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155B1 - 포장용 다층 필름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 Google Patents

포장용 다층 필름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155B1
KR950004155B1 KR1019860010146A KR860010146A KR950004155B1 KR 950004155 B1 KR950004155 B1 KR 950004155B1 KR 1019860010146 A KR1019860010146 A KR 1019860010146A KR 860010146 A KR860010146 A KR 860010146A KR 950004155 B1 KR950004155 B1 KR 950004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ultilayer film
package
minutes
treated u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889A (ko
Inventor
엘리자베스 라니어 진
루이스 스미스 스티븐
폴 게르케 러셀
쥬니어 리챠드 유진 죤슨
Original Assignee
아메리칸 내쇼날 캔 캄파니
로버트 에이. 스텐젤
켄달 멕거 러버러터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월터 왈레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566416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500041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메리칸 내쇼날 캔 캄파니, 로버트 에이. 스텐젤, 켄달 멕거 러버러터리스, 인코포레이티드, 월터 왈레취 filed Critical 아메리칸 내쇼날 캔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4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32B2309/025Temperature vs time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24Graft or block copolymers according to groups C08L51/00, C08L53/00 or C08L55/02;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포장용 다층 필름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제1도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다층 필름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개방 포장의 사시도이며,
제3도는 본 발명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폐쇄 및 밀봉 포장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내용물의 탁월한 투시도가 요구되는 밀봉된 유연성 주머니(pouch) 또는 백(bag)내에 액체를 포장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포장의 특별한 실용성은 의료행위에 사용되는 분말, 액체 및 용액을 포장하는 이의 용도에 있다.포장 재료는 모든 밀봉을 포함하여 오염 현상이나 액체 제품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인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포장 재료는 액체 제품의 관찰을 위하여 뛰어난 투명성을 가져야한다. 포장 재료는 습기증기의 투과에 대한 내성을 제공해야 한다. 포장 재료는 균열 또는 응력 균열이 발샘됨이 없이 고도로 유연해야한다. 또한, 포장 재료는 연마, 충격 또는 관통등의 부적절한 사용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서, 일부 의료용 액체 및 용액은 약 250℉ 이하의 고온에서 가공하기 때문에, 포장 재료는 이러한 가공 온도를 악영향 없이 견딜수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의료 용도의 액체 및 용액은 다소 성공적으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부터 제조된 백 및 유리명에 포장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 재료는 특히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내성, 습기차단 및 유연성에 있어 다소 미흡한 경향이 있다. 그러나, 더 나은 포장 재료가 없었으므로, PVC와 유리가 계속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장에 사용되는 개선된 다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및 용액의 포장에 유용한 개선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가공에 대하여 높은 내성을 가지며 연마, 충격 및 관통등의 부적절한 사용에 대하여 탁월한 내성을 나타내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하나의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가공 및 부적절한 취급 또는 다른 사용 조건에 놓여질 수 있는 액체 및 용액을 포함하는데 유용한,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개선된 포장을 세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약 250℉이하의 고온에서 약 30분 이하의 시간동안 가공된, 개선된 폐쇄 및 밀봉 포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포장은 이러한 가공에 의하여 허용될 수 없을 정도의 악영향을 받아서는 아니되며, 투명도, 유연도 및 결합도 등에 관한 이의 탁월한 특성을 보유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장"이라는 용어는 주머니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용기를 의미한다.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서 성취된다. 제1층은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내성을 갖는 물질,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 그룹을 함유하는 물질, 예를들어 폴리에스데르[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폴리부딜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및 코폴리에스테르[예 글리콜-개질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G) 및 PCCE 9967]로부더 제조된다. 이후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같은 에스테르-함유 물질을 "EGM's"로 표기한다. 다른 태양으로서, 제1층의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공중합체(PEBA)일 수 있다. 제2밀봉층(sealant layer)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의 제1성분과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SEBS)의 제2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갖는다. 제3접착층은 언급된 제1 및 제2층 사이에 위치하여 면과 면이 접촉하도록 부착된다. 제1층이 EGM인 경우, 바람직한 접착제는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터렌 공중합체이다. 제1층의 조성물이 PEBA인 경우, 다른 바람직한 접착제는 카복시-개질된 올레핀(여기서, 올레핀은 폴리프로필렌일 수 있다)인데, 그 이유는 카복시-개질된 접착제가 SEBS보다 더 높은 수준의 접착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카복시-개질된 폴리프로필렌 접착제에서. 카복시 개질물은 유기산 무수물이다.
고온 내성과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내성의 특성들의 조합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제2층의 조성물은 약 40내지 약 90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과 약 60 내지 약 10중량%의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와의 브렌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은, 포장 및 주머니의 제조, 특히 포장의 제조 및 폐쇄에 열 밀봉방법을 사용하는 포장등의 제조에 유용하다. 이들 포장은, 제2층에서 다량의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기 때문에, 고온가공 특히 약250℉이하에서 약 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30분 이상의 고온 가공처리에 견딜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도면에 알기쉽게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전체 다층 필를은 10으로 표시되어 있다. 층 12의 조성물은 폴리프로필렌과 SEBS의 배합물이다. 층 14는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내성을 갖는 중합체 조성물이다. 층 16은 층 12와 14를 양호한 접착력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접착제 물질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주머니-형 포장을 도시한 것이다. 포장은, 우선 층 12가 서로 마주보도록 필름 10을 대면 관계로 만를고, 이어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대면하는 필름의 공통외주부 28에서 밀봉을 제조하고 한 측면을 개방 상태로 남겨둠으로써 제조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층 12는 포장의 내부 표면을 형성하고 층 14는 포장의 외부표면을 형성한다.
제3도의 폐쇄된 포장은 최종 밀봉 28A를 만든 후의 본 발명 포장을 도시한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중첩 단부를 따라 종방향 밀봉을 하여 시이트를 튜브로 성형하고, 횡방향 밀봉을 튜브의 너비에 대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방법들은 모두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인용되는 미합중국특허 제4,521,437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은 특히 수직 성형, 충진 및 밀봉 기계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본 발명 필름 및 포장의 기능은, 각층이 이의 기능을 발휘하는 능력 및 결합된 층이 함께 작용하는 능력에 좌우된다.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층 12는 주로 열 밀봉층의 기능을 한다. 다시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층 14의 주요기능은 연마, 절단 및 천공등의 포장표면에서의 외부적으로 부적절한 사용으로부터 포장을 보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층 16의 주요 기능은 층 12와 14를 함께 결합시키는 접착제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이들 층의 결합 효과는 외부적으로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강한내성, 높은 가공온도에 대한 내성, 양호한 층간 접착력에 의해 제공된 양호한 일체성, 및 프장으로 제조할 경우의 강한 열 밀봉력을 갖는 다층필름이다 더 나아가서, 제1층에 코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태양들은 개선된 투명도를 갖는다.
강한 열 밀봉을 성취하기에 바람직한 층 12의 최소 두께는 약 1밀이며,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최소 두께이다. 약 10밀 이하의 보다 두꺼운 열 밀봉층은 통상 더욱 효과적인 열밀봉재의 사용을 제공하는데, 이는일반적으로 바람직한 최대 두께이다. 층 12는 보다 더 두꺼울 수 있고 이것도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지만, 추가의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수득되는 이익은 통상적으로 찾아블 수 없으며, 더 큰 두께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폴리프로필렌은 강한 열 밀봉을 형성하는 원인이 되는 특성들의 조합으로 인하여 층 12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습기 증가 투과에 기여하고, 약 250℉ 이하에서 약 30분 이하의 시간동안 수행되는 증류 가공에서와 같이 포장이 처리될 수 있는 고온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폴리프로필렌의 이러한 특성들은 이의 용도에 유리하고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이의 취성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언급된 취성은 포장이 고온 가공에 놓여지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며, SEBS가 혼연되어 있지 않은 폴리프로펄렌층을 갖는 포장은 고온 가공후에 증가된 취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은 포장 조성물에서 그정도로 중요한 부분으로 존재하기 때문에폴리프로필렌의 취성은 포장의 전체 취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물론, 포장의 전체 취성은 개개층의 취성, 접착면의 결합강도, 인접층의 탄성율, 및 이들의 물리적 충격 흡수 및 소멸 능력과 어느 하나의 층의 압도적인 취성의 복합적인 특성이다. 포장의 복합취성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응력 또는 충격을 가한후 파열된 충진 및 밀봉된 포장의 분율로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 포장에서 폴리프로필렌의 취성문제를 극복하는데 있어서는 다수의 인자가 함께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 목적의 성취에 중요한 것을 층 12 조성물에 탄성 SEBS 중합체를 혼입시키는 것이다.
포장의 취성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층 12의 취성을 조절하는데 있어서의 다른 인자는 층 12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선택이다. 모든 폴리프로필렌을 블렌드의 제l성분으로서 사용할 수는 있지만, 약 2내지 약 8몰%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공중합체 상태의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는 단독중합체에비하여 폴리프로필렌중에서 최소 수준의 추가 탄성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이라는 용어는 별도로 명시하지 않는 한 단독중합체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폴리프로필렌이 단독중합체이거나 공중합체이거나간에, 또한 증류가공되거나 되지 않거나간에, 이의 탄성은 SEBS 성분의 혼입에의하여 실질적으로 증진된다. SEBS의 혼입이 없을 경우, 폴리프로필렌은 단독궁합체이거나 공중합체이거나 간에 적어도 어느정도의 취성을 가지며, 공중합체가 함유된 층 12를 갖는 본 발명의 필름에서 성공적인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실질적으로 모든 량의 SEBS를 층 12조성물에 혼입시킬 경우 다소 잇점이 있기는 하지만, 층 12 조성물에서 약 2중량% SEBS의 농도에서 3층 필름의 개선된 성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약 90% 이하의 SEBS를층 12 조성물에 사용할 수는 있지만, SEBS가 약 10 내지 약 35%의 양으로 층 12중에 존재할 경우에 각 특성들의 가장 바람직한 균형이 수득된다.
본 발명의 층 14에 유용한 PEBA 공중합체는 중합체쇄에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테르 잔기의 블럭(bIock)을 함유한다. 이러한 중합체의 일반식은 다음과 같다 :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PA는 폴리아미드이고, PE는 폴리에테르이다.
폴리아미드 성분은 모든 통상의 폴리아미드, 예를들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66, 나일론 6/36, 나일론 11 및 나일론 12일 수 있다. 폴리에테르 성분은 필수적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 폴러옥시프로필렌 및 폴리옥시테트라베틸렌 중에서 선택된다. 공지된 PEBA's의 융점은 약 248°내지 약402℉이며, 쇼어 경도는 약 25D 내지 약 63D이다. 바람직한 PEBA's는 PEBAX의 상표로 시판된다[제조원 Ato Chemie] 언급된 수지로서 대표적인 것은, 약 334℉의 융점과 약 40D의 쇼어 경도를 갖는 PEBAX 4033이다. 다른 시판되는 공지의 PEBA's는 PEBAX 55l2 및 PEl3AX 3533이다. PEBAX 5512는약 383℉의 융점과 약 55D의 쇼어 경도를 갖는다. PEBAX 3533은 약 306℉의 융점과 약 35D의 쇼어 경도를 갖는다.
선택된 PEBA는 이것이 예상 수명중에 노출되게 되는 최대 온도 이상의 연화점을 가지야 한다. 즉, 필름이 약 250℉의 증류가공으로 처리되는 경우, 선택된 PEBA는 약 250℉ 이상의 연화점을 가져야 한다.
전술된 바와같이, 층 14용으로 매우 바람직한 조성물은 EGNI 및 특히 연질 코폴리에스테로이다. 연질의 물질일수륵 층 14에 사용하기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필름이 더욱 유연하기 때문이다. 매우 바람직하고 보다 연질이며 특히 투명도가 높은 코폴리에스네르는 Eastman PCCE 9967이라는 상표로시판되는 것이다[제조원 ' New York, Rochester 소재의 Eastmann Kodak Compan기. PCCE 9967은 글리콜-개질된 시클로 헥산디메탄올시클로헥산디카복실레이트이다. 층 14는 PC를 함유할 수도 있다.
주어진 수준의 성능에 관하여 다층 필름의 전체 성능 특히 충격에 관한 수개의 층의 상호 의존성으로 인하여, 층 14에 사용하기 위한 특정 물질의 선택은 밀봉층 12의 조성에 다소 의존한다. 단독중합체보다는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밀봉층 12는 높은 수준의 탄성을 가지며, 보다 경질의 따라서 보다 강인한 재료를 층 14에 사용할 수 있다. 층 l2가 낮은 수순의 탄성을 갖는 경우, 층 14 조성물용으로 선택된 물질은 연질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층 l4의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내성이 감소되어 다층 필름에 관하여는 다소 추가된 탄성을 수득한다. 이와같이 함으로써, 층 12와 14의 조성물을 이의 특성들이 서로 보상되도록 어느정도 조절하면서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결과을 수득할 수 있다.
접착층 16에 사용된 대표적인 물질은 Plexars[제조원 Norchem], CXA's[제조원:DuPont] 및 Admer계열[제조원;Mitsui Petrochemical]의 상표로서 시판되는 카복시-개질된 중합체이다. 층 12가 큰 비율의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층 14가 PEBA인 경우, 층 16에 사용하기 적합한 물질은 Admer QF-500, QF-550 및 QF-551등의 카복시 개질된 폴리프로필렌이다. 층 14가 EGM인 경우, 층 16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물질은 SEBS이다. 적절한 접착력을 수득할 수 있다면, SEBS는 일반적으로 이것이 음식 및 약물의조절 장치에 보다 적합하기 때문에 카복시-개질된 중합체보다 바람직하다. 층 16에 사용하기 위한 접착성중합체의 선택은, 층 16이 증류후에 다층 필름대의 층 12와 14에 양호하게 부착되어야 한다는 기능적 요건에 의해서만 제한을 받는다.
본 발명 필름의 3개의 층의 총두께는 일반적으로 약 1.5 내지 약 20밀의 범위이며, 바람직한 범위는 약 6내지 약 12밀이다. 약 1.5밀의 하한에서, 층 12는 통상적으로 약 1밀의 최소 유효두께를 갖는다. 층 14는약 0.4밀인데, 이러한 두께는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내성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의 유효두께이나 약 0.1밀에서 층 16은 연속층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두껍다.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최소한의 내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에는 약 1.5밀의 필름 두께가 사용될 수 있지만, 보다 높은 수준의 강도가 통상적으로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범위의 상한을 조파하는 약 20밀 이상의 두께를 갖는 필름은 총 필름 두께로 인하여 덜 유연하며,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필름은 약 6 내지 약 12밀, 특히 약 8밀의 두께를 갖는 것이다.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3층복합물의 총두께에 대한 각 층들의 바람직한 비율은 약 60 내지 약 85%의 층 12, 약 5 내지 약 30%의 층14, 및 약 10%의 층 16이다. 매우 바람직한 필름은 PPE와 SEBS의 블렌드인 층 12가 약 77%, 코폴리 에스테르인 층 14가 약 l3% 그리고 SEBS인 층 16이 약 10%인 것이다.
(실시예 1)
층 12에 사용하기 위한 조성물은 약 80%의 폴리프로필렌과 약 20%의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층 14용으로 선택된 조성물은 PEBAX 4033이다. 층 16용으로 선택된 조성물은 AdmerQF-550이다. 3개의 압출기 및 다층 결합용 슬릿 다이를 사용하여 상기 물질들을 공압출함으로써 제1도에 도시된 3층 필름을 제조한다. 다이에서의 토출량은 전체 층 비율이 약 70%의 층 12, 약 20%의 층 14 및 약 10%의 층 16이 되도록 조절한다. 필름의 총 두께는 약 10밀이다.
(실시예 2)
Admer QF-550 대신에 Admer QF--55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3층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3)
층 비율이 약 80%의 총 12, 약 10의 층 14 및 약 10%의 층 16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게 3층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4)
필름의 총 두께가 약 8밀이고 층 비율이 약 77 5%의 층 12, 약 12.5%의 층 14 및 약 10%의 층 16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게 3층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5)
필름의 총두께가 약 8밀이고 층 비율이 약 65%의 층 12, 약 25%의 층 14 및 약 10%의 층 16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하게 3층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6)
PEBAX 4033 대신에 PEBAX 5512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3층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7)
Admer QF-550 대신에 SEBS를 층 16에 사용하는 것을 제의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3층 필름을 제조한다.
(실시예 8)
층 14에서 PEBAX 4033 대신에 PCCE 9967을 사용하고 층 16에서 Admer QF-550 대신에 SEBS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약 77.5%의 층 12, 약 l2.5%의 층 14 및 약 10%의 층16의 층 비율을 갖는 3층 필름을 제조한다. 필름의 총두께는 약 8밀이었다.
실시예 1 내지 8에서 제조된 필름을 열 밀봉 주머니로 만든다. 제조된 주머니 모두는 양호한 투명도, 강도, 부적절한 사용 및 충격에 대한 내성, 및 약 250℉에서 약 30분간에 걸친 고온 가공에 대한 내성을 갖는다. PCCE 9967을 사용한 실시예 8의 주머니가 가장 양호한 투명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3층 필름에는 추가의 층들을 추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필름에 추가적인 또는 개선된 기능 특성들을 부여하거나 필름을 다른 용도에 적합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요한 충격 및 부적절한 사용에 대한 내성은 물론이고 고온 가공에 대한 내성의 조합을 갖는다. 층 필름 또는 포장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필름과 포장은 양호한 열 밀봉 적성, 탁월한 투명도 및 습기증기투과에 대한 양호한 차단력을 나타낸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포장은 외부환경에 의한 오염이나 부적절한 사용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는 액체 제품을 포장하는 용도로 뛰어나며, 특히 의료용 용액을 포장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33)

  1. (a)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테르 블럭 아미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제1층, (b) 폴리프로필렌 중압체 및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제2밀봉층, 및 (c)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위치하여 제1층과 제2층을 양호한 접착력으로 접착시키는,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인 제3접착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층이 올리에스네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중합체인 다층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제1층이 폴티에테르 블릭 아미드 공중합체인 다층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제1층이 글리클-개질된 시클로헥산 디메탄올시클로헥산디카복실레이트인 다층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밀봉층이 약 40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프로필렌과 약 60 내지 약 10중량%의 스티렌 에틴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6. 제 1 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7. 제 2 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8. 제 3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9. 제 4 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10. 제 5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11. 제 6 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12. 제 7 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13. 제 8 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14. 제 9 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의 가공 조전하에 처리한 포장.
  15. 제10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16. 제 6 항, 7항, 10항, 11항, 12항 및 15항중 어느 한 항에있어서, 액체와 분말을 포함하는 의료용제품을 함유하는데 적합화시킨 포장.
  17. 제 1 항, 2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제3접착층이 제1층 및 제2층을 표면-대-표면으로 접촉시키는다층 필름.
  18. 제17항의 다층 필름으로 제조된 포장.
  19. 제18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시간 동안의 가공 소건하에 처리한 포장.
  20. 제19항에 있어서, 액체와 분말을 포함하는 의료용 생성물을 함유하는데 적합화시킨 포장.
  21. (a) 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테트 블럭 아미드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제1층, (b) 1) 제1성분으로 폴리프로필렌 및 11가 제2성분으로서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제2밀봉층; 및 (c) 카복시-개질된 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위치하여 제1층과 표면-대-표면 접촉으로 제1층을 제2층에 접착시키는 제3접착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22. (a)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제1층, (b) 제2밀봉층, 및(c) 카복시-개질된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며 제1층과 제2층 사이에 위치하여 제1층과 표면-대-표면접촉으로 제1층을 제2층에 접착시키는 제3접착층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23. 제22항에 있어서, 제 1층이 코폴리에스테르인 글리쿨-개질된 시클로헥산디메탄올시클로헥산더카복실레이트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
  24. 제21항에 있이서, 제 2 밀봉층이 약 40 내지 약 90중량%의 폴리프로필렌 및 약 60 내지 약 10중량%의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 공중합체의 배합물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
  25. 제21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26. 제22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27. 제23항의 다층 필름으로부러 제조된 포장.
  28. 제24항의 다층 필름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29. 제25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30. 제26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31. 제27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32. 제28항에 있어서, 약 250℉에서 약 10분 이상의 가공 조건하에 처리한 포장.
  33. 제25항 내지 제3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와 분말을 포함하는 의료용 생성물을 함유하는데 적합화시킨 포장.
KR1019860010146A 1985-11-29 1986-11-29 포장용 다층 필름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KR950004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287685A 1985-11-29 1985-11-29
US802,876 1985-11-29
US802.876 1985-11-29
BR8700244A BR8700244A (pt) 1985-11-29 1987-01-21 Pelicula de multiplas camadas e embalagem feita a partir da mesm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889A KR870004889A (ko) 1987-06-02
KR950004155B1 true KR950004155B1 (ko) 1995-04-27

Family

ID=2566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146A KR950004155B1 (ko) 1985-11-29 1986-11-29 포장용 다층 필름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0228819B1 (ko)
JP (1) JPH0643122B2 (ko)
KR (1) KR950004155B1 (ko)
AU (1) AU594396B2 (ko)
BR (1) BR8700244A (ko)
CA (1) CA1265035A (ko)
EG (1) EG17866A (ko)
ES (1) ES2013250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697A (en) * 1985-11-29 1988-10-18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Polymeric films
AU605115B2 (en) * 1985-11-29 1991-01-10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Films of polypropylene blends and polyethylene blends and articles made therewith
JPS63251234A (ja) * 1987-04-07 1988-10-18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錠剤包装材料
CH675559A5 (ko) * 1988-07-29 1990-10-15 Vifor Sa
CA1332265C (en) * 1989-03-14 1994-10-11 Walter Berndt Mueller Impact modified medical film
US5139831A (en) * 1990-03-02 1992-08-18 W. R. Grace & Co.-Conn. Impact modified medical film with ph control
CA2047148C (en) * 1990-07-25 2000-07-04 Walter B. Mueller High melt flow polypropylene medical film
JP2552946B2 (ja) * 1990-08-20 1996-11-13 呉羽化学工業株式会社 2軸延伸積層フィルム
CA2063868C (en) * 1991-03-25 2002-11-12 Walter Berndt Mueller Nylon copolymer medical film
SE9602818D0 (sv) * 1996-07-19 1996-07-19 Pharmacia & Upjohn Ab Colored composition
FR2781496B1 (fr) * 1998-07-21 2002-04-05 Rapid Sa Composition thermocollante, utilisation de celle-ci et bouchon d'obturation fabrique a partir de cette composition
EP1621178A1 (en) 2004-07-29 2006-02-01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Flexible multi-chamber container for the preparation of medical mixed solutions
EP1621177A1 (en) 2004-07-29 2006-02-01 Fresenius Kabi Deutschland GmbH Medical container with improved peelable seal
KR101254967B1 (ko) * 2006-12-22 2013-04-17 한국전력공사 Mcfc 구성요소용 그린 시트의 장기 보관을 위한 이중필름 및 보관방법
DE102008057822B4 (de) 2008-11-18 2011-03-31 HSG-IMIT-Institut für Mikro- und Informationstechnik der Hahn-Schickard-Gesellschaft für angewandte Forschung e.V.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und dermalen Verabreichung einer Substanz
JP6390128B2 (ja) * 2014-03-15 2018-09-19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ヒートシール性多層フィルムおよび易開封性医療用包装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29791B2 (de) * 1963-09-12 1973-01-25 Papierwerke Waldhof-Aschaffenburg AG., 8000 München Verpackungsmaterial mit hohen stabilitaets- und dichtigkeitseigenschaften
US4686125A (en) * 1984-09-28 1987-08-1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Film laminate for sterile flexible containers
AU627689B2 (en) * 1985-10-02 1992-09-03 Robert Archibald Donald Improved aseptic pack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577186A (en) 1987-06-04
BR8700244A (pt) 1988-08-02
AU594396B2 (en) 1990-03-08
EG17866A (en) 1991-08-30
CA1265035A (en) 1990-01-30
JPS62183343A (ja) 1987-08-11
EP0228819B1 (en) 1990-01-03
KR870004889A (ko) 1987-06-02
ES2013250B3 (es) 1990-05-01
EP0228819A1 (en) 1987-07-15
JPH0643122B2 (ja) 1994-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3102A (en) Multiple layer packaging films and packages formed therefrom
US4910085A (en) Multiple layer packaging films and packages formed thereof
KR950004155B1 (ko) 포장용 다층 필름 및 이것으로부터 제조된 포장
CA1336572C (en) Films of polypropylene blends and polyethylene blends and articles made therewith
EP0229475B1 (en) Multiple layer polymeric films and flexible containers made therefrom
US4509197A (en) Window bag for liquids
US4407874A (en) Sterilizable flexible packaging structure
US4599276A (en) Heat-sterilizable laminate films
EP0102738A1 (en) Laminated multiple layer flexible packaging structures and packages such as pouches made therefrom
US4424256A (en) Retortable foil-based packaging structure
EP0276908A1 (en) Retort pouch and coextruded film therefor
JPS62151436A (ja) 重合体ブレンド組成物及びそのフイルム
CN110475722B (zh) 具有蒸煮冲击恢复性的膜
US4547427A (en) Multilayer, sterilizable deep-drawing film
EP1311391B1 (en) Heat sealing polyolefins
JPH06286087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容器
DK163220B (da) Flerlagsfolie til fremstilling af mekanisk og termisk modstandsdygtig emballage til vaesker og emballage fremstillet herudfra
JPH09176336A (ja) イージーピールシール用フィルムおよび容器
EP0919365B1 (en) Composite sheet and sealed container
EP0358465A2 (en) Food package, retort lidding, and coextruded film therefore
AU605115B2 (en) Films of polypropylene blends and polyethylene blends and articles made therewith
CA1336672C (en) Multiple layer packaging sheet material
JP3167666B2 (ja) 複合シート及び密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