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630Y1 - 진공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진공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30Y1
KR950003630Y1 KR2019890013896U KR890013896U KR950003630Y1 KR 950003630 Y1 KR950003630 Y1 KR 950003630Y1 KR 2019890013896 U KR2019890013896 U KR 2019890013896U KR 890013896 U KR890013896 U KR 890013896U KR 950003630 Y1 KR950003630 Y1 KR 9500036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chamber
vacuum
temperature
drying
microwave ir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38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142U (ko
Inventor
유즈루 마쯔바라
Original Assignee
유즈루 마쯔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즈루 마쯔바라 filed Critical 유즈루 마쯔바라
Priority to KR20198900138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630Y1/ko
Publication of KR9100061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1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건조장치
도면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진공건조장치의 단면도.
제2도는 동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건조실 6 : 전공펌프
7 : 자동개폐밸프 8,8a : 마이크로파 조사장치
9 : 배기관 10 : 제어장치
12 : 온도센서
본 고안은 진공 혹은 감압분유기내에 있어서, 저온에서 수분을 함유하는 식품, 각종 원료 및 제품 등의 피건조물을 건조처리하고,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도록한 진공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야채 등의 식품인 피건조물에 있어서, 고품질의 건조품을 얻는 방법의 하나로서 건조실내를 진공 또는 감압 분위기로 만들고, 가열매체에 의해 저온에서 신속하게 건조 처리하는 진공건조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진공건조장치에 있어서는 건조실이 진공 혹은 감압분위기내에 있기 때문에 피건조물로부터 증발한 수분이 몇만배나 팽창하여 건조실내에 확산하여, 진공펌프만으로는 이같은 증기압력을 불포화 상태로 유지시켜 둘 수가 없으며, 건조실내의 표면이 결로해 버리고, 건조에 장시간을 요하며, 비용 상승의 원인이 되어 있다.
또, 피건조물의 함수율이 높은 초기에는 피건조물의 함유 수분이 증발함으로써 피건조물에서 열량이 빼앗겨 그 물품온도가 강하하기 때문에 열원을 부여하여도 물품 온도를 일정치 이하로 유지할 수가 있으나, 피건조물의 함유수분이 줄어드는데 따라서 그 수분의 증발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물품온도가 일정치보다 상승해버려, 즉 피건조물이 되는 야채 등의 식품일 경우에 있어서는 그 품질을 유지하는 온도(약40℃) 이상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손상되어 버리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건조실내의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건조실내에 투입된 수분이 많은 피건조물로부터 증발되는 수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건조실내의 포화상태를 해제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피건조물의 품질을 유지하는 소정의 물품온도를 유지하도록 한 진공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진공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내를 소정의 진공 또는 감압분위기로 만드는 진공 펌프를 배기관을 통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진공펌프에는 제어 장치를 설치하고, 이 제어장치에 의해 외부와 건조실을 개폐통하는 자동개폐밸브를 설치하고, 한편, 건조실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장치를 설치하며, 이 마이크로파 조사장치를 상기 배기관내에 설치한 온도센서와 접속한 진공 건조장치를 제공하여 상기 결점을 해소하고자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조실내에 투입한 피건조물에서 증발하는 수분에 의해 건조실내의 증기압력이 포화상태가 되었을 때에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개폐밸프를 열어 외기를 건조실내로 도입하고, 이에 의해 건조실내의 포화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때에는, 제어장치로서 진공펌프를 제어하여 건조실 내를 소정의 진공 혹은 감압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건조실내의 포화상태 해제 후는 제어장치에 의해 자동개폐밸브를 닫아, 외기와 차단하는 것이다.
또, 피건조물의 함유수분이 적어짐에 따라서 수분증발에 의해 빼앗기는 열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물품온도와 건조실 내의 온도가 소정치보다 상승하고, 이 온도를 진공펌프의 배기관내에 설치한 온도센서로 감지하여 마이크로파의 조사량을 제어하고, 피건조물의 물품온도를 소정온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또, 자동개폐밸브로부터 건조실내로 도입하는 외기의 종류를 바꿈으로써 건조실내의 분위기를 자유로이 설정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1은 야채 등의 수분함량이 비교적 많은 식품, 각종 원료 및 제품 등의 피건조물(2)을 건조하는 진공건조장치의 본체이고, 이 본체(1)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노벽(爐壁 ; 3) 및 피건조물(2)을 넣고 빼내는 밀폐문(4, 4a)에 의해 구성된 건조실(5)과, 진공펌프(6), 자동개폐밸브(7),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로 구성되어 있다.
진공펌프(6)는 건조실(5)내로 부터 연속하여 이루어지는 배기관(9)을 통하여 건조실(5)의 외부에 배치하여, 건조실(5)내를 30 내지 100Torr, 바람직하게는 물의 비등점이 30 내지 40℃가 되는 약 60Torr의 진공 혹은 감압분위기로 제어하고 있다.
또, 진공펌프(6)에는 제어장치(10)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 제어장치(10)는 건조실(5)내의 증기압력의 포화상태에 응하여 자동개폐밸브(7)의 밸브개방 및 밸브폐쇄를 제어하고 있다.
자동개폐밸브(7)는 건조실(5)과 외부와를 개폐통하도록 하여 설치하고 있으며, 제어장치(10)에 의해 자동적으로 밸브의 개방폐쇄를 행하고, 건조실(5)에 열공기, 냉공기, 건조공기, 습한 공기 등의 외기를 도입하거나 건조실(5)과 외부를 차단하거나 하고 있다.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는 건조실(5) 외부로부터 마이크로파를 유도하는 도파관(11, 11a…)을 통하여 건조실(5)의 임의의 노벽(3)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있다.
12는 배기관(9) 내 혹은 그 근방에 설치한 온도센서이고, 이 온도센서(12)는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와 접속되어 있고, 건조실(5)내에 투입한 피건조물(2)의 물품온도 및 건조실(5)내의 온도를 감지하고, 이같은 온도가 약 40℃이상이 되었을 때 피건조물(2)의 물품온도 및 건조실(5)내의 온도를 약 40℃ 이하가 되도록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의 마이크로파의 조사량을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본 고안에 관한 진공건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건조실(5)내를 진공펌프(6)에 의해 30 내지 100Torr의 진공 또는 감압분위기로 하고,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에 의해 피건조물(2)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면 이 피건조물(2)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에 의해 건조실(5)내의 증기압력이 포화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 제어장치(10)에 의해 자동개폐밸브(7)를 열어 열공기, 냉공기, 건조공기, 습한 공기 등의 외기를 건조실(5)내로 도입시키고, 이에 의해 건조실(5)내의 포화 상태를 해제하여 결로를 방지함과 동시에 외기의 종류에 응하여 피건조물(2)의 종류에 적합한 건조분위기를 임의로 설정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때에는 제어장치(10)로 진공펌프(6)를 제어하여 건조실(5)내를 30 내지 100Torr의 진공 혹은 감압분위기를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건조실(5)내의 포화상태 해제 후는 제어장치(10)에 의해 자동개폐밸브(7)를 폐쇄하여 외기와 차단하는 것이다.
또, 피건조물(2)의 함유수분이 적어짐에 따라서 수분증발에 의해 빼앗기는 열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피건조물(2)의 물품 온도가 소정치(약 40℃ 이하) 보다 상승함과 동시에 물품 온도상승에 의해 건조실(5)내의 분위기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분위기의 온도를 진공펌프(6)의 배기에 의해 배기관(9)내에 설치한 온도센서(12)로 감지하고,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조사량을 제어하여, 피건조물(2)의 물품온도를 소정의 온도이하, 즉 야채 등의 식품의 경우에는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손상하지 않는 약 40℃이하로 보존함과 동시에 건조실(5)내의 30 내지 100Torr의 분위기를 유지하는 것이다.
요컨대, 본 고안은 진공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5)내를 소정의 진공 혹은 감압분위기를 이루는 진공펌프(6)를 배기관(9)을 통하여 배치함과 동시에 진공펌프(9)에는 제어장치(10)를 설치하여 이 제어장치(10)에 의해 외부와 건조실(5)을 개폐통하는 자동개폐밸브(7)를 설치했기 때문에 30 내지 100Torr의 진공 혹은 감압분위기내에서의 건조에 있어서 피건조물(2)에서 증발하는 수분에 의해 건조실(5)내의 증기 압력이 포화상태가 되었을 때 제어장치(10)에 의해 자동개폐 밸프(7)를 개방하여 외기를 건조실(5)내로 도입하고, 이에 의해 건조실(5)내의 포화상태를 해제하기 때문에 증기압을 불포화상태로 보존하여 건조실(5)내의 결로를 방지하고, 30내지 50℃의 저온으로 신속히 건조처리하기가 가능하며, 건조시간을 단축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또 자동개폐밸브(7)에서 도입되는 외기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피건조물(2)의 종류에 적합한 건조분위기를 임의로 설정가능케 할 수 있다.
또, 한쪽 건조실(5)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를 배치하여 이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를 상기 배기관(9)내에 설치한 온도센서(12)와 접속 시켰기 때문에 30 내지 100Torr의 진공 혹은 감압분위기내에서 마이크로파의 조사에 의한 건조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가져오며, 또 피건조물(2)의 함유수분이 적어짐에 따라서 수분증발에 의해 빼앗기는 열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피건조물(2)의 물품온도가 소정치보다 상승함과 동시에 물품 온도상승에 의해 건조실(5)내의 분위기의 온도가 상승하지만 이 분위기의 온도를 진공펌프(6)의 배기에 의해 배기관(9)내에 설치한 온도센서(12)가 감지하여 마이크로파 조사장치(8, 8a…)에 의한 마이크로파의 조사량을 제어하고, 피건조물(2)의 물품온도를 소정의 온도이하, 즉 야채 등의 식품의 경우에는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손상하지 않는 약 40℃이하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피건조물(2)의 품질을 보존하여 영양소 등을 유지할 수가 있으며, 영양가가 있는 양질의 피건조물(2)을 제공할 수 있는 등, 그 실용적 효과가 심히 큰 것이다.

Claims (1)

  1. 진공 건조장치에 있어서, 건조실내를 소정의 진공 혹은 감압 분위기로 이루는 진공펌프를 배기관을 통하여 설치함과 동시에 진공펌프에는 제어장치를 설치하고, 이 제어장치에 의해 외부와 건조실을 개폐통하는 자동개폐밸브를 설치하며, 한편 건조실내에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장치를 설치하고, 이 마이크로파 조사장치를 상기 배기관내에 설치한 온도센서와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건조장치.
KR2019890013896U 1989-09-25 1989-09-25 진공건조장치 KR9500036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896U KR950003630Y1 (ko) 1989-09-25 1989-09-25 진공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3896U KR950003630Y1 (ko) 1989-09-25 1989-09-25 진공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42U KR910006142U (ko) 1991-04-24
KR950003630Y1 true KR950003630Y1 (ko) 1995-05-09

Family

ID=19290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3896U KR950003630Y1 (ko) 1989-09-25 1989-09-25 진공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6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950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한국캐비치 마이크로파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1757B1 (ko) * 2003-06-14 2006-03-20 주식회사 유일티티 치과기공용 진공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9950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한국캐비치 마이크로파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142U (ko) 1991-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3258A (en) Steam-operated sterilization apparatus
KR100392934B1 (ko) 재료의건조방법및그장치
US3077036A (en) Temperature responsive freeze dry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10087430A (ko) 스팀 조리 장치 및 방법
BR8702139A (pt) Forno de cozimento com vapor e conveccao e metodo para aquecer alimentos com vapor em um forno
AU20012774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non-iron drying of damp material in particular damp laundry
US2318027A (en) Process for dehydrating watercontaining materials
PL237467B1 (pl) Sposób odwadniania produktów biologicznych i urządzenie do odwadniania produktów biologicznych
US2184473A (en) Drier
US2365890A (en) Method of food dehydration
US213289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ying substances which contain liquids
KR950003630Y1 (ko) 진공건조장치
US2515025A (en) Process for pretreating vegetable materials
US3303578A (en) Continuous freeze-drying apparatus
US1415623A (en) Method of drying goods
US2709857A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products
JPH0434713Y2 (ko)
CN107692275B (zh) 有效提高果蔬干制品中维生素c保留率的干燥装置与方法
US2112580A (en) Method of coloring fruits
US4570357A (en) Heat-treating process and its apparatus in reducing air pressure within a chamber
US2073423A (en) Drying and seasoning wood and analogous vegetable materials
GB2259977A (en) Drying apparatus
JP2001227747A (ja) 加熱調理装置
RU2106585C1 (ru) Вакуумная сушилка растительного сырья
RU200436U1 (ru) Сушильная камер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