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893B1 -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콕시프로판의 플루오르화 - Google Patents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콕시프로판의 플루오르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893B1
KR950004893B1 KR1019890700757A KR890700757A KR950004893B1 KR 950004893 B1 KR950004893 B1 KR 950004893B1 KR 1019890700757 A KR1019890700757 A KR 1019890700757A KR 890700757 A KR890700757 A KR 890700757A KR 950004893 B1 KR950004893 B1 KR 950004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thocarbonate
hydrogen fluoride
formula
trapping agent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523A (ko
Inventor
리챠드 제이 라고우
Original Assignee
익스플로워 리서치 코포레이션
리처드 제이.라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익스플로워 리서치 코포레이션, 리처드 제이.라고우 filed Critical 익스플로워 리서치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9070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48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1/00Preparation of ethers; 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1/6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groups o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30Compounds having groups
    • C07C43/313Compounds having group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3/00Ethers; Compounds having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43/32Compounds having groups or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콕시프로판의 플루오르화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퍼플로오로알킬오르토 카르보네이트 및 퍼플루오로알킬옥시 프로판의 제조에서 불소원소의 반응을 보여준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배경]
퍼를루오로 에스테르의 합성의 어려움은 플루오르화수소에 대한 에스테르 연결의 불안정성 및 친핵공격에 의한 퍼플루오로에스테르의 용이한 해리에 있다. 에스테르의 전기분해 플루오르화는 산성용액 중에서 자발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에 수행되기 어렵다. 초산에틸의 직접 플루오르화는 첫번째 성공적인 플루오르화로서 각각 5% 및 20%의 수득률로 CF3COOCF2CF3및 CF3COOCHFCH3를 얻는다. (참고, Adcock, J.L. j.Org. Chem. 40, 3271 (1975)). 이러한 직접적인 플루오르화 기술의 확장으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의 중요한 전구물질인 고플루오르화된 폴리에스테르로 탄화수소 폴리에스테르의 전환을 사전에 일으킨다. (참고, Persico, D.F. 등의 JACS 107, 1197 (1985)).
간접 방법에 의해 퍼플루오로에스테르의 제법에 관한 몇가지 보고가 있었다. 첫번째 보고된 반응은 COF2의 2합체 및 3합체화에 의해 각각 FCO2CF3및 (CF3O)2CO를 얻는 것이다. CO의 존재하에 CF3OF 및 CF3OOCF3의 광분해 반응은 상기 반응과 같은 생성물을 얻는다. (참고, Aymonino, P.J., Chem. Commun. 241(1965) ; Varetti, E.L. 및 Aymonino, P.J., Chem. Commun. 91 (1971)).
더 일반적인 합성은 알콕시화 퍼플루오로염과 플루오르화 퍼플루오로아실의 낮은 온도반응이다.
디메틸술폰과 플루오로에스테르 RfCOOCH3의 반응은 예외적으로 오르토에스테르 RfC(OCH3)3(참고, Holm. T.의 미국특허 2,611,787(1952))를 얻고, 그리고 타란트 및 브라운 등에 의해 CHFClC(OC2H5)3을 분리하였다. (참고, Tarrant, P. 및 Brown, H.A., JACS 73, 1781(1951)). 플루오르화된 오르토에스테르에 대한 합성정보는 문헌에 거의 나타나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퍼플루오로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퍼플루오로폴리알콕시프로판과 이러한 퍼플루오르화된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퍼를루오로알킬 오르토카르보네이트는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
Figure kpo00001
식중, Rf1, Rf2, Rf3, 및 Rf4는 같거나 다른 짧은 직쇄 또는 측쇄 퍼플루오로알킬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Rf1, Rf2, Rf3, 및 Rf4는 같거나 다르고, -CF3, -CF2CF3, -CF2CF2CF3, -CF(CF3)2, -CF2CF2CF2CF3, -CF(CF(CF3)CF2CF3, -CF2CF(CF3)2및 -C(CF3)3로부터 선택된다.
퍼플루오로알콕시프로판은 다음식으로 나타냈다 :
Figure kpo00002
식중, Rf1, Rf2, Rf3, 및 Rf4는 짧은 직쇄 또는 측쇄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Rf1, Rf2, Rf3, 및 Rf4는 같거나 다르고, -CF3, CF2CF3, -CF2CF2CF3, -CF(CF3)2, -CF2CF2CF2CF3, -CF(CF3)CF2CF3, -CF2CF(CF3)2및 -C(CF3)3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퍼플루오로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퍼플루오로알콕시프로판은 불소원소로 직접 플루오르화시켜 제조된다. 퍼플루오로화합들은 같은 분자량의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보다 더 휘발성이 있다. 이들은 진한 황산 및 질산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으나 불화수소용액 및 진한 염산 중에서 분해된다. 이들은 150℃ 및 그 이상에서 안정하다. 본 발명의 퍼플루오로화합물들은 윤활유, 열교환제제, 용매, 기상납땜유체 및 산소운반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퍼플루오로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
Figure kpo00003
식중, Rf1, Rf2, Rf3, 및 Rf4는 같거나 다르고, 짧은 직쇄 또는 측쇄, 퍼플루오로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Rf1, Rf2, Rf3, 및 Rf4는 -CF3, -CF2CF3, -CF2CF2CF3, -CF(CF3)2, -CF2CF2CF2CF3, -CF(CF3)CF2CF3, -CF2CF(CF3)2및 -C(CF3)3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퍼플루오로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는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
C(ORf)4
식중, Rf는 -CF3, CF2CF3, CF2CF2CF3및 CF(CF3)2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퍼플루오로알킬프로판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
Figure kpo00004
식중, Rf1, Rf2, Rf3, 및 Rf4는 짧은 직쇄 또는 측쇄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바람직한 구현으로, Rf1, Rf2, Rf3및 Rf4는 -CF3, -CF2CF3, -CF2CF2CF3, -CF(CF3)2) 및 -CF2CF2CF2CF3, -CF(CF3)CF2CF3, -CF2CF(CF3)2, --C(CF3)3로부터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퍼플루오로알콕시프로판은 다음식으로 표시된다 :
(RfO)2CFCF2CF(ORf)2
식중, Rf는 -CF3, -CF2CF3, CF2CF2CF3및 -CF(CF3)2로부터 선택된다. 추가로 퍼플루오로알콕시프로판의 제조를 위한 플루오르화 순서는 다음식의 신규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
(RfO)2CFCF2CF2ORf
식중, Rf는 상기에 정의하였다.
본 발명의 퍼플루오로화합물은 라고우 및 마르그레이브의 문헌(Lagow 및 Margrave, Prog. of Org. Chem. 26, 161 : (1979))의 직접 플루오르화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적절한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알콕시프로판 출발물질들이 선택된다. 예를들면 오르토카르보네이트들은 다음식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될수 있다 :
Figure kpo00005
식중, R1, R2, R3및 R4는 같거나 다르고, -CH3, -CH2CH3, -CH2CH2CH3, -CH(CH3)2, -CH2CH2CH2CH3, -CH(CH3)CH2CH3, -CH2CH(CH3)2및 -C(CH3)3로부터 선택된다. 폴리알콕시프로판은 다음식의 화합물로부터 선택될수 있다 :
Figure kpo00006
식중, R1, R2, R3는 같거나 다를수 있고, -CH3, -CH2CH3, -CH2CH2CH3, -CH(CH3)2, -CH2CH2CH2CH3, -CH(CH3)CH2CH3, -CH2CH(CH3)2및 -C(CH3)3로부터 선택된다.
출발물질은 라고우 및 마르그레이브에 의해 상기 문헌에 제시된 반응기와 같은 불소반응기 내에 설치한다. 반응기는 조절된 조건하에서 불소가 개시반응을 일으킨후 헬륨 또는 질소와 같은 불활성기체로 냉각시키고 흘려준다. 대표적으로, 최초로 약 1 내지 약 10%의 낮은 불소농도가 사용되고, 희석된 불소는 플루오르화되는 물질 위를 통과한다. 플루오르화 반응이 진행됨으로서 순수한 불소조건이 얻어지고, 물질이 퍼플루오르화될때까지 불소농도 및 기체의 유속이 점차로 증가한다.
가장 우수한 결과들은 본 발명의 참고문헌으로 소개된 미국특허 출원번호 924,198호(명칭 “불화수소 포촉제의 존재하에 에테르의 퍼플루오르화”로 1986년 10월 27일자 출원됨)에 설명된 바와같이 불화나트륨과 같은 불화수소포촉제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불화수소포촉제의 존재는 이러한 직접 플루오르화공정에서 더 혹심한 플루오르화조건을 사용할수 있게 한다. 즉 더 진한 불소농도 및 더빠른 속도의 불소전달이 포촉제없이 사용할때보다 불화수소포촉제의 존재하에 사용할 수 잇다. 예를들면, 출발물질의 15% 이상, 25% 이하의 최초 불소규모 및 8cc/분/그램의 불소유속이 사용될수 있다.
부가하여,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생성물의 수득률 및 양은 플루오르화가 불화수소포촉제의 존재하에 수행될때 개량된다. 포촉제는 플루오르화 반응 동안에 에테르 -HF산 염기착물의 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불화수소포촉제의 존재하에 플루오르화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행될수 있다. 바람직한 형태로, 불화수소포촉제(분말 또는 펠릿형)는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알콕시프로판과 혼합된다. 브렌드는 적당한 플루오르화 반응기에 설치하고 불소기체의 농도를 점차로 증가시키면서 노출시켜 플루오르화시킨다. 또한,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알콕시프로판은 포촉제 위에 피복될수 있고, 이러한 형태로 플루오르화될수 있다.
본 발명의 퍼플루오로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퍼플루오로알콕시프로판은 윤활유, 열교환제제, 기상 땜납유체, 용매 및 산소운반체로서 유용하다. 예를 들면, 오일은 진공펌프오일 및 분산펌프용 오일로서 유용하다. 더 휘발성인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알콕시프로판은 컴퓨터와 같은 전기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퍼플루오로 화합물들은 퍼플루오로탄소용매로서, 생의학분야의 산소운반체로서 그리고 유기산화반응을 위한 산소운반체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다음 실시예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테트라메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 테트라에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 테트라-i-프로필 오르토카르보네이트,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 및 1,1,3,3-테트라에톡시프로판은 알드리치 케미컬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불소는 연구용시약이고, 에어 프러덕츠 엔드 케미컬사 제품이다. 원소분석은 뉴욕 코로나 소재의 E-R메크로어낼리티컬 래버러토리사에 의해 수행되었다.19F nmr 스펙트럼은 84.67MHz에서 작동하는 Varian EM 390 분광기에 의해 기록하였다. 화학적 이동은 CFCl3를 기준으로 기록하였다. 네거티브 이동은 표준물질의 높은 장에 존재한다. 질량 스펙트럼은 Bell & Howell 모델 21-490질량분광기 위에서 기상으로 측정하였다. 저온조절기 및 열전도도 검출기가 장치된 Bendix 2300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는 분리하기위해 사용하였다. 적외선 스펙트럼은 KBr창을 가진 기체셀을 이용하여 Beckman Acculab 8 스펙트로메터로 측정하였다.
대표적인 반응에서, 대략 10g의 분말화된 NaF와 측정된 양의 출발물질의 혼합물을 5인치×1인치 구리튜브에 채우고, 그 다음 라고우, 알. 제이 및 마르그레이브 제이.엘.의 상기문헌(Prog. Org. Chem. 26, 161(1979))에 제시된 4구역 저온반응기 내에 설치한다. 나머지 3개의 구역은 플루오르화된 구리조각으로 충진시킨다. 모든 구역은 -100℃로 2시간 동안 냉각시킨후, 시스템은 10시간동안 헬륨을 흘려 보내고, 그다음 조절된 조건 하에서 플루오르화를 개시한다. 반응이 완결됨으로서, 생성물을 진공라인 위에서 -78℃, -131℃ 및 -196℃로 분별화 한다.
최종 정제는 플루오로실리콘 컬럼을 사용하여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수행하였다.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의 플루오르화
1.49g의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을 표 1에 제시한 조건을 사용하여 플루오르화시켰다. 조생성물 2.53g을 -78℃ 트랩에서 얻었다. 이러한 부분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리(10분간 0℃, 15분간 10℃로 5℃/분, 10분간 90℃로 10℃/분)로 퍼플루오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1.92g,46.8%) 및 퍼플루오로 1,1,3-트리메톡시프로판(0.48g,13.7%)을 얻었다.
퍼플루오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 bp 93℃.
원소분석 C7F16O4
계산치(%) : C ; 18.60, F ; 69.24.
실측치(%) : C ; 18.50, F ; 66,97.
MS, m/e(단편이온) : 433(C7F15O4, O-F), 367(C6F13O3, P-OCF3), 279(C5F9O3), 213(C4F7O2), 201(C3F7O2), 191(C4F5O3), 185(C3F7O), 163(C3F5O2), 135(C2F5O), 125(C3F3O2), 97(C2F3O), 78(C2F2O), 69(CF3, 기본피크), 50(CF2), 47(CFO).
IR : 1300(vs, br), 1240(vs, br), 1130(vs, br), 1020(w), 892(m), 865(m), 795(m), 725(m)cm-1.
FNMR데이타는 표 5에 보고하였다.
퍼플루오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 bp 75℃.
원소분석 C6F14O2
계산치(%) : C ; 18.67, F ; 68.90.
실측치(%) : C ; 18.21, F ; 68,29.
MS, m/e(단편이온) : 367(C6F13O2, P-F), 301(C5F11O2, P-OCF3), 213(C4F7O2, 기본피크), 201(C3F7O2), 185(C3F7O), 163(C3F5O2), 147(C3F5O), 135(C2F5O), 125(C3F3O2), 119(C2F5), 113(C2F3O), 100(C2F4), 97(C2F3O), 78(C2F2O), 69(CF3), 50(CF2), 47(CFO).
IR : 1320(vs), 1250(vs, br), 1150(vs, br), 1020(m, sh), 1004(m, sh), 918(w), 800(m), 720(m)cm-1.
FNMR데이타는 표 5에 보고하였다.
1,1,3,3-테트라에톡시 프로판의 플루오르화
1.82g의 1,1,3,3-테트라에톡시프로판을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에 사용한 것과 같은 조건을 사용하여 플루오르화시켰다. 분획시킨후 조생성물 2.72g을 회수하였다. GC 분리하여 퍼플루오로 1,1,3,3-테트라에톡시프로판(a), 퍼플루오로-1,1,3-트리에톡시프로판(b), 퍼를루오로-1,3-디에톡시프로판(c) 및 퍼플루오로-1,1-디에톡시프로판(d)를 단리하였다. 수득률은 출발물질 1,1,3,3-테트라에톡시프로판에 기초하여 각각 13.0%, 23.4%, 20.0% 및 9.3%이었다. GC 유지시간은 d<c<b<a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퍼플루오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 bp 143℃.
원소분석 C11F24O4
계산치(%) : C ; 20.26, F ; 69.92.
실측치(%) : C ; 20.04, F ; 69.63.
MS, m/e(단편이온) : 517(C9F19O3, P-OC2F5), 301(C5F11O2), 263(C5F11O2), 263(C5F11O2), 263(C5F9O2), 235(C4F9O), 119(C2F5, 기본피크), 100(C2F4), 97(C2F3O), 69(CF3), 50(CF3).
IR : 1284(s), 1230(vs, br), 1150(vs, br), 1090(vs), 974(m, sh), 835(m), 746(s, sh), 728(s, sh), 704(s, sh)cm-1.
FNMR데이타는 표 5에 보고하였다.
퍼플루오로 -1,1,3-트리에톡시프로판, bp 115℃.
원소분석 C9F20O3
계산치(%) : C ; 20.17, F ; 70.88.
실측치(%) : C ; 19.86, F ; 70.55.
MS, m/e(단편이온) : 401(C7F15O2, P-OC2F5), 301(C5F11O2), 263(C5F9O2), 235(C4F9O), 185(C3F7O), 147(C3F5O), 119(C2F5, 기본피크), 100(C2F4), 97(C2F3O), 69(CF3), 50(CF2), 47(CFO).
IR : 1300(s), 1220(vs, sh), 1135(vs, br), 1090(vs), 980(m, sh), 724(s, sh), 705(s, sh)cm-1.
FNMR데이타는 표 5에 보고하였다.
퍼플루오로 -1,3-디에톡시프로판 bp. 77℃.
원소분석 C7F16O2
계산치(%) : C ; 20.02, F ; 72.37.
실측치(%) : C ; 19.65, F ; 72.17.
MS, m/e(단편이온) : 401(C7F15O2, P-F), 285(C5F11O), 263(C5F9O2), 235(C4F9O), 185(C3F7O), 169(C3F7), 147(C3F5O), 119(C2F5, 기본피크), 100(C2F4), 97(C2F3O), 69(CF3), 50(CF2), 47(CFO).
IR : 1330(s, sh), 1230(vs, sh), 1150(vs, br), 1100(vs, sh), 994(s, sh), 730(s, sh), 718(s, sh)cm-1.
FNMR데이타는 표 5에 보고하였다.
퍼플루오로 -1,1-디에톡시에탄 bp. 53℃.
원소분석 C6F14O2
계산치(%) : C ; 19.48, F ; 71.88.
실측치(%) : C ; 19.20, F ; 71.44.
MS, m/e(단편이온) : 301(C5F11O2, P-CF3), 235(C4F9O), 185(C3F7O), 169(C3F7), 131(3F5), 119(C2F5, 기본피크), 100(C2F4), 97(C2F3O), 69(CF3), 50(CF2), 47(CFO).
IR : 1230(vs), 1195(vs), 1158(vs), 1100(vs, br), (s, sh), 720(s, sh), 694(s, sh)cm-1.
FNMR데이타는 표 5에 보고하였다.
테트라메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플루오르화
테트라메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를 다른 방법으로 반응기 속에 유입시킨다. 저온 반응기의 내부의 첫번째 두 구역에 NaF 및 구리조각의 혼합물을 채우고, 나머지 두 구역을 플루오르화된 구리조각으로 채운다. 테트라메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2.04g)을 증발기 속에 천천히 유입시키고, 구역 2,3,4를 -100℃로 냉각시키면서 60cc/분의 헬륨을 통과시켜 첫번째 구역에서 응축시킨다. 그다음 반응기를 -120℃로 냉각시키고, 표 2에 제시한 조건을 사용하여 플루오르화를 개시한다. 대부분의 생성물들은 진공라인 분리시의 -78℃ 트랩에서 정지한다. 0℃에서 플루오로실리콘 컬럼 위의 최종 정제로 49.5% 수득률에 해당하는 퍼플루오로 테트라메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 2.63g을 얻었다.
퍼플루오로 테트라메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 bp. 20.8℃.
FNMR 스펙트럼은 CFCl3로 부터의 높은 장의 -59.0ppm에서 단일피크를 나타낸다.
MS, m/e(단편이온) : 267(C(OCF3)3), 201(CF(OCF3)2, 기본피크), 113(OCOCF3), 85(OCF3), 47(OCF).
IR : 1170(vs, br), 1050(vs, br), 1010(vs, br), 750(m), 710(m)cm-1.
테트라에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플루오르화
테트라에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1.6g)을 통상의 방법으로 처리하고, -100℃ 내지 실온에서 플루오르화시킨다. 조생성물 2.86g으로 부터 퍼플루오로 테트라에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 2.6g을 단리한다. 수득률은 출발물질 테트라에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에 기초하여 56.5%이다.
퍼플루오로 테트라에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 bp. 80℃.
원소분석 C9F20O4
계산치(%) : C ; 19.58, F ; 68.33.
실측치(%) : C ; 19.33, F ; 69.05.
MS, m/e(단편이온) : 301(CF(OC2F5)2), 163(PCOC2F5), 119(C2F5, 기본피크), 100(C2F4), 97(OC2F3), 69(CF3), 50(CF2).
IR : 1240(vs, br), 1100(vs, br), 80(m), 750(s, sh), 725(s), 675(m)cm-1.
FNMR 스펙트럼은 -88.3ppm(-CF3) 및 -91.0ppm(-CF2-)의 2피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적 비는 2 : 1이다.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플루오르화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토카르보네이트(1.4g)를 -120℃에서 반응을 개시하는 것을 제외하고 테트라에틸 오르토카르보네이트와 유사한 조건을 사용하여 플루오르화시켰다(참고 표 4). 낮은 비점을 갖는 많은 양의 생성물을 진공-라인 분리시에 -131℃로 통과하였다. GC 분석결과 분리할수 없는 많은 성분들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78℃ 분획은 원하는 생성물들을 함유하고 있고, 퍼플루오로 테트라-n-프로필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퍼플루오로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이 0.55g의 양으로 단리되었다. 전체 수득률은 12.8%이다.
퍼플루오로 테트라-n-프로필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퍼플루오로 테트라-이소-프로필 오르토카르보네이트는 실험 GC 조건하에서 분리할수 없다. 즉, 두 화합물은 혼합물 상태로 존재한다. 비점은 130℃ 근처이다.
원소분석 C13F28O4
계산치(%) : C ; 20.76, F ; 70.73.
실측치(%) : C ; 20.97, F ; 70.80.
MS, m/e(단편이온) : 567(C(OC3F7)3), 401(CF(OC3F7)2, 기본 피크), 213(COC3F7), 169(C3F7), 147(OC3F5), 119(C2F5), 100(C2F), 69(CF3), 47(CFO).
(COCF(CF3)2)4의 nmr화학적 이동은 -80.6ppm(-CF3) 및 146.5ppm(-OCF=)이다. C(OCF2CF2CF3)4의 화학적 이동은 -81.8ppm(-CF3), -85.3ppm(-OCF2-) 및 -130.3ppm(-CF2-)이다. 상대적인 강도는 이론적인 값과 일치한다.
[표 1]
Figure kpo00007
[표 2]
Figure kpo00008
[표 3]
Figure kpo00009
[표 4]
Figure kpo00010
[표 5]
Figure kpo00011
이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특정 구현에 대한 많은 균등한 치환을 통상적인 실험을 이용하여 인정하거나 또는 확인할수 있다. 이러한 균등한 치환은 다음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23)

  1. 다음식의 퍼플루오로테트라 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 :
    Figure kpo00012
    상기식에서, Rf1, Rf2, Rf3, 및 Rf4는 같거나 다른 짧은 직쇄 또는 측쇄 퍼플루오로알킬그룹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Rf1, Rf2, Rf3, 및 Rf4가 같거나 다르고, -CF3, -CF2CF3, -CF2CF2CF3, -CF(CF3)2, -CF2CF2CF2CF3, -CF(CF3)CF2CF3, -CF2CF(CF3)2및 -C(3)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퍼플루오로테트라 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
  3. 다음식의 퍼플루오로테트라 알킬오르토카르보네이트 :
    C(ORf)4
    상기식에서, Rf는 -CF3, -CF2CF3, -CF2CF2CF3및 -CF(CF3)2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4. 다음식의 화합물 :
    C(OCF3)4
  5. 다음식의 화합물 :
    C(OCF2CF3)4
  6. 다음식의 화합물 :
    C(OCF2CF2CF3)4
  7. 다음식의 화합물 :
    C(OCF(CF3)2)4
  8. 다음식의 퍼플루오로알콕시 프로판 :
    Figure kpo00013
    상기식에서, Rf1, Rf2, Rf3, 및 Rf4가 같거나 다른 짧은 직쇄 또는 측쇄 퍼플루오로 알킬그룹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Rf1, Rf2, Rf3, 및 Rf4가 같거나 다르고, -CF3, -CF2CF3, -CF2CF2CF3, -CF(CF3)2, -CF2CF2CF2CF3, -CF(CF3)CF2CF3, -CF2CF(CF3)2및 -C(CF3)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퍼플루오로알콕시프로판.
  10. 다음식의 화합물 :
    (RfO)2CFCF2CF(ORf)2
    상기식에서, Rf는 -CF3, -CF2CF3및 -CF2CF2CF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11. 다음식의 화합물 :
    (RfO)2CFCF2CF2ORf
    상기식에서, Rf는 -CF3, -CF2CF3및 -CF2CF2CF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12. 퍼플루오로 -1,1,3,5-테트라알콕시프로판.
  13. 퍼플루오로 1,1,3,3-테트라메톡시프로판.
  14. a.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양과 관련하여 불화수소포착제의 양은 플루오로화반응 동안에 형성된 불화수소와 반응하기 충분한 불소반응기 속에 알킬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불화수소포착제를 가하고 ; 그리고 a. i) 기체혼합물의 불소농도가 예를들면 약 0.5% 내지 약 25%이고,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플루오르화를 허락하는 조건하에서 반응기속에 불소기체 및 불활성기체의 기체혼합물의 흐름을 설정하고 ; ii) 오르토카르보네이트를 플루오르화시키기위해 기체혼합물중의 불소기체의 농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점차로 증가시키고 ; 그리고 c. 플루오르화반응이 원하는 정도로 완결된후, 반응기로부터 플루오르화된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불화수소 포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알킬 오르토카르보네이트를 플루오르화시키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알킬 오르토카르보네이트가 다음식을 갖는 방법 :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1, R2, R3, 및 R4가 같거나 다르고 -CH3, -CH2CH3, -CH2CH2CH3, -CH(CH3)3, -CH2CH2CH2CH3, -CH(CH3)CH2CH3, -CH2CH(CH3)2및 -C(CH3)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16. 제14항에 있어서, 오르토카르보네이트가 퍼플루오르화된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불화수소포착제가 불말 또는 펠릿형태인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불화수소포착제가 불화나트륨 또는 불화칼륨인 방법.
  19. a.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양과 관련하여 불화수소포착제의 양은 플루오르화반응 동안에 형성된 불화수소와 반응기 충분한 불소반응기 속에 알킬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불화수소포착제를 가하고 ; 그리고 a. i) 기체혼합물의 불소농도가 예를들면 약 0.5% 내지 약 25%이고, 오르토카르보네이트의 플루오르화를 허락하는 조건하에서 반응기속에 불소기체 및 불활성기체의 기체혼합물의 흐름을 설정하고 ; ii) 오르토카르보네이트를 플루오르화시키기위해 기체혼합물중의 불소기체의 농도를 유지하거나 또는 점차로 증가시키고 ; 그리고 c. 플루오르화반응이 원하는 정도로 완결된후, 반응기로부터 플루오르화된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불화수소 포착제를 제거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폴리알콕시프로판을 플루오르화시키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폴리알콕시프로판이 다음식을 갖는 방법 :
    Figure kpo00015
    상기식에서, R1, R2, R3, 및 R4가 같거나 다르고 -CH3, -CH2CH3, -CH2CH2CH3, -CH(CH3)2, -CH2CH2CH2CH3, -CH(CH3)CH2CH3, -CH2CH(CH3)2및 -C(CH3)3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21. 제19항에 있어서, 폴리알콕시프로판이 퍼플루오르화된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불화수소포착제가 분말 또는 펠릿의 형태인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불화수소포착제가 불화나트륨 또는 불화칼슘인 방법.
KR1019890700757A 1983-08-28 1988-08-26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콕시프로판의 플루오르화 KR950004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90658 1983-08-28
US9065887A 1987-08-28 1987-08-28
US090,658 1987-08-28
PCT/US1988/002966 WO1989001929A2 (en) 1987-08-28 1988-08-26 Fluorination of orthocarbonates and polyalkoxypropa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523A KR890701523A (ko) 1989-12-20
KR950004893B1 true KR950004893B1 (ko) 1995-05-15

Family

ID=2222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757A KR950004893B1 (ko) 1983-08-28 1988-08-26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콕시프로판의 플루오르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78574A1 (ko)
JP (1) JPH03500172A (ko)
KR (1) KR950004893B1 (ko)
CA (1) CA1325219C (ko)
WO (1) WO198900192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0683A (en) * 1988-09-28 1994-04-05 Exfluor Research Corporation Fluorination of acetals, ketals and orthoesters
US5053536A (en) * 1988-09-28 1991-10-01 Exfluor Research Corporation Fluorination of acetals, ketals and orthoeste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15847A (en) * 1965-10-18 1968-12-10 Minnesota Mining & Mfg Fluorocarbon orthoesters
US4113435A (en) * 1973-07-16 1978-09-1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Cryogenically controlled direct fluorination apparatus
US4755567A (en) * 1985-11-08 1988-07-05 Exfluor Research Corporation Perfluorination of ethers in the presence of hydrogen fluoride scaveng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78574A1 (en) 1990-07-25
WO1989001929A2 (en) 1989-03-09
KR890701523A (ko) 1989-12-20
CA1325219C (en) 1993-12-14
WO1989001929A3 (en) 1989-06-01
JPH03500172A (ja) 199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736B1 (ko) 액상 불소화에 의한 불소 함유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2525426B2 (ja) フルオロ脂肪族エ―テル含有カルボニルフルオリド組成物の製造方法
JP2594798B2 (ja) 元素状ふっ素を用いたふっ素化によるペルフルオ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CA2420574C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inated ketone
JP3078357B2 (ja) ハロゲン化1,3−ジオキソランの製造法および得られる新規生成物
US9783483B2 (en) Process for producing fluorinated compound
JPS6145972B2 (ko)
US3962460A (en) Ether compounds as inhalant anesthetics
CA1281306C (en) Process for the fluorination in liquid phase of unsaturated compounds
RU2252210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vic-дихлорфторангидрида
RU2278854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одержащего атом фтора сульфонилфторид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KR950004893B1 (ko) 오르토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알콕시프로판의 플루오르화
EP0344935A2 (en) Photo-assisted solution phase direct fluorination process improvement
WO1989001928A1 (en) Spherical perfluoroeth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Mohtasham et al. β-Fluorosultones: synthesis, reactivity, structure and uses
CA2150244C (en) Chlorofluoroether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RU2268876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фторированного поливалентного карбониль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EP1602639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perfluorodiacyl fluorides
EP1333020A2 (en) &#34;(PER)Haloethers&#34;
US5075509A (en) Fluorination of orthocarbonates and polyalkoxy propanes
AU621312B2 (en) Fluorination of orthocarbonates and polyalkoxypropanes
EP2643289B1 (en) Process for producing perfluorinated organic compounds
JPWO2002048085A1 (ja) 含フッ素エステル化合物の分解反応生成物の製造方法
JPH0193557A (ja) カルボニルフロライド化合物の製造法
Rutherford Synthesis of perfluorinated ethers by solution phase direct fluorination: an adaptation of the La-Mar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