단부와 중간부를 잇는 곡선의 곡률반경보다 칼끝의 안쪽으로의 편향을 거의 영(0)으로 하는데 필요한 크기의 곡률반경을 요곡면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랭킹 커터.
  2. 제1항에 있어서, 요곡면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반경이 박판형의 두께에 대응하여 이 두께가 클수록 요곡면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블랭킹 커터.
  3. 제1항에 있어서, 요곡면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반경이 시험편의 양단부와 중간부를 잇는 곡선의 곡률반경에 대응하여 곡선의 곡률반경이 클수록 요곡면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커터.
  4. 제1항에 있어서, 요곡면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반경이 시험편의 양단부의 폭(B1)과 중간부의 폭(B2)과의 차(B1-B2)에 대응하여, 이 차(B1-B2)가 작을수록 요곡면의 곡률반경이 커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커터.
  5. 제1항에 있어서, 요곡면형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곡률반경이 중간부의 길이(L1)에 대응하여 이 길이(L1)가 길수록 요곡면의 곡률반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랭킹 커터.
KR1019920001874A 1991-02-12 1992-02-10 블랭킹 커터 KR950004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5431591A 1991-02-12 1991-02-12
US654,315 1991-0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201A KR920016201A (ko) 1992-09-24
KR950004999B1 true KR950004999B1 (ko) 1995-05-17

Family

ID=2462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1874A KR950004999B1 (ko) 1991-02-12 1992-02-10 블랭킹 커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61639B2 (ko)
KR (1) KR950004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6218A (ja) * 2009-06-09 2011-01-27 Frontier:Kk 切断装置
CN105619512A (zh) * 2014-08-27 2016-06-01 朱保生 一种电线电缆用哑铃片及其制作方法
CN109580311B (zh) * 2018-12-29 2021-10-12 苏州恒信建设技术开发检测有限公司 制样机及制样机的使用方法
CN115194848A (zh) * 2022-07-11 2022-10-18 龙岩烟草工业有限责任公司 切片机、切片刀更换装置及更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57689A (ja) 1993-03-09
KR920016201A (ko) 1992-09-24
JPH0761639B2 (ja) 1995-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4675B1 (en) Waste removal apparatus for use in a punching machine
US20070186748A1 (en) Interchangeable Die Press System and Method
US5829121A (en) Antenna making method
KR950004999B1 (ko) 블랭킹 커터
EP0297324A1 (en) Knife for blanking in sheet
US5176061A (en) Blanking cutter
US5214833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ner cutter for a dry shaver
US20030079594A1 (en) Band-steel tool
JP3611046B2 (ja) 打抜機における抜型構造及び打抜機用切断刃
KR100442976B1 (ko) 수동식 밴딩 프레스
JP2004050344A (ja) 打ち抜きカッター
US4246808A (en) Precision small wire stripper and blade structure
JPH01193197A (ja) 非金属材料のための片側または両側の打ち抜きカッタ
KR100845779B1 (ko) 목금형의 커터날 밀림 및 고정장치
US1030529A (en) Cutting-die.
JP2714558B2 (ja) 成形用金型
JPH09300299A (ja) 折目形成用補助材および該補助材を備えた抜型
CA2036144C (en) Blanking cutter
CN216682567U (zh) 一种镶块雕刻刀模
KR200395147Y1 (ko) 커터 조립체
JP2520441B2 (ja) 瓦打ち抜きプレス装置
JPH058070Y2 (ko)
JPS63283897A (ja) 布裁断用刃型の製造方法
JPS6146313B2 (ko)
EP1092517A2 (en) Flexible rotary cutting 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