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0240Y1 -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 Google Patents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0240Y1
KR940000240Y1 KR2019900018020U KR900018020U KR940000240Y1 KR 940000240 Y1 KR940000240 Y1 KR 940000240Y1 KR 2019900018020 U KR2019900018020 U KR 2019900018020U KR 900018020 U KR900018020 U KR 900018020U KR 940000240 Y1 KR940000240 Y1 KR 940000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erminal
system code
code selec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80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0106U (ko
Inventor
신계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180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0240Y1/ko
Publication of KR9200101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1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0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0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3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ransmission is by selection of one or more conductors or channels from a plurality of conductors or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제1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2도는 일반적인 원격 제어 송신 데이타의 포맷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20 : 발진부
30 : 데이타 송신부 40 : 표시부
50 : 제1키 입력부 60 : 제2키 입력부
70 :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부
본 고안은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remote control transmit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 키(key)입력에 따라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시스템코드를 부여하여 무선으로 다수의 서로 다른 제어대상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텔레비젼(television: 이하 "TV"라 함),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der: 이하 "VTR"이라 함) 및 일반 가전기기등의 조작을 무선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때 제어대상기기와 분리되어 사용되는 원격 제어 송신기를 사용자가 조작함으로써 제어신호가 무선으로 송신되며, 송신된 신호를 제어대상기기에서 수신하여 처리함으로써 무선 원격 제어가 이루어진다.
제1도는 종래의 원격 제어 송신기의 회로도로서, 다수의 키 입력단자(Ki0-Ki3)와, 다수의 키 출력단자(Ko0-Ko7)와, 시스템코드 선택 입력단자(SCS)와, 원격제어신호 출력단자(REM)와, 전원전압(V+)측에 접속되는 전원전압단자(VDD)와, 접지에 접속되는 부전원전압단자(VSS)와, 램프(lamp)표시신호 출력단자(LMP)와, 발진입력단자(OSCi)와, 발진출력단자(OSCo)와, 테스트단자(TEST)를 구비하며 소정의 기준신호를 입력하며 소정 키 데이타를 스캔(scan)하여 원격제어신호 및 램프표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제어부(10)의 발진입력단자(OSCi) 및 발진출력단자(OSCo)와 접지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캐패시터(12, 14)와 발진입력단자(OSCi) 및 발진출력단자(OSCo)에 병렬 접속되는 수정 발진자(crystal)(16)로 구성되어 일정주파수의 기준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제공하는 발진부(20)와, 제어부(10)의 원격제어신호를 베이스단자에 입력하여 구동되는 트랜지스터(18)와, 트랜지스터(18)의 콜렉터단자와 제어부(10)의 전원전압단자(VDD)사이에 서로 병렬 접속되는 적외선발광다이오드(infrated light-emitting diode)(22, 24)와, 제어부(10)의 전원전압단자(VDD)와 접지사이에 접속되는 캐패시터(26)와, 트랜지스터(18)의 에미터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28)으로 구성되어 원격제어신호를 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 24)에 의해 적외선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하는 데이타 송신부(30)와, 제어부(10)의 전원전압단자(VDD)와 제어부(10)의 램프표시신호 출력단자(LPM)사이에 직렬 접속되는 저항(32) 및 발광다이오드(34)로 구성되어 제어부(10)의 램프표시신호에 의해 발광다이오드(34)를 발광시켜 원격제어신호가 출력됨을 표시하는 표시부(40)와, 제어부(10)의 키 출력단자(Ko0-Ko7)의 열과 키 입력단자(Ki0-Ki3)의 행으로 키매트릭스(matrix)가 구성되는 다수의 키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키 데이타를 제어부(10)에 인가하는 키 입력부(1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의 구성중 제어부(10)는 원격 제어 송신기 IC칩(Integrated Circuitchip)인 대한민국 삼성사의 KA5410을 사용한 예이다. 그러므로 다른 IC칩을 사용할 경우에는 키 입력단자와 키 출력단자의 갯수는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시스템코드 선택 입력단자(SCS)는 원격 제어 송신기 CI칩을 사용하여 원격 제어 송신기를 설계시 시스템코드를 세팅(setting)하기 위한 단자이다.
제2도는 일반적인 원격 제어 송신 데이타의 포맷(format)도로서, 제어부(10)의 원격제어신호 출력단자(REM)를 통하여 출력되어 데이타 송신부(30)의 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 24)에서 적외선신호로 변환 송신되는 원격제어신호의 송신 데이타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제2도의 포맷은 리드펄스(lead pulse)(LP)와 2회 반복되는 시스템코드(Sc)와 데이타코드(Dc) 및 반전데이타코드()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제1도의 회로도 및 제2도의 데이타 포맷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원격 제어 송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원이 "온"되면 제1도의 제어부(10)는 입력부(100)로부터의 키 데이타의 입력을 스캔한다. 이때 사용자의 키조작에 따른 키 데이타가 입력되면, 키 데이타에 따른 제어데이타가 포함된 제2도와 같은 포맷의 원격제어신호를 원격제어신호 출력단자(REM)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18)가 구동되고 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 24)에서는 원격제어신호에 따른 적외선신호가 발생되어 송신이 된다.
그러면 제1도의 원격 제어 송신기에 의해 제어되는 TV 또는 VTR등의 기기는 상기한 적외선신호를 수광하고 수광된 적외선신호에 포함된 제어데이타에 따라 제어된다. 여기서 제어부(10)는 수정 진동자(16)에 의한 발진주파수를 기준신호로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기준신호의 주파수는 제어부(10)의 칩 종류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455㎑의 발진주파수를 갖는 수정 진동자의 발진 주파수를 12분주한 37.9㎑를 펄스(pulse)변조하여 사용한다. 이때 사용되는 펄스변조는 일반적으로 시간 관계에 의한 논리 "0", "1"을 구별하는 PPM(Pulse Position Modulation)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신호의 데이타 포맷은 제2도에서와 같이 리드펄스(Lp)와 시스템코드(Sc)와 데이타코드(Dc) 및 반전데이타코드()로 이루어진다. 이때 시스템코드(SC)는 S0-S7의 8비트를 두번 연속하여 출력하며, 데이타코드(Dc)와 반전데이타코드()는 각각 D0-D7의 8비트와 ()의 8비트를 출력한다. 이에따라 총 32비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반전데이타코드()는 데이타코드(Dc)가 반전된 데이타가 된다. 또한 리드펄스(Lp)는 처음 4.5ms동안 논리 "1"이고 다음 4.5ms동안 논리 "0"이 되는 신호로 TV 또는 VTR 등의 수신기기에서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준비 펄스로 이용된다. 그리고 TV 또는 VTR에 내장된 원격제어신호 수신기가 정확한 제어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하여 시스템코드(S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격 제어송신기의 설계 및 제조시 세팅되어 있으며, 원격제어신호 수신기에서는 시스템코드(Sc)를 인지하여 데이타를 수신한다.
한편, 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 24)에서 출력되는 적외선신호는 일반적으로 940㎜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이 사용된다. 그리고 제어부(10)는 키 입력에 따른 원격제어신호 출력시 램프표시신호를 램프표시신호 출력단자(LMP)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34)가 발광되어 사용자가 원격제어신호가 출력됨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원격 제어 송신기는 시스템코드가 원격 제어 송신기의 설계 및 제조시 세팅됨에 따라 각각의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별도의 원격 제어 송신기가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원격 제어 송신기에 있어서, 각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키 입력부를 구비하고 키 입력에 따라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시스템코드를 부여하여 무선으로 다수의 제어대상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원격제어 송신기 IC칩을 사용하여 키 입력단자와 키 출력단자와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에 대한 3접점 키 매트릭스를 구성함으로써 키를 확장할 수 있는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서, 제어부(10)와 발진부(20)와 데이타 송신부(30)와 표시부(40)와 제1, 제2키 입력부(50, 60)와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부(70)로 구성된다.
제3도의 구성중 제어부(10)와 발진부(20)와 데이타 송신부(30)와 표시부(40)는 전술한 제1도와 같으며 참조부호도 동일하다.
제1키 입력부(50)는 제어부(10)의 키 입력단자(Ki0-Ki3)의 행과, 키 출력단자(Ko0-Ko7)의 열과, 키 입력단자(Ki0-Ki3)의 행과 병렬로 공통 배치되는 제1시스템 코드선택단자(101)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3접점 키매트릭스로 구성되어 키 조작시 해당 키 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인가하는 동시에 제1시스템코드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제2키 입력부(60)는 제어부(10)의 키 입력단자(Ki0-Ki3)의 행과, 키 출력단자(Ko0-Ko2)이 열과, 키 입력단자(Ki0-Ki3)의 행과 병렬로 공통 배치되는 제1시스템 코드 선택단자(102)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3접점 키매트릭스로 구성되어 키 조작시 해당 키 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인가하는 동시에 제1시스템코드 선택신호를 발생한다.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부(70)는 제1시스템코드 선택단자(101)에 저항(36)을 통하여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콜렉터단자가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SCS)에 접속되며 에미터단자가 제어부(10)의 키 출력단자(Ko7)에 접속되는 PNP형 트랜지스터(42)와, 제2시스템코드 선택단자(102)에 저항(38)을 통하여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콜렉터단자가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SCS)에 접속되며 에미터단자가 제어부(10)의 키 출력단자(Ko6)에 접속되는 PNP형 트랜지스터(44)와, 트랜지스터(42, 44)의 콜렉터단자와 접지사이에 접속되는 저항(48)으로 구성되어 제1, 제2키 입력부(50, 60)로부터 각각의 키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제1, 제2시스템코드 선택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42, 44)가 대응되게 "턴온(turn on)"되어 각각 다른 시스템코드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SCS)에 제공한다.
상기 제3도의 구성중 제어부(10)는 전술한 제1도에서와 같이 대한민국 삼성사의 KA5410을 사용한 예이다. 또한 두개의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키 입력부를 하나 추가 구성한 예이며, 필요에 따라 키 입력부를 더 추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제3도의 동작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3도의 제1키 입력부(50)의 키 매트릭스를 TV 제어용이라고 가정하고 제2키입력부(60)의 키 매트릭스를 TV의 전원라인을 통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대상기기 제어용이라고 가정한다.
첫번째로 사용자가 TV를 제어하고자 제1키 입력부(50)의 임의의 키를 조작하면, 키 출력단자(Ko7)에 에미터단자가 접속된 트랜지스터(42)가 "턴온"됨으로써 제어부(10)가 키 출력단자(Ko0-Ko7) 및 키 입력단자(Ko0-Ko3)를 스캔시 시스템코드 선택입력단자(SCS)에 트랜지스터(42)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시스템코드데이타로서 인식하고, 조작된 키 데이타와 함께 시스템코드데이타에 따른 TV 제어모드의 원격제어신호를 원격제어신호 출력단자(REM)을 통하여 출력한다.
두번째로 사용자가 TV를 통하여 다른 제어대상기기를 제어하고자 제2키입력부(60)의 임의의 키를 조작하면, 키 출력단자(Ko6)에 에미터단자가 접속된 트랜지스터(44)가 "턴온"됨으로써 제어부(10)가 키출력단자(Ko0-Ko7) 및 키 입력단자(Ko0-Ko3)를 스캔시 시스템코드 선택입력단자(SCS)에 트랜지스터(44)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시스템코드데이타로 인식하고, 제2키입력부(60)의 조작된 키 데이타와 함께 시스템코드데이타에 따른 제어대상기기 제어모드의 원격제어신호를 원격제어신호 출력단자(REM)를 통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제1, 제2키 입력부(50, 60)의 키 조작시 원격제어신호는 전술한 제1도에서와 같이 적외선 발광다이오드(22, 24)에서 적외선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이때의 데이타 포맷은 전술한 제2도와 같으며, 두 경우의 시스템코드가 달라지므로 적외선신호를 수신하는 TV의 원격제어신호 수신기에서 시스템코드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코드에 대응되는 기기가 제어된다.
따라서 본 고안을 TV의 전원 라인을 통한 데이타 전송으로 가전기기를 제어하는데에 적용하면, 본 고안에 따른 원격 제어 송신기 하나만으로 TV의 원격 제어는 물론 TV 화면을 보면서 가전기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격 제어 송신기에 있어서, 각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키 입력부를 기존의 원격 제어 송신기 IC칩을 사용하여 3접점 키 매트릭스로 구성하여 키 입력에 따라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시스템코드를 부여함으로써 무선으로 다수의 제어대상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다수의 키 입력단자 및 키 출력단자와 시스템코드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키 데이타를 키 입력단자 및 키 출력단자를 통하여 스캔하고 키 데이타에 따른 시스템코드와 데이타코드를 포함하는 원격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0)와, 일정 주파수의 기준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하는 발진부(20)와,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원격제어신호를 적외선신호로 변환 송신하는 데이타 송신부(30)를 구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의 키 입력단자의 행과, 키 출력단자의 열과, 키 입력단자의 행과 병렬로 공통 배치되는 제1시스템코드 선택단자(101)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3접점 키매트릭스로 구성되어 키 조작시 해당 키 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인가하는 동시에 제1시스템코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1키 입력부(50)와, 상기 제어부(10)의 키 입력단자의 행과, 키 출력단자의 열과, 키 입력단자의 행과 병렬로 공통 배치되는 제2시스템코드 선택단자(102)의 행으로 이루어지는 3접점 키매트릭스로 구성되어 키 조작시 해당 키 데이타를 발생하여 제어부(10)에 인가하는 동시에 제2시스템코드 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2키 입력부(60)와, 상기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제2시스템코드 선택단자(101, 102)와 상기 제어부(10)의 키 출력단자 중 서로 다른 두개의 키 출력단자에 접속되며, 상기 제어부(10)의 키 데이타 스캔시 발생되는 상기 제1, 제2시스템코드 선택신호에 의해 각각 서로 다른 제어대상기기에 대응하는 시스템 코드데이타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에 제공하는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부(7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부(70)가 상기 제1시스템코드 선택단자(101)에 저항(36)을 통하여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콜렉터단자가 상기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에 접속되며 에미터단자가 제어부(10)이 키 출력단자중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PNP형 트랜지스터(42)와, 상기 제2시스템코드 선택단자(102)에 저항(38)을 통하여 베이스단자가 접속되고 콜렉터단자가 상기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에 접속되며, 에미터단자가 상기 제어부(10)의 키 출력단자중 다른 하나에 접속되는 PNP형 트랜지스터(44)와, 상기 트랜지스터(42, 44)의 콜렉터 단자와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저항(48)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 제2키 입력부(50, 60) 각각의 키입력에 따라 제1, 제2시스템코드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42, 44)가 대응되게 "턴온"되어 각각 다른 시스템코드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의 시스템코드선택 입력단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KR2019900018020U 1990-11-22 1990-11-22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KR940000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020U KR940000240Y1 (ko) 1990-11-22 1990-11-22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8020U KR940000240Y1 (ko) 1990-11-22 1990-11-22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106U KR920010106U (ko) 1992-06-17
KR940000240Y1 true KR940000240Y1 (ko) 1994-01-19

Family

ID=19305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8020U KR940000240Y1 (ko) 1990-11-22 1990-11-22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024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0106U (ko) 1992-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47038B2 (ko)
US5481256A (en) Direct entry remote control with channel scan
US4769643A (en) Transmitter driver for programmable remote control transmitter
KR940000240Y1 (ko) 다기능 원격 제어 송신기
KR19980047715A (ko) 통합 리모콘
US7106976B2 (en) Optical transmitter
JPH0481396B2 (ko)
US5745192A (en) IR remote control code translator for enabling control of an electronic device with different format control codes
US20150325117A1 (en) Remote Controller Circuit
KR940001509B1 (ko) 키메트릭스 제어회로
JPS59119995A (ja) リモ−トコントロ−ル用送信回路
KR960008886Y1 (ko) 다기능 리모트 콘트롤러
KR100481500B1 (ko) 영상신호 수신장치의 마이콤 인터페이스
KR930002264Y1 (ko) 데이타 무선 수신회로
KR960002840B1 (ko) 리모콘의 집적회로(ic)의 코드체계
JPH04207795A (ja) 遠隔操作装置
KR100647916B1 (ko) 원격제어유닛
KR100222905B1 (ko) 티브이(tv)의 리모콘수광부를 이용한 무선키보드 제어장치
KR930006557B1 (ko) 범용 원격 조정기
KR890002424Y1 (ko) Tv채널선국 및 표시회로
JPS5844887A (ja) 遠隔操作装置
KR950003279Y1 (ko) 원격제어시 오동작 방지 회로
KR950004421B1 (ko) 이중 기능을 갖는 분리형 리모콘 장치 및 리모콘 신호처리 장치
KR940002729Y1 (ko) 공통 키매트릭스를 갖는 리모트 콘트롤러
KR19990051252A (ko) 리모트 컨트롤러의 시간 자동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