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060Y1 - 파워 조절회로 - Google Patents

파워 조절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060Y1
KR950004060Y1 KR92021801U KR920021801U KR950004060Y1 KR 950004060 Y1 KR950004060 Y1 KR 950004060Y1 KR 92021801 U KR92021801 U KR 92021801U KR 920021801 U KR920021801 U KR 920021801U KR 950004060 Y1 KR950004060 Y1 KR 9500040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power
unit
inverter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218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083U (ko
Inventor
김계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218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060Y1/ko
Publication of KR9400140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0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0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66Regulating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워 조절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파워 조절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마이크로컴퓨터 신호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류부 2 : 평활부
3 : 입력전류감지부 4 : 입력전류비교부
5 : 파워조절부 6 : 인버터구동부
7 : 인버터부 8 : 부하판별부
10 : 마이크로컴퓨터 7-1 : 부하구동부
7-2 : 스위치 7-3 : 부하입력전류감지부
7-4 : 스위치제어부 WC1, WC2: 가열코일
Q1, Q2: 트랜지스터 C1, C2: 공진콘덴서
본 고안은 유도가열조리기의 파워 조절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조리를 위해 비자성체 용기와 자성체 용기 가열시 같은 파워레벨에서 부하에 전달되는 파워가 서로 같지 않을 경우 입력 전류를 감지하여 비자성체일때와 자성체일때 소비되는 파워를 항상일정하게 부하에 공급하도록 파워 조절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유도가열조리기는 음식조리를 위해 용기에 음식을 담고 동작시키면 가열코일에 의해 열이 발생하여 음식을 조리한다.
이때 음식물을 담고있는 용기가 자성체일때와 비자성체일때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동작하여 서로다른 용기를 사용할때 유도가열조리기에 설정된 동일 파워레벨에서 부하에 인가되는 파워는 서로 동일하지 않아 조리기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려 음식조리를 위한 용기가 자성체일때와 비자성체일때 이를 판단하고 설정된 동일 파워레벨에서 부하에 공급되는 파워가 서로 같지 않을 경우 입력전류를 마이크로컴퓨터에서 감지하여 소비되는 파워를 자성체일때와 비자성체일때 동일하게 유지시켜 유도가열조리기의 성능을 향상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파워 조절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류원(IS)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정류하는 정류부(1)와, 그 정류부(1)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평활시키는 평활부(2)와, 상기 전류원(Is)에서 조리기에 인가되는 입력전류를 감지하는 입력전류감지부(3)와 그 입력전류감지부(3)으로부터 입력전류를 인가받아 설정된 파워레벨과 비교하는 입력전류비교부(4)와, 용기가 비자성체인지 자성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입력전류비교부(4)로부터 비교신호를 인가받아 부하에 인가되는 파워가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파워 조절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0)와, 그 마이크로컴퓨터(10)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온타임을 제어하여 파워를 조절하는 파워조절부(5)와, 그 파워조절부(5)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가열코일에 열을 발생시키는 인버터부를 구동시키는 인버터구동부(6)와, 상기 평활부(2)의 평활된 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인버터구동부(6)의 교류구동신호를 인가받아 직류로 변환하여 가열코일 구동으로 열을 발생하여 음식을 조리한 인버터부(7)와, 그 인버터부(7)의 감지된 부하전류를 인가받아 자성체 부하와 비자성체 부하로 판별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에 인가하는 부하판별부(8)로 구성하며, 상기 인버터부(7)는 상기 인버터구동부(6)의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트랜지스터(Q1)(Q2)의 온·오프로 부하를 구동시키는 부하구동부(7-1)와, 상기 평활부(2)의 평활된 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부하구동부(7-1)의 구동신호에 의해 공진을 유도하는 공진콘덴서(C1)(C2)와, 그 공진콘덴서(C1)(C2)와 발진하여 발열하는 가열코일(WC1)(WC2)와,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상기 가열코일(WC1)(WC2) 선택을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7-4)와, 그 스위치제어부(7-4)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가열코일(WC1)(WC2)(WC1)을 선택하는 스위치(7-2)와, 상기 공진콘덴서(C1)(C2)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감지하는 부하입력전류감지부(7-3)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파워 조절회로의 동작과정 및 작용효과를 본 고안 마이크로컴퓨터 동작 신호흐름도인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리기에 파워가 인가되면 정류부(1)는 전류원(Is)을 인가받아 정류한 다음 평활부(2)에 인가하고, 그 평활부(2)는 상기 정류부(1)에 의해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여 인버터부(7)에 인가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10)는 탐색신호(Search Signal)를 출력단자(P1)를 통해 출력하여 파워조절부(5)에 인가하고, 그 파워조절부(5)는 정해진 온 타임에 상응하는 초기 시그날을 인버터구동부(6) 인가한다.
이때 인버터구동부(6)는 상기 파워조절부(5)에 의해 온타임이 결정된 펄스를 인버터부(7)의 부하구동부(7-1)에 인가한다.
상기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인버터부(7)의 스위치(7-2) 고정단자(a)는 선택단자(b)를 선택하여 가열코일(WC1)(WC2)을 서로 접속시킨다.
이로인해 상기 평활부(2)의 인가전압이 공진콘덴서(C1)(C2)와 가열코일(WC1)(WC2)에 의해 부하를 발생시킨다.
이때 부하입력전류감지부(7-6)는 부하전류를 감지하여 부하판별부(8)에 인가하면 그 부하판별부(8)는 부하전류로 부하상태가 비자성체 용기인지 자성체 용기인지 판단하여 마이크로컴퓨터(10)의 입역단자(I1)에 인가하고 마이크로컴퓨터(1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부하가 비자성체 용기이면 그에 상응하는 비자성체 모드로 절환하여 출력단자(P2)를 통해 상기 인버터부(7)의 스위치제어부(7-4)에 스위치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동시에 출력단자(P1)를 통해 비자성체에 상응하는 온타임 제어신호를 파워조절부(5) 인가한다.
이로인해 스위치제어부(7-4)는 스위치(7-2)를 제어하는 가열코일(WC1)(WC2)를 서로 접속하고 상기 파워조절부(5)는 비자성체에 상응하는 온타임신호를 인버터구동부(6)에 인가하며, 그 인버터구동부(6)는 상기 파워조절부(5)의 온타임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인버터부(7)의 부하구동부(7-1)에 인가하여 그 인버터부(7)의 가열코일(WC1)(WC2)과 공진콘덴서(C1)(C2)는 공진하여 부하를 발생시킨다.
이때 입력입력전류감지부(3)는 인가되는 전류값을 감지하여 입력입력전류비교부(4)에 인가하고, 그 입력입력전류비교부(4)는 그 입력전류와 파워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에 인가하면 그 마이크로컴퓨터(10)는 상기 입력입력비교부(4)의 비교신호에서 파워가 정상인가를 판단하여 파워가 작을 경 우 출력단자(P1)를 통해 파워조절부(5)에 온타임을 제어하여 파워를 증가시키고, 파워가 클 경우 상기와 동일하게 파워조절부(5)에 온타임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파워를 감소시켜 파워를 정상으로 조절한다.
한편, 부하가 자성체일 경우 상기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인버터부(7)의 부하입력전류감지부(7-3)가 부하전류를 감지하여 부하판별부(8)에 인가하고, 그 부하판별부(8)가 부하를 판별하여 마이크로 컴퓨터(10)에 인가하면, 그 마이크로컴퓨터(10)는 출력단자(P1)를 통해 자성체에 상응하는 온타임 제어신호를 파워조절부(5)에 인가함과 동시에 출력단자(P2)로 스위치 제어신호를 스위치제어부(7-4)에 인가한다.
이때 스위치제어부(7-4)는 스위치(7-2)를 제어하여 선택단자(a)가 고정단자(c)를 선택하게 하여 가열코일(WC1)이 공진콘덴서(C2)에 접속되게 하여 가열코일(WC1)과 공진콘덴서(C2)만 동작시켜 열을 부하에 전달하며 이때 입력입력전류감지부(3)는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여 입력입력전류비교부(4)에 인가하고 그 입력입력전류비교부(4)는 설정된 파워레벨과 비교한 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10)내 인가하면 그 마이크로컴퓨터(10)는 파워상태를 인식하여 파워가 작을 경우 파워조절부(5)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그 파워조절부(5)는 온타임을 제어하여 파워를 증가시키고 파워가 클 경우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파워를 감소시켜 정상 파워로 조절한다.
결국 자성체 용기와 비자성체 용기를 사용할 경우 동일한 파워레벨에서 부하에 전달되는 파워가 서로다를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는 제어신호로 온타임을 조절하여 부하에 동일한 파워를 공급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비자성 용기와 자성용기일때 부하에 전달되는 파워가 동일레벨에서 서로 다르게 인가될 경우 마이크로컴퓨터에서 입력전류 감지로 이를 인식하여 외부의 특별한 조작없이 자성체 용기일때와 비자성테 용기일때 동일 파워레벨에서는 부하에 동일 파워가 인가되게하여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원(Is)을 인가받아 정류하는 정류부(1)와, 그 정류부(1)의 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2)와, 상기 인가전원(Is)에서 전류를 감지하는 입력입력전류감지부(3)와, 그 입력입력전류감지부(3)의 전류와 파워레벨을 비교하는 입력입력전류비교부(4)와, 부하판별신호를 인가받아 비자성체 부하와 자성체 부하일때 그에 상응하는 오프로 동작하여 상기 입력입력전류비교부(4)의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파워 상태를 인식하고 파워를 조절하는 온타임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컴퓨터(10)와, 그 마이크로컴퓨터(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타임을 조절하여 파워를 조절하는 파워조절부(5)와 그 파워조절부(5)의 제어신호에 의해 인버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구동부(6)와, 상기 평활부(2)의 평활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인버터구동부(6)의 구동신호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인버터부(7)의 그 인버터부(7)의 부하전류에 의해 부하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에 인가하는 부하판별부(8)로 구성한 파워 조절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인버터부(7)는 상기 인버터구동부(6)의 구동신호에 의해 부하를 구동시키는 부하구동부(7-1)와, 상기 평활부(2)의 평활된 전압을 인가받고 상기 부하구동부(7-1)의 구동신호에 의해 공진하여 발열하는 공진콘덴서(C1)(C2) 및 가열코일(WC1)(WC2)과 상기 마이크로컴퓨터(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치의 선택을 제어하는 스위치제어부(7-4)와, 그 스위치제어부(7-4)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열코일(WC1)(WC2)(WC1)을 선택하는 스위치(7-2)와, 상기 인버터부(7)에 흐르는 부하전류를 감지하여 상기 인버터판별부(8)에 인가하는 부하입력전류감지부(7-3)로 구성한 파워 조절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7-2)는 자성체 용기일때와 비자성체 용기일때 가열코일(WC1)(WC1)(WC2)를 각기 선택하는 파워 조절회로.
KR92021801U 1992-11-06 1992-11-06 파워 조절회로 KR9500040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801U KR950004060Y1 (ko) 1992-11-06 1992-11-06 파워 조절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21801U KR950004060Y1 (ko) 1992-11-06 1992-11-06 파워 조절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083U KR940014083U (ko) 1994-06-29
KR950004060Y1 true KR950004060Y1 (ko) 1995-05-19

Family

ID=1934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21801U KR950004060Y1 (ko) 1992-11-06 1992-11-06 파워 조절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06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083U (ko) 1994-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6590A (en) Supply having a load invariant auxiliary power supply supplied from a main transformer and a current suppressing inductor
US20090139986A1 (en) Induction heating cook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075044B2 (en) Induction heating cooking apparatus, operation of which is interrupted by container eccentricity
KR20090048789A (ko) 유도가열조리기
JPH0371589A (ja) 電子レンジ
EP3598850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performing container sensing function
KR0133085B1 (ko) 전자렌지의 부하 자동 정합장치
KR950004060Y1 (ko) 파워 조절회로
EP3598849B1 (en) Method for sensing container using resonant current
KR20200009991A (ko) 공진 전류를 이용한 용기 감지 방법
JP5246100B2 (ja) 炊飯器
KR0152836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주파수대역 변환회로
KR100241449B1 (ko)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소물부하 판정장치 및 방법
KR20210015322A (ko) 유도 가열 장치
KR0182524B1 (ko) 복합조리기의 전력제어장치 및 그 전력제어방법
JP2878917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186424B1 (ko) 전자조리기의 소물부하 판정장치 및 방법
JPH02280716A (ja) 自動炊飯器
KR0176837B1 (ko) 자계/비자계 금속겸용 유도가열조리기의 가열동작 전환회로
JP5246099B2 (ja) 炊飯器
KR100259816B1 (ko) 자성및비자성겸용유도가열조리기
JP3400945B2 (ja) 電源装置
KR0152839B1 (ko) 유도가열조리기의 조리용기 재질판정장치
JP264325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0146146B1 (ko) 복합조리기의 가열탐색 보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