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279Y1 -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279Y1
KR950003279Y1 KR2019890014818U KR890014818U KR950003279Y1 KR 950003279 Y1 KR950003279 Y1 KR 950003279Y1 KR 2019890014818 U KR2019890014818 U KR 2019890014818U KR 890014818 U KR890014818 U KR 890014818U KR 950003279 Y1 KR950003279 Y1 KR 950003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microcomputer
transistor
code generator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4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304U (ko
Inventor
추성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4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3279Y1/ko
Publication of KR9100083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3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5/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rrecting errors; Monito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원격송신기
30,31 : 제1, 2원격수신부 40 : 코드발생부
Q1~Q8: 트랜지스터 C1~C3: 콘덴서
D1: 발광다이오드 R1~R20: 저항
본 고안은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원격제어시 인접한 원격제어장치에 의해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기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전자기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장치를 부착하는 추세에 있으며 또한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로는 비디오테이프 레코오더(Video Tape Recorder : 이하 VTR이라 함)를 비롯하여 텔리비젼(Television),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오더(Digital Video Tape Recorder), 보일러(Boiler)등이 있다. 상기 전자기기등에 부착되는 원격제어장치의 원격 송신기는 일반적으로 원격송신기에 대한 고유코드와 제어할 기능에 대한 데이터코드(Data Code)를 발생하여 전자기기내에 포함되어진 시스템제어용 프로세서(Processor)인 마이콤(Micon)에 공급하여 상기 마이콤으로 하여금 자체적으로 에러(Error)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텔레비젼이나 VTR에 있어서 방송수신채널을 채널업-다운키(Channel Up-Down Key)로 변경하고자 할 경우 원격송신기는 상기 채널업-다운키가 압압되어져 있는 동얀 연속적으로 채널변경용 키펄스(Key Pulse)를 고유코드없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전자기기에 내장된 마이콤은 원격송신기로부터 수신되어 인입되는 채널변경용 키펄스에 의해 방송수신채널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텔리비젼이나 VTR에 있어서 마이콤은 인접한 타원격송신기에 발생된 키펄스에 의해서도 세트의 방송수신채널을 변경하게 됨으로서 오동작을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격제어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원격제어시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스템을 제어처리하기 위한 마이콤과,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원격송신기로부터 송출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콤에 공급하는 제1원격 수신부와, 고유코드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코드발생부와, 상기 마이콤의 제어하에 상기 코드발생부를 구동하기 위한 코드발생제어수단과, 상기 코드발생부의 출력을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기 위한 광변환수단과, 상기 광변환수단에 의해 송출된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마이콤에 공급하는 제2원격수신부로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 따른 회로도로서, 시스템을 제어 처리하기 위한 마이콤(10)과,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원격송신기(20)와, 상기 원격송신기(20)로부터 송출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콤(10)에 공급하는 제1원격수신부(30)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고유코드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코드발생부(40)와, 상기 마이콤(10)의 제어하에 상기 코드발생부(40)를 구동하기 위해 다수의 저항(R1~R19)및 트랜지스터 (Q1~Q7)와 세개의 콘덴서(C1~C3)로 이루어진 코드발생제어수단(50)과, 상기 코드발생부(40)의 출력을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기 위해 저항(R20) 및 트랜지스터(Q8)와 적외선 발광다이오드(D1)으로 이루어진 광변환수단(60)과, 상기 광변환수단(60)에 의해 송출된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마이콤(10)에 공급하는 제2원격 수신부(31)로 구성한다.
이어서 상술한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원격송신기(2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기능에 대한 기능데이터를 발생한 다음 광신호로 변환하여 제1원격수신부(30)쪽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기능데이터는 기능에 따라 고유코드정보와 제어정보를 포함하게 되거나 또는 제어정보만을 갖게 되는데 고유코드정보와 제어정보를 포함하게 되는 경우는 전원 온-오프(Power ON-OFF)나 또는 시스템의 다른 기능으로 전환시키는 때이며 그리고 제어정보만을 갖게 되는 경우는 텔리비젼과 VTR에 있어서 수시채널의 변경 또는 음량의 증감조절이나 보일러의 온도증감조절시이다.
상기 원격송신기(20)에서 송출된 광신호를 수신하는 제1원격수신부(30)에 수신되어지는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콤(10)에 공급한다. 이때 마이콤(10)은 상기 제1원격수신부(30)로부터 공급되어지는 기능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되어진 해당기능을 수행하도록 주변회로나 장치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기능데이터가 고유코드정보 및 제어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엔 이에 해당하는 기능을 즉시 제어 처리하고 다른 한편으로 제어정보 즉 음량이나 수신채널 변경시의 키펄스만이 기능데이터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엔 해당채널이나 음량상태를 메모리장치에 기록하고 기록용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메모리장치에 공급한다. 그리고 음량이나 수신채널 변경시 즉 키펄스만이 연속적으로 인입될 경우 마이콤(10)은 키펄스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변경될 음량이나 수신채널에 대한 기록을 데이터와 제어신호를 메모리에 공급한다.
다수의 저항 (R1~R19) 및 트랜지스터(Q1~Q7)와 세개의 콘덴서(C1~C3)로 이루어진 코드발생제어수단(50)은 상기 마이콤(10)으로부터 메모리장치쪽으로 인가되는 제어신호중 칩셀렉트신호(Chip Select Signal)의 상태에 의해서 코드발생부(4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코드발생부(40)는 상기 코드발생제어수단(50)에 의해 구동되어 제작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고유코드장치를 발생하여 직렬형태로 광변환수단(60)에 공급한다.
이때 광변환수단(60)은 상기 코드발생부(40)로부터 직렬형태로 공급되는 고유코드정보를 광신호(적외선신호)로 변환하여 제2원격수신부(31)쪽으로 송출한다. 상기 광변환수단(60)으로부터 송출되어진 광신호를 수신하게 되는 제2원격수신부(31)는 수신된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마이콤(10)에 공급함으로 마이콤(10)으로 하여금 음량이나 수신채널의 조절이 종료되었다는 인식을 하게 한다.
상기 코드발생제어수단(50)은 마이콤(10)으로부터 하이논리상태의 펄스형태의 칩셀렉트신호가 공급될 때 코드발생부(40)를 구동하게 되며 상기 코드발생부(40)를 구동하게 되는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이논리상태의 펄스형태의 칩셀렉트신호가 발생될 때 트랜지스터(Q1)을 온(ON)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은 오프(OFF)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되는 순간부터 콘덴서(C1)는 저항(R6)과의 시정수에 의해 상기 저항(R6)을 통해 공급되는 공급전원(VDD)을 충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콘덴서(C1)가 충전을 완료할 때 트랜지스터(Q3)는 오프상태가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에 의해 트랜지스터(Q4)도 오프상태가 되며,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오프상태에 의해서 트랜지스터(Q5)는 온 상태가 되고, 이때 콘덴서(C3)는 상기 트랜지스터(Q5)가 온된 순간부터 미리 충전되어진 전하를 서서리 방전하기 시작하여 방전이 완료될 때 트랜지스터(Q6)를 온시키게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6)가 온상태가 될때 트랜지스터(Q7)은 온상태가 되어 상기 코드발생부(40)의 두 스캔단자(K1, K2)를 도통상태로 만들어 코드발생부(40)를 구동한다. 결국 저항(R6)과 콘덴서(C1)은 하나의 제1지연회로를 구성하고 또한 저항(R14)와 콘덴서(C3)는 또 하나의 제2지연회로를 구성하여 하이논리상태의 펄스형태의 칩셀렉트신호가 발생된 순간으로부터 일정시간후에 코드발생부(40)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트랜지스터(Q7)은 코드발생부(40)이 두 스캔단자(K1, K2) 의 전류통로를 제어하여 코드발생부(40)을 구동하고, 트랜지스터(Q1~Q6)들은 마이콤(10)과 제1지연회로간의 신호매칭을 위한 완충작용과 제1지연회로와 제2지연회로간의 신호매칭을 위한 완충작용 그리고 제1지연회로와 트랜지스터(Q7)간의 신호매칭을 위한 완충작용을 한다.
또한 저항(R1~R3)들은 트랜지스너(Q1)의 바이너스저항이고, 저항(R4~R6)들은 트랜지스터(Q2)의 바이어스 저항이며, 저항(R7, R8)들은 트랜지스터(Q3)의 바이어스저항이고, 저항(R9~R11)들은 트랜지스터(Q4)의 바이어스저항이며, 저항(R12~R14)들은 트랜지스터(Q5)의 바이어스저항이고, 저항(R15, R16)들은 트랜지스터(Q6)의 바이어스저항이며, 저항(R17, R18)들은 트랜지스터(Q7)의 바이어스저항이고, 저항(R19)은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측 로드(Load)저항이며, 콘덴서(C2)는 두 트랜지스터(Q4, Q5)간의 커플링(Coupling) 콘덴서이다.
그러면 코드발생부(40)는 두 스캔단자(K1, K2)가 도통상태가 될때 작동하여 하이 또는 로우논리상태를 갖는 직렬형태의 고유코드정보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코드발생부(40)의 출력을 인입하는 광변환수단(60)을 직렬형태의 고유코드정보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데 이를 상세히 언급하면 다음과 같다.
트랜지스터(Q8)은 상기 코드발생부(40)로부터 직렬형태로 공급되는 하이 또는 로우논리상채의 고유코드정보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여 발광다이오드(D1)의 전류통로를 제어하며, 발광다이오드(D1)은 상기 트랜지스터(Q8)에 의해 전류통로가 형성될때 점등되어 광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저항(R20)은 상기 트랜지스터(Q8)에 의해 전류통로가 형성될 때 발광다이오드(D1)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변환수단(60)으로부터 송출되어진 신호를 제2원격수신부(31)을 통해 전기적신호 형태의 고유코드정보를 인입하는 마이콤(10)은 상기 고유코드정보에 의해 음량이나 수신채널정보의 조절이 종료되었음 일시 인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격제어시 고유코드정보없이 연속적인 상태조절시 종료인식용의 고유코드정보를 발생시킴으로서 인접한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송신기에 의한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시스템을 제어처리하기 위한 마이콤(10)과, 원격제어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원격송신기(20)와, 상기 원격송신기(20)로부터 송출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마이콤(10)에 공급하는 제1원격수신부(30)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있어서, 고유코드정보를 발생하기 위한 코드발생부(40)와, 상기 마이콤(10)의 제어하에 상기 코드발생부(40)를 구동하기 위한 코드발생제어수단(50)과, 상기 코드발생부(40)이 출력을 광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기 위한 광변환수단(60)과, 상기 광변환수단(60)에 의해 송출된 광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한 다음 상기 마이콤(10)에 공급하는 제2원격수신부(31)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KR2019890014818U 1989-10-12 1989-10-12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KR950003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818U KR950003279Y1 (ko) 1989-10-12 1989-10-12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4818U KR950003279Y1 (ko) 1989-10-12 1989-10-12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304U KR910008304U (ko) 1991-05-31
KR950003279Y1 true KR950003279Y1 (ko) 1995-04-24

Family

ID=1929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4818U KR950003279Y1 (ko) 1989-10-12 1989-10-12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32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304U (ko) 199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30091B1 (en) IR receiver using IR transmitting diode
EP0317007A1 (en) Remote control system using a wake up signal
EP0622900A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of a remote controller
US5495301A (en) Three wire pillow speaker with full television remote control functions
US5093744A (en) Remote commander
KR920004564B1 (ko) 원 키(one key)리모콘의 다기능 수행방법
KR950003279Y1 (ko)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MY110336A (en) Vcr control of a cable converter unit
US6590503B1 (en) Remote control system
KR930006587Y1 (ko) 간차 슬로우 모드 제어회로
JP3138172B2 (ja) 複数機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910009042Y1 (ko) Tv/vtr의 일체형 리모콘 송신회로
US4184106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KR950005308Y1 (ko) 리모콘의 우선권 선택장치
US6212326B1 (en) Video tape or cassette recorder
KR930005818B1 (ko) 직접 위성방송(dbs) 수신기기에서의 vcr 자동 구동방법
KR0144980B1 (ko) 마이크를 내장한 원격제어송신장치
KR0172695B1 (ko) 케이블 박스를 통한 vcr의 예약녹화방법
KR19990016315U (ko) 해당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다기능 리모콘
KR930005929Y1 (ko) 자동모드 절환회로
KR100192614B1 (ko) 리모콘의 배터리 전원보호장치
KR880002571Y1 (ko) 원격조정신호 재생회로
JPH0669236B2 (ja) リモ−トコントロ−ル送信機
KR0157696B1 (ko) 브이시알 등의 조작키 점소등 시스템
KR940000240Y1 (ko)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3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