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316Y1 -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04316Y1 KR950004316Y1 KR92022017U KR920022017U KR950004316Y1 KR 950004316 Y1 KR950004316 Y1 KR 950004316Y1 KR 92022017 U KR92022017 U KR 92022017U KR 920022017 U KR920022017 U KR 920022017U KR 950004316 Y1 KR950004316 Y1 KR 95000431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y tube
- cathode ray
- magnetic field
- pincushion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7—Arrangements intimately associated with parts of the gun and co-operating with external magnetic excitation devi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배럴형의 수직 편향자계와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자계에 의한 자계 분포도이다.
제2도는 셀프컨버전스에 의한 래스터 왜곡의 형태도이다.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의 측면 구조도이다.
제4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에 의한 자계 분포도이다.
이 고안은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의 래스터 왜곡(raster distortion)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강자성체나 강자성 분말 등을 넣어 자화시킨 편향요크(Deflection Yoke, DY) 고정용 쐐기를 이용하여 핀쿠션형(pincushion)의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함으로써 셀프컨버전스(self-convergence)에 의한 래스터 왜곡을 제거시킨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수상관에 있어서는 전자총으로부터 개개로 방사된 3개의 전자빔을 집속시킨 뒤에 편향요크를 이용하여 편향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새도우 마스크(shadow mask)의 구멍의 한점에서 컨버전스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만약에 3개의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의 구멍의 한점에서 컨버전스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3개의 전자빔이 각각 대응하는 색의 형광체에 닿지 않고 다른색의 형광체에 닿아서 발광하게 되는 미스컨버전스가 발생한다.
따라서 컬러 수상관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미스컨버전스에 의해 발생되는 화면상의 색 무늬를 제거하기 위해, 색순화 자석에 의한 자계를 외부에서 가함으로써 화면 중심부의 전자빔의 궤도를 보정하여 새도우 마스크 위에서 3개의 전자빔을 컨버전스시키는 정 컨버전스 조정을 하고 있다.
그러나 색순화 자석에 의해 화면 중심부에서 3개의 전자빔을 컨버전스시켜도 화면의 주변부에서는 3개의 전자빔이 컨버전스되지 않는데, 이것은 컬러 수상관의 관면이 거의 평면으로 되어 곡률이 작은데 반해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된 3개의 전자빔에 의한 컨버전스 반경면은 곡률이 커서 컬러 수상관의 관면과 3개의 전자빔에 의한 컨버전스 반경면이 서로 일치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3개의 전자빔의 편향 중심에서 새도우 마스크까지의 거리가 화면의 중심부와 주변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화면의 중심부에서는 3개의 전자빔이 컨버전스되어도 화면의 주변부에서는 서로 분산되어 각각 다른 새도우 마스크의 구멍을 통과해 다른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써 색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편향각이 크고 곡률이 클수록 현저하게 발생한다.
이 때문에 인라인형 3 전자빔 컬러 수상관에 있어서는 화면의 중심부나 주변부에서 3개의 전자빔이 새도우 마스크 위에 양호하게 컨버전스되도록 하기 위하여, 편향요크의 수평 편향자계를 핀쿠션형으로 하면서 또한 수직편향자계는 배럴(barrel)형으로 하는 불균일한 자장 분포를 이용한 편향요크를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컨버전스 특성을 가진 화상을 재현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방식을 셀프컨버전스 방식이라 한다.
상기한 셀프컨버전스 방식에 의해서, 수직 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되는 배럴형의 수직 편향자계와 수평 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되는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자계가 분포되어 있는 모습이 제1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는 배럴형의 수직 편향자계와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자계에 의한 자계분포도이다.
이러한 셀프컨버전스 방식은 1972년에 RAC에 의해 발표되어 현재에까지 이르고 있다. 수평 편향자계를 핀쿠션형으로 하고 수직 편향자계를 배럴형으로 하는 불균일한 자계를 이용함으로서 측면에 위치하는 전자빔의 래스터는 대략 일치시킬 수가 있다.
그렇지만 위와 같은 불균일한 편향자계를 이용한 셀프컨버전스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양호한 컨버전스 효과를 얻을 수는 있어도, 인라인형의 3개의 전자빔에서 측면의 전자빔에 의한 래스터와 가운데의 잔자빔에 의한 래스터를 완전히 일치시킬 수는 없다. 즉 인라인형의 3개의 전자빔중에서 가운데 위치하는 전자빔의 래스터가 측면에 위치하는 전자빔의 래스터보다 작게 됨으로써 래스터의 좌우가 핀쿠션형으로 되는 왜곡이 발생한다.
셀프컨버전스 방식에 의해 음극선관의 스크린 좌우측에 형성되는 핀쿠션형의 래스터 왜곡이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는 셀프컨버전스에 의한 래스터 왜곡의 형태도이다.
이러한 핀쿠션형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서, 편향요크의 수직 편향코일의 누설 자계를 자성체를 사용하여 편향요크의 전면부로 도입함으로써 전면부에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기술이 일본국 특허 공고번호 소57-33542호(공고일 : 서기 1982년 7월 29일)의 "편향장치"에서 개시된 바 있다.
상기한 종래의 "편향장치"는 편향요크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돌출부를 이용하여 수직 편향코일로부터 발생되는 누설자계를 스크린의 전면부로 도입하여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함으로써 셀프컨버전스에 의한 래스터 왜곡을 감소시키는 동작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편향장치"는, 편향요크의 측면에 돌출부를 장착함으로써 제품의 생산하는 경우에 제품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고 또한 제품의 설계시에도 편향요크의 측면에 돌출부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극선관과 편향요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쐐기의 내부에 자화된 강자성체나 강자성 분말을 봉입함으로써 쐐기가 자성체의 성질을 갖도록 한 뒤에, 이와 같이 자화된 쐐기를 이용하여 음극선관 스크린의 전면부에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자계 발생시킴으로써 셀프컨버전스에 의해 스크린에 나타나는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는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전자총으로 방사되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재현시키는 음극선관과 ;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와 ; 음극선관의 스크린의 네 귀퉁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음극선관과 편향요크를 고정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음극선관의 전면부에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자성체 쐐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의 측면 구조도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의 구성은, 음극선관(1)과, 상기한 음극선관(1)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요크(2)와, 음극선관(1)의 스크린의 네 귀퉁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음극선관(1)과 편향요크(2)를 고정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음극선관(1)의 전면부에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자성체 쐐기(3)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음극선관(1)의 네크부에 편향요크(2)를 장착시킨 뒤에, 음극선관(1)과 편향요크(3)를 반 영구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음극선관(1)과 편향요크(3) 사이에 자성체 쐐기(3)가 장착된다.
상기한 자성체 쐐기(3)는 연한 재질로 되어 있는 것으로서, 내부에 규소강판과 같은 강자성체나 강자성 분말등이 자화되어 봉입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화된 강자성체나 강자성 분말이 들어있는 자성체쐐기(3)는 음극선관과 편향요크(3)를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자석으로서 자계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 자성체가 들어 있는 쐐기(3)를, 서로 대응되는 극성을 갖도록 음극선관(1)의 스크린의 네 귀퉁이에 위치시키면 서로 대응되는 자성체 쐬기(3)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에 의해 음극선관(1)의 전면부에 핀쿠션형의 자계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1)의 스크린의 네 귀퉁이에 극성이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쇄기(3)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의 분포를 제4도에 도시하였다. 제4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에 의한 자계 분포도이다.
제4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단에 위치한 쐐기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위치한 쐐기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자계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로부터 발생되는 핀쿠션형의 자계에 의해 음극선관(1)의 스크린의 래스터는 위쪽(Fz)과 안쪽(Fx)으로 힘을 받으며, 하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로부터 발생되는 핀쿠션형의 자계에 의해 음극선관(1)의 스크린의 래스터는 아래쪽(Fz)과 안쪽(Fx)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래스터의 왜곡이 보정된다.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수직편향자계가 형성되고, 하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자계가 형성되는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으나 이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가 형성되고, 하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에 의해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자계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로부터 발생되는 핀쿠션형의 자계에 의해 음극선관(1)의 스크린의 래스터는 아래쪽(Fz)과 바같쪽(Fx)으로 힘을 받으며, 하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로부터 발생되는 핀쿠션형의 자계에 의해 음극선관(1)의 스크린의 래스터는 위쪽(Fz)과 바깥쪽(Fx)으로 힘을 받음으로써 래스터의 왜곡이 보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서, 음극선관의 편향요크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쐐기의 내부에 자화된 강자성체나 강자성분말을 봉입함으로써 쐐기가 자성체의 성질을 갖도록 한 뒤에, 이와 같이 자화된 쐐기를 이용하여 음극선관 스크린의 전면부에 핀쿠션형의 수평 편향자계 발생시킴으로써 셀프컨버전스에 의해 스크린에 나타나는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는 효과를 가진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 고안의 이러한 효과는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
- 전자총으로 방사되는 전자빔을 이용하여 스크린에 영상을 재현시키는 음극선관(1)과 ; 음극선관(1)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방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2)와 ; 음극선관(2)의 스크린의 네 귀퉁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음극선관(2)과 편향요크(2)를 고정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상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에 의해 음극선관(1)의 전면부에 우측에서 좌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가 형성되고 하단에 위치한 자성체 쐐기에 의해 좌측에서 우측으로 향하는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가 형성되거나, 이와는 반대 방향으로 핀쿠션형의 수직 편향자계를 형성하는 자성체 쐐기(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2017U KR950004316Y1 (ko) | 1992-11-10 | 1992-11-10 |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92022017U KR950004316Y1 (ko) | 1992-11-10 | 1992-11-10 |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3632U KR940013632U (ko) | 1994-06-25 |
KR950004316Y1 true KR950004316Y1 (ko) | 1995-05-24 |
Family
ID=1934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92022017U KR950004316Y1 (ko) | 1992-11-10 | 1992-11-10 |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50004316Y1 (ko) |
-
1992
- 1992-11-10 KR KR92022017U patent/KR95000431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13632U (ko) | 1994-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319163A (en) | Electron gun with deflection-synchronized astigmatic screen grid means | |
US3800176A (en) |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 |
US4257024A (en) |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 |
KR950004316Y1 (ko) | 음극선관의 래스터 왜곡 보정장치 | |
US3354336A (en) | Ring magnetized across thickness with two diametrically opposed and oppositely oriented groups of magnetic pole pairs | |
US4881015A (en) | Color cathode-ray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deflection unit | |
US6388368B2 (en) |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 |
US3763452A (en) | Color television picture tube apparatus | |
US3840765A (en) | Shielding member between only the control and side beams in a color cathode ray tube | |
US3892996A (en) | Self-converging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 |
US4983995A (en) | Exposure device for forming phosphor deposited screen in in-line cathode ray tube | |
EP0160970A2 (en) | Color picture tube device | |
US4723094A (en) | Color picture device having magnetic pole pieces | |
US3453472A (en) | Convergence apparatus for multi-gun cathode ray tubes | |
JPH05252525A (ja) | 偏向ヨーク装置 | |
KR100310648B1 (ko) | 비디오표시장치 | |
US6534935B1 (en) | Color CRT apparatus | |
US7629754B2 (en) |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 |
KR100759405B1 (ko) |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 |
KR950005808B1 (ko)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
KR100356297B1 (ko) | 편향요크 | |
KR100459994B1 (ko) | 편향 요크 | |
KR20010084389A (ko) | 편향요크 | |
JPH04289637A (ja) | ブラウン管 | |
JP3015471B2 (ja) | カラー受像管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