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767B1 - 간이 화장실 - Google Patents

간이 화장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767B1
KR950003767B1 KR1019920011275A KR920011275A KR950003767B1 KR 950003767 B1 KR950003767 B1 KR 950003767B1 KR 1019920011275 A KR1019920011275 A KR 1019920011275A KR 920011275 A KR920011275 A KR 920011275A KR 950003767 B1 KR950003767 B1 KR 950003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chamber
toilet
fer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0076A (ko
Inventor
이상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무림교역
이상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무림교역, 이상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무림교역
Priority to KR1019920011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767B1/ko
Publication of KR940000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간이 화장실
제1도는 본 발명 간이화장실의 설치상태 일예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실시예중 분뇨탱크의 발췌 일부 절취 사시도.
제3도는 동 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분뇨탱크 20' : 발효실
21, 21' : 상, 하부통제 22 : 격실
23 : 수용실 26 : 가이드판
211, 211' : 플랜지 212 : 투입구
213 : 인출구 263 : 돌출부
264 : 공기공급통로 30 : 변기
61 : 액체저장통 62 : 연결호오스
63 : 배출호오스 64 : 배출펌프
71 : 교반축 72 : 교반봉
73 : 핸들 81 : 순환펌프
82 : 흡입관 83 : 흡출관
84, 84' : 분배관
본 발명은 간이화장실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원지나 야영지 또는 고속도로 휴게소등에 설치 사용하는 간이화장실에 있어서, 분뇨탱크내로 유입되는 분뇨를 발효시켜 유가질비료로 만들어 줌으로서 효율적인 분뇨처리와 환경오염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한 간이화장실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간이화장실은 설치 사용시 분뇨탱크내에 유입되는 분뇨를 주기적으로 수거하여 별도의 처리시설이 설치된 장소까지 운반처리토록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으로 처리를 할 때에는 별도의 처리시설과 수거차량등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간이화장실이 수거 차량의 진입이 곤란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등 여러가지 사정에 의하여 적시에 수거하지 못하면 분뇨가 넘치게 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등 사용상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분뇨를 탱크내에서 발효시킨 유기질비료로 만들어 주므로 분뇨를 수거하여 폐기하지 않고 비료로 사용토록 함으로서 효율적인 분뇨처리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간이화장실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뇨처리시설과 수거차량등이 필요없게되는 간이화장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목적들은 분뇨탱크내로 유입되는 분뇨를 적절한 온도에 의해 자연발효되어 분뇨가 유기질비료로 만들어지게 하여 주므로 분뇨를 폐기하지 않고 비료로 사용할 수 있게하여 주는 간이화장실을 제공함으로서 달성되는데, 이 간이화장실은 변기를 통해 유입되는 분뇨를 저장함과 동시에 발효되게 하여 주는 분뇨탱크와 배기 및 액체배설물의 배출장치를 갖추고 있으며, 분뇨탱크에서는 톱발등과 같은 물질을 적당량 투입하여 분뇨와 혼합되게 하여 주므로 분뇨의 발효작용이 촉진되게 하여주며, 톱밥등의 투입구와 비료화된 분뇨를 꺼낼 수 있는 인출구를 구비하고 있다.
분뇨탱크에는 분뇨와 톱밥들을 혼합시켜 줌과 동시에 이들이 굳게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기 위해 사용되는 교반기가 구비되어 있다.
분뇨탱크에는 탱크내의 하부에 고이게되는 액체배설물을 퍼올려 분뇨더미의 상부로 공급하여 분뇨더미를 항상 축축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서 발효가 촉진되게 하여주는 펌프가 구비되어 있다.
분뇨탱크 내에는 분뇨더미에 공기를 공급하여 주는 공기공급가이드가 구비되어 있으며, 공급되는 공기는 통상의 히이터나 태양열 집열기등에 의해 가열되게 함으로서 특히 실외온도가 낮은 지역이나 동절기에도 분뇨의 발효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 간이화장실은 분뇨탱크내로 투입되는 분뇨가 톱밥등과 혼합 발효되어 유기적 비료로 만들어지게 하여 비료로 사용토록함으로서 분뇨수거 작업과 별도의 처리시설이 필요없게되고, 혼경오염을 방지하여 줄 수 있께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간이화장실의 설치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 간이화장실(10)은, 분뇨탱크(20)와, 이 분뇨탱크 상부에 연결되게 착설하는 변기(30) 및 배기장치와 액체배설물의 순환 및 배출장치를 갖추고 있다.
분뇨탱크(20)는 지하공간(4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지하공간은 분뇨탱크내에 톱밥등을 투입하거나 또는 발효완료된 비료를 인출하기 위한 관리자의 작업공간도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지하공간(40)의 상부 일측에는 출입문(41)을 설치하여 개폐토록 하며, 상부의 타측, 즉 분뇨탱크(20)에 근접하는 부위에는 햇빛이 투과되게 투명유리판(42)을 고정설치하여 햇빛이 분뇨탱크(20)에 투사되게 함으로서 이 분뇨탱크가 태양열에 의해 가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한다.
배기장치는, 환풍기(51)와 배기관(5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환풍기(51)는 분뇨탱크(20)의 상부 일측에 착설하며, 배기관(52)의 하단은 환풍기(51)에 상단은 화장실(10)을 통과하여 지붕(11)을 관통 상부로 노출되게 착설하여 분뇨탱크(20)내의 공기나 증발되는 습기등을 외부로 배기시켜 준다.
환풍기(51)는 통상의 광기전성시스템이나 광전지(50)등으로 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동작토록 한다.
이 광전지(50)등은 화장실(10)의 지붕(11)의 햇빛을 잘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액체배설물의 배출장치는 액체저장통(61)과 이 저장통을 분뇨탱크(20)의 하부에 연결시켜 주는 연결호오스(62)와 액체저장통(61)내에 저장되는 액체배설물을 외부로 배출시켜 주기 위해 연결하는 배출호오스(63) 및 이 호오스의 적정부위에 설치하는 배출펌프(64)로 구성한다.
배출펌프(64)는 수동으로 동작시켜 통상적인 펌프구조를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분뇨탱크(20)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통체(21)와 하부통체(21')를 각기 하단과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한 플랜지(211)(211')에 의해 밀폐되게 결합시켜 구성하며, 상부통체(21)의 전면부측에는 톱밥등을 투입하기 위해 투입구(212)를 설치하고 하부통체(21')의 전면부측에는 비료화된 분뇨를 인출하기 위한 안출구(213)를 설치하여, 각기 개폐문(214)(214')으로 개폐토록 한다.
분뇨탱크(20)내에는 액체배설물을 걸러주는 영구매개물(A)을 충진하는 격실(22)과 액체배설물 수용실(23)이 구비되어 있다.
격실(22)은 분뇨탱크(20)내의 바닥면으로 부터 적정간격으로 격리되는 위치에 착설한 차단판(24)에 의해 탱크하측에 설치되며, 수용실(23)은 격판(25)(25')들에 의해 격실(22) 및 탱크 상측의 발효실(20')과 격리되게 격실(22)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발효실(20')과 격실(22)은 차단판(24)의 외주면부와 그 지지판(24')의 내주면부 사이의 접촉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를 통해 서로 유통되게 하며, 격실(22)과 수용실(23)은 격판(25')에 형성된 걸름망(251)을 통해 서로 유통되게 한다.
분뇨탱크(20)는 공기공급가이드를 구비한다.
이 공급가이드는 하단부(261)를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형성한 수개의 가이드판(26)들을 각기 차단부(261)외면에 상단부(262) 내면이 겹쳐지는 상태로 결합하여 발효실(20') 양측 내면에 착설되게 구성하며, 각 하단부(261)의 적정부위에는 내측으로 돌출되게 돌출부(263)를 형성하여 이들 돌출부와 상단부(262)사이에 형성되는 공급통로(264)를 통해 공기가 발효실(20')내로 공급되게 한다.
분뇨탱크(20)에는 교반기가 구비되어 있다.
이 교반기는 발효실(20')을 전후로 관통하게 축착하는 교반축(71)과 이 축에 적정간격으로 착설하는 교반봉(72)들로 구성하며, 분뇨탱크(20)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시킨 교반축(71)의 외단에는 핸들(73)을 착설하여 교반축(71)을 회전시켜 주도록 한다.
교반축(71)은 분뇨탱크(20)의 크기(용량)에 따라 복수개를 적정간격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분뇨탱크(20)에는 액체배설물을 순환시켜 주기 위한 순환펌프(81)가 구비되어 있다.
이 순환펌프(81)는 수동으로 동작시켜 주는 통상적인 펌프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단을 액체배설물 수용실(23)에 연결시킨 흡입관(82)과 상단을 분뇨탱크(20)의 상부를 관통하여 내부의 발효실(20')상부에 배관한 분배관(84)(84)들에 연결시킨 흡출관(83)들의 상하단을 각각 연결설치한다.
액체저장통(61)의 연결호오스(62)는 액체배설물수용실(23)에 연결되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간이화장실(10)은 제1도에서와 같은 상태로 설치사용하는 것으로서 사용된 분뇨탱크(20)의 발효실(20')내에는 투입구(212)를 통해 톱밥등을 적정량 투입시켜 주고, 투입구(212)와 인출구(213)들을 개폐문(214)(214')으로 밀봉되게 닫아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기(30)를 통해 분뇨가 발효실(20')내로 투입되면 초기에는 액체배설물은 톱밥등에 흡수되지만 흡수한계를 넘게되면 액체배설물은 서서히 하향되어 차단판(24)과 지지판(24')의 접촉부분 사이의 틈새를 거쳐 격실(22)내로 유입되며, 이후 격실내에 충진되어 있는 영구매개물(A)에 의해 걸러지면서 격판(25')에 형성된 걸름망(251)을 통과하여 액체배설물 수용실(23)측으로 흘러나가 수용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증발되는 증기와 냄새등은 환풍기(51)에 의해 배기관(52)을 통해 화장실(10)외부로 배기되며 수용실(23)에 수용되는 액체배설물중 일부는 연결호오스(62)를 통해 액체저장통(61)측으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적당한 시기에 관리자가 핸들(73)을 이용하여 교반축(71)을 회전시켜서 교반봉(72)들에 의해 톱밥과 분뇨들이 서로 혼합되게 하여 주고 순환펌프(81)를 조작하여 수용실(223)내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배설물을 퍼올려 분배관(84)(84')들을 통해 발효실(20')의 상부로 공급시켜 주어 톱밥과 분뇨들의 혼합물이 굳지 않게 하여줌과 동시에 항상 축축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 주면, 가이드판(26)들의 하단부(261)에 돌출형성한 돌출부(263)에 의해 상단부(26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급통로(264)들을 통해서는 공기가 공급되므로 혼합물들은 원활하게 발효된다.
한편, 액체배설물이 과도하게 누적되면 배출펌프(64)를 조직하여 배출호오스(63)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켜 주면 되는데 이때 배출되는 액체배설물은 저장통(61)내로 유입되기전에 톱밥이나 영구매개물(A)을 거치면서 걸러진 상태이며, 또 상당 기간 저장되어 있는 동안 유해물질이 발효분해된 후 배출되는 것이므로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게된다.
또한, 투명유리판(42)을 투과하는 햇빛이 분뇨탱크(20)에 투사되어 이 탱크를 가열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서 톱밥과 분뇨의 혼합물의 발효를 촉진시켜 주게 된다.
이렇게하여 발효실(20')내에 들어 있는 혼합물들이 발효되어 비료화되면 개폐문(214')을 열고 인출구(213)를 통해 퍼내어 운반통(12)에 담아 필요한 곳으로 운반하여 비료로 사용하면 되고 개폐문(214)을 열고 투입구(212)를 통해서는 톱밥등을 제공급시켜 준 다음 화장실(10)을 계속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간이화장실(10)은 분뇨탱크(20)내로 투입되는 분뇨를 톱밥등과 혼합하여 발효시켜 비료로 만들어 줌으로서 분뇨를 수거하여 폐기하지 않고 비료로 사용토록하여 주기때문에 분뇨처리의 어려움을 개선할 수 있게되고 분뇨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함은 물론 환경오염방지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변기(30)를 하나만 설치한 것을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뇨탱크(20)의 크기(용량)에 따라서는 소변기는 물론 변기(300를 복수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7)

  1. 내부에는 투입되는 분뇨가 저장발효되게 하여주는 발효실(20')과, 이 발효실의 하부에 격리되게 설치되며 액체배설물을 걸러주는 연구매개물을 충전하는 격실(22) 및, 이 격실을 통과하여 흘러나오는 액체배설물을 수용하는 수용실(23)들을 구비하고, 발효실(20')을 가로지르게 설치되어 분뇨와 톱밥등을 혼합시켜 주는데 사용되는 교반기와, 전면 상부에는 톱밥등의 투입구(212)를 하부에는 비료화된 분뇨등의 인출구(213)들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분뇨탱크(20)와; 분뇨탱크(20) 상측부에 설치하는 변기(30)와; 분뇨탱크(20) 내부의 공기를 배기시켜주는 배기장치 및; 수용실(23)에 수용되는 액체배설물을 퍼올려 발효실(20')의 상부로 재공급시켜 주는 순환장치와; 수용실(23)에 액체배설물이 과도하게 수용되면 외부로 배출시켜주는 배출장치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
  2. 제1항에 있어서, 분뇨탱크(20)는 상부통체(21)와 하부통체(21')를 각기 하단부와 상단부에 형성한 플랜지(211)(211')들을 이용하여 조립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
  3. 제1항에 있어서, 발효실(20')의 양측 내벽에는 수개의 가이드판(26)들을 각기 하단부가 상단부 안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겹쳐지게 착설하고, 각 하단부에는 돌출부(263)를 형성하여 이 돌출부(263)에 의해 상단부와의 사이에 발효실(20')의 양측부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여주는 공기공급통로(264)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
  4. 제1항에 있어서, 배출장치는 액체저장통(61)과 이 저장통을 수용실(23)에 연결시켜주는 연결호오스(62) 및 배출펌프(64)와 이 배출펌프를 저장통(61)과 연결하여주는 배출호오스(6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
  5. 제1항에 있어서, 교반기는 교반축(71)과 이 축에 고정 착설하는 다수개의 교반봉(72) 및 분뇨탱크(20)의 전면으로 노출되는 교반축(71)의 외단부에 착설한 핸들(7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
  6. 제1항에 있어서, 순환장치는 순환펌프(82)와, 이 펌프를 수용실(23)에 연결시켜주는 흡입관(82) 및 발효실(20')의 상부에 배관되어 있는 분배관(84)(84')들과 이들 분배관을 순환펌프(81)와 연결시켜주는 흡출관(83)으로 구성함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분뇨탱크(20)에 교반기를 복수로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화장실.
KR1019920011275A 1992-06-26 1992-06-26 간이 화장실 KR950003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275A KR950003767B1 (ko) 1992-06-26 1992-06-26 간이 화장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1275A KR950003767B1 (ko) 1992-06-26 1992-06-26 간이 화장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76A KR940000076A (ko) 1994-01-03
KR950003767B1 true KR950003767B1 (ko) 1995-04-18

Family

ID=1933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275A KR950003767B1 (ko) 1992-06-26 1992-06-26 간이 화장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7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607B1 (ko) * 2020-01-29 2020-09-14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이동식 화장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9398A (ko) * 2000-05-31 2001-12-10 박순용 소멸식 간이 화장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607B1 (ko) * 2020-01-29 2020-09-14 주식회사 한국그린피아 이동식 화장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0076A (ko) 1994-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9056A (en) Compost-type toilet equipment
US4372856A (en) Process and system for anaerobic treatment of waste
CN100369869C (zh) 一种厨余垃圾生态发酵装置
US4174371A (en) Integrated solar heated resource transformation system
WO1992018442A9 (en) Portable system for treating human waste
US4627116A (en) Compost toilet apparatus
CA1096063A (en) Combination of a biological dry toilet and a biological waste water purifying plant
CN111712562A (zh) 基于振动电机以及水平和对角排列的延伸弹簧构建的内置谐振机构搅拌可生物降解废物的生物反应器
CN108840725A (zh) 一种有机垃圾资源化处理设备
CN208791508U (zh) 一种有机垃圾资源化处理设备
KR950003767B1 (ko) 간이 화장실
KR102311767B1 (ko) 폐유기물 처리기
CN210871270U (zh) 蹲便器及免水冲式生态厕所
CN108821805B (zh) 一种自动进出料转鼓式堆肥箱
CN111839317A (zh) 一种无水免冲生态蹲厕以及净化分解方法
CN114920435A (zh) 一种密闭式畜禽粪污发酵装置
KR20034684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1239281A (ja) 屎尿処理装置
JP3975293B2 (ja) 生ごみの処理システム
RU2169450C1 (ru) Комплекс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навоза и других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отходов
CN208640575U (zh) 一种村落生态旱厕系统
JPH09268632A (ja) 移動式ユニットトイレ
CN217600612U (zh) 一种粪便尿液高效生物发酵降解装置
KR100323467B1 (ko) 하수슬러지 및 축분의 퇴비화장치
JP3926425B2 (ja) 発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