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399B1 -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 Google Patents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399B1
KR950003399B1 KR1019920009550A KR920009550A KR950003399B1 KR 950003399 B1 KR950003399 B1 KR 950003399B1 KR 1019920009550 A KR1019920009550 A KR 1019920009550A KR 920009550 A KR920009550 A KR 920009550A KR 950003399 B1 KR950003399 B1 KR 95000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utput
input
write
access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1153A (ko
Inventor
문진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399B1/ko
Publication of KR940001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1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 패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 패스.
제3도는 본 발명의 따른 비디오램의 시리얼 데이타 입/출력 패스의 일례.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는 비디오램에 많이 채용된다. 상기 비디오램은 메모리장치로 동작하는 디램(DRAM)과 데이타의 시리얼 입/출력 동작을 갖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SAM ; Serial Access Memory)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디램은 데이타를 받아들여 저장하고,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의 요구에 맞추어 데이타를 출력하는 데이타 저장수단으로 동작한다.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는 상기 디램으로부터 데이타를 시리얼하게 입/출력시키는 작용을 한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의 데이타 입/출력 패스를 나타낸다. 상기 제1도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101)와,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101)와 입/출력 데이타라인(I/O,)의 접속을 제어하는 게이트 트랜지스터(102)와, 상기 데이타라인의 데이타를 입력하는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read-write multiplexer)(103)와,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103)에 접속되는 센서앰프(104) 및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106)와, 상기 센서앰프(104)에 접속되는 데이타 출력 버퍼(105)와, 상기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107)에 접속되는 데이타 입력 버퍼(107)와, 상기 데이타 입력 버퍼(107)와 상기 데이타 출력 버퍼(105)의 출력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입/출력 패드(10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리드(READ)동작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101)와 입/출력 데이타라인을 연결하는 게이트 트랜지스터(102)를 구동시키는 CSL 신호에 의해 상기 게이트 트랜지스터(102)가 열리고,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의 데이타가 데이타 입/출력라인 I/O라인에 실리게 된다. 이때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103)은 리드시의 멀티플렉서로 동작한다.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의 출력은 센서앰프(104)를 거쳐 데이타 출력 버퍼를 통하여 입/출력 패드에 전달된다. 다음에, 라이트(write)동작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기 데이타 입력 버퍼(108)로 데이타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타는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106)을 거쳐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103)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103)는 라이트 멀티플렉서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트랜지스터(102)를 통해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101)에 데이타가 저장된다. 그런데, 상기 리드 동작시에는 입/출력 센서(104)-데이타 출력 버퍼(105)간의 a패스만이 이용되고, 라이트 동작시에는 데이타 입력 버퍼(107)-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106)의 b패스만이 이용된다. 즉, 두개의 동작이 서로 다른 패스를 가지고 있다. 이는 불필요한 셀면적의 증가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입/출력 데이타라인이 많은 바이트 와이드(byte-wide) 메모리장치에서는 이러한 요소는 큰 셀면적의 증가를 갖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타라인을 감소시켜 셀면적을 줄인 반도체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기 센서앰프(104)와 데이타 출력 버퍼(105) 및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106)와 데이타 입력 버퍼(107)를 연결하는 데이타라인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선함으로써, 상기 데이타라인의 갯수가 감소되고, 그에 따라 셀면적이 감소되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를 제공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의 데이타 패스를 나타낸다. 상기 제2도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201)와,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201)와 입/출력 데이타라인(I/O,)의 접속을 제어하는 게이트 트랜지스터(202)와, 상기 데이타라인의 데이타를 입력하는 리드-라이드 멀티플렉서(203)와,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203)에 접속되는 센서앰프(204) 및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206)와, 상기 센서앰프(204)와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206)의 출력에 공통접속되는 데이타 출력 버퍼(205)와 데이타 입력 버퍼(207)와, 상기 데이타 출력 버퍼(205)와 데이타 입력 버퍼(207)의 출력에 공통접속되는 입/출력 패드(20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도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리드동작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201)과 입/출력 데이타라인을 연결하는 게이트 트랜지스터(202)를 구동시키는 CSL 신호에 의해 상기 게이트 트랜지스터(202)가 열리고,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의 데이타가 데이타 입/출력 라인 I/O,라인에 실리게 된다. 이때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203)는 리드시의 멀티플렉서로 동작한다.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203)의 출력은 센서앰프(205)를 거쳐 공통 데이타라인을 통하여 데이타 출력 버퍼(205)에 전달되고, 다시 공통 데이타라인을 통하여 입/출력 패드(208)에 전달된다. 다음에, 라이트동작을 살펴본다. 이때에는 상기 입/출력 패드(208)로부터 공통 데이타라인을 통하여 데이타 입력 버퍼(207)로 데이타가 입력되고, 상기 데이타는 다시 공통 데이타라인을 거쳐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206)에 전달되고, 다시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203)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203)는 라이트시의 멀티플렉서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 트랜지스터(202)를 통해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201)에 데이타가 저장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를 구비하는 비디오램의 데이타라인 데이타라인 배선도이다. 상기 제3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센서앰프(304) 및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305)에서부터 입/출력 버퍼(307, 308)까지의 데이타라인이 공통 데이타라인이다. 이는 종래 기술에 의한 동일 위치의 데이타라인에 비해 그 수가 1/2로 줄어든 데이타라인을 가짐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출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에서는 센서앰프 및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와 데이타 입력 버퍼 및 데이타 출력 버퍼를 연결하는 데이타라인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선함으로써, 상기 데이타라인의 갯수가 감소되고, 그에따라 셀면적이 감소되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5)

  1. 반도체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201)와,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201)의 데이타를 입/출력 하는 입/출력 데이타라인과,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201)와 상기 입/출력 데이타라인과의 접속을 제어하는 게이트 트랜지스터(202)와, 상기 데이타라인의 데이타를 입력하는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203)와,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203)에 각각 병렬접속되는 센서앰프(204) 및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206)와, 상기 센서앰프(204)와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206)의 출력에 각각 공통접속되는 데이타 출력 버퍼(205)와 데이타 입력 버퍼(207)와, 상기 데이타 출력 버퍼(205)와 데이타 입력 버퍼(207)의 출력에 공통접속되는 입/출력 패드(208)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는 리드동작과 라이트동작시에 각각 멀티플렉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장치.
  3.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301)와, 입/출력 데이타라인을 통하여 상기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301)에 접속되는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303)와,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303)에 병렬접속되는 센서앰프(304) 및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305)와, 상기 센서앰프(304)와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305)의 출력에 연결되는 데이타 입/출력 버퍼(306, 307)를 구비하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앰프(304)와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305)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데이타 입/출력 버퍼(306, 307)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은 상기 센서앰프(304)의 출력 데이타 라인과 상기 라이트 데이타 드라이버(305)의 입력 데이타라인에 공통접속되고, 상기 데이타 입력 버퍼(306)의 출력 데이타라인과 상기 출력버퍼(307)의 입력 데이타라인에 공통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라이트 멀티플렉서는 리드동작과 라이트동작시에 각각 멀티플렉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KR1019920009550A 1992-06-02 1992-06-02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KR95000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550A KR950003399B1 (ko) 1992-06-02 1992-06-02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550A KR950003399B1 (ko) 1992-06-02 1992-06-02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153A KR940001153A (ko) 1994-01-10
KR950003399B1 true KR950003399B1 (ko) 1995-04-12

Family

ID=1933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550A KR950003399B1 (ko) 1992-06-02 1992-06-02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054A (ja) * 1997-04-24 1998-11-13 Mitsubishi Electric Corp フレームバッファメモ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1153A (ko) 1994-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223099D1 (de) Aufzeichnungsgerät für eine Speicherkarte
JPH01154391A (ja) メモリセル回路
KR970051296A (ko) 다수의 뱅크를 갖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4799198A (en) Image memory
KR880013168A (ko) 반도체 기억장치
KR19990013547A (ko) 개선된 싱크로너스 디램과 로직이 하나의 칩에 병합된 반도체장치
US4864491A (en) Memory device
KR100303923B1 (ko) 싱크로너스디램에서의멀티뱅크테스트장치
JPH06195968A (ja) 集積半導体メモリ装置
KR0164359B1 (ko) 싸이클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100269319B1 (ko) 동시칼럼선택라인활성화회로를구비하는반도체메모리장치및칼럼선택라인제어방법
KR950003399B1 (ko) 입/출력 공통 데이타라인을 가지는 시리얼 액세스 메모리장치
KR100227272B1 (ko) 1 사이클 동작 내부 리드/라이트 기능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20080101130A1 (en) Semiconductor device
KR19990009107A (ko) 테스트 패드 병합수단을 구비하는 복합 반도체장치
US602106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reducing a load imposed upon a sense amplifier to shorten a sensing time
US5566350A (en) Information device for providing fast data transfer with minimum overhead
KR100299179B1 (ko) 고속동작용반도체메모리소자
JP3176144B2 (ja) 同期型スタチックメモリ
JP3152767B2 (ja) 半導体記憶装置
US710663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inputting or outputting data in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324013B1 (ko) 반도체소자의데이타전송방법및그장치
KR100247906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처리방법 및 장치
KR940004643A (ko) 듀얼 포트 디램 장치
JPS632193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