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513B1 - 편향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513B1
KR950003513B1 KR1019920016584A KR920016584A KR950003513B1 KR 950003513 B1 KR950003513 B1 KR 950003513B1 KR 1019920016584 A KR1019920016584 A KR 1019920016584A KR 920016584 A KR920016584 A KR 920016584A KR 950003513 B1 KR950003513 B1 KR 950003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core
coils
magnetic flux
horizontal
high perme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7954A (ko
Inventor
신용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101992001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513B1/ko
Publication of KR94000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장치
제1도 및 제2도는 일반적인 편향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것으로,
제1도는 수평코일의 작용도.
제2도는 수직코일의 작용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제5(a)도 내지 제5(c)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제5(a)도는 사시도.
제5(b)도는 종단면도.
제5(c)도는 횡단면도.
제6도의 제5(b)도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환상코어 11, 11' : 수평코일
12, 12' : 수직코일 13 : 고투자율 페라이트
14 : 방열홈 15 : 방열공
본 발명은 칼라수상관에 사용되는 편향장치('편향요크'라고도 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효율의 증대, 편향감도의 향상, 그리고 대형 CDT 및 대형 HDT등에 적당하도록 한 편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편향장치는 음극선관의 네크(neck)부에 결합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되는 전자빔을 수직 및 수평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편향요크는 환상코어와, 수직 및 수평의 각 한쌍의 코일로 구성되며, 각 코일은 수직 및 수평편향에 있어서, 브라운관 스크린면에서의 콘버전스(convergence) 및 임피던스(impedance)등의 회로적 성능에 각각 만족할 수 있도록 각각 조정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편향장치의 전형적인 일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는 일반적인 편향장치를 음극선관의 배면측으로부터 나타낸 도면으로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결합되는 내부에 결합공(1)이 형성된 자심으로서의 환상코어(2)와, 상기 환상코어(2)의 내주벽을 따라서 거의 수평 방향으로 쌍을 이루고 배치된 제1코일로서의 수평코일(3) (3')과, 상기 환상코어(2)에 수평코일(3) (3')와 인접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직접감겨지는 제2코어로서의 수직코일(4) (4')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편향장치는 수평코일(3) (3')에 의하여 제1도에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수평자속이 발생되는 동시에, 수지고일(4) (4')에 의하여 제2도에 도시한 화살표 B방향으로 수직자속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상기한 두방향의 자속을 가진 자계가 환상코어(2)를 중심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때, 도시한 화살표 A, B방향의 수평 및 수직자속은 수평코일(3) (3') 및 수직코일 (4) (4')에 흐르는 전류량에 따라서 자계의 강도가 변화되는 동시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속의 방향이 화살표 A, B방향에서 점선의 화살표 A', B'방향으로 반전된다.
이와 같은 자계의 변화에 의하여 환상코어(2)의 결합공(1)에 끼워진 음극선관의 네크부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방향이 편향되어, 음극선관의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편향장치에 있어서는, 높은 주파수로 작동될 경우, 수평코일(3) (3')과, 수직코일(4) (4')에서 누설자계에 의한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와전류는 열을 발생시키는 특성이 있는 바, 상기한 누설자계 및 열등의 손실(loss)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고투자율인 페라이트 물질을 사용하여 환상코어(2)를 제조하는 기술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기술은 환상코어(2)의 압축 성형시, 고투자율 페라이트의 특성상 수축이 많이 됨으로써 대형의 환상코어(2)로는 제작이 불가능하여, 특히 대형 CDT 및 대형 HDT등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환상코어의 누설자계 및 발열등의 손실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저감시킴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편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상코어의 내주벽을 따라서 대향 배치되어 일정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1쌍의 수평코일과, 상기 환상코어의 상하방향으로 감겨 수평코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1쌍의 수직코일을 보유한 편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코어의 표면에 고투자율 페라이트를 코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의 구성도이고, 제4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코어(10)의 내주벽을 따라서 대향 배치되어 일정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1쌍의 수평코일(11) (11')과, 상기 환상코어(10)의 상하방향으로 수평코일(11) (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1쌍의 수직코일(12) (12')을 보유한 편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코어(10)의 표면에 고투자율 페라이트(13)를 코팅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고튜자율 페라이트(13)는 대형 CDT 및 대형 HDT등의 고품위용 수상관에 사용하는 코어의 재료로서, 기존의 코어 재료(「H4M」이라 함)보다 20~40% 저손실이고, 텔레비젼 내의 온도 상승이 동일 주파수에서 30°정도 떨어지며, 초기 투자율(μiac)이 500±25% 정도이고, μapp는 종래의 재료보다 4~6정도 향상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투자율 페라이트(13)는 TDK사(社) 제품으로, 그 명칭은 「H4H」라고 알려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환상코어(10)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먼저 종래의 코어 재료를 이용하여 환성코어(10)를 1차적으로 성형하고, 그 환상코어(10)의 표면에 고투자율 페라이트(13)를 코팅함으로써 환상코어(1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고투자율 페라이트(13)를 이용하여 환상코어(10)를 성형한 다음, 수축분에 대한 두께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환상코어(10)의 표면에 고투자율 페라이트(13)를 재코팅함으로써 환상코어(10)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는, 환상코어(10)의 표면에 고투자율 페라이트(13)를 코팅 형성함으로써 고투자율 페라이트(13)의 특성에 의하여 편향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누설자계, 열등의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효율이 증대되어 편향감도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5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내부에 소정 형상을 갖는 방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홈(14)에 외부와 연통되는 수개의 방열공(15)이 형성된 환상코어(10')의 표면 전체, 즉 방열홈(14)의 내벽 및 방열공(15)의 내벽을 포함하는 표면의 모든 부위에 고투자율 페라이트(13)를 코팅 형성항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텔레비젼 세트의 후방에 부착된 팬에 의하여 제어되는 외부의 공기가 환상코어(10')의 일측 방열공(15)으로 유입되어 환상코어(10')를 냉각시킨 후, 타측 방열공(15)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편향장치의 동작시 발생되는 환상코어(10')의 높은 온도를 저감시키는 동시에, 표면에 코팅 형성된 고투자율 페라이트(13)에 의하여 누설자계, 열등의 손실을 감소시켜, 이중효과로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향장치는, 환상코어의 표면에 고투자율 페라이트를 코팅 형성함으로써 편향장치의 작동시 발생되는 소실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효율이 증대되고, 편향감도를 향상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또한, 대형의 환형코어를 제조할 경우,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게 되면,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압축 성형시 단점을 극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환상코어(10)의 내부벽을 따라서 대향 배치되어 일정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1쌍의 수평코일(11) (11')과, 상기 환상코어(10)의 상하방향으로 감겨 수평코일(11) (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속을 발생시키는 1쌍의 수직코일(12) (12')을 보유한 편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상코어(10)의 표면에 고투자율 페라이트(13)를 코팅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코어(10)는 내부에 소정 형상을 갖는 방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방열홈(14)에 외부와 연통되는 수개의 방열공(15)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장치.
KR1019920016584A 1992-09-09 1992-09-09 편향장치 KR950003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6584A KR950003513B1 (ko) 1992-09-09 1992-09-09 편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6584A KR950003513B1 (ko) 1992-09-09 1992-09-09 편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954A KR940007954A (ko) 1994-04-28
KR950003513B1 true KR950003513B1 (ko) 1995-04-13

Family

ID=19339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6584A KR950003513B1 (ko) 1992-09-09 1992-09-09 편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5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748B1 (ko) * 2000-02-17 2006-07-04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다이내믹 시모스 로직
KR20030056045A (ko) * 2001-12-27 2003-07-04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7954A (ko) 1994-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6709B2 (en) Deflection yoke for a CRT
JPS6237849A (ja) 偏向ヨ−ク装置
KR950003513B1 (ko) 편향장치
US6384525B1 (en) Cathode-ray tube having a non-circular yoke section
US2824267A (en) Deflection yoke for multi-beam cathode ray tube
KR100468135B1 (ko) 편향요크 및 이것을 구비한 음극선관장치
US6771030B2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471962B1 (ko) 음극선관용편향요크
KR950002655Y1 (ko) 방열수단을 구비한 음극선관용 편향장치
KR19980051541A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6894430B2 (en) Color cathode-ray tube
KR100418041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US3462641A (en) Color picture tube
KR100405210B1 (ko) 편향요크의 보정장치
KR100244201B1 (ko) 브라운관용 편향요크
KR100400836B1 (ko) 상하주사형 음극선관의 편향요크
KR100356297B1 (ko) 편향요크
KR200271017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쉴드컵 구조
KR200298473Y1 (ko) 칼라음극선관용컨버젼스퓨리티마그네트고정구조
JPH0487240A (ja) 偏向ヨーク
US20010005113A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JPS6129047A (ja) インライン型電子銃構体
KR20040076055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KR20040076056A (ko) 음극선관용 편향 요크
JPH02126539A (ja) 偏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